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600B1 -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600B1
KR101364600B1 KR1020100062508A KR20100062508A KR101364600B1 KR 101364600 B1 KR101364600 B1 KR 101364600B1 KR 1020100062508 A KR1020100062508 A KR 1020100062508A KR 20100062508 A KR20100062508 A KR 20100062508A KR 101364600 B1 KR101364600 B1 KR 10136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artition
developing
collapsing
collap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208A (ko
Inventor
요시유키 다카시마
히데키 구게
다쿠지 마츠모토
다이요우 우에하라
신고 나츠메
요우이치 세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덩어리 형상의 현상제의 현상 용기로의 유입을 억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현상 장치(Gy, Gm, Gc, Gk)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36)에 유입구(74,76)를 통하여 접속되고, 현상 용기(36)에 유입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34)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34)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34)를 구획한 구획부(77)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배치된 붕괴부(92)와, 붕괴부(92)에 접속되고, 또한 붕괴 인출구(78)로부터 현상제 수용부(34)의 외부로 연장하는 인출부(93)를 갖고, 인출부(93)가 인출될 때에, 붕괴부(92)가 구획부(77)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현상제 수용부(34) 내의 현상제를 붕괴시키는 붕괴 부재(9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 장치에 관하여, 이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개2008-268881호 공보에는, 현상롤(G1k)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교반되면서 반송되는 제 1 교반실(3) 및 제 2 교반실(4)을 갖는 현상부(Gk)에서, 현상롤(G1k)로부터 먼 제 2 교반실(4)의 상방에, 토너와 캐리어가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된 초기 현상제가 수용되는 초기 현상제 수용실(9)이 접속되어 있고, 초기 현상제가 초기 현상제 수용실(9)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2 교반실(4)과 초기 현상제 수용실(9) 사이가 필름 시일(FS)에 의해 밀봉되고, 유저가 필름 시일(FS)을 인출(引出)함으로써, 초기 현상제 수용실(9)의 현상제를 제 2 교반실(4)에 유입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8-268881호 공보(「0034」, 「0037」 ~ 「0038」, 도 3, 도 4)
본 발명은 덩어리 형상의 현상제의 현상 용기로의 유입을 억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의 현상 장치는,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매체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시에, 잠상이 표면에 형성되는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표면에 현상제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수용되는 유지체 수용부를 갖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와,
상기 현상 용기에 유입구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현상 용기에 유입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구획한 상기 구획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배치된 붕괴부와, 상기 붕괴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형성된 붕괴 인출구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외부로 연장하는 인출부를 갖고, 상기 인출부가 인출될 때에, 상기 붕괴부가 상기 구획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를 붕괴시키는 붕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붕괴 인출구의 높이보다, 상단이 높은 위치에 형성된 상기 구획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저부(底部)로부터 상기 구획부의 상단까지, 상기 구획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배치된 상기 붕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유지체 수용부의 하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교반실과, 상기 제 1 교반실의 측방(側方)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지체 수용부의 반대 측에 배치된 제 2 교반실을 갖는 상기 현상 용기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유지체 수용부를 접속하는 제 1 유입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제 2 교반실을 접속하는 제 2 유입구를 갖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상기 구획부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상기 붕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구획부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1 유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고, 또한 상기 현상 용기에 박리(剝離)가능하게 지지된 밀폐 부재이며, 상기 붕괴 부재의 상기 인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인출부가 인출될 때에 인출되어서 상기 현상 용기로부터 박리되는 상기 밀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붕괴 인출구 측의 단부가 상기 붕괴 인출구로부터 상기 구획부 측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붕괴 인출구와 상기 구획부 사이에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저부 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붕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붕괴부가 상기 구획부 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측으로 연장하는 위치에 대하여, 상기 구획부 측에 일단이 배치된 상기 유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붕괴 인출구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붕괴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인출부 및 상기 붕괴부에 미리 설정된 접촉압(接觸壓)에 의해 접촉해서 청소하는 접촉 부재이며, 상기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붕괴 인출구를 밀폐하는 상기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
상기 붕괴 부재에 접촉하는 포제(布製)의 청소부와, 상기 청소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접촉압을 발생시키는 탄성 재료제의 압력 부여부를 갖는 상기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와,
상기 매체 표면의 가시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수용부 내에 붕괴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구성에 비해, 덩어리 형상의 현상제의 현상 용기로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붕괴 부재가 인출될 때에 붕괴부가 구획부의 상단까지 이동할 수 있어, 상부의 현상제까지 붕괴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방의 제 2 유입구 근방의 현상제를 붕괴시킬 수 있어, 현상제 수용부의 도중에 막혀서 제 2 유입구에 현상제가 유입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유입구가 구획부의 상단보다 높을 경우에 비해, 제 1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로 붕괴부를 이동시킬 수 있어, 제 1 유입구에 붕괴되지 않은 현상제가 유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밀폐 부재와 붕괴 부재를 일체적으로 인출할 수 있어, 개별로 인출할 경우에 비해, 작업 횟수를 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붕괴 부재가 붕괴 인출구로부터 저부 측으로 연장하는 경우에 비해, 밀폐 부재의 인출 개시(開始) 시(時)의 부하에 붕괴 부재의 붕괴에 따른 부하가 중첩되는 것이 저감되어, 인출 개시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붕괴 부재에 의해 붕괴되지 않은 현상제가 유입구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촉 부재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붕괴 부재를 인출할 때에 붕괴 부재를 청소할 수 있어, 인출된 붕괴 부재에 부착된 현상제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붕괴 인출구를 밀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제(布製)의 청소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압력 부여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청소부를 안정하게 붕괴 부재에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K색의 프로세스 유닛이 전방에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모든 프로세스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유닛 장착부의 사시 설명도.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의 피접속 단자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0의 (a)는 전체도, 도 10의 (b)는 후단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현상 유닛을 전방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11의 (a)는 전체의 사시도, 도 11의 (b)는 전단 부분의 확대 설명도.
도 12는 현상 유닛을 전방 좌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은 현상부의 단면 설명도.
도 14는 현상 유닛 본체의 요부 설명도이고, 도 14의 (a)는 현상롤 및 초기 현상제 수용부가 분리된 상태의 현상 유닛 본체의 사시도, 도 14의 (b)는 서플라이 오거(supply auger)의 사시도, 도 14의 (c)는 애드믹스 오거(admix auger)의 사시도.
도 15는 접속 단자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5의 (a)는 본체 측의 피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15의 (b)는 본체 측의 피접속 단자에 접속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16은 프로세스 유닛으로부터 보호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1의 기억 매체의 설명도이고, 도 17의 (a)는 평면도, 도 17의 (b)는 사시도.
도 18은 실시예 1의 보호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18의 (a)는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의 (b)는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의 (c)는 보호 접속 단자의 사시도.
도 19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의 피식별부 및 피규제부와, 유닛 장착부의 식별부 및 규제부의 관계의 설명도이고, 도 19의 (a)는 피규제부와 규제부의 결합이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19의 (b)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프로세스 유닛이 삽입되어서 피규제부와 규제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식별부와 피식별부의 결합이 개시되는 상태의 설명도, 도 19의 (c)는 프로세스 유닛의 장착이 완료하여 식별부와 피식별부가 결합하고, 또한 피규제부와 규제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의 설명도.
도 20은 붕괴 부재 및 밀폐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현상 유닛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현상제 수용부의 상(上)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
도 22는 도 21의 화살표 XXI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의 설명도.
도 23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요부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XXIV - XXIV선 단면도.
도 25는 현상제 수용부의 전단의 유입구의 요부 설명도.
도 26은 현상제 수용부의 전단부의 설명도이고, 도 26의 (a)는 전체도, 도 26의 (b)는 전단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26의 (c)는 접촉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
도 27은 접촉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27의 (a)는 접촉 부재의 분해 설명도, 도 27의 (b)는 요부 단면 설명도.
도 28은 실시예 1의 밀폐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28의 (a)는 밀폐 부재가 분리되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28의 (b)는 밀폐 부재가 분리되는 도중의 상태의 설명도, 도 28의 (c)는 밀폐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
도 29는 붕괴 부재와 현상제 수용부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29의 (a)는 실시예 1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b)는 실시예 1의 변경예 1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c)는 실시예 1의 변경예 2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d)는 실시예 1의 변경예 3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e)는 실시예 1의 변경예 4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30은 실시예 1의 붕괴 부재가 인출되는 과정의 설명도이고, 도 30의 (a)는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30의 (b)는 도 30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 전방으로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30의 (c)는 도 30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 전방으로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31은 프로세스 유닛의 피식별부 및 피규제부와, 유닛 장착부의 식별부 및 규제부의 관계의 개략적인 설명도이고, 도 31의 (a)는 실시예 1의 구성의 설명도, 도 31의 (b)는 피규제부와 규제부가 실시예 1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상태의 설명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내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이(裏)로부터 표(表)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내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로부터 이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복사기(U)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와, 이를 지지하고 또한 상단에 투명한 원고 판독면(PG)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의 전면에는, 부품 등의 교환시에 개폐되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프런트 커버(Ua)가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고(Gi)가 겹쳐서 수용되는 원고 급지부(TG1)와, 원고 급지부(TG1)로부터 급지되고 상기 원고 판독면(PG) 위의 원고 판독 위치를 통과한 원고(Gi)가 배출되는 원고 배지부(TG2)를 갖고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는 이용자가 화상 형성 동작 개시 등의 작동 지령 신호를 입력 조작하는 조작부(UI)와, 노광 광학계(A)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에 의해, 원고 판독면(PG) 위를 반송되는 원고 또는 수동으로 원고 판독면(PG) 위에 위치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하여, 고체 촬상 소자(CCD)에 의해 적: R, 녹: G, 청: B의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화상 처리부(IPS)는 고체 촬상 소자(CCD)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RGB의 전기 신호를 흑: K, 옐로(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화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기에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서 잠상 형성 회로(DL)에 출력한다.
