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285B1 -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285B1
KR102374285B1 KR1020210150050A KR20210150050A KR102374285B1 KR 102374285 B1 KR102374285 B1 KR 102374285B1 KR 1020210150050 A KR1020210150050 A KR 1020210150050A KR 20210150050 A KR20210150050 A KR 20210150050A KR 102374285 B1 KR102374285 B1 KR 10237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film
adhesive layer
fil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원
김은석
Original Assignee
김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8772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82349B1/ko
Application filed by 김광원 filed Critical 김광원
Priority to KR102021015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Abstract

본 발명은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은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 상기 PET 필름층(130)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UV 활성 점착층(150);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상부에 위치하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170); 및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18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FULL COVER PROTECTIVE FILM FOR 3D COVER GLASS SMARTPHONE}
본 발명은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제조하여 숙성한 후 UV 경화하여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점착층의 침해를 받지 않고 점착력을 보존하여 필름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굴곡이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켜 보호필름의 품질을 개선하며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박막화 및 슬림화 추세로 인하여, 플라스틱 보호창을 대신할 수 있는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하드코팅제는 이동통신 단말기, 평판디스플레이 전면판, 플라스틱의 코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 필름(hard-coating film)은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패널에 표면 보호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하드코팅 필름은 보호 대상이 되는 표면에 하드코팅성을 부여함과 더불어, 지문, 마커 등에 의한 표시에 대해서 내성을 부여하기도 하고, 보호 대상 표면의 오염시에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인 방오성(antifouling)도 부여한다.
최근에 스마트폰의 수요가 점차 증가되면서, 다양한 기능과 외관을 갖는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스마트폰 액정의 외곽영역에 곡면 테두리가 형성되는 형태의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에지부를 갖는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경우, 종래의 일반 보호필름을 부착하게 되면, 곡면에지부에 보호필름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현재의 보호필름은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평면부에 상응하는 크기로 재단되어 부착되는 형태로만 출시되고 있어, 전면 디스플레이부 전체, 즉 곡면에지부까지 완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 형상의 보호필름의 테두리 부위가 곡면부에 상응하는 형태가 되도록 가열, 가압을 통해 포밍을 실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반 합성수지 소재의 보호필름에 포밍을 실시하더라도 포밍된 형상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여 보호필름의 테두리부가 곡면에지부에서 떨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는, 합성수지 소재 필름의 경우에는 포밍시 곡면부가 늘어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고, 기포도 발생되기가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보호필름이 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종래 보호필름에 대한 선행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697049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15879호, 국내등록특허 제10-2179293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1697049호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지지 역할을 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강도를 부여하는 하드코팅층; 상기 기재층의 이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기재층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층; 상기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고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디스플레이의 표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성형되는 몰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이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몰딩층은 상온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아크릴수지를 합성하고, 여기에 자외선 경화반응을 할 수 있는 광반응성 올리고머 및 자외선 경화반응을 개시하는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밴딩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보호필름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1697049호는 가교반응(숙성 반응)을 거치치 않아 점착제 발생으로 후가공(슬리팅,타발)시 점착제가 슬리팅, 타발 커팅면에 묻어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UV(자외선) 조사 후 몰딩층의 광개시제로 인해 점착층의 관능기와 화학적 경화 반응으로 인해 곡면 몰딩만 되고, 점착층이 딱딱하게 굳어지며, 아래 아크릴점착층까지 영향을 주어 점착택(TACK)이 소멸된다. 따라서, 점착력이 소멸 또는 미약하여 피착체에 부착되지 않으며, 특히, 스마트폰용 3D 글라스는 표면에 불소처리가 더욱 강화되어 매우 표면장력이 낮아 부착이 어렵고, 결국, 성형은 가능하나 점착력이 사라져 글라스표면에서 떨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15879호는 PET등의 필름일면에 내오염방지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 PET 등의 필름일면에 400g 미만의 점착력과 30미크론 미만의 자가 점착층이 형성된 기재층; 상기 하드코팅 기재층과 점착 기재층 사이에 반경화 형태 [중량100의 열반응성 올리고마(하이드록실 등)과 중량 10~100의 UV 반응성 올리고마(아크릴레이트 등)과 중량1~5의 광개시제가 복합적으로 첨가, 배합되어진 하이브리드 경화형 레진을 열경화 공정만으로 반경화시킨 50미크론 미만의 연질상태]로 이루어진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경화형 3D형상 UV 진공성형용필름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15879호는 UV(자외선) 경화 후 UV 점착층을 상실하여 하부의 PET 필름과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2179293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바인더탄성층; 상기 바인더탄성층의 상부면에 10 내지 40㎛ 두께로 형성되는 자가복원층; 상기 자가복원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보호필름층;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컬형성층; 및 상기 컬형성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가복원층은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용제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은 50 내지 250㎛의 두께로 형성되며, 자외선 경화형 광학용투명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2179293호는 UV컬층에 코팅공정 생산시 자외선 경화를 먼저 조사하게 되면 전체적인 컬만을 유도할 뿐이지 이미 딱딱해진 필름은 3D 곡면 부착시 곡면 부위의 반발력으로 인해 부착이 되지 않고 필름의 성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굴곡이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하여 보호필름의 품질을 개선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며 디스플레이 곡면 부위에 적용된 후에 들뜸 현상을 억제하여 터치감을 개선할 수 있는 보호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97049호(2017년 01월 10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15876호(2018년 10월 24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2179293호(2020년 11월 10일 등록)
