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020B1 -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020B1
KR101355020B1 KR1020120013654A KR20120013654A KR101355020B1 KR 101355020 B1 KR101355020 B1 KR 101355020B1 KR 1020120013654 A KR1020120013654 A KR 1020120013654A KR 20120013654 A KR20120013654 A KR 20120013654A KR 101355020 B1 KR101355020 B1 KR 10135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glass
protective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128A (ko
Inventor
최영수
빙광은
정광수
옥병주
정현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Priority to KR102012001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020B1/ko
Priority to TW102105528A priority patent/TWI586529B/zh
Priority to JP2013024015A priority patent/JP6159098B2/ja
Priority to CN201310123114.0A priority patent/CN103242754B/zh
Publication of KR2013009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층, 점착층, 베이스필름층 및 대전방지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모노머, 코모노머 및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은 디스플레이 기판유리가 파손되더라도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해 주며, 이형층을 제외한 필름의 두께가 15㎛이고, 헤이즈가 5%미만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삽입 및 원활한 검사공정이 가능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Glass scattering preventing film for thin-film display protection}
본 발명은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서 이형층을 제외한 전체 필름의 두께를 15㎛ 미만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삽입이 가능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에 삽입된 기판 유리의 공정 및 운송시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리기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우수한 광선 투과성, 가스 배리어성, 치수 안정성의 측면에서 이점이 있기 때문에, 특히 CRT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디스플레이, 전계방출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된다. 그러나 유리는 파손되기가 쉽고 또한 파손에 의해서 유리가 비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분야에서는 유리 파손이나 파손에 의해서 일어나는 유리비산의 문제에 대하여, 유리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부착하여 방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11455호 ‘유리비산방지필름’에서는 내후성 및 유리비산방지의 효과가 있고, 기재필름의 편면에 폴리에스테르계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장기간 유리판의 표면에 붙인 후 유리판 표면으로부터 벗길 때 유리판 표면에 점착제가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비산방지 필름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에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2000-0011455 (2000년02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얇은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의 표면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가 15㎛ 미만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이즈가 5 % 미만이고, 점착력이 1 ~ 10 N/inch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형층, 점착층, 베이스필름층 및 대전방지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i)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인 모노머 60 ~ 80 중량%, (ii) 초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마이드,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인 코모노머 15 ~ 35 중량%, 및 (iii)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메티롤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무수 말레인산, 및 무수 메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인 관능기 함유 모노머 1 ~ 5 중량%을 포함하는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층을 제외한 전체 필름의 두께를 15㎛ 미만으로 형성하며, 이를 위하여 베이스필름층의 두께가 4 ~ 10 ㎛이고, 점착층의 두께가 3 ~ 10㎛ 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헤이즈가 5% 미만이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헤이즈가 3 ~ 7%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은 이형층(13), 점착층(12), 베이스필름층(10) 및 대전방지층(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서 점착층(12)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 하는 것이 점착력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모노머, 코모노머, 관능기 함유 모노머 및 중합개시제를 중합반응시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에, 가교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여 가교반응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의 모노머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머의 함량은 60 ~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작업성이 향상되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시 빠르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의 코모노머는 초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마이드,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코모노머의 함량은 15 ~ 3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점착층의 점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메티롤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무수 말레인산, 무수 메타콘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함량은 1 ~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기재 밀착 특성이 좋아지고, 점착력 경시의 변화가 적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의 중합개시제의 예로는 2,2-아조비스아이소뷰틸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황산염 등의 아조계, 과황산염, 다이-N-옥타노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아조비스아이소뷰틸로나이트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함량 범위가 0.01 ~ 0.5중량% 일 때 성분들의 용해성이 좋아져 코팅가공성이 좋아지고, 저장 탄성률이 향상되어 점착층의 응집력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을 가교 반응 시키기 위한 가교제는 내열성, 점착력, 밀착력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도포하여 점착층으로 사용할 때 높은 열과 높은 습도에서도 점착력의 변화가 적고,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유리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가교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및 메탈킬레이트 화합물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 무수프탈산, 무수메틸나지크산, 무수피로메리트산, 무수호박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에틸렌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탈킬레이트 화합물로써는 알루미늄, 주석, 철, 티타늄, 니켈 등의 금속성분과 아세토아세트산메틸, 락트산 에틸등의 킬레이트 성분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일 경우 가교가 충분히 되어 점착층의 응집력이 향상된다. 