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131B1 - 시트 버퍼 장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버퍼 장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131B1
KR101350131B1 KR1020110043578A KR20110043578A KR101350131B1 KR 101350131 B1 KR101350131 B1 KR 101350131B1 KR 1020110043578 A KR1020110043578 A KR 1020110043578A KR 20110043578 A KR20110043578 A KR 20110043578A KR 101350131 B1 KR101350131 B1 KR 10135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ffer
pos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069A (ko
Inventor
도시유끼 미야께
미쯔히꼬 사또
다까시 요꼬야
유따까 안도
히데노리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0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 B65H29/51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piling by collecting on the periphery of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에 반송되는 시트를 체류시키는 시트 버퍼 장치로서, 상기 후처리 유닛에 반송되는 시트를 체류시키고 체류 대상인 상기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시켜 버퍼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과;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이 체류 대상인 시트에 후속하는 시트를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라고 판정하면, 상기 버퍼 유닛을 제어하여 체류 대상인 상기 시트의 체류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버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 버퍼 장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BUFFER APPARATUS, POST-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된 시트에 후처리를 행하고 있는 사이에 후속 시트를 체류시키는 버퍼 기능을 갖는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에 후처리 장치[피니셔(finisher)]를 접속하여, 스테이플 처리(stapling)나 펀치 처리(punching)와 같은 후처리를 실시하는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취한 시트를, 적재 트레이의 상류에 배치된 중간 트레이(이하, 처리 트레이로 지칭됨)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책자를 형성하는 모든 시트의 적재가 완료된 후, 상기 처리 트레이 상에서 스테이플 처리 등의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처리 트레이 상에서 후처리된 시트 번들(sheet bundle)은 처리 트레이로부터 적재 트레이로 배출된다.
또한, 처리 트레이 상에서 선행의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예를 들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고 있는 사이에, 후속 시트가 후처리 중의 시트 번들에 충돌하지 않도록, 처리 트레이의 상류측에서 후속 시트를 몇 장 중첩하는(이하, 버퍼링으로 지칭됨) 장치가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9-485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9-48545호 공보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후처리 실행시의 화상 형성의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평 9-48545호 공보에서는, 후처리를 행하는 처리 트레이의 상류에 배치된 감기 롤러(take-up roller)에 시트를 둘러 감아서, 상기 롤러를 정지시켜 대기시킨다. 후속 시트가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롤러를 다시 구동시킴으로써, 감겨진 시트와 후속 시트의 중첩을 행한다. 후속 시트 번들로서 제공되는 시트를 소정의 매수 중첩시켜, 처리 트레이에서의 선행하는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의 실행 중에, 후속 시트 번들이 처리 트레이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트의 반송 간격을 넓히지 않고 시트 번들의 후처리가 가능하게 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특정 소재에 대하여, 버퍼링 동작을 금지하고 버퍼링 동작에 있어서 시트를 중첩하는 매수를 제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6,672,586 호 공보). 미국 특허 제6,672,586 호 공보에서는, 인덱스지나 두꺼운 종이, 얇은 종이와 같은 특수한 시트의 버퍼링 동작을 금지하거나 제한함으로써, 특수 시트를 억지로 버퍼링해서 시트에 흠집이나 주름이 발생하거나, 잼(jam)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종래의 후처리 장치는 버퍼링 취소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버퍼링이 가능한 시트 이후에, 미국 특허 제6,672,586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버퍼링 금지 시트(buffering-inhibited sheet)가 반송될 경우, 일단 처리 트레이에서 선행한 시트 번들의 후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시킨 후, 버퍼링한 시트를 처리 트레이로 배지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버퍼링 금지 시트를, 버퍼링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선행 시트와의 시트 간격을 넓혀서 후처리 장치로 배출한다. 그 후, 후처리 장치는 버퍼링이 금지된 후속 시트를 버퍼링하지 않고 처리 트레이로 배지한다.
버퍼링 구성으로서, 미국 특허 제6,672,586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감기에 의해 버퍼링을 행하는 구성 이외에, 반송로에 있어서 스위치백(switch-back)에 의해 버퍼링을 행하는 구성이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 스위치백에서는, 시트 후단부가 반송로와 버퍼링을 행하는 반송로 사이의 분기점을 통과한 후, 시트를 역방향으로 반송시켜, 경로 분기 플래퍼(path branch flapper) 등에 의해, 버퍼링을 행하는 반송로쪽으로 유도하고, 다음 시트가 도달할 때까지 대기시킨다. 이러한 2개의 예시적인 구성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버퍼링을 위해서 시트를 소정의 거리만큼 반송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버퍼링 자체에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선행의 시트 번들의 후처리 시간과 상류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생산성에 따라서는, 버퍼링을 행하지 않고 시트를 1매씩 반송하고, 미리 처리 트레이에서의 시트 번들 처리 시의 처리 시간에 대응하는 시트 간격을 두고 후속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배출하도록 제어한 경우가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최근, POD 시장에서는, 전표 인쇄, 트랜잭션(transaction) 인쇄 등에서, 이러한 하나의 번들 내에, 여러 타입의 시트를 혼합시킨 인쇄 작업이 빈번히 실행되고 있다. POD 시장에서는 높은 생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된 업무를 행할 때에, 종래의 후처리 장치가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에 있어서, 버퍼링 처리가 취소됨으로써, 후처리 장치로 인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에 반송되는 시트를 체류시키는 시트 버퍼 장치로서, 상기 후처리 유닛에 반송되는 시트를 체류시키고 체류 대상인 상기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시켜 버퍼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과;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이 체류 대상인 시트에 후속하는 시트를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라고 판정하면, 상기 버퍼 유닛을 제어하여 체류 대상인 상기 시트의 체류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버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복수의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시트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된 시트 반송 유닛과; 상기 시트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유닛과; 상기 시트 적재 유닛에 의해 적재된 상기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번들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과; 상기 시트 적재 유닛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 중에 다음 시트 번들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까지 1매 이상의 시트를 체류시키고, 체류된 1매 이상의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과;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시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상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 중 N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와 (N+1)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N매째 시트를 체류시킬지의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시트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된 시트 반송 유닛과, 상기 시트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유닛과, 상기 시트 적재 유닛에 의해 적재된 시트 번들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시트를 수취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적재 유닛까지 연장되는 시트의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후처리 유닛에 의한 상기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 중에 다음 시트 번들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까지 1매 이상의 시트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고, 체류된 상기 1매 이상의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버퍼 처리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각각의 시트에 관한 시트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후처리 장치의 제어 유닛이, 상기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시트의 체류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 중 N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와 (N+1)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N매째 시트를 체류시킬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선행의 시트 번들에 대하여, 시트를 버퍼링할 지 안 할지를 설정하는 경우에, 후처리 중의 시트 번들의 후속 시트의 버퍼링이 가능할 지 가능하지 않을 지 뿐만 아니라, 제2 후속 시트에 관해서도 버퍼링이 가능할 지 가능하지 않을 지를 판단해서 버퍼링의 설정을 행한다. 버퍼링 처리의 취소의 발생을 없애고, 여러가지 시트가 혼재되는 작업에 있어서의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시스템의 제어기 전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조작 표시 디바이스의 설명도.