또한, 원고 화상이 단색 화상, 소위 모노크롬(monochrome)의 경우는, 흑: K만의 화상 정보가 잠상 형성 회로(DL)에 입력된다.
상기 잠상 형성 회로(DL)는 도시하지 않은 각 색 Y, M, C, K의 각 구동 회로를 갖고,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기에, 잠상 형성 장치(ROS)에 출력한다.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의 상방에는, Y, M, C, 및 K의 각 색의 가시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Y의 가시상 형성 장치(Uy)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 회전하는 감광체(PRy), 대전기(CRy), 현상 장치(Gy), 상 유지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y)를 갖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가시상 형성 장치(Uy)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착탈가능한 착탈 유닛의 일례로서의 프로세스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m, Uc, Uk)는 모두 상기 Y의 가시상 형성 장치(Uy)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서, 상기 각 감광체(PRy, PRm, PRc, PRk)는 각각의 대전기(CRy, CRm, CRc, CRk)에 의해 대전된 후, 화상 기입 위치(Q1y, Q1m, Q1c, Q1k)에서, 잠상 형성 장치(ROS)로부터 방출된 Y, M, C, K의 잠상 기입 광(Ly, Lm, Lc, Lk)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정전 잠상은 현상 영역(Q2y, Q2m, Q2c, Q2k)에서, 현상 장치(Gy, Gm, Gc, Gk)의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롤(R0y, R0m, R0c, R0k)에 유지된 현상제에 의해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 상은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에 접촉하는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 반송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중간 전사 벨트(B)의 이면 측에 배치된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기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각 감광체(PRy ~ PRk) 위의 토너 상은 상기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에 일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감광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잔류물, 부착물은 감광체 클리너(CLy, CLm, CLc, CLk)에 의해 청소된다. 감광체 클리너(CLy ~ CLk)에 의해 회수된 회수물은 잔류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오거(HAy ~ HAk)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회수 용기에 반송되어서 회수된다.
또한, 청소된 상기 감광체(PRy, PRm, PRc, PRk) 표면은 대전기(CRy, CRm, CRc, CRk)에 의해 재대전된다.
상기 감광체(PRy ~ PRk)의 상방에는, 중간 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와, 중간 전사체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롤(Rd), 장력 부여 부재의 일례로서의 텐션(tension)롤(Rt), 사행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워킹롤(Rw),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이들러(idler)롤(Rf) 및 2차 전사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롤(T2a)과, 상기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상기 각 롤(Rd, Rt, Rw, Rf, T2a)에 의해 회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백업롤(T2a)에 접하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에 대향하여,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롤(T2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백업롤(T2a)과 2차 전사롤(T2b)에 의해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롤(T2b) 및 중간 전사 벨트(B)의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위에 순차 겹쳐서 전사된 단색 또는 다색의 토너 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된다.
상기 1차 전사기(T1y ~ T1k), 중간 전사 벨트(B) 및 2차 전사기(T2) 등에 의해, 감광체(PRy ~ PRk)에 형성된 화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실시예 1의 전사 장치(T1 + T2 + B)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 ~ Uk)의 하방에는,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GR)이 3단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GR)에는,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 ~ TR3)가 전후 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TR1 ~ TR3)에 수용된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시트(S)는 매체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롤(Rp)에 의해 취출되고, 매체 붕괴 부재의 일례로서의 붕괴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된다. 그리고, 기록 시트(S)는 매체 반송로의 일례인 시트 반송로(SH)를 따라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반송롤(Ra)에 의해 반송된다. 반송롤(Ra)에 의해 반송된 기록 시트(S)는 2차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고, 2차 전사 영역(Q4)으로의 반송 시기를 조정하는 시기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롤(Rr)로 보내진다. 상기 시트 반송로(SH), 시트 반송롤(Ra), 레지스터롤(Rr) 등에 의해 시트 반송 장치(SH + Ra + Rr)가 구성되어 있다.
레지스터롤(Rr)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에 형성된 토너 상이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되는데 시기를 맞춰서, 상기 기록 시트(S)를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한다. 기록 시트(S)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 상기 백업롤(T2a)은 접지되고, 2차 전사기(T2b)에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위의 토너 상은 상기 2차 전사기(T2)에 의해 기록 시트(S)에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된다.
상기 토너 상이 2차 전사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장치(F)의 가열용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롤(Fh) 및 가압용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롤(Fp)의 접촉 영역인 정착 영역(Q5)으로 반송되고, 상기 정착 영역을 통과할 때에 가열 정착된다. 가열 정착된 기록 시트(S)는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 트레이(TRh)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가열롤(Fh) 표면에는, 기록 시트(S)의 상기 가열롤로부터의 이형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이형제(離型劑)가 이형제 도포 장치(Fa)에 의해 도포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의 상방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가 배치되어 있다. 각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에 수용된 현상제는, 상기 현상 장치(Gy, Gm, Gc, Gk)의 현상제의 소비에 따라 상기 각 현상 장치(Gy, Gm, Gc, Gk)에 보급된다.
(프로세스 유닛 및 유닛 장착부의 설명)
도 4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K색의 프로세스 유닛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모든 프로세스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유닛 장착부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4 ~ 도 7에서, 실시예 1의 복사기(U)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의 내부에는, 잠상 형성 장치(ROS)의 상방에, 착탈체 장착부의 일례로서의 유닛 장착부(1)가 지지되어 있다. 유닛 장착부(1)는 장착부 본체의 일례로서, Y, M, C, K의 프로세스 유닛(UY ~ UK)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유닛 지지부(2)를 가진다.
도 7에서, 각 유닛 지지부(2)의 좌우 양측에는, 유닛 지지부(2)를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유닛 지지부(2)끼리를 구획하는 구획부의 일례로서의 입벽(立壁)(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닛 지지부(2)의 전단부(前端部)에는, 프로세스 유닛(UY ~ UK)의 전단이 수용되는 오목 형상의 전단 수용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지지부(2)의 좌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구에 의해 구성되고, 잠상 형성 장치(ROS)로부터 방출된 잠상 형성 광(Ly ~ Lk)이 통과하는 광 통과구(6)가 형성되어 있다. 광 통과구(6)의 우측에는, 우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탈되는 프로세스 유닛(UY ~ UK)의 저면을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면(7)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 도 7에서, 유닛 지지부(2)의 후단부의 우측에는, 식별부의 일례로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색 식별 가이드(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7에서, Y, M, C, K의 색 식별 가이드(8y, 8m, 8c, 8k)는 장착되는 프로세스 유닛(UY ~ UK)이 적합한지를 식별하기 위해, 각각, 높이가 다른 위치에 우방으로 오목하고, 또한 전후방으로 연장하는 식별로(識別路)(9y, 9m, 9c, 9k)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Y, M, C, K의 순으로 식별로(9y ~ 9k)의 높이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서대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 Y, M, C, K의 각 유닛 지지부(2)의 우측의 입벽(3)의 전단부에는,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 좌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백래시(backlash) 규제 가이드(1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Y, M의 백래시 규제 가이드(11y, 11m)에는, 식별 간섭부의 일례로서, 상면에 전후 한 쌍의 간섭 리브(12y, 12m)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의 피접속 단자 부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도 7, 도 8에서, 유닛 지지부(2)의 후단부의 좌측에는, 피접속부의 일례로서의 본체 측 커넥터(1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본체 측 커넥터(13)는 피접속 단자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단자(14)를 갖고, 커넥터 단자(14)는 탄성 변형가능한 판 스프링 형상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본체 측 커넥터(13)는 전송선의 일례로서의 하니스(harness)(16)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의 컨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의 컨트롤러(C)는 소형의 정보 처리 장치,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외부와의 신호의 입출력, 및 입출력 신호 레벨의 조절 등을 행하는 I/O,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기억된 ROM,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RAM이나, HDD, 상기 ROM이나, 상기 HDD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CPU, 및 클록 발진기 등을 갖고 있고, 상기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닛의 설명)
도 9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0의 (a)는 전체도, 도 10의 (b)는 후단 부분의 요부 확대도이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UY ~ UK)의 설명을 행하지만, 각 프로세스 유닛(UY ~ UK)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Y색의 프로세스 유닛(UY)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행하고, 다른 색의 프로세스 유닛(UM ~ UK)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광체 클리너 유닛의 설명)
도 4, 도 6, 도 9에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UY)은 감광체(PRy)의 좌측에 배치된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을 가진다.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은 내부에 감광체 클리너(CLy)가 수용되어 있다. 도 9, 도 10의 (a)에서,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의 전단에는, 회수물 배출부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배출통(22)이 지지되어 있고, 배출통(22)의 전단에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된 회수물 배출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통(22)의 회수물 배출구(22a)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런트 패널(Ua)이 닫히면, 프런트 패널(Ua)의 내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회수 용기에 접속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배출통(22)에는,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으로부터 연장하는 배출 오거(HAy)의 전단이 수용되어 있고, 배출 오거(HAy)에 의해 반송된 회수물은 회수물 배출구(22a)로부터 회수 용기에 배출된다.
도 9에서,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의 전후 양단부에는, 감광체(PRy)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베어링부(bearing portions)(2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의 전단부의 하단에는, 프로세스 유닛(UY ~ UK)을 작업자가 취급할 때에 사용하는 조작부의 일례로서의 레버(24)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레버(24)는 도 9의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베어링부(23)의 우상단부에는, 가압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후측의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25) 밖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측의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25)는 레버(24)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고, 후측의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25)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도 9, 도 10에서, 상기 감광체(PRy)의 후단에는, 피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프로세스 유닛(UY)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이 전달되는 커플링(26)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26)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플링에 맞물려서,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된다.