또한 피착제에 점착제의 잔류물이 남지 않기 때문에 불량을 줄일 수 있고, 젖음성이 향상되어 초기 점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로는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벤조페논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광 안정제로는 아민계 및 벤조에이트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점착층의 물성을 해치지 않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사이클로헥산, N-헥산, 톨루엔, 자일렌, 메탄올, 에탄올, 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은 롤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슬롯 다이 코팅법 등에서 선택되는데, 이 중 안정적인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슬롯 다이 코팅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12)의 두께는 박막의 비산 방지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 3 ~ 10 ㎛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4 ~ 7 ㎛인 것이 좋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의 범위일 경우 응집력 확보가 쉽고 원하는 수준의 점착력을 달성하기에 용이하며, 디스플레이 유리기판을 절삭하는 공정에서 비산방지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공정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층은, 유리기판 기준으로 하여 180도 박리할 경우의 점착력은 1 ~ 10 N/inch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7 N/inch 인 것이 좋다. 이는 유리기판의 절삭 공정 중 엣지부분이 박리되는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유리기판에 합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이물질 혼입 등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혹시 이러한 경우가 생겨 재생공정을 거칠 때 점착제의 잔사가 존재하지 않으며, 베이스 필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의 파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서 이형층(13)은 디스플레이 유리 기판에 접합할 때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형필름을 포함하여야 하며, 점착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이형필름은 실리콘 이형 조성물이 도포된 이형필름이면 제한을 두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실리콘 주재, 실리콘 경화제, 촉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주재는 비닐폴리실록산 또는 비닐기를 포함한 헥세닐폴리실록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경화제는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백금 킬레이트와 같이 이 분야에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부가형, 축합형, 자외선 경화형 등 어느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에 특별히 한정하여 사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분자구조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이라도 좋으며, 직쇄와 분지가 함께 있는 구조라도 좋다.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전체 고형분 0.5 ~ 3 중량%가 되도록 용매에 희석한 후 베이스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본 발명의 고형분을 분산시켜 베이스필름에 도포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종류의 제한은 없다.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함량이 상기와 같을 경우 균일하게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어 점착층의 뜯김 현상등이 발생하지 않고, 코팅층의 레벨링이 균일하여 두께 균일도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의 실리콘 이형 조성물이 도포된 이형층의 박리력은 3 ~ 8 gf/inch 이하 (NITTO 31B tape)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SKCHaas의 RF02N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서 베이스필름층(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후 원활한 검사 공정을 위해 투명도가 우수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실리카 증착 필름, 알루미늄 증착 필름 및 폴리염화비닐 필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필름층의 두께는 4 ~ 10 ㎛인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두께가 상기와 같은 범위의 두께일 경우 베이스필름층의 강도가 확보되어 제조공정시 수율 확보가 용이하고, 이형층을 제외한 전체 필름의 두께를 15㎛ 미만으로 제작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헤이즈는 3 ~ 7%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체 필름의 헤이즈를 5% 미만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서 대전방지층(11)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유리 기판에 합지하는 공정 및 절삭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이 혼입되어 차후 공정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점착이 도포된 기재 반대 면에 도포하는 것이 좋다. 상기 대전방지층은 대전 방지 기능을 적절히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코팅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층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층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와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알코올, 증류수 등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층 조성물은 수용성 또는 유기 용제 타입의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기, 우레탄기, 아미드기, 수산기 및 실란기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는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수 및 방오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은 이형층을 제외한 전체 필름의 두께가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슬림화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장치에 내재될 수 있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헤이즈는 5% 미만인 것이 투명도를 확보하기에 바람직하며, 투명도가 확보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재되었을 경우,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은 대전방치층을 포함함에 따라 외부 환경 이물의 흡착을 막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착층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투명도를 확보할 수 있고 기재 밀착 특성이 좋아지며, 내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비산 방지 보호필름의 전제 두께가 이형층을 제외하고 15㎛ 미만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세트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완화시켜 주며, 만약 파손되더라도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헤이즈가 5%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합지한 후에도 검사공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들에서 물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점착력 측정 및 신뢰성 평가 조건
기판용 마더 글래스에 박막 보호필름을 부착한 후,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압착하고 25℃ 및 50% 상대 습도 환경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점착력 측정기(Chem-instruments 社, AR-1000)를 이용하여 박리 속도 300mm/min 및 박리 각도 180°로 박막 보호필름을 박리할 때의 점착력(N/inch)을 측정하고 마더글래스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는지 목시 검사로 확인했다.
또한 신뢰성 평가 후의 점착력을 평가하고자 60℃, 상대습도 90% 조건하에서 500시간 방치 후의 점착력을 측정하여 점착층의 내열, 내습성을 평가하였다.