도 4는 피니셔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피니셔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비 소팅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소팅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 도 8d는 2매째 이후의 소팅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스테이플/소팅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스테이플 모드 설정의 설명도.
도 11은 CPU(952)에 의한 버퍼 제어 동작의 흐름도.
도 12는 CPU(901)에 의한 시트 간격 제어의 흐름도.
도 13a 및 도 13b는 통신 데이터를 설명하는 표.
도 14는 CPU(952)가 시트 정보 통지를 수신할 때의 흐름도.
도 15는 후처리 시간 취득 테이블 T1을 설명하는 표.
도 16은 CPU(952)가 버퍼 모드를 결정할 때의 흐름도.
도 17은 버퍼 시트 카운터 취득 테이블 T2를 설명하는 표.
도 18은 CPU(952)가 버퍼 모드를 결정할 때의 흐름도.
도 19는 CPU(952)가 버퍼 가부를 판정할 때의 흐름도.
도 20은 버퍼 제어시의 시트 간격의 설명도.
< 제1 실시 형태 >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전체 구성 및 기본 동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는 화상 형성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와, 후처리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피니셔(500)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는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리더(200) 및 프린터(300)를 구비한다. 피니셔(5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보내진 원고를 수취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화상 리더(200)에는 원고 급송 장치(100)가 탑재되어 있다. 원고 급송 장치(100)는, 원고 트레이 상에 상향으로 세팅된 원고 시트를 제1 페이지로부터 순서대로 1매씩 급지한다. 원고 급송 장치(100)는, 만곡된 경로를 통해서 플래튼 유리(102) 상의 급송 판독 위치(feed reading position)를 거쳐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원고 시트를 반송한다. 그 후, 원고 급송 장치(100)는 외부의 배지 트레이(112)를 향해서 원고 시트를 배출한다.
원고 시트가 플래튼 유리(102) 상의 급송 판독 위치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통과할 때에, 이 원고 화상은 급송 판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된 스캐너 유닛(104)에 의해 판독된다. 이 판독 방법은, 일반적으로, 원고 급송 판독으로 지칭된다. 구체적으로는, 원고 시트가 급송 판독 위치를 통과할 때에, 원고 시트의 판독면이 스캐너 유닛(104)의 램프(103)에 의해 발광된 광으로 조사된다. 원고 시트에 의해 반사된 광이 미러(105, 106, 107)를 통해서 렌즈(108)에 유도된다. 렌즈(108)를 통과한 광은 화상 센서(109)의 촬상면에 결상한다.
급송 판독 위치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통과하도록 원고 시트를 반송시킴으로써, 원고 판독 주사가 행해진다. 이 때, 원고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주 주사 방향(main scanning direction)으로 하고, 반송 방향을 부 주사 방향(sub-scanning direction)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원고 시트가 급송 판독 위치를 통과할 때에 주 주사 방향으로 원고 화상을 각각의 라인마다 화상 센서(109)로 판독하면서, 원고 시트를 부 주사 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원고 화상 전체의 판독이 행해진다. 그리고, 광학적으로 판독된 화상은 화상 센서(109)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화상 센서(109)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후술되는) 화상 신호 제어 유닛(922)에 의해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에, 프린터(300)의 노광 제어 유닛(110)에 비디오 신호로서 입력된다.
원고 급송 장치(100)에 의해 원고 시트를 플래튼 유리(102) 상으로 반송해서, 소정 위치에 정지시켜, 이 상태에서 스캐너 유닛(104)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원고 시트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프린터(300)의 노광 제어 유닛(110)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광을 변조해서 출력한다. 레이저광은 폴리곤 미러(polygon mirror)(110a)에 의해 주사되면서 감광 드럼(111)을 조사한다. 감광 드럼(111)에는 주사된 레이저광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11) 상의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113)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제 화상으로서 가시화된다. 레이저광의 조사 개시와 동기한 타이밍에서, 카세트(114, 115), 수동 급지 유닛(125) 및 양면 반송 경로(124) 중 하나로부터 시트가 급지된다.