본 발명은 별도의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제조하여 숙성한 후 UV 경화하여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점착층의 침해를 받지 않고 점착력을 보존하여 필름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굴곡이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켜 보호필름의 품질을 개선하며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은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 상기 PET 필름층(130)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UV 활성 점착층(150);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상부에 위치하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170); 및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1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을 엘라스토머층(135)으로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은 별도의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제조하여 숙성한 후 UV 경화하여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점착층의 침해를 받지 않고 점착력을 보존하여 필름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굴곡이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켜 보호필름의 품질을 개선하며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100)은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 상기 PET 필름층(130)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UV 활성 점착층(150);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상부에 위치하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170); 및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180)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필름층(110)은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을 보호하고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이형필름층(110)은 기재필름과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은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상기 이형층은 주로 실리콘 조성물이 사용되는데, 상기 이형필름은 이형력과 함께 잔류 접착률 등의 이형특성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필름층(110)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으로부터의 적절한 이형력(박리력)과 함께, 이형층의 성분이 제1 아크릴 점착층(120)으로 전사되어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잔류 접착률 등이 요구되는데, 상기 이형필름층(11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은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고 아크릴수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아크릴수지(acryl resin)는 피막형성 온도가 낮고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연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내후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수지는 모노머 조성물, 가교성 모노머 및 안정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아크릴수지는 모노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교성 모노머 3 내지 7 중량부 및 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은 알케닐 방향족 모노머(alkenyl aromatic monomer);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4~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트아크릴산(methacrylic acid)의 알킬(alkyl) 에스테르, (헤테로)사이클로알킬((hetero)cycloalkyl) 에스테르 또는 아랄킬(aralkyl) 에스테르; 1~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랄킬기로 N-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및 메트아크릴아마이드(methacrylamid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및 비닐 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수지에 가교 기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아크릴 수지의 부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하이드록시(hydroxy) 기능성 모노머, 아미노(amino) 기능성 모노머, 에폭시(epoxy) 기능성 모노머, 카르보닐(carbonyl) 기능성 모노머 및 메티올(methyol) 기능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기능성 모노머는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및 2-hydroxybut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아미노 기능성 모노머는 N,N-dimethyl 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 aminoethyl acrylate 및 N,tert-butyl amino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 기능성 모노머는 glycidyl methacrylate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카르보닐 기능성 모노머는 diacetone acrylamide 또는 acetoacetoxyrthyl metacryl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틸올 기능성 모노머는 N-methylol 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및 N-n-isobutoxymethyl 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상기 아크릴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안정제는 알릴 알킬 황산염(allyl alkyl sulfonate) 또는 공중합성 황산염 모노머(copolymerizable sulfonate manom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의 두께는 5 내지 50㎛ 범위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인데,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력이 약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에 부착되는 힘이 약하고 쉽게 떨어질 수 있으며, 50㎛를 초과하여 코팅할 경우 점착제 두께가 두꺼워 타발 시 끈적거림, 즉, 찐이 발생하여 타발 나이프에 오염되어 닦아내기 어렵고, 끈적거리는 상태로 타발 후 적층하여 쌓아 놓는 경우 타발된 제품끼리 부착되어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PET 필름층(1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Polyethylene Terephthalate)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PET 필름은 2축 연신필름으로 통상적으로 산업용, 광학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필름으로 두께 9 내지 38㎛ 범위로 광학적 특성이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헤이즈(탁도)가 1.0 내지 2.0% 이하인 필름을 적용하여야 한다.