2) 헤이즈 및 전광성 투과율 측정
박막 비산방지 보호필름의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Hazemeter (니뽄덴쇼쿠제, NDH-5000)에 점착면이 적분구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베이스라인은 air 상태로 하고 헤이즈 및 전광성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아세트산에틸과 톨루엔을 1 : 1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70중량%,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 및 메타크릴산 5중량%를 첨가하고 2,2-아조비스아이소뷰틸로나이트릴 0.2중량%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 온도를 65℃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7시간 반응하여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아세트산에틸과 톨루엔을 1 : 1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중량%,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25 중량% 및 크로톤산 5중량%를 첨가하고 2,2-아조비스아이소뷰틸로나이트릴 0.2중량%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 온도를 65℃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7시간 반응하여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틸렌멜라민 0.5중량부 및 벤조페논 1중량부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고, 실리콘 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이형필름(RF02N, SKCHaas) 면에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점착 코팅층의 두께는 4㎛로 형성되었다. 이어서 두께가 5.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필름(SC42, SKC)을 합지하고, 베이스필름면에 고형분이 3.5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이 포함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용액(Ecoat P-1030, 이켐텍)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지리딘 가교제(CX-100, 마그텍) 3중량부, 증류수 45중량부, 및 메탄올 160중량부가 포함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이를 90℃에서 2분간 건조하여, 이형층을 제외한 필름의 전체 두께가9.6㎛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표면 저항은 107Ω/㎡이였다.
[ 실시예 2 ]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틸렌멜라민 0.5 중량부 및 벤조페논 1중량부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고, 실리콘 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이형필름(RF02N, SKCHaas) 면에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점착 코팅층의 두께는 7㎛로 형성되었다. 이어서 두께가 5.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필름(SC42, SKC)을 합지하고 베이스필름면에 고형분이 3.5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이 포함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용액(Ecoat P-1030, 이켐텍)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지리딘 가교제 (CX-100, 마그텍) 3중량부, 증류수 45중량부, 및 메탄올 160중량부가 포함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이를 90℃에서 2분간 건조하여, 이형층을 제외한 필름의 전체 두께가 12.6㎛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표면 저항은 107Ω/㎡이였다.
[ 실시예 3 ]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틸렌멜라민 0.5 중량부 및 벤조페논 1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고, 실리콘 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이형필름(RF02N, SKCHaas) 면에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점착 코팅층의 두께는 9㎛로 형성되었다. 이어서 두께가 5.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필름(SC42, SKC)을 합지하고 베이스필름면에 고형분이 3.5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이 포함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용액(Ecoat P-1030, 이켐텍)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지리딘 가교제(CX-100, 마그텍) 3중량부, 증류수 45중량부, 및 메탄올 160중량부가 포함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이를 90℃에서 2분간 건조하여, 이형층을 제외한 필름의 전체 두께가 14.6㎛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표면 저항은 107Ω/㎡이였다.
[ 비교예 1 ]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AL, Saiden 화학 주식회사) 0.2 중량부 및 벤조페논 1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고, 실리콘 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이형필름(RF02N, SKCHaas) 면에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점착 코팅층의 두께는 7㎛로 형성되었다. 이어서 두께가 5.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필름(SC42, SKC)을 합지하여, 이형층을 제외한 필름의 전체 두께가 12.6㎛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AL, Saiden 화학 주식회사) 0.2 중량부 및 벤조페논 1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고 실리콘 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이형필름(RF02N, SKCHaas) 면에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점착 코팅층의 두께는 10㎛으로 형성되었다. 이어서 두께가 5.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베이스필름(SC42, SKC)을 합지하고 베이스필름면에 고형분이 3.5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이 포함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용액(Ecoat P-1030, 이켐텍)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지리딘 가교제(CX-100, 마그텍) 3중량부, 증류수 45중량부, 및 메탄올 160중량부가 포함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90℃에서 2분간 건조하여 이형층을 제외한 필름의 전제 두께가 15.6㎛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표면 저항은 107Ω/㎡이였다.
[표 1]
Figure 112012010903044-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으로 인해 제작된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신뢰성 평가 후의 점착력이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높은 전광선 투과율과 낮은 헤이즈로 인해 상기 비산방지 보호필름이 합지된 상태에서도 검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및 3에서는 점착층의 코팅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점착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비교예 1 및 2와 같이 모노머를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모노머로 변경하고 관능기 함유 모노머가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수준의 점착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마더글래스를 절삭하는 공정에서 들뜸 불량이 발생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과 같이 PET 기재의 반대면에 대전 방지 코팅이 되지 않은 경우는 베이스 필름의 표면 조도에 의한 빛의 산란으로 인해 전광성 투과율이 낮고 헤이즈가 높아서 검사 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적용하기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작한 실시예 1 내지 3의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은 광학적인 특성과 점착물성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용도의 마더글래스 보호용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0 : 베이스필름층
11 : 대전방지층
12 : 점착층
13 : 이형층

Claims (9)

  1. 이형층, 점착층, 베이스필름층 및 대전방지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점착력이 1 ~ 10 N/inch이며 두께가 3 ~ 10 ㎛이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i)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인 모노머 60 ~ 80 중량%, (ii) 초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마이드,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인 코모노머 15 ~ 35 중량%, 및 (iii)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메티롤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무수 말레인산, 및 무수 메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인 관능기 함유 모노머 1 ~ 5 중량%를 포함하는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시킨 것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및 메탈 킬레이트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점착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중량부 로 포함되는 것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실리카 증착 필름, 알루미늄 증착 필름 및 폴리염화비닐 필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층은 두께가 4 ~ 10 ㎛이고 헤이즈가 7% 미만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의 박리력이 3 ~ 8 gf/inch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의 헤이즈가 5% 미만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및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유리비산방지 보호필름.