급지된 시트는 롤러(119)에 도달하면 일단 정지된다. 정지시에, 하류 장치[여기서는, 피니셔(500)]에, 정지시킨 시트의 시트 정보를 (후술되는) 통신 수단을 통해 통지한다. 시트 정보는 종이 크기, 평량, 시트재 타입, 후처리 모드를 포함한다. 피니셔(500)의 CPU(95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CPU(901)로부터 시트 정보의 통지를 받으면, 일시 정지된 시트와 직전에 반송된 시트의 종이 크기 및 후처리 모드를 비교하며, 상세한 것은 후술된다. 피니셔(500)의 CPU(952)는 피니셔(500) 내에서 필요한 후처리 시간을 산출하고, 일시 정지된 시트와 선행 시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한다. 피니셔(500)의 CPU(952)는 시트 간격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CPU(901)에 통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CPU(901)는, 피니셔(500)의 CPU(952)로부터 수신한 시트 간격이 경과할 때까지, 롤러(119)에서의 시트를 정지시킨다. 정지 시간이 경과하면, 이 시트는 감광 드럼(111)과 전사 유닛(116) 사이로 반송된다. 감광 드럼(111)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전사 유닛(116)에 의해 급지된 시트 상에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시트는 정착 유닛(117)으로 반송된다. 정착 유닛(117)은 시트를 가열 가압(thermally press)함으로써 현상제 화상을 시트 상에 정착시킨다. 정착 유닛(117)을 통과한 시트는 플래퍼(121) 및 배출 롤러(118)를 통과해서, 프린터(300)로부터 외부[피니셔(500)]를 향해 배출된다.
시트를 그 화상 형성면이 하향으로 된 상태[페이스 다운(face-down)]로 배출할 때에는, 정착 유닛(117)을 통과한 시트를 플래퍼(121)의 전환 동작에 의해 일단 반전 경로(122) 내로 유도한다. 그 시트의 후단부가 플래퍼(121)를 통과한 후에, 시트를 스위치백시켜서 배출 롤러(118)에 의해 프린터(300)로부터 배출한다. 이러한 배지 형태를 반전 배지라고 칭한다. 원고 급송 장치(100)를 사용해서 판독한 화상을 형성할 때 또는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화상을 형성할 때 등과 같이, 제1 페이지부터 순서대로 화상 형성할 때에 반전 배지가 행해진다. 배지 후의 시트 순서는 올바른 페이지 순서가 된다.
또한, 시트의 양면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양면 인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기의 제어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시트를, 플래퍼(121)의 전환 동작에 의해 반전 경로(122)로 유도하고, 양면 반송 경로(124)로 반송한다. 양면 반송 경로(124)로 유도된 시트를 상술한 타이밍에서 감광 드럼(111)과 전사 유닛(116) 사이에 다시 급지한다. 프린터(300)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피니셔(500)에 보내진다. 피니셔(500)에서는 스티칭(stitching)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블록도)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의 구성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 회로 유닛(900)을 포함한다. CPU 회로 유닛(900)은, CPU(901), ROM(902) 및 RAM(903)을 내장한다. CPU(901)는 ROM(9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RAM(903)은 제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제어에 수반하는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원고 급송 장치 제어 유닛(911)은, 원고 급송 장치(100)를 CPU 회로 유닛(900)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한다. 화상 리더 제어 유닛(921)은 상술한 스캐너 유닛(104), 화상 센서(109) 등을 구동 제어하고, 화상 센서(109)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제어 유닛(922)에 전송한다.
화상 신호 제어 유닛(922)은 화상 센서(109)로부터의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화상 신호 제어 유닛(922)은 디지털 신호를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프린터 제어 유닛(931)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 신호 제어 유닛(922)은 컴퓨터(905)로부터 외부 I/F(904)를 통해서 입력된 디지털 화상 신호에 각종 처리를 실시하고, 이 디지털 화상 신호를 비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프린터 제어 유닛(931)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 제어 유닛(922)의 처리 동작은 CPU 회로 유닛(900)에 의해 제어된다. 프린터 제어 유닛(931)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노광 제어 유닛(110)을 구동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 제어 유닛(941)은,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와 CPU 회로 유닛(900)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는 화상 형성에 관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복수의 키(key),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는, 각각의 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CPU 회로 유닛(900)에 출력한다. 또한,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는 CPU 회로 유닛(900)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 유닛에 표시한다.
피니셔 제어 유닛(951)은 피니셔(500)에 탑재되고, CPU 회로 유닛(900)과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피니셔 전체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에는,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트 키(402), 화상 형성 동작을 중단하기 위한 스톱 키(403), 엔트리(entry) 설정 등을 행하는 텐 키(ten key)(404 내지 412 및 414), ID 키(413), 클리어 키(415), 리셋 키(416), 각종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모드 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표면에 터치 패널이 배치된 표시 유닛(420)이 배치되어 있어, 화면 상에 소프트 키(soft key)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후처리 모드로서, 비 소팅 모드, 소팅 모드, 스테이플 모드(스티칭 모드), 제본 모드와 같은 여러 후처리 모드를 갖는다. 이러한 처리 모드의 설정 등은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어, 후처리 모드를 설정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화면에서 "피니싱(finishing)" 소프트 키를 선택한다. 그 후에, 메뉴 선택 화면이 표시 유닛(420)에 표시되고, 이 메뉴 선택 화면을 사용하여 처리 모드가 설정된다.
(피니셔)
피니셔(500)의 구성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피니셔(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피니셔(5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순서대로 수취하고 수취한 시트를 정합하여 1개로 번들 처리하는 처리, 번들 처리된 시트의 후단부를 스테이플로 철하는 스테이플 처리, 소팅 처리, 비 소팅 처리 등의 시트 후처리를 행한다.