상기 PET 필름층(130)의 두께가 9㎛ 미만인 경우에는 너무 얇아 점착 공정시 기계장력에 의한 주름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3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완제품 제작 후 디스플레이에 부착시 필름이 하드하여 자외선 램프로 경화하기 전 반발력이 발생하여 엣지 곡면 부위에서 들뜸이 발생하고, 시공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T 필름층(130)의 광학적 특성이 전광선 투과율 90% 미만, 헤이즈(탁도) 2% 초과일 경우 광학적 투명성이 저해되어 어둡고, 뿌옇게 보여 디스플레이로서 가치를 손상하게 된다.
상기 PET 필름층(130) 상부의 제2 아크릴 점착층(140)의 구성은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제1 아크릴 점착층(120)의 구성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은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형성되고 열경화성 점착바인더와 UV 활성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열경화성 점착바인더는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터, 셀롤로스계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바인더로 사용할 수 있고,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금속알킬레이트계 및 아질리딘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제의 사용량은 열경화성 점착바인더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UV 활성바인더는 자외선 반응 올리고머, 모노머,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있는데, 자외선 반응 올리고머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올리고머의 관능기는 3 내지 18 관능기의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모노머는 HDDA, TPGDA, PMPTA, DPHA 등 관능기 2 내지 6 관능 모노머를 사용한다. 광개시제는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4,6-트라이메틸벤조일 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6-다이메틸벤조일 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벤조일 디에톡시포스 핀 옥사이드, 벤조인 알킬 에테르(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일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n-부틸벤조인 에테르 등),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 아세토페논, 티오잔톤, 캄포르퀴논, 3-케토쿠마린, 아세나프텐, 4,4'-디메톡시벤질, 벤질 디메틸케탈,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및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활성바인더는 상기 자외선 반응 올리고머 30 내지 60 중량부, 모노머 40 내지 70 중량부 및 광반응 개시제 0.00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열경화성 점착바인더 30 내지 60 중량부, UV 활성바인더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UV 활성 점착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UV 활성 점착조성물을 하드코팅된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의 다른 한면에 30 내지 50㎛ 두께로 도포한 후 130℃ 내지 150℃에서 3분 내지 6분 동안 열풍 건조하여 열경화시켜 UV 활성 점착층(15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의 코팅방법은 딥코팅(Dip coating),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Gravure Coating) 중에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은 강도가 우수하고 아울러 광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으로 투명성이 우수한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투과율은 700nm에서 분광계로 측정하였을 때, 공기층의 투과율을 100%로 했을 경우, 8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하드코팅을 수행한 보호필름의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빛의 중첩 또는 간섭현상이 여전히 발생하여, 색상을 왜곡시키는 레인보우(Rainbow)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이러한 레인보우 현상은 콘트라스의 향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가 블랙화되어감에 따라 더욱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레인보우 프리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내지 95%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170)은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여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데, 상기 하드코팅층(170)은 외부 마찰이나 자극에 의한 스크래치, 찍힘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170)은 표면 경도 및 내구성이 높은 하드코팅액을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등으로 된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코팅층(170)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단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의 유기합성물질에 광경화제, 유기용매 및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바인더를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의 표면에 도포한 후, UV 조사 및 열풍건조 처리하여 상기 바인더를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드코팅층(170)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5 내지 75 중량%, 및 단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 25 내지 45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유기합성물질에, 상기 유기합성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경화제 1 내지 5 중량부, 유기용매 300 내지 700 중량부 및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바인더를 형성하고, 상기 바인더를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의 표면에 코팅한 후 120℃/3분으로 열풍건조 및 200 내지 600mJ/cm2 광량의 UV 조사 처리하여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를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의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은 딥코팅(Dip coating),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Gravure Coating) 중에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자외선 경화성이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3,000 내지 30,000인 화합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다이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에 바인더를 코팅할 때 코팅막의 강도를 높여주고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어 주는 희석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XA),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E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HDDA)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 전체 함량중에서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25 중량%,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5 중량%,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25 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35 중량%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표면에 코팅한 후 자외선(UV)을 이용하여 광경화할 때,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유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반응을 개시하여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에 도포된 바인더를 중합 경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는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광경화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 cyclr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등의 하이드록시케톤계열,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포리닐)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yl)phenyl]-1-butanone, Irgacure 369),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α-Amino Acetophenone, Irgacure 907) 등의 아미노케톤 계열,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Irgacure-651) 등의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페닐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 (phenyl bis(2,4,6-trimethyl benzoyl), Irgacure 819) 등의 비스-아실 포스파인(bis-acyl phosphine) 계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PO) 등의 모노-아실 포스파인(mono-acyl phosphine) 계열의 광경화제를 단독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에 코팅을 할 때 점도와 유동성을 조절하여 작업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테르계 용매, 방향족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층(180)은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드코팅층(170) 및 본 발명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100, 200)은 소비자 또는 시공자가 디스플레이 면에 시공 전까지 외부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보호필름층(180)은 PET필름 한 단면에 점착력이 1~5gf/in인 아크릴 저점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보호필름 또는 PET필름 한 단면에 점착력이 1~5gf/in인 실리콘 점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보호필름 또는 자기점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자기점착성을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층(180)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제조 단계(S100), 숙성 단계(S200) 및 풀커버 보호필름 제조 단계(S300)를 포함한다.