도 9에서, 감광체(PRy)의 전단에는, 피위치 결정 부재의 일례로서, 위치 결정 캡(cap)(27)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캡(27)은 전단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프런트 패널(Ua)이 폐쇄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측의 돌기가 끼워져서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UY)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되고, 프런트 패널(Ua)이 닫힌 상태에서는, 커플링(26)과 위치 결정 캡(27)으로 위치 결정이 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상 유닛의 설명)
도 11은 현상 유닛을 전방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11의 (a)는 전체의 사시도, 도 11의 (b)는 전단 부분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2는 현상 유닛을 전방 좌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에서, 감광체(PRy)의 우측에는, 현상부의 일례로서, 기록 시트(S)의 폭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 유닛(31)이 배치되어 있다. 도 5, 도 9, 도 11, 도 12에서, 실시예 1의 현상 유닛(3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닛 본체(32)와, 상기 유닛 본체(32)의 전단에 지지된 전(前) 피복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커버(FC)와, 유닛 본체(32)의 후단에 지지된 후(後) 피복 부재의 일례로서의 후커버(RC)를 가진다.
(현상 용기의 설명)
도 13은 현상부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현상 유닛 본체의 요부 설명도이고, 도 14의 (a)는 현상롤 및 초기 현상제 수용부가 분리된 상태의 현상 유닛 본체의 사시도, 도 14의 (b)는 서플라이 오거의 사시도, 도 14의 (c)는 애드믹스 오거의 사시도이다.
도 9, 도 11 ~ 도 13에서, 실시예 1의 유닛 본체(32)는 하부에 배치된 현상기(33)와, 현상기(33)의 상부에 지지된 현상제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스타터 수용부(34)를 가진다.
도 13, 도 14의 (a)에서, 상기 현상기(33)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36)를 가진다.
도 14의 (a)에서, 현상 용기(36)의 우 외측면의 전단부에는,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에 대응하여, 우방으로 연장 돌출하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라 판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 돌출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36a)의 후단에는, 피규제부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백래시 규제 가이드(11y)의 하면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된 백래시 규제 돌출부(36b)가 형성되어 있고, 프로세스 유닛(UY)의 장착시에, 백래시 규제 가이드(11y)와 접촉해서 프로세스 유닛(UY)을 위치 결정하여 백래시를 규제한다.
도 14의 (a)에서, 현상 용기(36)의 전단부의 상면 및 후단부의 상면에는,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36) 내부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현상 용기 시일(37)이 첨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현상 용기 시일(37)은 탄성 재료의 일례이며, 발포성의 재료의 일례로서의 스펀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나 포(布) 등의 임의의 밀폐하기 위한 재료를 사용가능하다.
(현상 유닛의 접속 단자의 설명)
도 15는 접속 단자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5의 (a)는 본체 측의 피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15의 (b)는 본체 측의 피접속 단자에 접속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6은 프로세스 유닛으로부터 보호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 도 15, 도 16에서, 현상 용기(36)의 후단부 하면에는, 매체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우측의 CRUM 수용부(38)와, 좌측의 단자 수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의 (a)에서, 상기 CRUM 수용부(38)는 하방이 개방된 수용 공간(38a)과, 수용 공간(38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측벽부(38b)와, 각 측벽부(38b)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유지부의 일례로서의 유지 폴(pawl)(38c)을 가진다. 또한, 좌측의 단자 수용부(39)도 CRUM 수용부(3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실시예 1의 기억 매체의 설명도이고, 도 17의 (a)는 평면도, 도 17의 (b)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5, 도 16에서, CRUM 수용부(38)에는, 기억 매체의 일례로서의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41)와, 보호 부재의 일례로서의 CRUM 어댑터(42)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도 16, 도 17에서, 실시예 1의 CRUM(41)은 내부에 정보를 기억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소자가 수용된 판 형상의 기판(41a)과, 기판(41a) 표면에 노출하는 전기적인 접점인 4개의 접속 단자(41b)를 갖고, 프로세스 카트리지(UY)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의 색이나, 감광체(PRy)의 누적 회전 시간 등의 사용 상태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UY)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판(41a)에는, 고정부의 일례로서, 환(丸) 구멍 형상과 긴 구멍 형상의 고정 구멍(41c)이 형성되어 있고, CRUM(41)이 CRUM 수용부(38)에 수용되었을 경우에, CRUM 수용부(38)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지고, 위치 결정 및 빠짐 방지가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CRUM(41)의 기판(41a)은 수지 재료의 일례로서의 에폭시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단자(41b)는 도전성 금속 재료의 일례로서의 금이 에폭시 수지에 도금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소위, 금 도금이 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금 도금의 두께는 일례로서, 0.03㎛로 설정되어 있지만,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도 18은 실시예 1의 보호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18의 (a)는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의 (b)는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의 (c)는 보호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 16, 도 18에서, 실시예 1의 CRUM 어댑터(42)는 보호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 평판 형상의 어댑터 본체(42a)를 가진다. 도 18의 (b)에서, 어댑터 본체(42a)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CRUM(41)의 접속 단자(41b)에 대응하여 형성된 4개의 단자 수용 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의 (a), 도 18의 (b)에서, 어댑터 본체(42a)의 좌우 양측에는, 피지지부의 일례로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의 유지 리브(42c)가 형성되어 있고,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리브(42c)가 유지 폴(38c)에 유지됨으로써, CRUM 어댑터(42)가 CRUM 수용부(38)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8의 (a), 도 18의 (b)에서, 단자 수용 홈(42b)에는, 보호 접속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넥터 부재(43)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18의 (c)에서, 커넥터 부재(43)는 제 1 보호 접속 단자의 일례로서의 상측의 CRUM 접속 단자(43a)와, 제 2 보호 접속 단자의 일례로서의 하측의 본체 접속 단자(43b)와, 전기적인 접점인 각 접속 단자(43a, 43b)의 전단끼리를 접속하는 접속부(43c)를 갖고, 어댑터 본체(42a)를 돌아 들어가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CRUM 접속 단자(43a)에는, CRUM(41)의 접속 단자(41b)에 접촉하는 접점부(43d)가 상방으로 연장하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커넥터 부재(43)는 금속 재료의 일례로서, 에폭시 수지보다 도금된 금이 벗겨지기 어려운 인 청동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접점부(43d)나 본체 접속 단자(43b)의 하(下) 표면을 포함하는 표면에는, 도전성 금속 재료의 일례로서의 금이 도금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도금된 금의 두께는 일례로서, 0.3㎛로 설정되어 있지만,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UY)에서는, CRUM(41)이 CRUM 수용부(38)에 수용된 상태에서, CRUM 어댑터(42)가 장착됨으로써, CRUM(41)이 CRUM 수용부(38)에 유지된다. 그리고, CRUM(41) 및 CRUM 어댑터(4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CRUM(41)의 접속 단자(41b)에 CRUM 어댑터(42)의 접점부(43d)가 접촉한 상태로 되고, 커넥터 부재(43)와 CRUM(41)이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U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되면, CRUM 어댑터(42)의 본체 접속 단자(43b)가 본체 측 커넥터(13)의 우측의 커넥터 단자(14)에 접촉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의 컨트롤러(C)와 CRUM(4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판 스프링 형상의 접점부(43d)와 접속 단자(41b)의 접촉력이 0.15 [N]으로 설정되어 있고, 판 스프링 형상의 커넥터 단자(14)와 CRUM 어댑터(42)의 본체 접속 단자(43b)의 접촉력이 0.3 [N]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CRUM 어댑터(42)와 CRUM(41) 사이의 접촉력이 본체 측 커넥터(13)와 CRUM 어댑터(42)의 접촉력에 비해, 작은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39)에는, CRUM 어댑터와 동일하게 금 도금된 인 청동을 갖는 접속 단자(4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U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본체 측 커넥터(13)의 좌측의 커넥터 단자(14)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서, 실시예 1의 현상기(33)에서는, 현상 용기(36)의 전단부 좌하방으로, 후술하는 제 1 교반실(47)의 전단 부분의 현상제의 농도, 즉 현상제에 포함되는 토너와 캐리어의 비율을 검출하는 농도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농도 센서(SN)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농도 센서(SN)는 도시하지 않은 도선을 통하여, 현상 용기(36)의 후단부에 지지된 상기 접속 단자(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의 공급을 받거나, 검출한 현상제의 농도를 컨트롤러(C)로 송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현상 용기의 내부의 설명)
도 13, 도 14에서, 현상 용기(36)의 내부의 좌상부에는, 유지체 수용부의 일례로서, 회전체의 일례로서의 현상롤(R0y)이 수용되는 현상롤 수용실(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현상롤 수용실(46)의 하방으로는, 제 1 교반실(47)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 1 교반실(47)의 우 경사 하방으로는, 제 2 교반실(48)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교반실(47)과 제 2 교반실(48) 사이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획벽(4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구획벽(49)의 전단에는, 제 2 교반실(48)로부터 제 1 교반실(47)로 현상제가 유입가능한 제 1 유입부(E1)가 형성되어 있고, 구획벽(49)의 후단에는, 제 1 교반실(47)로부터 제 2 교반실(48)로 현상제가 유입가능한 제 2 유입부(E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a)에서, 실시예 1의 제 1 교반실(47) 및 제 2 교반실(48)의 길이는 현상롤실(46)보다 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9 ~ 도 12에서, 현상 용기(36)의 후커버(RC)는 제 2 교반실(48)의 후측의 연장(延長)상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보급부(51)를 가진다. 상기 보급부(51)의 내부에는, 제 2 교반실(48)에 접속하는 보급실(52)이 형성되어 있고, 보급부(51)의 후단 상면에는, 보급구(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급부(51)의 상면에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 보급구(53)를 개폐하는 보급구 셔터(5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U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설치된 현상제 카트리지(Ky)의 현상제를 보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보급계에 보급구 셔터(54)가 눌려서, 도 9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현상제 카트리지(Ky)로부터의 현상제가 보급구(53)에 보급가능한 상태로 된다.