피니셔(500)는, (후술되는) 입구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입구 롤러 쌍(502)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내부에 수취한다. 입구 롤러 쌍(502)에 의해 내부에 수취된 시트는, 유사하게 (후술되는) 입구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롤러 쌍(503, 504)을 통해 버퍼 롤러(505)를 향해서 급지된다. 입구 롤러 쌍(502)과 반송 롤러 쌍(503) 사이의 반송 경로 도중에는, 반송 센서(531)가 배치되어 있고, 시트의 통과를 검출하고 있다.
버퍼 롤러(505)는 (후술되는) 버퍼 모터(M2)에 의해 구동된다. 버퍼 롤러(505)는, 그 외측면에 반송 롤러 쌍(503, 504)을 통해서 반송된 시트를 소정 매수 적층해서 둘러 감을 수 있는 롤러이다. 프레스 롤러(512, 513, 514)에 의해 회전 중에 상기 버퍼 롤러(505)의 외측면에 시트가 감긴다. 감겨진 시트는 버퍼 롤러(505)의 회전 방향으로 반송된다. 프레스 롤러(513, 514) 사이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S1)에 의해 구동되는 전환 플래퍼(511)가 개재된다. 프레스 롤러(514)의 하류측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S2)에 의해 구동되는 전환 플래퍼(510)가 배치되어 있다. 버퍼 롤러(505)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시트를 수취한 위치로부터 처리 트레이(630)까지 연장되는 반송 경로 내에 삽입된다.
전환 플래퍼(511)는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시트를 버퍼 롤러(505)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시트를 비 소팅 경로(521) 또는 소팅 경로(522)로 유도한다. 전환 플래퍼(510)는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시트를 버퍼 롤러(505)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시트를, 소팅 경로(522)로 또는 시트가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버퍼 경로(523)로 유도한다.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시트가 비 소팅 경로(521)로 유도될 때, 전환 플래퍼(511)가 동작해서, 버퍼 롤러(505)로부터 감겨진 시트가 박리되어 비 소팅 경로(521)로 유도된다. 비 소팅 경로(521)로 유도된 시트는, (후술되는) 배지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롤러 쌍(509)을 통해서 샘플 트레이(701) 상으로 배지된다. 비 소팅 경로(521)의 도중에는, 반송 센서(533)가 설치되어 있다.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시트를 버퍼 경로(523)로 유도할 때에는, 전환 플래퍼(510) 및 전환 플래퍼(511)는 둘 다 동작하지 않으며, 시트는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상태로 버퍼 경로(523)로 보내진다. 버퍼 경로(523) 도중에는, 버퍼 경로(523) 상의 시트를 검출하기 위한 반송 센서(532)가 배치되어 있다.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시트를 소팅 경로(522)로 유도할 때에는, 전환 플래퍼(511)는 동작하지 않으며 전환 플래퍼(510)가 동작해서, 버퍼 롤러(505)로부터 감겨진 시트가 박리되어, 이 시트가 소팅 경로(522)로 유도된다.
소팅 경로(522)로 유도된 시트는, (후술되는) 배지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롤러 쌍(507, 509)을 통해서 시트 적재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배출된다.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번들 형상으로 배출된 시트는, 반송 롤러 쌍(509)과 동기해서 구동되는 룰렛 벨트(knurled belt)(661)와, (후술되는) 패들 모터(M7)에 의해 구동되는 패들(660)에 의해, 반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되돌려진다. 되돌려진 시트는 스토퍼(631)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처리 트레이(630) 상에 가까운 쪽(near side)과 먼 쪽(far side)에 설치된 정합 부재(641)는 전 정합 모터(M5) 및 후 정합 모터(M6)에 의해 각각 시트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합 부재(641)는 처리 트레이(630) 상에 적재된 시트를 정합 처리한다. 필요하다면, 시트에 스테이플 처리 등이 실시된 후에, 배출 롤러(680a, 680b)로 구성되는 배출 롤러 쌍(680)에 의해 스택 트레이(stack tray)(700) 상으로 배출된다.
배출 롤러 쌍(680)은 (후술되는) 번들 배지 모터(M4)로 구동되며, 배출 롤러(680b)는 요동 가이드(6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요동 가이드(650)은 (후술되는) 요동 모터(M8)에 의해 구동되며, 배출 롤러(680b)를 처리 트레이(630) 상의 최상부 시트에 접촉시키도록 요동한다. 배출 롤러(680b)가 처리 트레이(630) 상의 최상부 시트에 접촉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배출 롤러(680b)는 배출 롤러(680a)와 협동해서 처리 트레이(630) 상의 시트 번들을 스택 트레이(700)를 향해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트랙터블(retractable) 트레이(670)는 (후술되는) 리트랙터블 트레이 모터(M11)로 구동된다. 처리 트레이(630) 상에 시트를 적재할 때에는, 리트랙터블 트레이(670)를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반송 롤러 쌍(507)에 의해 배출된 시트(P)의 아래로 처짐이나 복귀 불량 등이 방지되며, 처리 트레이(630) 상의 시트의 정렬성이 향상된다.
스택 트레이(700)는, (후술되는) 트레이 승강 모터(M12)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후술되는) 종이면 검지 센서(540)는 트레이 또는 트레이 상의 시트의 최상면을 검출할 수 있다. 종이면 검지 센서(54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트레이 승강 모터(M12)를 구동함으로써, 항상 최상면이 소정의 위치에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샘플 트레이(701)는, 스택 트레이(700)와 같이 승강 가능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플 처리는, 스테이플러(stapler)(601)에 의해 행해진다. 스테이플러(601)는, (후술되는) 스테이플 모터(M9)에 의해 구동되어, 스티칭 처리를 행한다. 스테이플러(601)는, 처리 트레이(630)에 적재된 시트 번들을,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하여 시트의 최후미 위치(후단부)에서 스티칭한다.
