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223B1 -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223B1
KR101651223B1 KR1020140126135A KR20140126135A KR101651223B1 KR 101651223 B1 KR101651223 B1 KR 101651223B1 KR 1020140126135 A KR1020140126135 A KR 1020140126135A KR 20140126135 A KR20140126135 A KR 20140126135A KR 101651223 B1 KR101651223 B1 KR 10165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weigh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182A (ko
Inventor
이장원
유경우
이종태
차근섭
김유신
Original Assignee
오성엘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엘에스티(주) filed Critical 오성엘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4012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2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2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인쇄성, 내구성 및 점착력이 우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ANTI-SCATTERING ADHESIVE SHEET, TOUCH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SCATTERING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력, 내구성 및 인쇄성이 우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산방지 필름은 강화유리에 표현하기 어려운 인쇄기술을 필름에 적용해 강화유리 특유의 광택, 질감과 높은 표면경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장식 효과와 충격으로부터 유리파편의 비산방지 효과를 겸한 접착필름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확대로 가식 인쇄를 한 비산 방지 필름을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의 커버 유리와 터치패널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로고와 액자, 헤어라인 등 다색 인쇄한 단말기에서 주로 채용되고 있어, 비산방지 필름에 로고 미러, 투명 자외선 잉크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잉크 등으로 베젤 부분을 인쇄하게 된다.
종래의 비산방지 필름은 두께가 두꺼워 인쇄 공정 중에 인쇄 잉크가 변화되거나 팽윤을 일으켜 인쇄성이 떨어지면서 인쇄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고, 내구성이나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점착력,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쇄성이 향상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360호
따라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두께를 제어하여 인쇄성 및 인쇄 부착성을 높여 인쇄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강화 유리 파손시 비산 방지 효과가 우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점착력, 내구성이 우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2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5중량%, 상기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 및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8 내지 40중량%,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5중량% 및 상기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500,000g/mol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대비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7 내지 1.:0.9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30℃이고, 상기 점착층의 유리전이온도가 -65 내지 -35℃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2 내지 10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라울리아크릴레이트, 2-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1,6-헥센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개시제 및 상기 제2 광개시제는 α-히드록시케톤계, 페닐글리옥실레이트계 또는 α-아미노케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교제 및 상기 제2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주석계 가교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석계 가교촉진제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아세틸아세톤 또는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교지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1 내지 20㎛이고, 상기 점착층은 1 내지 20㎛이며,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1:0.8 내지 1:1.2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0.1 내지 3kg/25mm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500 내지 1,500g/25mm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다른 일면에 31 내지 70g/25mm의 박리력을 가지는 중박리 이형필름이 적층되고, 상기 수지층의 다른 일면에는 1 내지 30g/25mm의 박리력을 가지는 경박리 이형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기기는 상술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수지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점착층에 부착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잉크 또는 도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박리력은 500 내지 1,500g/25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개시제 및 제1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된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수지 조성물 제조단계;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2 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개시제 및 제2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된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수지층이 형성된 수지 도막을 제조하는 수지 도막 제조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을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제 도막을 제조하는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 상기 수지층과 상기 점착층이 맞닿는 방향으로 상기 수지 도막 및 상기 점착제 도막을 합지하여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형성하는 합지단계; 및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매 및 제2 용매는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틸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은 5 내지 10,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불휘발분 20 내지 9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점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불휘발분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불휘발분의 중량은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불휘발분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수지 도막 제조단계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한 후,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건조시키고, 50 내지 1,0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한 후,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건조시키고, 50 내지 1,0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합지단계는 상기 수지 도막 및 상기 점착제 도막을 라미네이팅하여 합지할 수 있다.