(현상 용기 내부에 지지된 부재의 설명)
도 13에서, 현상 롤 수용실(46)에는, 현상롤(R0y)이 지지되어 있고, 현상롤(R0y)의 좌 경사 하방에는 현상롤(R0y) 표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현상롤(R0y)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 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원기둥 형상의 층 두께 규제 부재(56)가 지지되어 있다.
제 1 교반실(47)에는, 제 1 교반 부재의 일례로서의 서플라이 오거(57)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서플라이 오거(5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58)과, 회전축(58)의 외주(外周)에 형성된 반송 날개(59)를 갖고, 회전시에, 제 1 교반실(47) 내의 현상제를, 제 1 유입부(E1)로부터 제 2 유입부(E2)를 향하는 제 1 반송 방향으로 교반하여 반송하면서, 현상롤(R0y)에 공급한다.
실시예 1의 서플라이 오거(57)의 반송 날개(59)는 나선 형상의 날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전단, 즉 제 1 반송 방향의 상류단이 이중 나선에 의해 구성되어, 제 1 유입부(E1)를 통하여 퍼 올려진 현상제를, 한 겹 나선의 경우에 비해 고속으로 하류 측에 반송하는 고속 반송부(59a)를 가진다. 고속반송부(59a)의 후측에는, 현상롤(R0y)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한 겹 나선에 의해 구성되며, 현상제를 제 2 유입부(E2)를 향해 반송하면서 현상롤(R0y)에 공급하는 제 1 주(主)반송부(59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주반송부(59b)의 후측에는, 제 1 주반송부(59b)와는 역 감음의 나선에 의해 구성되어서 제 1 교반실(47)의 하류단의 현상제를 제 2 유입부(E2)에 유입시키는 제 1 역 반송부(59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플라이 오거(57)의 제 1 주반송부(59b)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에는, 회전축(58)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현상제를 교반하는 판 형상의 교반부(59d)가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14의 (a), 도 14의 (c)에서, 제 2 교반실(48) 및 보급실(52)에는, 제 2 교반 부재의 일례로서의 애드믹스 오거(61)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애드믹스 오거(6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62)과, 회전축(62)의 외주에 형성된 반송 날개(63)를 갖고, 회전시에, 제 2 교반실(48) 내의 현상제를 제 2 유입부(E2)로부터 제 1 유입부(E1)를 향하는 제 2 반송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반송한다.
실시예 1의 애드믹스 오거(61)의 반송 날개(63)는 후단, 즉 제 2 반송 방향의 상류단에 배치되고, 또한 보급실(52) 내의 현상제를 보급구(53)로부터 제 2 유입부(E2)를 향해서 반송하는 보급 반송부(63a)를 가진다. 보급 반송부(63a)의 전측에는, 제 2 유입부(E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58)에 대하여 경사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유입 교반부(63b)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유입부(E2)로부터 유입해 온 현상제를 교반한다. 유입 교반부(63b)의 전측에는, 제 1 유입부(E1)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하는 한 겹 나선 형상의 제 2 주반송부(63c)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교반실(48)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제 1 유입부(E1)를 향해서 반송한다. 제 2 주반송부(63c)가 배치되어 있는 범위에는, 회전축(6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현상제를 교반하는 판 형상의 교반부(63d)가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 2 주반송부(63c)의 전측에는, 제 1 유입부(E1)에 대응하고, 또한 제 2 주반송부(63c)와는 역 감음의 나선에 의해 구성된 제 2 역 반송부(63e)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교반실(48)를 반송해 온 현상제를 체류시켜서 제 1 유입부(E1)를 통하여 제 1 교반실(47)로 이동시킨다.
(현상기의 구동 전달계의 설명)
도 5, 도 10, 도 12, 도 14의 (a)에서, 현상 용기(36)의 좌하부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기어 축(65)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어 축(65)에는, 피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피구동 기어(G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피구동 기어(G1)는 프로세스 유닛(UY)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지지되고, 또한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어에 맞물려서, 구동이 전달된다. 상기 피구동 기어(G1)의 전측에는, 피구동 기어(G1)와 동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기어의 일례로서의 제 1 중간 기어(G2) 및 제 2 중간 기어(G3)가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서, 현상롤(R0y)의 후단에는, 기어의 일례로서의 현상롤 기어(G4)가 지지되어 있고, 현상롤 기어(G4)는 제 1 중간 기어(G2)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피구동 기어(G1)에 구동이 전달되면, 제 1 중간 기어(G2)를 통하여, 현상롤 기어(G4)가 회전하여, 현상롤(R0y)이 회전한다. 또한, 현상롤(R0y)의 전후 양단부에는, 간격 설정 부재의 일례로서, 현상롤(R0y)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트래킹 롤(6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4의 (a)에서, 서플라이 오거(57)의 회전축(58)의 후단부는, 현상 용기(36)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서플라이 오거(57)의 후단에는, 기어의 일례로서의 서플라이 기어(G5)가 지지되어 있다. 서플라이 오거(57)의 서플라이 기어(G5)는 상기 제 2 중간 기어(G3)에 맞물려 있고, 현상롤(R0y)과 서플라이 오거(57)가 도 13에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서플라이 오거(57)의 회전축(58) 및 애드믹스 오거(61)의 회전축(62)의 전단부는 현상 용기(36)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서플라이 오거(57)의 전단에는 기어의 일례로서의 전(前) 전달 기어(G6)가 지지되어 있다. 전 전달 기어(G6)는 기어의 일례로서, 현상 용기(36)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전 중간 기어(G7)에 맞물려 있고, 전 중간 기어(G7)는 기어의 일례로서, 애드믹스 오거(61)의 전단에 지지된 애드믹스 기어(G8)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피구동 기어(G1)에 구동이 전달되면, 제 2 중간 기어(G3)를 통하여, 서플라이 기어(G5)가 회전하고, 서플라이 오거(57)가 회전한다. 서플라이 오거(57)가 회전하면, 각 기어(G6 ~ G8)를 통하여, 애드믹스 오거(61)에 회전이 전달되어, 애드믹스 오거(61)도 회전한다. 따라서, 피구동 기어(G1)로부터 구동이 전달되면, 각 오거(57, 61)가 회전하고, 교반실(47, 48) 내에서 현상제가 순환하면서 반송되고, 현상롤(R0y)도 표면에 현상제를 유지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 1 교반실(47) 및 제 2 교반실(48)에 의해, 실시예 1의 순환실(47 + 4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기어(G1 ~ G8)에 의해, 실시예 1의 피구동 전달계(G1 ~ G8)가 구성되어 있다.
(현상 용기 외부에 지지된 부재의 설명)
도 19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의 피식별부 및 피규제부와, 유닛 장착부의 식별부 및 규제부의 관계의 설명도이고, 도 19의 (a)는 피규제부와 규제부의 결합이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19의 (b)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프로세스 유닛이 삽입되어서 피규제부와 규제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식별부와 피식별부의 결합이 개시되는 상태의 설명도, 도 19의 (c)는 프로세스 유닛의 장착이 완료하여 식별부와 피식별부가 결합하고, 또한 피규제부와 규제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 ~ 도 12에서, 실시예 1의 후커버(RC)에서는, 보급부(51)의 우측부에, 피식별부의 일례로서, 우방으로 돌출하는 색 식별키(RC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색 식별키(RC1)는 색 식별 가이드(8y ~ 8k)의 식별로(9y ~ 9k)에 대응하여, 색마다 다른 높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서, 실시예 1의 식별로(9y ~ 9k), 백래시 규제 가이드(11), 백래시 규제 돌기부(36b) 및 색 식별키(RC1)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UY)의 장착 방향의 하류 측의 색 식별키(RC1)가 식별로(9y ~ 9k)에 도달하기 전에, 장착 방향의 상류 측의 백래시 규제 돌기부(36b)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에 접촉, 결합하는 동시에,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UY)의 장착이 완료하기 전에, 백래시 규제 돌기부(36b)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통과하여 결합이 해제되도록, 전후 방향의 길이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도 5, 도 9, 도 11, 도 12에서, 상기 전커버(FC) 및 후커버(RC)의 상부에는, 클리너 유닛(21)의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25)에 대응하여, 가압 부재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66)가 형성되어 있고, 각 트래킹 스프링 지지부(25, 66)의 사이에는, 현상 유닛(31)을 클리너 유닛(21)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트래킹 스프링(67)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UY)에서는, 감광체 클리너 유닛(21)과 현상 유닛(31)은 후단부가,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클리너 유닛(21) 측의 연결부(21a)가 기어 축(6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전단부는 현상 유닛(31) 측의 전커버(FC)와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의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현상 유닛(31)이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래킹 스프링(67)의 가압력에 눌려서, 현상 유닛(31)의 트래킹 롤(64)이 감광체 클리너 유닛(21)의 감광체(PRy)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현상 유닛(31)의 현상롤(R0y)의 표면과 감광체(PRy)의 표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 유지된다.
도 11에서, 전커버(FC)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보호부(68)가 형성되어 있고, 전측의 기어(G6 ~ G8)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피복하고 있다. 돌출 보호부(68)의 상방에는, 제 1 밀폐 부재 통과구의 일례로서, 슬릿 형상의 제 1 시일 통과구(69)가 형성되고, 돌출 보호부(68)의 우상방에는, 제 2 밀폐 부재 통과구의 일례로서, 슬릿 형상의 제 2 시일 통과구(70)가 형성되어 있다.
(스타터 수용부의 설명)
도 20은 붕괴 부재 및 밀폐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현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현상제 수용부의 상(上)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화살표 XXI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XXIV - XXIV선 단면도이다.