또한, 스테이플러(601)는, (후술되는) 스테이플러 이동 모터(M10)에 의해, 처리 트레이(630)의 외측면을 따라서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스티칭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트가 도달하기 전에 스테이플러(601)가 미리 이동한다.
(피니셔 블록도)
피니셔(500)를 구동 제어하는 피니셔 제어 유닛(951)의 구성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도 2의 피니셔 제어 유닛(95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피니셔 제어 유닛(95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952), ROM(953) 및 RAM(954)을 포함한다. 피니셔 제어 유닛(951)은 통신 IC(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측에 설치된 CPU 회로 유닛(900)과 통신하고, 작업 정보, 시트 전달 통지 등의 데이터를 교환한다. 피니셔 제어 유닛(951)은 CPU 회로 유닛(900)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ROM(95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피니셔(500)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피니셔(500)의 각종 입출력에 관해서 설명한다. 피니셔(500)는, 상술된 시트 반송을 위해서, 입구 모터(M1), 버퍼 모터(M2), 배지 모터(M3), 솔레노이드(S1), 솔레노이드(S2) 및 반송 센서(531 내지 534)를 구비한다. 또한, 피니셔(500)는, 상술된 소팅 및 스테이플 처리 등의 후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번들 배지 모터(M4), 전 정합 모터(M5), 후 정합 모터(M6), 패들 모터(M7), 요동 모터(M8), 스테이플 모터(M9), 스테이플러 이동 모터(M10), 리트랙터블 트레이 모터(M11), 트레이 승강 모터(M12), 종이면 검지 센서(540)를 구비한다.
(시트의 흐름)
피니셔(500)에 있어서의 시트의 흐름에 대해서 비 소팅 모드, 소팅 모드, 스테이플 모드의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비 소팅 동작)
비 소팅 모드의 시트의 흐름이 도 3, 도 6,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조작 표시 디바이스(400)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초기 화면 상의 "피니싱" 소프트 키를 선택하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니싱 메뉴 선택 화면(1001)이 표시 유닛(42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10a에서 모든 소프트 키의 선택을 취소하고, 피니싱의 선택을 종료했을 경우, 비 소팅 모드가 설정된다.
사용자에 의해 비 소팅 모드가 지정되어 작업이 입력되면, CPU 회로 유닛(900)의 CPU(901)는, 시트 크기 등의 정보에 추가하여, 비 소팅 모드의 선택과 같은 작업에 관한 정보를 피니셔 제어 유닛(951)의 CPU(952)에 통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피니셔(500)로 시트(P)가 배출될 때, CPU 회로 유닛(900)의 CPU(901)는, 피니셔 제어 유닛(951)의 CPU(952)에 시트의 전달을 개시하는 것을 통지한다. CPU(952)의 피니셔(500) 내의 각종 입출력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의 전달 개시의 통지를 수취하면, CPU(952)는 입구 모터(M1), 버퍼 모터(M2), 배지 모터(M3)를 구동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 롤러 쌍(502), 반송 롤러 쌍(503, 504), 버퍼 롤러(505), 반송 롤러 쌍(509)을 회전 구동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시트(P)는 피니셔(500) 내에 도입되어 반송된다.
전환 플래퍼(511)는 도 6에서 도시한 위치로 솔레노이드(S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시트(P)는 버퍼 롤러(505)에 의해 버퍼링되지 않고 비 소팅 경로(521)로 유도된다. 반송 센서(533)가 시트(P)의 후단부를 검지하면, 배지 모터(M3)의 속도를 변경하여, 반송 롤러 쌍(509)을 적재에 적합한 속도로 회전시켜, 샘플 트레이(701) 상에 시트(P)를 배출한다.
(소팅 모드 동작)
소팅 모드의 시트의 흐름이 도 7a 내지 도 7c, 도 10a 및 도 10b와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기술될 것이다. 도 10a에 도시하는 피니싱 메뉴 선택 화면에서, "소트" 소프트 키(1002)를 선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니싱의 선택을 종료했을 경우, 소팅 모드가 설정된다. 사용자에 의해 소팅 모드가 지정되어 작업이 입력되면, 비 소팅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CPU 회로 유닛(900)의 CPU(901)는, 피니셔 제어 유닛(951)의 CPU(952)에 소팅 모드가 선택된 것을 통지한다.
이하, 1개의 시트 번들로서 제공되는 1개의 "복사"를 형성하는 시트의 매수가 3장일 경우의 소팅 모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후술되는) CPU(952)에 의한 버퍼링 동작 모드(이하, 버퍼 모드로 지칭됨)에 따른 설정에 따라, 각 시트의 버퍼 모드가 "통과"로 설정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피니셔(500)로 시트(P)가 배출될 때, CPU 회로 유닛(900)의 CPU(901)는, 피니셔 제어 유닛(951)의 CPU(952)에 시트의 전달을 개시하는 것을 통지한다. CPU(952)의 피니셔(500) 내의 각종 입출력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의 전달 개시의 통지를 수취하면, CPU(952)는, 입구 모터(M1) 및 버퍼 모터(M2)를 구동함으로써,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 롤러 쌍(502), 반송 롤러 쌍(503, 504) 및 버퍼 롤러(505)를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 배출된 시트(P)는 피니셔(500) 내에 도입되어서 반송된다. 이 때, 각각의 시트는 버퍼 롤러(505)에 의해 버퍼링되지 않고 반송된다.