1.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제조 단계(S100)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제조 단계(S100)는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보호필름(10)과 제2 보호필름(20)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제조 단계(S100)에서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 상기 PET 필름층(130)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UV 활성 점착층(150);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상부에 위치하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170); 및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1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호필름(10)에서 동일 부호의 구성은 상술한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호필름(10)에서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하부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층(128)은 상기 이형필름층(128) 상부에 위치하는 UV 활성 점착층(130)을 보호하고 상기 UV 활성 점착층(130)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이형필름층(128)은 기재필름과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은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상기 이형층은 주로 실리콘 조성물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으로는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이형필름은 이형력과 함께 잔류 접착률 등의 이형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제2 보호필름(20)은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및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상기 PET 필름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상기 제2아크릴 점착층 상부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및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층(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보호필름(20)에서 동일 부호의 구성은 상술한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100)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보호필름(20)에서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층(122)은 상기 이형필름층(122) 하부에도 위치하는데 제1 아크릴 점착층(120)과 제2 아크릴 점착층(140)을 보호하고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이형필름층(122)은 기재필름과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은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상기 이형층은 주로 실리콘 조성물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으로는 경박리 투명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이형필름은 이형력과 함께 잔류 접착률 등의 이형특성이 요구된다.
2. 숙성 단계(S200)
상기 숙성 단계(S200)는 상기 제조된 제1 보호필름(10)과 제2 보호필름(20)을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 단계(S200)는 상기 제조된 제1 보호필름(10)과 제2 보호필름(20)을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함으로써 상기 제1 보호필름(10)과 제2 보호필름(20)을 구성하는 층들의 물성을 안정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숙성 단계(S200)는 상기 제조된 제1 보호필름(10)과 제2 보호필름(20)을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20 내지 80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숙성온도는 40℃ 이하에서는 가교 반응이 늦거나 더디고 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공정의 효율을 저해할 뿐 아니라 가교반응이 불충분하여 디스플레이 시공시 자외선 경화 후 점착력이 상실되어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60℃ 이상의 온도에서는 숙성온도가 높아 대량 생산 시 권취 상태에서 공정 중 반제품이 열로 인한 눌림자국 발생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어 외관적 불량을 초래한다.