상기 숙성단계는 3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40 내지 90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는 수지층과 점착층에 함유된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얇은 두께의 점착시트를 구현할 수 있어 인쇄 공정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와 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므로, 종래에 습윤제 또는 분산제의 사용으로 표면 에너지가 낮아 인쇄되는 잉크가 탈락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과 점착층이 모두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져 합지 후 두 층간의 밀착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여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박리되지 않아 장기 점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광 경화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교제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 및 내용제성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지층 상에 인쇄, 에칭 또는 증착의 공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점착제층은 점착성, 밀착력 및 응집력이 우수하여, 평판과 굴곡 부위에 들뜸없이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구비한 터치 기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사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지층(11)및 점착층(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층(11)은 제1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5중량%, 상기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 및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수지층의 인장강도 또는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500,000g/m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4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 내지 3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일 수 있다.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2 내지 10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20,000g/m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연필 경도가 1H 내지 6B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B 미만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부일 수 있다.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단관능기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다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관능기 아크릴게 모노머는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라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2-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다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1,6-헥센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제1 광개시제는 α-히드록시케톤(α-hydroxyketone)계,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또는 α-아미노케톤(α-aminoketone)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1-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옥시-페닐-아세트산(oxy-phenyl-acetic acid),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터(2-[2-oxo-2 phenyl-acetoxy-ethoxy]-ethyl ester), 옥시-페닐-아세틱-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터(oxy-phenyl-acetic-2-[2-hydroxy-ethoxy]-ethyl ester) 또는 2-메틸-1-[4-(메틸티오)메틸]-2-(4-모르폴리닐)-1-프로파논(2-methyl-1-[4-(methylthio)phenyl]-2-(4-morpholinyl)-1-propanone)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개시제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일 수 있다.
제1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또는 금속염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차 가교를 형성하여 내구도 및 내용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가교제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가교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주석계 가교촉진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ulate, DBTDL)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가교지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세틸아세톤(acetylacetone) 또는 에틸아세토아세트(Ethyl acetoace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지연제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0.1 내지 3kg/25mm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점착층(12)은 상기 수지층(11)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제2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8 내지 40중량%,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5중량% 및 상기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500,000g/m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4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대비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7 내지 1.:0.9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와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얇은 박막 형태를 구현할 수 없어 인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65 내지 -3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2 내지 6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라직하게는 2 내지 4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20,000g/m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연필 경도가 4B 내지 6B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B 미만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부일 수 있다.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단관능기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다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관능기 아크릴게 모노머는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라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2-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다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1,6-헥센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제2 광개시제는 α-히드록시케톤(α-hydroxyketone)계,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또는 α-아미노케톤(α-aminoketone)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1-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옥시-페닐-아세트산(oxy-phenyl-acetic acid),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터(2-[2-oxo-2 phenyl-acetoxy-ethoxy]-ethyl ester), 옥시-페닐-아세틱-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터(oxy-phenyl-acetic-2-[2-hydroxy-ethoxy]-ethyl ester) 또는 2-메틸-1-[4-(메틸티오)메틸]-2-(4-모르폴리닐)-1-프로파논(2-methyl-1-[4-(methylthio)phenyl]-2-(4-morpholinyl)-1-propanone)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개시제는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일 수 있다.
제2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또는 금속염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차 가교를 형성하여 내구도 및 내용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가교제는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가교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주석계 가교촉진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ulate, DBTDL)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가교지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세틸아세톤(acetylacetone) 또는 에틸아세토아세트(Ethyl acetoace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지연제는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500 내지 1,500g/25mm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1 내지 20㎛이고, 상기 점착층은 1 내지 20㎛이며,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1:0.8 내지 1:1.2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상술한 고분자량의 아크릴계 중합체로 형성됨으로써 얇은 두께의 시트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층과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비율로 형성됨으로써, 두께 편차로 인한 인쇄 공정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 및 점착층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 양 면에 이형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다른 일면에는 중박리 이형필름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는 경박리 이형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중박리 이형필름은 31 내지 70g/25mm의 박리력을 가질 수 있으며, 경박리 이형필름은 1 내지 30g/25mm의 박리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박리 이형필름과 상기 중박리 이형필름은 25 내지 1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기기는 상술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인쇄층 및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은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수지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잉크 또는 도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박리력은 500 내지 1,500g/25mm일 수 있다.