도 11은 CPU(952)에 의한 버퍼링 동작(이하, 버퍼 동작으로 지칭됨)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CPU(952)가 반송 센서(531)의 ON 동작을 검지(스텝 S101에서 '예')하면, 입구 모터(M1)를 제어하여 시트(P)를 소정 거리만큼 반송(스텝 S102에서 '예')한 후,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 버퍼 모드가 "통과"인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팅 경로(522)로 시트를 유도하도록, 스텝 S104에서 전환 플래퍼(510)를 위치 결정한다. 작업이 계속되면(스텝 S113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101로 복귀되어, 다음 시트가 도달할 때까지 시트를 체류시키고 시트가 유도될 때까지 기다린다.
전환 플래퍼(511)도 도 7a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시트(P1)는 소팅 경로(522)측으로 유도된다. 소팅 경로(522)로 유도된 시트(P)는 반송 롤러 쌍(506, 507)에 의해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배출된다. CPU(952)는, 반송 센서(534)가 시트(P)의 후단부를 검지한 후 시트(P)가 소정 거리만큼 진행한 것을 검출할 때, 시트(P1)가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배출된 것을 검지한다.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배출된 시트(P1)는, 우선 자중에 의해 처리 트레이(630) 상을 스토퍼(631)를 향해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시트(P)의 이동은 패들(660)이나 룰렛 벨트(661) 등의 바이어스 부재(biasing member)로 바이어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P1)의 후단부가 스토퍼(631)에 접촉해서 시트(P1)가 정지하면, 정합 부재(641)에 의해 배출된 시트의 정합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시트(P2, P3)도 처리 트레이(630)에 적재된다.
그 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모터(M8)를 구동함으로써 요동 가이드(650)를 하강시킨다. 배출 롤러(680a, 680b)로 시트 번들(P)을 클램핑해서, 번들 배출 동작을 행하고, 시트 번들(P)을 스택 트레이(700) 상으로 배출한다. 각각의 시트 번들에서, 시트는 화상 형성면을 하향으로 하고 제1 페이지가 최하부에 위치되는 페이지 순서로 상방으로 적재된다. 이들 시트는 스택 트레이(7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된다(도 7c).
버퍼 모드가 시트(P1, P2)에 대해 "버퍼", 시트(P2)의 후속 시트인 시트(P3)에 대해 "최종 시트"라고 설정된 경우의 버퍼 동작이, 도 8a 내지 도 8d와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서, CPU(952)가 시트(P1)에 대하여 반송 센서(531)의 ON 동작을 검지하면(스텝 S101에서 '예'), 입구 모터(M1)가 시트(P1)를 소정 거리만큼 반송하며(스텝 S102에서 '예'), 스텝 S10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103에서, 시트(P1)의 버퍼 모드를 판정한다. 버퍼 모드가 "버퍼"이기 때문, 스텝 S107로 처리가 진행한다. 시트(P1)는 제1 버퍼 시트이므로(스텝 S107에서 '예'), 전환 플래퍼(510)를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 경로(523)쪽으로 전환한다(스텝 S108). 반송 센서(532)의 ON 동작이 검지되고(스텝 S110에서 '예'), 버퍼 모터(M2)에 의해 시트(P1)가 소정 거리만큼 반송되면(스텝 S111에서 '예'), 버퍼 모터는 정지한다(스텝 S112). 시트(P1)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시트(P2)와 중첩해서 버퍼링을 행하기 위해서,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상태에서 정지하고, 시트(P2)가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즉, 시트는 후속하는 1매 이상의 시트가 도착할 때까지, 소정의 반송 경로 상에서 체류하게 된다.
시트(P2)에 대하여, CPU(952)가 마찬가지로 반송 센서(531)의 ON 동작을 검지하고(스텝 S101에서 '예'), 입구 모터(M1)가 시트(P2)를 소정 거리만큼 반송하면(스텝 S102에서 '예'), 스텝 S10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시트(P1)와 유사하게, 시트(P2)의 버퍼 모드도 "버퍼"이기 때문에, 스텝 S107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107에서 시트(P2)는 제2 버퍼 시트이므로 (스텝 S107에서 '아니오'), 스텝 S109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109에서, 버퍼 모터(M2)를 기동해서 버퍼 롤러(505)를 회전시키고, 버퍼 롤러(505) 상에서 시트(P1, P2)를 중첩시킨다. 그리고, 반송 센서(532)의 ON 동작을 검지하고(스텝 S110에서 '예'), 버퍼 모터(M2)가 시트(P2)를 소정 거리만큼 반송하면(스텝 S111에서 '예'), 버퍼 모터는 정지한다(스텝 S112). 결과적으로, 시트(P1, P2)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 롤러(505)에 감겨진 상태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버퍼 모드가 "최종 시트"인 시트(P3)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952)가 시트(P3)에 대하여 반송 센서(531)의 ON 동작을 검지하면(스텝 S101에서 '예'), 입구 모터(M1)가 시트(P3)를 소정 거리만큼 반송한다(스텝 S102에서 '예').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가 소팅 경로(522)쪽으로 유도되도록 전환 플래퍼(510)를 전환된다(스텝 S105). 스텝 S106에서, 버퍼 모터(M2)를 기동함으로써, 버퍼 롤러(505)는 회전을 개시한다. 결과적으로, 다음 시트(P3)는 버퍼 롤러(505)로부터 풀린 시트(P1, P2)와 중첩된다. 그리고, 시트는,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팅 경로(522)로 반송된다.
이 시점에서는, 처리 트레이(630) 상에 적재된 시트 번들(P)의 번들 배출 동작은 종료되어 있으며, 처리 트레이(630)는 시트를 수용할 수 있다. 시트 번들(P)은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배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트 번들에 대하여 제1 시트로부터 소정 매수의 시트(본 처리 시퀀스에서는, 최종 시트의 바로 앞의 시트)까지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다. 최종 시트가 도착한 후, 버퍼링된 1매 이상의 시트와 최종 시트로 형성되는 전체의 번들에 대하여 배출 동작을 행한다.