3. 풀커버 보호필름 제조 단계(S300)
상기 풀커버 보호필름 제조 단계(S300)는 상기 숙성된 제1 보호필름(10) 및 제2 보호필름(20)을 합지하여 풀커버 보호필름(10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풀커버 보호필름 제조 단계(S300)에서는 상기 숙성된 제1 보호필름(10)에서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하부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층(128)을 제거하고, 상기 숙성된 제2 보호필름(20)에서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층(122)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보호필름(10)의 UV 활성 점착층(150)과 상기 제2 보호필름(20)의 제2 아크릴 점착층(140)이 결합되도록 합지함으로써 풀커버 보호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숙성된 제1 보호필름(10) 및 제2 보호필름(20)의 합지는 상기 숙성된 제1 보호필름(10)의 UV 활성 점착층(150)과 상기 숙성된 제2 보호필름(20)의 제2 아크릴 점착층(140)을 적층한 후 4 내지 8와트(W)의 UV LED 램프로 1 내지 5분 동안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숙성 단계(S200)를 거친 UV 활성 점착층(150)은 UV를 조사함으로써 딱딱하게 경화되어 성형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점착력을 상실하게 되지만,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은 숙성 단계(S200)를 통한 3차원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UV 활성 점착층(150)의 침해를 받지 않고 점착력이 보존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표면으로부터 상기 풀커버 보호필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굴곡이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켜 보호필름의 품질을 개선하며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200)은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엘라스토머층(135); 상기 엘라스토머층(135)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기 제2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UV활성 점착층(150); 상기 UV활성 점착층(150) 상부에 위치하는 레인보우프리 PET 필름층(160); 상기 레인보우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170); 및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18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200)은 일 실시예에 형성된 PET 필름층(130)의 구성이 엘라스토머층(135)으로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엘라스토머층(135)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자외선 비반응성 수지 30 내지 90 중량부, 광개시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쇼어(shore a)경도 45A 내지 100A, 인장강도 5MPa 내지 40MPa, 연신율 100 내지 700%를 만족하며, Young’modulus(MPa) 10MPa 내지 200MPa을 만족하며, Tg (유리 전이 온도) ASTM D 3418 +10~-40℃를 만족하며, 두께가 5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이며, 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인 투명코팅층; 및 표면 보호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첫번째 공정으로 레인보우프리 PET 필름 상단면에 두께 2㎛로 하드코팅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하드코팅층 상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였다.
다음으로, 두번째 공정으로 상기 레인보우프리 25㎛ PET 필름 하부에 UV 활성 점착제를 40㎛ 두께로 도포하여 UV 활성 점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UV 활성 점착층 하부에 두께 38㎛의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제1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별도의 공정으로 두께 75㎛ 화이트 실리콘 이형필름에 전사코팅 방법으로 제1 아크릴 점착제를 15㎛ 두께로 도포하고 12㎛ 내지 25㎛ PET필름의 한단면과 합지하고, 제1 아크릴 점착층을 형성한 후, 38㎛ 두께의 투명 PET 이형필름을 에 전사코팅 방법으로 제2 아크릴 점착제를 5~15㎛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12㎛ 내지 25㎛ PET필름의 반대면에 합지하여 제2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과 제2 보호필름을 5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보호필름에 형성된 두께 38㎛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보호필름에 형성된 38㎛ 두께의 경박리 투명 PET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보호필름의 UV 활성 점착층과 제2 보호필름의 제2 아크릴 점착층을 적층하여, 상기 제1 보호필름과 제2 보호필름이 합지된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에서 두께 75㎛ 화이트 실리콘 이형필름을 분리하여 제거한 후 3D 엣지 글라스에 전면에 기포없이 부착하고, 보호필름층(180)을 제거하여 6와트(W) UV LED 램프로 2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완성하였다.
< 비교예 1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완성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5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1 보호필름과 제2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완성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숙성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1 보호필름과, 5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과정을 거친 제2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완성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5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과정을 거친 제1 보호필름과, 숙성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2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점착력 및 보호필름 외관 상태 관찰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의 점착력과 보호필름 외관 상태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UV 조사 후 결과 점착력 유지 점착층 TACK 소멸 점착층 TACK 소멸 점착층 TACK 소멸
외관 상태
(골주름 발생 여부)