도 12, 도 13, 도 20, 도 21에서, 스타터 수용부(34)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수용부 본체(71)와, 수용부 본체(71)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 덮개(72)를 가진다. 도 13, 도 22 ~ 도 24에서, 상기 수용부 본체(71)는 현상 용기(36)의 상면을 폐쇄하는 중(中) 덮개부(71a)를 갖고, 수용부 본체(71) 내부에는, 현상제 수용 공간의 일례로서의 스타터 수용 공간(7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현상 용기(36)의 현상롤 수용실(46), 각 교반실(47, 48)과, 스타터 수용 공간(73)은 중 덮개부(71a)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3, 도 21 ~ 도 24에서, 스타터 수용 공간(73)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현상롤(R0y)보다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현상롤(R0y)보다 상방이 좌우 방향의 폭이 넓고, 하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좁아져서, 제 2 교반실(48)의 상방에서 부분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25는 현상제 수용부의 전단의 유입구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3, 도 22 ~ 도 25에서, 중 덮개부(71a)에는,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상부와 현상롤 수용실(46)을 접속하는 제 1 유입구의 일례로서의 상(上) 유입구(74)와,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하단부와 제 2 교반실(48)을 접속하는 제 2 유입구의 일례로서의 하(下) 유입구(7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서, 실시예 1의 상 유입구(74)는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전단은, 현상롤(R0y)의 전단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 유입구(74)의 전단(74a)은 스타터 수용부(34)의 전단벽(34a)까지 도달하지 않고, 상 유입구(74)의 전단(74a)과 전단벽(34a)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하 유입구(76)는 스타터 수용부(34)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모든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3, 도 22 ~ 도 25에서, 스타터 수용부(34)의 내부에는, 구획 부재의 일례로서, 스타터 수용 공간(73)을 구획하는 입벽 형상의 구획 리브(77)가 전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구획 리브(77)는 상단의 높이가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상단의 높이에 대응하고, 또한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상단보다 조금 낮게 설정되어 있고, 상 덮개(72)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 덮개(72)의 하면과 구획 리브(77)의 상단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구획 리브(77)의 상단은 상 유입구(7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6은 현상제 수용부의 전단부의 설명도이고, 도 26의 (a)는 전체도, 도 26의 (b)는 전단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26의 (c)는 접촉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접촉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27의 (a)는 접촉 부재의 분해 설명도, 도 27의 (b)는 요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에서, 실시예 1의 스타터 수용부(34)의 전단벽(34a)의 상부에는, 상 유입구(74)의 좌 경사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붕괴 인출구(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붕괴 인출구(78)에는, 접촉 부재의 일례로서, 적하 시일(drop seal)(79)이 지지되어 있다.
도 26의 (c), 도 27에서, 적하 시일(79)은 박막 형상의 시일 베이스(seal base)(81)를 가진다. 시일 베이스(81)는 도 2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하 시일(79)이 붕괴 인출구(78)에 장착된 상태에서, コ자 형상으로 접힌 상태가 되는 박막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일 베이스(81)의 중앙부에는, 붕괴 안내구의 일례로서의 가이드구(8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시일 베이스(81)는 붕괴 인출구(78)에 장착될 때에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고 또한 외부 표면의 마찰 계수가 낮은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위 PET 수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 도 27에서, 상기 시일 베이스(81)의 내부 표면에는, 가이드구(81a)를 끼운 양측에, 한 쌍의 접촉 부재 본체(8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접촉 부재 본체(82)는 압력 부여부의 일례로서, 시일 베이스(81)에 지지되는 탄성 재료의 일례로서의 우레탄에 의해 구성된 쿠션부(82a)를 가진다. 쿠션부(82a)의 표면에는, 청소부의 일례로서, 포의 일례로서의 펠트(felt)에 의해 구성된 클리너부(82b)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접촉 부재 본체(82)에서는, 한 쌍의 쿠션부(82a) 및 클리너부(82b)의 합계의 두께는 붕괴 인출구(78)의 폭보다 두꺼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적하 시일(79)이 붕괴 인출구(78)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주로 쿠션부(82b)가 탄성 변형하고, 클리너부(82b)끼리가 미리 설정된 접촉압에 의해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리너부(82b)끼리가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면, 적하 시일(79)에 의해 붕괴 인출구(78)가 밀폐되고, 스타터 수용부(34)로부터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밀폐 부재의 설명)
도 20 ~ 도 26에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유닛(UY)에서는, 출하 전의 화상 형성 장치(U)나 출하 전의 교환용의 프로세스 유닛(UY)이 보관될 경우와 같이, 프로세스 유닛(UY)이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프로세스 유닛(UY)에는, 밀폐 부재(86) 및 붕괴 부재(91)가 장착되어 있다. 도 23에서, 실시예 1의 밀폐 부재(86)는 상 유입구(74)를 폐쇄하는 제 1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상 히트 시일(87)과, 하 유입구(76)를 폐쇄하는 제 2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하 히트 시일(88)을 갖고, 각 히트 시일(87, 88)에 의해 밀폐된 스타터 수용 공간(73) 내에, 미리 설정된 토너 농도의 현상제가 수용, 봉입되어 있다. 실시예 1의 각 히트 시일(87, 88)은 각 유입구(74, 76)보다 폭이 넓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박막, 소위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8은 실시예 1의 밀폐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28의 (a)는 밀폐 부재가 분리되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28의 (b)는 밀폐 부재가 분리되는 도중의 상태의 설명도, 도 28의 (c)는 밀폐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8에서, 실시예 1의 각 히트 시일(87, 88)은 중 덮개부(71a) 하면의 각 유입구(74, 76)의 가장자리에 지지된 밀폐부(87a, 88a)와, 밀폐부(87a, 88a)의 후단부로부터 리턴(return)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리턴부(87b,88b)를 가진다. 각 히트 시일(87, 88)의 밀폐부(87a, 88a)는 중 덮개부(71a)의 하면에 박리가능한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첨부되어 있다. 또한, 중 덮개부(71a)로의 지지 방법은 열융착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채용가능하고, 종래 공지의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채용가능하다.
상기 리턴부(87b, 88b)의 전부(前部)는 현상 용기(36)의 현상 용기 시일(37)과 스타터 수용부(34)의 접합 부분의 극간(隙間)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전커버(FC)의 각 시일 통과구(69, 70)를 통해서 프로세스 유닛(UY)의 전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붕괴 부재의 설명)
도 29는 붕괴 부재와 현상제 수용부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29의 (a)는 실시예 1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b)는 실시예 1의 변경예 1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c)는 실시예 1의 변경예 2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d)는 실시예 1의 변경예 3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 도 29의 (e)는 실시예 1의 변경예 4의 고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2 ~ 도 27에서, 상기 붕괴 부재(91)는 스타터 수용 공간(73) 내에 배치된 붕괴부(92)와, 붕괴부(92)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인출부(93)를 가진다. 도 29의 (a)에서, 상기 붕괴부(92)의 후단은, 후단이 스타터 수용부(34)의 후단벽(34b)의 내면의 상단에, 양면 테이프(94)를 통하여 박리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양면 테이프(94)에는, 전면(94a)의 상부에 붕괴부(92)의 후단이 부착되어 있고, 전면(94a)의 하부에는, 박리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수지 필름(9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지 필름(96)은 일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붕괴부(92)가 양면 테이프(94)에 부착된 상태에서 붕괴부(92)와 양면 테이프(94)의 부착을 방지하여, 붕괴부(92)와 양면 테이프(94)가 부착되는 면적, 즉 접촉 면적을, 양면 테이프(94)와 후단벽(34b)의 접촉 면적보다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붕괴 부재(91)의 후단이 박리될 때에, 양면 테이프(94)가 후단벽(34b)으로부터 박리하여, 붕괴 부재(91)와 함께 인출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도 29에서, 붕괴 부재(91)의 후단이 박리될 때에, 양면 테이프(94)가 후단벽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그 외에도, 임의의 방법을 채용가능하고, 도 2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붕괴부(92)의 후단을 접어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거나, 도 2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벽(34b)의 양면 테이프(94)가 부착되는 면을 조면(粗面) 가공해서 양면 테이프(94)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2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94)의 점착제의 점착력의 강도를 변화시키고, 후단벽(34b) 측의 점착력을, 붕괴부(92) 측의 점착력보다 강하게 하여 박리하기 어렵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29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터 수용부(34)와 상 덮개(72) 사이에, 붕괴부(92)의 후단을 끼워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에서, 붕괴부(92)는 부착된 후단으로부터 후단벽(34b)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하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유입구(76) 근방에서, 스타터 수용부(34)의 저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 22,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벽(34b)의 전측의 구획 리브(77)의 일 측면, 즉 후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한 후, 구획 리브(77)의 상단을 타고 넘어서, 하방으로 접히고, 구획 리브(77)의 타측면, 즉 전면을 따라 스타터 수용부(34)의 저부까지 연장된다. 동일하게, 붕괴부(92)는 각 구획 리브(77)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스타터 수용부(34)의 전단부까지 연장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붕괴부(92)의 좌우 방향의 폭은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폭이 좁은 부분을 통과하여 하방의 하 유입구(76) 근방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부분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4, 도 25에서, 실시예 1의 붕괴부(92)의 전부(前部)는 가장 앞에 배치된 구획 리브(77)를 앞으로 넘은 후에, 스타터 수용 공간(73)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 후, 전단벽(34a)에 도달하기 전의 상방 접힘 위치(92a)에서 상방으로 접힌다. 상기 상방 접힘 위치(92a)는 전단벽(34a)과 상 유입구(74)의 전단 사이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접힘 위치(92a)에서 상방으로 접힌 붕괴부(92)는 붕괴 인출구(78)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전방으로 접힌다. 따라서, 붕괴부(92)의 전단부는 전단벽(34a)이나 스타터 수용부(34)의 저부를 따르지 않고, 말하자면 느슨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24, 도 27의 (b)에서, 붕괴부(92)의 전단에 연속해서 형성된 인출부(93)는 붕괴 인출구(78)에 지지된 적하 시일(79)의 가이드구(81a)를 통과하여, 클리너부(82b)끼리의 사이에 끼워져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때, 인출부(93)는 쿠션부(82a)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압력을 받은 상태로 끼워져 있다.