4매째 이후의 시트가 있는 경우에는, 제1 복사의 번들에 대한 시트 배출 동작과 마찬가지로 소팅 경로(522)를 통해 처리 트레이(630) 상으로 배출된다. 다음 복사 이후의 시트 번들에 대해서는, 제2 복사의 시트 번들이 스택 트레이(700) 상으로 배출된 후에, 동일한 동작이 반복해서 행해진다. 사전설정된 매수의 시트 번들이 스택 트레이(700) 상에 적재된다.
(스테이플 모드 동작)
스테이플 모드의 시트의 흐름을 도 9a 내지 도 9d,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니싱 메뉴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스테이플" 소프트 키(1003)를 누르면, 도 10b에 도시하는 스테이플 설정 화면(1010)이 표시 유닛(420)에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는 코너 스티칭이나 더블(double) 스티칭 등의 스티칭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스테이플 모드가 설정되면, 소팅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CPU 회로 유닛(900)의 CPU(901)는, 피니셔 제어부(951)의 CPU(952)에, 스테이플 모드가 선택된 것을 통지한다. CPU(952)는 피니셔(500) 내의 각종 입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상술된 소팅 모드 시에 있어서의 시트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시트를 처리 트레이(630)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한다(도 9a).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책자를 형성하는 모든 시트가 처리 트레이(630) 상에 적재되고, 정합 부재(641)에 의한 정합 처리가 최후에 적재된 시트에 대해 완료된 후, 스테이플 모터(M9)를 구동하여, 스테이플러(601)에 의해 시트 번들을 스티칭한다. 또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서 스테이플(H)에 의해 시트 번들(P)이 스티칭된다.
스테이플러(601)에 의한 스티칭 동작의 완료 후, 요동 모터(M8)를 구동함으로써 요동 가이드(650)를 하강시킨다. 배출 롤러(680a, 680b)로 시트 번들(P)을 클램핑해서 번들 배출 동작을 행하고, 시트 번들(P)은 스택 트레이(700) 상으로 배출된다(도 9d). 소팅 모드 동작시와 마찬가지로, 처리 트레이(630) 상에서 시트 번들(P)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고 있는 사이, 후속 시트가 버퍼 롤러(505)에 의해 감겨진다(도 9d). 선행하는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 중에 다음의 시트 번들에 대한 버퍼링을 행함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스테이플 처리(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트 정보의 통지와 시트 간격의 제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CPU(901)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로부터의 시트의 배지 간격의 제어에 대해서, 도 12의 흐름도와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세트(114) 등으로부터 급지된 시트가 롤러(119)에 도달하면, CPU(9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프린터 제어 유닛(931)에 의해 시트가 일단 정지된다. 도 12는 롤러(119)에서의 정지시에 있어서의 시트 간격을 CPU(901)가 결정하는 시퀀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달리 특정하지 않는 경우의 CPU(901)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연속하는 시트에 있어서, N매째 시트를 시트 N, (N+1)매째 시트를 시트 N+1이라고 기재한다.
우선, 스텝 S1001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CPU(901)는, 피니셔(500)의 CPU(952)에 시트 N의 시트 정보를 통신 IC(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통지한다. 이 시트 정보 통지의 포맷을 도 13a에 나타낸다. 이 시트 정보의 포맷에는, 각각의 시트에 대한 시트의 정보가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포맷에는, 시트 N의 정보 외에, 시트 N의 후속 시트 N+1에 관해서 (후술되는) 버퍼 가부(buffer capability)의 판정에 필요한 정보도 부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N+1의 종이 길이, 종이 폭, 평량, 시트재 타입, 후처리 모드(후처리 타입)가 첨부되어 있다. 또한, 시트 정보 통지에 있는 "표준 시트 간격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생산성으로부터 산출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1분당 120장의 시트를 등간격으로 화상 형성하는 경우, 표준 시트 간격 시간은 500[msec]가 된다. 이 표준 시트 간격 시간은, CPU(901)에 의해 산출되어, 시트 정보 통지에 첨부된다. 본 정보에 대해서는, 장치의 사양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스텝 S1002에서, CPU(901)는, 피니셔(500)의 CPU(952)로부터, 시트 N의 시트 간격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952)로부터의 시트 간격 정보의 송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CPU(901)가 CPU(952)로부터 시트 간격 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1002에서 '예'), 스텝 S1003로 진행한다. 또한, CPU(952)로부터 수신하는 시트 간격 정보의 포맷을 도 13b에 나타낸다.
스텝 S1003에서, CPU(901)는 RAM(903)에 설정된 변수 TD에 CPU(952)로부터 수취한 시트 간격 정보 통지의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을 대입한다. 스텝 S1004에서, CPU(901)는 시트 N이 작업의 제1 시트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트 N이 작업의 제1 시트이면(스텝 S1004에서 '예'), CPU(901)는 RAM(903) 상의 변수 TP에 그 시점의 타임 스탬프를 보존한다(스텝 S1005). 시트 N이 작업의 제1 시트이면, 선행 시트로부터의 시트 간격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피니셔(500)가 수납 준비에 필요로 하는 시간(=TD)만큼 대기하기 위해서 TP를 설정한다.