터치패널은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점착층 상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수지 조성물 제조단계(S11),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S12), 수지 도막 제조단계(S21),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S22), 합지단계(S30) 및 숙성단계(S40)를 포함한다.
수지 조성물 제조단계(S11)는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제1 아크릴계 중합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개시제 및 제1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IBN)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부일 수 있으며,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1:0.5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용매는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틸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용매는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의 구체적인 중합방법은 일괄 중합방법, 적하 중합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괄 중합방법으로 제1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일괄 중합방법은 저온 중합반응 또는 환류 중합반응을 이용하여 중합될 수 있다.
저온 중합반응으로 제1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을 사용하면 50 내지 60℃의 온도로 12 내지 48시간 동안 항온 유지시키고, 개시제로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70 내지 80℃의 온도로 하며 내부 용매가 환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환류 중합반응으로 제1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을 사용하면 55℃ 이상의 온도로 12시간 이하로 용매의 환류를 진행하면서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시제가 벤조일 퍼옥사이드인 경우에는 75℃ 온도 이상으로 12시간 이하로 용매의 환류를 진행하면서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5 내지 10,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얇은 두께로 코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S12)는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2 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개시제 및 제2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부일 수 있으며,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1:0.5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용매는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틸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매는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구체적인 중합방법은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에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5 내지 10,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얇은 두께로 코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불휘발분 2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점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불휘발분 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불휘발분의 중량은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불휘발분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수지 도막 제조단계(S21)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수지층이 형성된 수지 도막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슬롯다이, 콤마, 그라비아, 롤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한 후,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건조시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된 용제를 휘발시킬 수 있다. 이 후, 50 내지 1,0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S22)는 상기 점착 조성물을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제 도막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슬롯다이, 콤마, 그라비아, 롤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한 후,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건조시키고, 50 내지 1,0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할 수 있다.
합지단계(S30)는 상기 수지 도막 제조단계(S21)에서 제조된 수지 도막과 상기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S22)에서 제조된 점착제 도막을 합지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층과 상기 점착층이 맞닿는 방향으로 상기 수지 도막 및 상기 점착제 도막을 합지하여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합지단계(S30)는 상기 수지 도막 및 상기 점착제 도막을 라미네이팅에 함으로써 미경화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얻을 수 있다.
숙성단계(S40)는 상기 합지단계(S30)에서 제조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숙성시켜 경화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단계(S40)는 3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40 내지 90시간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살펴본다.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제1 아크릴계 중합체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1 아크릴레이트를 구성하는 각 성분은 중량%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용매 및 라디칼 개시제는 제1 아크릴레이트를 100중량부로 하여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제조예
1 2 3 4 5
제1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5 20 15 10 5
부틸아크릴레이트 25 20 15 10 5
에틸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1 1 1 1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5 5 5 5 5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 34 44 54 64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100 100 100 100 100
라디칼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25 0.25 0.25 0.25 0.25
벤조일 퍼옥사이드 0.25 0.25 0.25 0.25 0.25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1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기재하였다. 제1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1 내지 5는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것을 말한다.