그리고, 도 22, 도 24, 도 26에서, 붕괴 부재(91)는 붕괴 인출구(78)의 전단부에서, 상 히트 시일(87)에 부착되어 접속되어 있고, 제 1 시일 통과구(69)를 통하여 전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 히트 시일(87)과 붕괴 부재(91)는 일체적으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복사기(U)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된 프로세스 유닛(UY ~ UK)은 화상 형성 동작시에, 감광체(PRy ~ PRk)에 커플링(26)을 통하여 회전이 전달되는 동시에, 현상롤(R0y ~ R0k)에 피구동 기어(G1)를 통해서 회전이 전달된다. 이때, 실시예 1에서는, 현상롤(R0y ~ R0k)이 구동될 때에 기어(G1 ~ G8)가 회전하고, 커플링(26)을 통하여 구동이 전달될 경우에 비해, 현상 용기(36)에 큰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진동이 발생하면, 현상 용기(36)가 유닛 지지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동하게 되고, 본체 측 커넥터(13)의 판 스프링 형상의 커넥터 단자(14)에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는 CRUM 어댑터(42)가 본체 측 커넥터(13)에 대하여 진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CRUM 어댑터(42)를 갖지 않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CRUM(41)의 접속 단자(41b)가 본체 측 커넥터(13)에 직접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현상 용기(36)에 진동이 작용하면, 본체 측 커넥터(13)의 커넥터 단자(14)가 CRUM(41)의 접속 단자(41b)를 스크래치(scratch)한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제의 기판(41a)에 대하여 비교적 벗겨지기 쉬운 접속 단자(41b)가 커넥터 단자(14)에 스크래치되어 박리하거나, 박리한 부분에 이물이 부착되어서 산화, 열화하거나 할 수 있고, 경시적으로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CRUM(41)의 구성을 변경하고, 접속 단자(41b)가 벗겨지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CRUM(41)의 부품을, 다른 기종의 화상 형성 장치와 공통화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 단자(14)를 설치하지 않고, 수(雄) 형의 단자와 암(雌) 형의 단자가 끼워맞춰지는 커넥터 구조, 소위, 드로워(drawer) 커넥터형의 커넥터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드로워 커넥터를 채용하면, 단자부가 비교적 대형의 드로워 커넥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해져서, 복사기(U) 전체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CRUM(41)과 본체 측 커넥터(13) 사이에, CRUM 어댑터(42)가 장착되어 있고, CRUM(41)과 CRUM 어댑터(42)가 현상 용기(36)에 대하여 일체적, 즉,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 용기(36)가 진동해도, CRUM(41)과 CRUM 어댑터(42)는 상대적으로 진동하지 않고, CRUM(41)의 접속 단자(41b)와, CRUM 어댑터(42)의 CRUM 접속 단자(43a) 사이에서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 단자(41b)의 박리가 억제되어, 접촉 불량이나, 도통 불량, 신호의 송수신 불량 등이 억제된다.
그리고, CRUM 어댑터(42)의 본체 접속 단자(43b)는 금 도금이 벗겨지기 어려운 인 청동이 사용되고 있어, 현상 용기(36)의 진동이 발생해도 금 도금이 벗겨지기 어려워, 도통 불량이나 인 청동의 산화나 부식 등도 억제된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본체 접속 단자(43b)의 금 도금은 두께가 CRUM(41)의 접속 단자(41b)보다 두껍고, 두께가 두꺼운만큼, 금의 벗겨짐에 대하여 경시적으로 강해져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CRUM(41)과 CRUM 어댑터(42)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CRUM(41)과 CRUM 어댑터(42)의 접촉 압력을, CRUM 어댑터(42)와 커넥터 단자(14) 사이와 같은 착탈되는 부분보다 작게 해도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CRUM 어댑터(42)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 비해, CRUM(41)과 CRUM 어댑터(42) 사이의 접촉력을 불필요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되고, CRUM(41)의 접속 단자(41b)의 박리가 더 저감되어 있다.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감광체(PRy ~ PRk)나 현상롤(R0y ~ R0k) 등의 작동 시간 등의 CRUM(41)에 기억된 정보가 갱신되고,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시기가 되면, 감광체(PRy ~ PRk)나 현상롤(R0y ~ R0k) 등의 회전 부품의 경시적인 열화나 현상기(33) 내의 현상제의 경시적인 열화,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수명이 판별된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가 수명이 다하거나, 부품의 파손이 검지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가 제거되고,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로 교환된다.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에서는, 현상 용기(36)의 현상롤 수용실(46)의 감광체(PRy ~ PRk) 측이 개방되어 있고, 현상제가 현상롤 수용실(46) 등에 수용되어 있으면, 운반중이거나 작업중에 현상제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보관중이거나 운반중인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에서는, 현상제는 히트 시일(87, 88)에 의해 밀폐된 스타터 수용부(34)에 수용해 두는 구성이 널리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장착하기 직전에, 히트 시일(87, 88)을 작업자가 뽑아내고, 현상제를 스타터 수용부(34)로부터 현상롤 수용실(46)이나 교반실(47, 48)에 현상제를 유입시켜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다.
이때, 장기간 보관되거나, 운반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에 진동이 작용하면, 현상제의 자체 중량에 의해 현상제가 눌려 굳어진 상태로 되고, 현상제가 덩어리 형상으로 될 우려가 있다. 붕괴 부재(91)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굳어진 현상제가 현상 용기(36) 내에 유입하고, 충분히 풀어지기 전에 현상에 사용될 우려가 있고, 현상 불량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덩어리가 커지면 각 유입구(74, 76)를 통과하지 않고, 스타터 수용부(34) 내에 남아서 사용되지 않고 낭비가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스타터 수용부(34)에 남은 현상제가 화상 형성 동작 중의 진동에 의해 낙하하여, 현상롤 수용실(46)로 낙하하고, 충분히 풀어지기 전에 현상에 사용될 우려도 있다.
도 30은 실시예 1의 붕괴 부재가 인출되는 과정의 설명도이고, 도 30의 (a)는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30의 (b)는 도 30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 전방으로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30의 (c)는 도 30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 전방으로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4, 도 30에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에서는, 스타터 수용부(34)에는, 붕괴 부재(91)가 수용되어 있고,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저면이나 구획 리브(77)의 전후 양면을 따라 배치된 붕괴 부재(91)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도 30의 (a) ~ 도 3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이나 구획 리브(77)의 전면에 따른 붕괴부(92)가 구획 리브(77)의 상단에 대응할 때까지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고, 스타터 수용 공간(73) 내의 현상제가 붕괴된다. 따라서, 스타터 수용 공간(77) 내에서, 저면이나 구획 리브(77)의 표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붕괴부(92)가 당겨지면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붕괴부(92)가 후단벽(34b)과의 사이에서 당겨진 상태로부터, 더 인출되면, 도 3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붕괴부(92)의 후단이 양면 테이프(94)로부터 떨어져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에서는, 붕괴 부재(91)가 인출되면,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현상제가 붕괴되고, 각 유입구(74, 76)로부터 붕괴된 현상제가 현상 용기(36) 내에 유입한다. 따라서, 붕괴 부재(9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구성에 비해, 덩어리 형상의 현상제가 현상 용기(36)에 공급되거나, 스타터 수용부(34) 내에 잔류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어, 현상 불량이 억제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스타터 수용부(34) 내에 구획 리브(77)가 설치되어서 복수의 방으로 구획되어 있는 동시에, 붕괴 부재(91)가 구획 리브(77)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 붕괴 부재(91)가 인출될 때에, 구획된 각 방에서, 붕괴부(92)가 구획 리브(77)의 상단까지 들어올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붕괴 부재(91)를 뽑아내는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붕괴부(92)도 뽑아내지게 되어, 거의 현상제가 붕괴되지 않는 구성에 비해, 붕괴부(92)가 스타터 수용부(34) 내에서, 인출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워, 현상제가 붕괴되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구획 리브(77)의 높이가 붕괴 인출구(78)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붕괴 인출구(78)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까지 붕괴부(92)가 확실하게 이동하여, 구획 리브(77)의 높이가 붕괴 인출구(78)보다 낮은 경우에 비해, 붕괴 능력이 향상해 있다.
또한, 붕괴부(92)는 붕괴 부재(91)가 뽑아내지는 과정에서, 구획 리브(77)에 의해 분할된 각 방마다 현상제를 붕괴시키고 있어, 구획 리브(77)가 설치되지 않고, 스타터 수용 공간(73) 내의 전체의 현상제를 한번에 붕괴시키려고 할 경우에 비해, 작업자가 붕괴 부재(91)를 인출할 때에 필요한 힘, 부하가 적어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구획 리브(77)의 높이가 상 유입구(74)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상 유입구(74)보다 높은 위치로 붕괴부(92)가 이동하여 현상제를 붕괴시킨다. 따라서, 상 유입구(74)에 붕괴되지 않은 현상제가 유입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현상제의 덩어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하 유입구(76)의 상방에서의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폭이 좁은 위치에서, 현상제가 막히기 쉽게 되어 있지만, 실시예 1의 붕괴 부재(91)는 붕괴부(92)의 폭이,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폭이 좁은 위치를 통과하는 폭으로 되어 있어, 폭이 좁은 위치를 통과하여 하방의 저부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붕괴부(92)가 이동할 경우에, 현상제가 막히기 쉬운 위치를 통과하여 붕괴시키고 있어,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상부에만 붕괴부(92)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 현상제의 막힘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붕괴 부재(91)가 상 히트 시일(87)에 접속되어 있고, 상 히트 시일(87)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붕괴 부재(91)도 일체적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 히트 시일(87)과 붕괴 부재(91)가 별개로 인출되는 구성에 비해, 작업자의 작업 횟수가 저감되어 있다.