골주름 없음 골주름 없음 골주름 없음 골주름 없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UV 활성 점착층과 아크릴 점착층 모두 숙성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3D 글라스에 부착하여 자외선 조사 후 점착력이 사라지거나 소멸되어 보호필름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따라서, 제1 보호필름과 제2 보호필름 모두 숙성 과정을 거친 실시예에서는 완벽하게 아크릴 점착제의 가교 구조가 형성된 후 자외선 조사 시 아크릴 고유의 점착력을 유지하여 보호필름의 고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UV 활성 점착층(자외선 후 경화시 성형기능)과 아크릴 점착층의 관능기가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3차원 가교구조로 입체적인 탄탄한 그물망의 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UV 활성 반응기가 점착제에 침투하여 점착력이 소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UV 활성 점착층은 자외선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 올리고머 및 모노머 그리고 광개시제를 제외한 숙성과정을 통해 나머지 열가교 반응을 미리시키고, 별도로 점착층 또한 관능기와 경화제가 숙성과정을 통해 3차원 가교 구조가 되도록 하면 UV 활성 점착층에 의해 점착층이 영향을 받아 점착력이 소멸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UV 활성 점착층은 후 자외선 조사 시 3D 굴곡면의 딱딱한 성형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아크릴 점착층은 점착력을 보존하여 점착층의 고유의 기능인 피착체에 부착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소비자가 보호필름을 사용 후 제거시까지 보호필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제1 보호필름 20; 제2 보호필름
100, 200;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110, 122, 128; 이형필름층 120; 제1 아크릴 점착층
130; PET 필름층 135; 엘라스토머층
140; 제2 아크릴 점착층 150; UV 활성 점착층
160;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 170; 하드코팅층
180; 보호필름층

Claims (2)

  1. 이형필름층(110);
    상기 이형필름층(1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
    상기 PET 필름층(130)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기 제2 아크릴 점착층(140) 상부에 위치하는 UV 활성 점착층(150);
    상기 UV 활성 점착층(150) 상부에 위치하는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기 레인보우 프리 PET 필름층(160) 상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170); 및
    상기 하드코팅층(170)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점착층(120) 상부에 위치하는 PET 필름층(130)을 엘라스토머층(135)으로 대체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KR1020210150050A 2021-07-05 2021-11-03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KR10237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050A KR102374285B1 (ko) 2021-07-05 2021-11-03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26A KR102382349B1 (ko) 2021-05-17 2021-07-05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0150050A KR102374285B1 (ko) 2021-07-05 2021-11-03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726A Division KR102382349B1 (ko) 2021-05-17 2021-07-05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285B1 true KR102374285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050A KR102374285B1 (ko) 2021-07-05 2021-11-03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2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49B1 (ko) 2016-07-14 2017-01-16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자가 밴딩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보호필름
KR20180115876A (ko) 2017-04-14 2018-10-24 이찬희 하이브리드 경화형 필름의 제조방법 및 삼차원 형상 자외선 진공 성형방법
KR20180116710A (ko) * 2017-04-17 2018-10-25 이찬희 2중 광경화 반응 가변성 점착제 성형층을 구비한 보호필름 제조방법 및 곡면형상 진공 자외선 성형 및 부착방법
KR20180138474A (ko) * 2017-06-21 2018-12-31 율촌화학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KR102179293B1 (ko) 2018-12-31 2020-11-18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49B1 (ko) 2016-07-14 2017-01-16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자가 밴딩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보호필름
KR20180115876A (ko) 2017-04-14 2018-10-24 이찬희 하이브리드 경화형 필름의 제조방법 및 삼차원 형상 자외선 진공 성형방법
KR20180116710A (ko) * 2017-04-17 2018-10-25 이찬희 2중 광경화 반응 가변성 점착제 성형층을 구비한 보호필름 제조방법 및 곡면형상 진공 자외선 성형 및 부착방법
KR20180138474A (ko) * 2017-06-21 2018-12-31 율촌화학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KR102179293B1 (ko) 2018-12-31 2020-11-18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7383B2 (ja) (メタ)アクリルアミド系ウレタンオリゴマー及びそ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5470957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145582B1 (ko) 보호 점착 필름, 스크린 패널, 및 휴대 전자 단말기
TWI580753B (zh) 照射可固化壓敏性黏著片
CN107502211B (zh) 透明双面粘接片、用于构成图像显示装置的叠层体、该叠层体的制造方法及图像显示装置
KR100864349B1 (ko) 필름 보호층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및 광학 시트
JP6201330B2 (ja) 透明両面接着性シート
KR101488274B1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적층체
KR20140010882A (ko) 하드 코트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JP5737573B2 (ja) 離型フィルム及び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03152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945000B2 (ja) 再剥離性を備えた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再剥離方法
JP725390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508224B2 (en) Easily peelable adhesive tape, articl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rticle
JP2014152294A (ja) 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積層体を用いてなる画像表示装置
JP2010260905A (ja) 光硬化性組成物
KR101391241B1 (ko) 광학용 투명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0055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498538B1 (ko) 아이콘 시트의 제조 방법, 아이콘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KR101651718B1 (ko)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60080549A (ko)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필름
KR102374285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JP6596941B2 (ja) 加工用フィルム、加工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382349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