구성성분 실시예
1 2 3 4 5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조예 1 100
제조예 2 100
제조예 3 100
제조예 4 100
제조예 5 100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지방족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벤질아크릴레이트 15 15 15 15 15
제1 광
개시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1-케톤 0.5 0.5 0.5 0.5 0.5
제1 가교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0.5 0.5 0.5 0.5 0.5
실시예 1 내지 5의 수지 조성물을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수지 도막을 형성한 후, 외관, 인장 강도, 인쇄성, 부착성 및 환경 평가를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외관은 삼파장에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인장 강도는 수지 도막을 25mm로 재단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500g 이상: ◎, 100~500g: ○, 0~100g: △)
인쇄성은 스크린 인쇄 후 수지층의 팽윤, 광택 저하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인쇄 부착성은 닛토(Nitto) 부착 후 2kg 하중으로 압착하여 고속 박리하여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환경 평가는 85℃ 온도, 85% RH 에서 72시간 동안 방치 후 외관, 찢어짐 및 인쇄 부착성을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평가항목 실시예
1 2 3 4 5
외관
인장 강도
인쇄성
부착성
환경 평가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제2 아크릴계 중합체는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2 아크릴레이트를 구성하는 각 성분은 중량%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용매 및 라디칼 개시제는 제2 아크릴레이트를 100중량부로 하여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제조예
6 7 8 9 10 11
제2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4 54 44 34 24 54
부틸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20
에틸아크릴레이트 10 20 30 40 50 20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1 1 1 1 1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5 5 5 5 5 5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라디칼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25 0.25 0.25 0.25 0.25 0.25
벤조일 퍼옥사이드 0.25 0.25 0.25 0.25 0.25 0.25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 조성물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2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기재하였다.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예 6 내지 11은 상기 표 4에 따라 제조된 것을 말한다.
구성성분 실시예
6 7 8 9 10 11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조예 6 100
제조예 7 100
제조예 8 100
제조예 9 100
제조예 10 100
제조예 11 100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지방족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20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에폭시 에톡시
에틸아크릴레이트
15 15 15 15 15 15
제2 광개시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1-케톤 0.5 0.5 0.5 0.5 0.5 0.5
제2 가교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0.5 0.5 0.5 0.5 0.5 0.5
실시예 6 내지 11의 점착 조성물을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점착제 도막을 형성한 후, 외관, 점착력 미치 환경 평가를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외관은 삼파장에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점착력을 측정하여 1,000~1,500g/25mm은 ◎, 750~1,000g/25mm은 ○, 0~750g/25mm은 △으로 표시하였다.
환경 평가는 85℃ 온도, 85% RH 에서 72시간 동안 방치 후 외관, 찢어짐 및 인쇄 부착성을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평가항목 실시예
6 7 8 9 10 11
외관
점착력
(g/25mm)
환경 평가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는 인쇄 단차에 의한 불량률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얇은 박막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수지층의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하여 인쇄, 에칭,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용제성이 우수하여 미러감이 필요한 로고 인쇄용 잉크(예를 들어, 은 잉크)의 미러감 저하가 발생되지 않고, 베젤 부분의 인쇄용 잉크에 포함된 용제에 의하여 수지층의 팽윤에 의한 주름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으며, 에칭, 증착 등의 공정 중 우수한 내구성으로 수지층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성이 증진되고 수율이 크게 상승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량의 수지층 및 점착층을 구현하고, 가교제를 사용하여 2차 가교를 진행함으로써 블로킹 현상없이 잉크 인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여 인쇄 잉크 건조시 수축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점착층의 내열성, 내구성, 점착력,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형상의 터치패널에 들뜸의 발생없이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1: 수지층
12: 점착층 21: 경박리 이형필름
22: 중박리 이형필름 30: 터치패널
40: 로고(logo) 50: 자외선 경화형 투명 잉크
60: 헤어라인(hair line) 70: 베젤

Claims (27)

  1. 수지층;
    상기 수지층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2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500,000g/mol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중합체 대비 상기 제2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7 내지 1.:0.9인 비산 방지용 점착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30℃이고, 상기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65 내지 -35℃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70중량%,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5중량%, 상기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 및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8 내지 40중량%, 상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5중량% 및 상기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2 내지 10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2 내지 6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모노머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모노머는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라울리아크릴레이트, 2-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1,6-헥센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개시제 및 상기 제2 광개시제는 α-히드록시케톤계, 페닐글리옥실레이트계 또는 α-아미노케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교제 및 상기 제2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주석계 가교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계 가교촉진제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아세틸아세톤 또는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교지연제를 더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1 내지 20㎛이고, 상기 점착층은 1 내지 20㎛이며,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점착층은 1:0.8 내지 1:1.2의 두께비를 가지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0.1 내지 3kg/25mm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500 내지 1,500g/25mm의 점착력을 가지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다른 일면에 31 내지 70g/25mm의 박리력을 가지는 중박리 이형필름이 적층되고, 상기 수지층의 다른 일면에는 1 내지 30g/25mm의 박리력을 가지는 경박리 이형필름이 적층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수지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점착층에 부착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잉크 또는 도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박리력은 500 내지 1,500g/25mm인 터치기기.