이때, 실시예 1의 붕괴 부재(91)에서는, 스타터 수용 공간(73) 내에서, 붕괴부(92)의 전단부가 전단벽(34a)을 따라 하방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후방으로 연장한 후에 상방 접힘부(92a)를 향해서 접히도록 배치되어 있고, 말하자면 느슨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히트 시일(87)을 뽑아낼 때에는, 작업자가 뽑아내는 힘은 뽑아내기의 최초에 가장 커지기 쉽게, 붕괴부(92)의 전단이 느슨하지 않게 현상제를 붕괴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뽑아내기의 개시 시에, 작업자의 뽑아내기에 필요한 힘, 부하가 극단적으로 커질 우려가 있지만, 실시예 1에서는, 붕괴부(92)의 전단이 느슨한 상태로 되어 있어, 뽑아내기의 개시 직후는 현상제를 붕괴시키는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 히트 시일(87)의 박리가 개시될 때에 필요한 힘과, 붕괴 부재(91)가 붕괴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힘이 중첩될 일이 없고, 뽑아내는 힘이 과대해지는 것이 방지, 즉, 조작에 필요한 힘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붕괴 부재(91)의 길이를 길게 해서, 전단벽(34a)을 따라 느슨한 상태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붕괴 부재(91)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동시에, 끈에 가까운 띠 형상의 붕괴부(92)가 얽히기 쉬워질 우려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붕괴부(92)가 적하 시일(79)로부터 상방 접힘 위치(92a)에서 하방으로 접힐 때까지는 하방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스타터 수용 공간(73)의 상방 접힘부(92a)보다 전측 또한 붕괴 인출구(78)보다 하방의 영역에서는, 붕괴부(92)가 통과하지 않고, 현상제가 붕괴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붕괴부(92)의 상방 접힘 위치(92a)가 상 유입구(74)보다 전측에 설정되고, 또한, 붕괴 인출구(78)가 상 유입구(74)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 붕괴되지 않은 현상제는 제 2 교반실(48)에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붕괴되지 않은 현상제가 현상롤 수용실(46)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어, 현상제가 충분히 교반, 풀려있지 않은 상태로 현상에 사용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붕괴부(92)가 인출될 때에, 적하 시일(79)을 통과하면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붕괴부(92)는 현상제가 충전된 스타터 수용 공간(73) 내에 배치되어 있고, 표면에 현상제가 부착되어 있지만, 적하 시일(79)을 통과할 때에, 표면에 접촉하는 클리너부(82b)가 붕괴부(92)를 닦고, 청소한다. 따라서, 붕괴부(92)가 청소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인출된 붕괴 부재(91)에 부착된 현상제가 작업자의 손이나 의복, 복사기(U) 등을 더럽히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각 히트 시일(87, 88)은 스타터 수용 공간(73) 측에만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고, 현상 용기(36) 측에는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아, 오염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인출될 때에, 현상제가 부착해 있는 측의 면이 현상 용기(36) 측의 현상 용기 시일(37)에 의해 닦여서 인출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히트 시일(87, 88)도, 표면이 청소되어서 인출되고 있고, 인출된 히트 시일(87, 88)이 기기 외부를 오염시키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적하 시일(79)에서, 붕괴부(92)에 접촉하는 부분에 포제의 클리너부(82b)를 사용하고 있어, 우레탄 등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청소 성능이 향상하고 있어, 현상제를 더 확실하게 닦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클리너부(82b)는 우레탄제의 쿠션부(82a)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있어,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 비해, 확실하게 청소된다. 가령, 쿠션부(82a)를 설치하지 않고, 포제의 클리너부(82b)만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포제의 클리너부(82b)만일 경우, 우레탄 등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두께의 정밀도가 나오기 어렵고, 붕괴부(92)와의 접촉 압력을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하는 것이 어려워, 쿠션부(8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제의 클리너부(82b)만일 경우, 붕괴부(92)가 쿠션부(82a)의 쿠션없이 현상 용기(36)의 내면이나 시일 베이스(81)에 접촉하게 되어, 붕괴부(92)가 도중에 끊어질 우려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붕괴부(92)의 후단을 지지하는 양면 테이프(94)에 수지 필름(96)이 부착되어 있고, 양면 테이프(94)가 붕괴부(92)와 함께 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령, 양면 테이프(94)가 붕괴부(92)와 함께 후단벽(34b)으로부터 박리되면, 적하 시일(79) 통과시에, 양면 테이프(94)가 통과할 수 없어, 붕괴 부재(91)가 인출될 수 없게 되거나, 적하 시일(79) 통과시에 양면 테이프(94)가 붕괴 부재(91)로부터 벗겨져서, 제 2 교반실(48) 내에 낙하하고, 현상 용기(36) 내에서 이물로서 반송되어, 현상 불량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양면 테이프(94)가 후단벽(34b)에 남기 쉽게 구성되어 있고, 양면 테이프(94)가 후단벽(34b)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울 경우에 비해, 양면 테이프(94)가 이물로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히트 시일(87, 88)이 제거되어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된다. 도 19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될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색 식별키(RC1)가 유닛 지지부(2)의 식별로(9y ~ 9k)에 결합하기 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백래시 규제 돌기(36b)가 유닛 지지부(2)의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에 결합해서, 백래시가 규제된다. 따라서, 색 식별키(RC1)가 식별로(9y ~ 9k)에 결합할 때는,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백래시가 저감된 상태에서 결합한다.
백래시가 저감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색이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잘못해서 장착하려고 했을 경우에, 색 식별키(RC1)가 식별로(9y ~ 9k)에 끼워지지 않고 색 식별 가이드(8y, 8m, 8c, 8k)에 충돌해도,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백래시의 범위에서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 혹은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였을 경우, 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색 식별키(RC1)가 식별로(9y ~ 9k)에 오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색 식별키(RC1)가 식별로(9y ~ 9k)에 결합하기 전에, 백래시가 저감되어 있고, 백래시가 규제되지 않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오장착이 저감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작업자가 조작 측인 전측에, 백래시 규제 돌기(36b) 및 백래시 규제 가이드(11)가 배치되어 있어, 후측에 배치될 경우에 비해, 작업자에 가까운 측에서 백래시의 규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의 구성에서는, 각 프로세스 유닛(UY ~ UK)의 사이가 좁아져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 전체가 소형화되어 있고, 색 식별키(RC1)나 식별로(9y ~ 9k)를 배치하는 공간 자체가 적어져 있다. 따라서, Y, M, C, K에 대하여, 색 식별키(RC1)나 식별로(9y ~ 9k)의 위치의 차가 적게 되어야만 하므로, 백래시가 있을 경우에 오장착이 특히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이 색 식별키(RC1) 등을 배치하는 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운 구성에서는, 충분히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에 비해,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와 백래시 규제 돌기(36b)로 백래시를 규제하고, 오장착을 저감할 필요성이 특히 높아져 있다.
도 31은 프로세스 유닛의 피식별부 및 피규제부와, 유닛 장착부의 식별부 및 규제부의 관계의 개략 설명도이고, 도 31의 (a)는 실시예 1의 구성의 설명도, 도 31의 (b)는 피규제부와 규제부가 실시예 1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또한, 가령, 도 3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래시 규제 돌기(36b)와 색 식별키(RC1)가 반대 측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잘못된 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색 식별키(RC)가 색 식별 가이드(8y ~ 8k)에 간섭했을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회전시키려고 했을 경우, 도 3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래시 규제 돌기(36)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한다. 따라서, 회전 중심으로부터 먼, 즉 반경이 큰 색 식별키(RC1)에서는, 이동량이 커지기 쉽고, 다른 색의 식별로(9y ~ 9k)에 오장착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백래시 규제 돌기(36b), 백래시 규제 가이드(11), 색 식별키(RC1) 및 식별로(9y ~ 9k)가,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가 장착되는 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우측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백래시 규제 돌기(36)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의 접촉부에 대하여, 색 식별키(RC1)의 거리가 짧고, 색 식별키(RC1)의 회전 반경이 작아진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색 식별키(RC1)의 이동량이 적어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이 카트리지 지지부(2)의 입벽(3)에 접촉할 때까지의 이동량이 작아져서, 오장착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도 31의 (a), 도 3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측에 배치하는 실시예 1의 구성에서는, 좌우 방향의 길이도 짧아지고, 전체로서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백래시 규제 돌기(36b)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백래시의 규제가 해제되어 있다. 가령, 백래시 규제 돌기(36b)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경우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위치 결정을 백래시 규제 돌기(36b)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에 의해 행할 필요가 있고, 정밀도가 요구되는 동시에, 커플링(26)이나 기어(G1) 등과 구동계의 위치 관계도 맞출 필요가 있지만, 실시예 1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장착이 완료했을 경우에, 백래시 규제 돌기(36b)와 백래시 규제 가이드(11)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가 커플링(26) 등에 의해 위치 결정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서, 실시예 1에서는, Y, M의 백래시 규제 가이드(11y, 11m)에는, 간섭 리브(12y, 12m)가 설치되어 있고, 백래시 규제 가이드(11)보다 하부에 색 식별키(RC1)가 설치되어 있는 Y색, M색에 대하여, 백래시 규제 가이드(11)보다 상부에 색 식별키(RC1)가 설치되어 있는 C색, K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잘못해서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 삽입을 개시한 최초의 단계에서, 간섭 리브(12y, 12m)가 C색 또는 K색의 색 식별키(RC1)에 간섭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빠른 단계에서, 색이 잘못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 ~ (H015)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복사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린터, FAX, 혹은 이들의 복수 또는 모든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복사기(U)는 4색의 현상제가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나, 5색 이상 또는 3색 이하의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구획 리브(77)의 높이나 형상, 개수에 관해서는,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구획 리브(77)의 높이와 상 유입구(74)나 붕괴 인출구(78)와의 위치 관계도 실시예에 예시한 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예시한 관계와는 다른 위치 관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획 리브(77)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붕괴부(92)를 구획 리브(77)를 따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붕괴부(92)의 모든 부분이 구획 리브(77)를 따르지 않고, 부분적으로 따르고 있거나, 구획 리브(77)의 저부까지 연장하지 않고 도중까지 따르고 있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붕괴 부재(91)는 상 히트 시일(87)과 일체적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하 히트 시일(88)과 일체적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독립하여 인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 히트 시일(87)과 하 히트 시일(88)이 일체적으로 인출가능한 배치로 함으로써, 이들도 일체적으로 인출가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붕괴부(92)의 붕괴 인출구(78) 측의 단(端)은 느슨해진 상태로 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느슨해지지 않고, 전단벽(34a)을 따르게 하거나, 하방으로 접히지 않고 경사지게 접히거나, 가장 앞의 구획 리브(77)까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적하 시일(79)의 구성은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시일 베이스(81)를 생략하거나, 쿠션부(82a)나 클리너부(82b)의 한쪽을 생략하거나, 재료를 다른 재료로 하는 등, 임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교반실(47)과 제 2 교반실(48)이 경사지게 배치된 현상 장치(Gy ~ Gk)를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교반실(47)과 제 2 교반실(48)이 수평 방향 또는 중력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현상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오거의 구성도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CRUM(41)이나 CRUM 어댑터(42)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재료, 단자의 수, 위치 등은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H010) 상기 실시예에서, 농도 센서(SN)의 접속 단자(44)에는, CRUM 어댑터(42)에 대응하는 부재를 설치하지 않았지만, CRUM 어댑터(42)에 대응하는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1) 상기 실시예에서, 색 식별키(RC1)와 식별로(9y ~ 9k)에 의해 색의 식별을 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사 상품 제조, 소위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처를 식별하기 위해서나, 아시아나 북미, 유럽 등의 판매 지역, 혹은 목적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 등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복수의 식별부를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기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식별하는 구성에 적용가능하다.
