KR200395760Y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760Y1
KR200395760Y1 KR20-2005-0018251U KR20050018251U KR200395760Y1 KR 200395760 Y1 KR200395760 Y1 KR 200395760Y1 KR 20050018251 U KR20050018251 U KR 20050018251U KR 200395760 Y1 KR200395760 Y1 KR 200395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meat
plate
heat source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랜
Priority to KR20-2005-0018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중공부에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충진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 고기에 원적외선이 배일 수 있도록 하고, 구이판이 열원에 의해 전체가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름모임부를 가진 거치대에 거치되며, 상측 중간부분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기름배출유도홈을 구비한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서 공급되는 열원이 구이판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이판의 몸체 내에 소정의 중공부를 구성하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판{Roast pan}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판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일정 공간이 형성되게 하거나 상기 중공부에 원적외선 방사매체를 충진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고기에 배일 수 있도록 하며, 구이판의 저면에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가 나합된 통공을 중공부와 관통되게 형성하여 구이판 내의 중공부에 열원이 제공될 때, 구이판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어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열원이 직접 전달되는 구이판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를 구성하거나 상기 중공부에 원적외선 방사매체를 충진함으로써, 구이판에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고기에 배일 수 있도록 하여 고기의 섭취시, 인체에 유익하도록 하며, 중공부 내의 일정 공간으로 인해 구이판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눌러붙거나 타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 내에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지는 효과가 있으며, 웰빙 열풍에 의해 변화된 소비자들의 변화된 식습관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직접 화기에 닿지 않고 익을 수 있도록 화기 위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고기를 굽도록 한 것이 고기 구이판으로서, 가정이나 야외 등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의 고기 구이판을 화기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고기를 올려 놓으면 화기에 의해 구이판이 가열되어 그 열에 의해 고기가 익게 되어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고기의 특성상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 고기로부터 기름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름은 인체에 유익하지 않은 지방질로 이루어져 있어 적정량의 기름을 고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 먹기에 좋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름 배출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고기 구이판들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종래의 구이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상은 상부로 갈수록 둥근형상으로 볼록지게 형성하여 열원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고기판의 상측에 고기를 올려 놓은 후, 열원을 제공하게 되면, 열원과 맞닿는 부위에는 뜨겁게 달구어지지만 열원과 맞닿지 않는 부위는 뜨겁게 달구어지지 않아 고기가 구이판 상측에 눌러 붙거나 빨리 타게 되어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고기판이 받침대에 적치되는 경우 고기판과 받침대 사이가 밀착되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연소가 잘 되지 않아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웰빙 열품으로 인해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식습관 변화로 인해 종래의 구이판을 이용하여 익혀진 고기를 섭취하여 영양분을 공급받기 보다는 자신의 인체에 면역력을 강호하고, 체질에 맞는 고기를 섭취하기를 원하는데, 이에 이러한 소비자들의 변화된 식습관을 충족시켜 주기 위한 구이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구이판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 내에 원적외선 방사매체를 충진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고기에 배일 수 있도록 하며, 구이판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가 나합된 통공을 형성하여 열원의 제공시 구이판이 중공부에 의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며, 구이판의 하측에 지지턱을 형성하여 열원에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여 연소가 원활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름모임부를 가진 거치대에 거치되며, 상측 중간부분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기름배출유도홈을 구비한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서 공급되는 열원이 구이판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이판의 몸체 내에 소정의 중공부를 구성하는 구이판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10)의 측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10)의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10)의 성형되는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10)의 사용 상태 측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10)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6은 도5의 A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시 부호 30은 받침통, 31은 숯 받침통, 32는 숯통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10)의 상측 바닥면은 상측 중간부분이 돌출되도록 둥근형상의 