  20.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개시제 및 제1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된 제1 아크릴계 중합체, 제1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1 아크릴계 모노머, 제1 광개시제 및 제1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수지 조성물 제조단계;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2 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개시제 및 제2 용매를 혼합하여 형성된 제2 아크릴계 중합체, 제2 아크릴계 올리고머, 제2 아크릴계 모노머, 제2 광개시제 및 제2 가교제를 광중합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수지층이 형성된 수지 도막을 제조하는 수지 도막 제조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을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하여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제 도막을 제조하는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
    상기 수지층과 상기 점착층이 맞닿는 방향으로 상기 수지 도막 및 상기 점착제 도막을 합지하여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형성하는 합지단계; 및
    상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를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 및 제2 용매는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틸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은 5 내지 1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불휘발분 20 내지 9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점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불휘발분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불휘발분의 중량은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불휘발분의 중량보다 큰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도막 제조단계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경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한 후,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건조시키고, 50 내지 1,0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도막 제조단계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중박리 이형필름 상에 코팅한 후,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건조시키고, 50 내지 1,000mJ/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단계는 상기 수지 도막 및 상기 점착제 도막을 라미네이팅하여 합지하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3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40 내지 9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방법.
KR1020140126135A 2014-09-22 2014-09-22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KR10165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135A KR101651223B1 (ko) 2014-09-22 2014-09-22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135A KR101651223B1 (ko) 2014-09-22 2014-09-22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182A KR20160035182A (ko) 2016-03-31
KR101651223B1 true KR101651223B1 (ko) 2016-08-26

Family

ID=5565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135A KR101651223B1 (ko) 2014-09-22 2014-09-22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029B1 (ko) * 2016-08-29 2018-11-28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인쇄가능한 비산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7240B2 (en) * 2009-07-22 2014-04-15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of same, resin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display device
KR20120133890A (ko) * 2011-06-01 2012-12-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 접합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리 접합체 및 화상표시장치
KR101355020B1 (ko) * 2012-02-10 2014-01-27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KR101348675B1 (ko) * 2012-05-31 2014-01-08 주식회사 소포스 내구성 및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한 수지접합유리
KR20130141360A (ko) 2013-04-22 2013-12-26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비활성영역을 가리게 되는 베젤인쇄면을 비산방지필름이나 필름에 형성함에 있어 베젤인쇄면에 패턴과 금속광택 느낌을 부여한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182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0315B2 (ja)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カール抑制方法
JP6104706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101548411B1 (ko) 고온에서의 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필름
JP707621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67101A (ko) 하드 코트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TW201512348A (zh) 接著劑組成物、偏光板用接著劑組成物、偏光板用接著劑及利用其構成之偏光板
KR102569065B1 (ko) 무용제형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725390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202215903A (zh) 光硬化性黏著片
KR101498538B1 (ko) 아이콘 시트의 제조 방법, 아이콘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JP2023016900A (ja) t-ブチルシクロヘキシル(メタ)アクリレートを含有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651718B1 (ko)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80036510A (ko) 점접착제 조성물, 점접착제, 점접착 시트 및 표시체
JP6979322B2 (ja) 3層型粘着剤シート
KR20170123894A (ko) 발열체
KR101651223B1 (ko)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KR101665539B1 (ko) 광학투명접착제 제거용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광학투명접착제 제거 방법
JP2015157884A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199663A (ja)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493113B2 (ja) 印刷用シート、剥離層付き印刷用シート、および加飾シート
KR101550756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필름
JP2020147739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382349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4285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JP2020083911A (ja) 積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