(H012) 상기 실시예에서, 착탈체의 일례로서, 감광체(PRy ~ PRk)와 현상 장치(Gy ~ Gk)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를 예시했지만,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에 한정되지 않고, 현상제 카트리지(Ky ~ Kk)나, 감광체(PRy ~ PRk)와 현상 장치(Gy ~ Gk)가 별개 유닛 구성에서의 감광체 유닛이나 현상 유닛, 배기 현상제가 회수되는 회수 용기, 정착 유닛 등,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착탈가능한 임의의 착탈체에 적용가능하다.
(H013) 상기 실시예에서, 백래시 규제 돌기(36b), 백래시 규제 가이드(11), 색 식별키(RC1) 및 식별로(9y ~ 9k)가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UY ~ UK)의 우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1의 (b)와 같은 구성으로 하거나, 좌우 양측에 백래시 규제 돌기(36b) 등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4) 상기 실시예에서, 간섭 리브(12y, 12m)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간섭 리브를, Y색, M색에 대해서만 설치했지만, C색, K색에 대하여, 하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간섭 리브의 위치는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의 위치나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H015) 상기 실시예에서, 백래시 규제 돌기(36b), 백래시 규제 가이드(11), 색 식별키(RC1) 및 식별로(9y ~ 9k)는 프로세스 유닛(UY ~ UK) 측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유닛 지지부 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조합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의 관계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34 : 현상제 수용부
34a : 측벽
36 : 현상 용기
46 : 유지체 수용부
47 : 제 1 교반실
48 : 제 2 교반실
74 : 제 1 유입구
74, 76 : 유입구
76 : 제 2 유입구
77 : 구획 부재
78 : 붕괴 인출구
82a : 압력 부여부
82b : 청소부
87, 88 : 밀폐 부재
89 : 접촉 부재
91 : 붕괴 부재
92 : 붕괴부
93 : 인출부
F : 정착 장치
Gy, Gm, Gc, Gk : 현상 장치
PRy, PRm, PRc, PRk : 상 유지체
R0y, R0m, R0c, R0k : 현상제 유지체
ROS : 잠상 형성 장치
S : 매체
T1 + T2 + B : 전사 장치
U : 화상 형성 장치

Claims (10)

  1.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매체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시에, 잠상이 표면에 형성되는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표면에 현상제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수용되는 유지체 수용부를 갖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와,
    상기 현상 용기에 유입구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현상 용기에 유입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구획한 상기 구획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배치된 붕괴부와, 상기 붕괴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형성된 붕괴 인출구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외부로 연장하는 인출부를 갖고, 상기 인출부가 인출될 때에, 상기 붕괴부가 상기 구획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를 붕괴시키는 붕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붕괴 인출구의 높이보다, 상단이 높은 위치에 형성된 상기 구획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저부(底部)로부터 상기 구획부의 상단까지, 상기 구획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배치된 상기 붕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 수용부의 하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교반실과, 상기 제 1 교반실의 측방(側方)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지체 수용부의 반대 측에 배치된 제 2 교반실을 갖는 상기 현상 용기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유지체 수용부를 접속하는 제 1 유입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제 2 교반실을 접속하는 제 2 유입구를 갖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상기 구획부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상기 붕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1 유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고, 또한 상기 현상 용기에 박리(剝離) 가능하게 지지된 밀폐 부재이며, 상기 붕괴 부재의 상기 인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인출부가 인출될 때에 인출되어서 상기 현상 용기로부터 박리되는 상기 밀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붕괴 인출구 측의 단부가 상기 붕괴 인출구로부터 상기 구획부 측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붕괴 인출구와 상기 구획부 사이에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저부 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붕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부가 상기 구획부 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측으로 연장하는 위치에 대하여, 상기 구획부 측에 일단이 배치된 상기 유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인출구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붕괴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인출부 및 상기 붕괴부에 미리 설정된 접촉압(接觸壓)에 의해 접촉해서 청소하는 접촉 부재이며, 상기 붕괴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붕괴 인출구를 밀폐하는 상기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부재에 접촉하는 포제(布製)의 청소부와, 상기 청소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접촉압을 발생시키는 탄성 재료제의 압력 부여부를 갖는 상기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회전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와,
    상기 매체 표면의 가시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62508A 2009-11-20 2010-06-30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64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5522 2009-11-20
JP2009265522A JP5392024B2 (ja) 2009-11-20 2009-11-20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208A KR20110056208A (ko) 2011-05-26
KR101364600B1 true KR101364600B1 (ko) 2014-02-26

Family

ID=4403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08A KR101364600B1 (ko) 2009-11-20 2010-06-30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69736B2 (ko)
JP (1) JP5392024B2 (ko)
KR (1) KR101364600B1 (ko)
CN (1) CN102073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301B2 (ja) * 2009-03-26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61353B2 (ja) * 2011-09-21 2016-0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揺動抑え部材
US9201344B2 (en) 2012-05-20 2015-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ontainer
CN104423208B (zh) * 2013-08-27 2019-09-06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调色剂容器及具有该调色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JP5892983B2 (ja) 2013-08-27 2016-03-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JP6452459B2 (ja) * 2015-01-15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436009B2 (ja) 2015-07-27 2018-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60002B2 (ja) * 2016-02-15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64139B2 (ja) * 2018-02-26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7302239B2 (ja) * 2019-04-01 2023-07-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146010A (ja) 2022-03-29 2023-10-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粉体収容容器、粉体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399A (ja) * 1998-02-27 1999-09-17 Nec Niigata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3202740A (ja) 2001-12-28 2003-07-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収容容器
US20070280725A1 (en) 2006-05-01 2007-12-06 Hiroshi Hosokaw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9071A (ja) * 1984-04-27 1985-11-14 Toshiba Corp 現像剤補給装置
JPH0820805B2 (ja) * 1987-08-24 1996-03-0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03101750A (ja) *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83188A (ja) * 1992-08-31 1994-03-25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用現像装置
JPH0633158U (ja) * 1992-09-24 1994-04-28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現像器
JPH1184807A (ja) * 1997-06-30 1999-03-3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94997B1 (ko) * 2003-11-25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024086B2 (ja) 2007-03-22 2012-09-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可視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991331B2 (en) 2007-03-22 2011-08-02 Fuji Xerox Co., Ltd. Developing unit, visualized image form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399A (ja) * 1998-02-27 1999-09-17 Nec Niigata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3202740A (ja) 2001-12-28 2003-07-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収容容器
US20070280725A1 (en) 2006-05-01 2007-12-06 Hiroshi Hosokaw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3245A (zh) 2011-05-25
CN102073245B (zh) 2014-07-09
JP2011107644A (ja) 2011-06-02
US20110123229A1 (en) 2011-05-26
JP5392024B2 (ja) 2014-01-22
KR20110056208A (ko) 2011-05-26
US8369736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600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43245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5179B2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37476B2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方法
EP14037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oner container replenishing a process cartridge
JP4802872B2 (ja)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594539B2 (en) Outlet recess for a powd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23082A (ja) 現像剤補給容器
US2012009988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34309B1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0973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286862A (ja)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54097B2 (ja) 着脱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97595A (ja) トナー容器及びそれに適した画像形成装置
US8761637B2 (en) Attaching and detaching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114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72416B1 (ko)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393196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JP2008065229A (ja) トナー格納部品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86084B1 (ja) 現像剤搬送部材組み立て方法
JP2011081093A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31849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454098B2 (ja) 画像形成装置
JP5533580B2 (ja) 画像形成装置
JP4140661B1 (ja) 現像剤搬送部材、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