볼록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열원과 직접 맞닿는 구이판(10)의 하측은 수평지게 형성하며, 상기 구이판(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일정 크기의 공간으로 비워져 있는 중공부(11)를 형성하거나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이루어진 중자(13)를 형성하고, 상기 구이판(10)의 저면 가장자리에 지지턱(15)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중공부와 관통되는 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가 나합되게 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판(10)의 상측 바닥면은 상측 중간부분이 돌출되는 둥근형상의 볼록지게 형성하여 열원에 의해 고기가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기름배출유도홈(미도시됨)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구이판(10)의 바닥면 하부에는 기름배출구(14)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흘러내린 기름이 기름모임부(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이판(10)의 하측은 열원과 직접 맞닿는 부위로서, 상측의 바닥면과 동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수평지게 형성되게 하고, 상기 구이판(10)의 저면 가장자리에 지지턱(15)이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하여 거치대(20)에 형성된 받침편(21)에 적치될 때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10)이 받침편(2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소가 잘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이판(10)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중공부(11)와 관통되는 통공(12)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통공(12)은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12a)에 의해 나합되게 구성함으로써, 열원의 제공시 구이판(10)의 중공부(11) 내의 압력이 팽창하게 되어 제품의 외형에 변화가 발생하거나 금이 생기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통공(12)에 나합된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12a) 사이에 미세한 틈으로 열원에 의해 팽창된 중공부(1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시 물이나 습기가 거의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인데, 만일 미세한 양의 액체나 습기가 유입되더라도 열원의 제공시 증발하게 되어 통공(12)과 체결매체(12a) 사이의 미세한 틈새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이판(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으로 비워져 있는 중공구(1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이루어진 중자(13)를 충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중공구(11)를 형성하거나 중공부(11) 내에 중자(13)를 충진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판(10)을 성형할 수 있는 금형틀을 좌우 대칭으로 분리되게 제조하되, 상기 구이판(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인 중공부(11)에 해당하는 부위에 원적외선 방사분말의 결정체 형태인 중자(13)를 형성하고, 상기 중자(13)는 금형틀 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기 위해 보조대(13a)를 상하측에 형성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제2공정]
상기 금형틀 내부에 용해된 금속을 밀어 넣게 되는데, 이 때 중자(13)를 지지하는 보조대(13a)는 용해된 금속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응고시에 구이판(10)과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1)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원적외선 방사분말 형태의 중자(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3공정]
상기 공정을 통해 응고과정이 종료된 금형주물인 구이판(10)은 금형틀을 좌우로 분리하여 꺼내도록 한 후, 상기 구이판(10)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2)을 형성하여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12a)가 나합될 수 있도록 하여 중공부(11) 내에 충진된 원적외선 방사분말(13)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구이판(10)의 내·외측 표면상에 불소수지가 코팅되게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주물성형에 의한 거친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4공정]
상기 공정을 통해 구이판(10) 내·외측상에 코팅이 되면, 고온상에서 일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완제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구이판(10)의 내의 중공부(11)에 원적외선 방사분말인 중자(13)가 충진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2공정 이후에 응고과정이 종료된 금형주물인 구이판(10)은 금형틀을 좌우로 분리하여 꺼내도록 한 후, 상기 구이판(10)의 저면 소정의 위치된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12)을 통해 중공부(11)에 채워져 있는 중자(13)를 꺼낸 후, 중공부(11) 내에 일정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이판(10)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통공(12)은 나사못 등의 체결매체(12a)를 이용하여 나합될 수 있도록 하여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의 공정인 코팅공정과 건조공정은 상기의 공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구이판(1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판(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받침통(미도시됨)의 내부에 숯 받침통(미도시됨)을 내장하고, 거치대(20)를 받침통과 숯 받침통 위에 적층되게 얹은 후, 숯통(미도시됨)을 거치대(20)의 중심에 형성된 요입부를 관통하여 적층되게 형성하고, 구이판(10)을 거치대(20)에 형성된 받침편(21)상에 적치되게 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판(10)을 이용하여 고기를 익혀서 먹기 위해서는 숯통에 숯불을 피운 후, 숯 받침통의 내부에 숯불을 피운 숯통을 내장하여 구이판(10)을 가열한다.
상기 구이판(10)이 숯불에 의한 화기에 의해 어느 정도 가열이 되면, 고기를 구이판(10) 위에 얹어 숯불에 의한 화기에 의해 익히도록 하는데, 이 때 구이판(10) 내의 중공부(11)에 원적외선 방사분말인 중자(13)가 충진되거나 일정 공간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구이판(10)이 가열하게 되면, 구이판(10)의 상측 바닥면에 올려진 고기에 원적외선이 방사됨으로 인해 인체에 유익한 상태로 고기를 구울 수 있다.