KR1020120013654A 2012-02-10 2012-02-10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KR10135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54A KR101355020B1 (ko) 2012-02-10 2012-02-10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TW102105528A TWI586529B (zh) 2012-02-10 2013-02-08 平板顯示器之玻璃分散防止膜
JP2013024015A JP6159098B2 (ja) 2012-02-10 2013-02-12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ガラス散乱防止フィルム
CN201310123114.0A CN103242754B (zh) 2012-02-10 2013-02-16 用于平板显示器的防止玻璃飞散的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54A KR101355020B1 (ko) 2012-02-10 2012-02-10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28A KR20130092128A (ko) 2013-08-20
KR101355020B1 true KR101355020B1 (ko) 2014-01-27

Family

ID=4892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54A KR101355020B1 (ko) 2012-02-10 2012-02-10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9098B2 (ko)
KR (1) KR101355020B1 (ko)
CN (1) CN103242754B (ko)
TW (1) TWI5865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49A (ko)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에프이엠 스마트폰 커버유리 보호용 색상필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색상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23B1 (ko) * 2014-09-22 2016-08-26 오성엘에스티(주)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US10318026B2 (en) * 2014-12-09 2019-06-1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KR102296195B1 (ko) * 2016-06-30 2021-08-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CN107379706A (zh) * 2017-07-17 2017-11-24 安徽国风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包装用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CN109111738A (zh) * 2018-07-18 2019-01-0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抗静电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7199A (ja) 2003-03-24 2004-10-14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70076200A (ko) *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
WO2009113216A1 (ja) * 2008-03-10 2009-09-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加工用粘着テープ
JP2011001393A (ja) * 2009-06-16 2011-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飛散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817A (ja) * 1998-07-14 2000-01-25 Teijin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AU2002317508A1 (en) * 2001-07-16 2003-03-0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urface protection film
JP2003154616A (ja) * 2001-11-20 2003-05-2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753196B2 (ja) * 2002-08-29 2011-08-24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を用いた光学部材用粘着シート
JP2005066919A (ja) * 2003-08-21 2005-03-1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13555B2 (ja) * 2006-11-09 2012-04-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再剥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この光学フィルムを貼付してな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JP5242077B2 (ja) * 2007-04-27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01357521B (zh) * 2008-09-02 2012-06-13 中国乐凯胶片集团公司 离型膜
JP5600905B2 (ja) * 2009-08-24 2014-10-08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7199A (ja) 2003-03-24 2004-10-14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70076200A (ko) *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
WO2009113216A1 (ja) * 2008-03-10 2009-09-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加工用粘着テープ
JP2011001393A (ja) * 2009-06-16 2011-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飛散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49A (ko)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에프이엠 스마트폰 커버유리 보호용 색상필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색상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9098B2 (ja) 2017-07-05
JP2013176988A (ja) 2013-09-09
TW201336683A (zh) 2013-09-16
TWI586529B (zh) 2017-06-11
CN103242754A (zh) 2013-08-14
CN103242754B (zh) 2016-01-20
KR20130092128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9001B (zh) 重複彎曲裝置用黏著劑、黏著片、重複彎曲積層構件及重複彎曲裝置
US20200407606A1 (en) Optical display comprising an adhesive film
KR101355020B1 (ko)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JP6542261B2 (ja) 粘着剤組成物
KR101793994B1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용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TWI570204B (zh) 黏著劑層和黏著膜
US10488571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150118580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KR101968955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광학 필름용 점착 필름
CN107033814B (zh) 粘着性组合物、粘着剂、粘着片以及显示体
KR20140102602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KR20130096626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080068253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7460315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253990B1 (ko)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
KR20150019247A (ko) 점착제 조성물
CN111621247A (zh) 反复弯曲装置用粘着剂、粘着片、反复弯曲层叠构件及反复弯曲装置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133780B1 (ko)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
CN115066331A (zh) 粘合材料、粘合片和弯曲性层叠部件
CN113025241A (zh) 粘着剂组合物及粘着膜
KR101585512B1 (ko) 전도성층을 포함하는 무 기재 타입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5681A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KR102056591B1 (ko) 점착제 조성물
JP5361760B2 (ja) 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