이 때, 화기에 의해 구이판(10)이 가열하게 되면, 중공부(11) 내의 공기가 팽창하게 되고, 팽창된 공기는 통공(12)에 나합된 체결매체(12a)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구이판(10)의 외형에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중공부(11) 내의 일정 공간으로 인해 화기와 직접 맞닿지 않는 구이판(10)의 부위에도 골고루 열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으며, 고기가 구이판(10)에서 눌러 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숯통(32)을 제거하여 화기의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중공부(11) 내의 가열된 공기로 인해 일정 시간동안 구이판(10)이 가열된 상태로 서서히 식을 수 있도록 하는 보온효과도 있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10)이 거치대(20)에 형성된 받침편(21)상에 적치될 때, 구이판(10)의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턱(15)에 의해 구이판(10)이 받침편(21)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적치되는데, 이로 인해 열원에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여 연소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기의 발생이 줄고, 고기가 잘 익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이판(10) 내에 중공부(11)를 형성하여 원적외선 방사분말인 중자(13)를 형성하거나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하거나 구이판이 골고루 가열되어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열원이 직접 전달되는 구이판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를 구성하거나 상기 중공부에 원적외선 방사매체를 충진함으로써, 구이판에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고기에 배일 수 있도록 하여 고기의 섭취시, 인체에 유익하도록 하며, 중공부 내의 일정 공간으로 인해 구이판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눌러붙거나 타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 내에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지는 효과가 있으며, 구이판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체결매체가 나합된 통공을 통해 열원에 의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구이판의 외주연 하측에 형성된 지지턱에 의해 구이판이 받침편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적치되도록 하여 연소가 원활하도록 하며, 웰빙 열풍에 의해 변화된 소비자들의 변화된 식습관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측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성형되는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사용 상태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부분 절개도
도6은 도5의 A부 확대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이판의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구이판 11. 중공부
12. 통공 12a. 체결매체
13. 중자(원적외선 방사분말)
13a. 보조대 14. 기름배출구
15. 지지턱 20. 거치대
21. 받침편 22. 기름모임부

Claims (4)

  1. 기름모임부를 가진 거치대에 거치되며, 상측 중간부분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기름배출유도홈을 구비한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서 공급되는 열원이 구이판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이판의 몸체 내에 소정의 중공부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구이판의 거치로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며, 열원으로부터 구이판과 최소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판의 저면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내에 형성된 중공부에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충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저면 소정의 위치에 중공부와 관통되는 통공을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통공은 체결매체에 의해 나합되게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KR20-2005-0018251U 2005-05-18 2005-06-24 구이판 KR200395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51U KR200395760Y1 (ko) 2005-05-18 2005-06-24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28 2005-05-18
KR20-2005-0018251U KR200395760Y1 (ko) 2005-05-18 2005-06-24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760Y1 true KR200395760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51U KR200395760Y1 (ko) 2005-05-18 2005-06-24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7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62B1 (ko) * 2016-11-09 2018-09-28 윤명식 언더 레인지용 불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62B1 (ko) * 2016-11-09 2018-09-28 윤명식 언더 레인지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20040U (zh) 一种两用电饼铛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JPH03178615A (ja) 肉の直焼き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0395760Y1 (ko) 구이판
KR20150007485A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CN205359257U (zh) 一种新型陶瓷烤炉
KR101315389B1 (ko)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CN2810450Y (zh) 一种多功能铁板烧
KR100841392B1 (ko) 고기 구이 전열판
KR101146933B1 (ko) 간편 조리기
KR200401753Y1 (ko) 대나무 절편을 구비한 구이판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CN218128142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室内外双层无油烟烹饪锅具
CN201098014Y (zh) 热石烤炉
CN208822467U (zh) 烤盘及煎烤机
CN214964698U (zh) 一种橱柜用电烤炉及橱柜
JP4001030B2 (ja) 加熱調理器
KR100826854B1 (ko) 구이물에 수분이 공급되게 하는 오븐용 구이판
US7564010B2 (en) Jar type cauldron
KR200317017Y1 (ko)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CN113303675A (zh) 一种便携式多功能室内外双层无油烟烹饪锅具
KR101597761B1 (ko)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200418885Y1 (ko) 구이판
KR200349829Y1 (ko) 대나무를 이용한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