스텝 S1006에서, CPU(901)는, RAM(903) 내의 시간 변수 TN에 현재의 타임 스탬프를 보존한다. 그리고, CPU(901)는 TN ≥ TP + TD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07). TP + TD는 롤러(119)에 의한 선행 시트 N-1의 반송을 개시한 시간 TP 이후에,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TD가 경과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즉, TN ≥ TP + TD가 될 때까지 대기한 후 롤러(119)가 반송을 개시하면, 시트 N-1과 시트 N 사이에 TD 이상의 시트 간격 시간이 확보된다.
TN ≥ TP + TD가 되면(스텝 S1007에서 '예'), CPU(901)는 TP에 그 시점의 타임 스탬프를 보존한 후(스텝 S1008), 스텝 S1009로 진행한다. 스텝 S1009에서, CPU(901)는 프린터 제어 유닛(931)에 시트 N의 반송 재개를 요구하고, 프린터 제어 유닛(931)은 롤러(119)를 제어하여 시트 N의 반송을 재개한다.
(버퍼 정보 설정)
피니셔(500)의 CPU(952)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의 CPU(901)로부터 수신한 시트 N의 시트 정보 통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시트 간격 정보 통지를 CPU(901)에 통지하는 시퀀스에 대해서, 도 14의 흐름도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달리 특정하지 않는 경우의 CPU(952)가 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101에서, CPU(952)는 CPU(901)로부터 시트 N의 시트 정보가 통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시트 정보 통지를 수신하면, CPU(952)는 시트 정보를 RAM(954)에 보관하고, 스텝 S1102로 진행한다. 스텝 S1102에서는, CPU(952)는 시트 N의 수신한 시트 정보의 표준 시트 간격 시간 정보를 RAM(954) 내에 설정된 변수 IN에 대입한다.
스텝 S1103에서는, CPU(952)는 RAM(954) 내의 변수로서 제공되는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를 0으로 클리어하고, 스텝 S1104로 진행한다. 스텝 S1104에서, 시트 N이 성과물의 단위인 "복사"의 제1 시트인 것을 CPU(952)가 판정하면(스텝 S1104에서 '예'), 스텝 S1105로 진행한다. 스텝 S1105에서, CPU(952)는 시트 N 및 시트 N-1의 시트 정보의 일부에 기초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후처리 시간 테이블 T1을 참조하고, RAM(954) 내의 변수 TB에 테이블 T1으로부터 취득한 후처리 시간을 대입한다.
도 15의 후처리 시간 테이블 T1은, 시트 N-1과 시트 N의 사이에 필요한 시간, 즉 시트 N-1의 후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시트 N의 후처리를 행하기 위한 준비[예를 들어, 스테이플러(601)의 초기 위치로의 이동]의 시간을 합한 시간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시트 N-1, 시트 N 양자에 대해 배출처가 "트레이(700)"이고 후처리 모드가 "단일 스티칭(가까운 쪽)"인 경우, TB에는 1,200[msec]가 대입된다. 시트 N이 작업의 제1 시트이고, 시트 N-1이 없으며, 시트 N의 배출처가 "트레이(700)"이고, 모드가 "더블 스티칭"이면, 시트 N을 수취하기 위한 준비 시간으로서, TB에 2,000[msec]가 대입된다. 후처리 시간 테이블 T1은, 장치의 사양에 따라서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 S1105에서, CPU(952)는 후처리 시간을 취득한 후, 스텝 S1106으로 진행하여, 처리 FA를 행한다. 처리 FA에서, "복사"의 제1 시트에 대하여, 버퍼 모드가 설정되고,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이 산출되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은, 시트 N-1과 시트 N 사이의 시트 간격 시간이다. 시트 N-1과 시트 N의 후처리 내용 외에, 시트 N의 버퍼 동작 유무에 따라, 필요한 시간은 변화한다.
스텝 S1104에서, CPU(952)가 시트 N이 "복사"의 제1 시트가 아닌 것을 판정하면(스텝 S1104에서 '아니오'), 스텝 S1107로 진행하여, 처리 FB을 행한다. 처리 FB에서, 시트 N이 "복사"의 제1 시트가 아닌 경우에, 버퍼 모드가 설정되고,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이 산출되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스텝 S1106의 처리 FA 또는 스텝 S1107의 처리 FB 후에, 스텝 S1108에서, CPU(952)는, 처리 FA 또는 처리 FB에서 산출된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가 IN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가 IN 이상이면(스텝 S1108에서 '아니오'), CPU(952)는 스텝 S1109로 진행한다.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가 IN보다 작으면(스텝 S1108에서 '예'), CPU(952)는 D에 IN을 대입하고(스텝 S1111), 스텝 S1109로 진행한다.
스텝 S1109에서, CPU(952)는, 시트 간격 정보 통지의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에 D의 값을 설정하고, 통신 IC(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CPU(901)에 시트 간격 정보 통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CPU(952)는 스텝 S1110으로 진행하고, 작업이 계속되는 것을 결정하면(스텝 S1110에서 '아니오'), 스텝 S1101로 복귀된다.
(버퍼 모드의 설정/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의 산출 : 제1 시트)
처리 FA에 있어서, CPU(952)가 "복사"의 제1 시트에 있어서의 버퍼 모드를 설정하고,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 16의 흐름도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달리 특정하지 않는 경우의 CPU(952)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952)는, 스텝 S1201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하는 스텝 S1105에서 취득한 후처리 시간 TB과, 동일하게 도 14에 도시하는 스텝 S1102에서 취득한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비교한다. 후처리 시간 TB가 더 긴 경우에는(스텝 S1201에서 '예'), CPU(952)는 스텝 S1202로 진행하며, 후처리 시간 TB가 같거나 더 짧은 경우에는(스텝 S1201에서 '아니오') 스텝 S1214로 진행한다.
스텝 S1202에서, CPU(952)는 RAM(954) 내의 변수 버퍼 시트 카운터 C에, 배출처와 후처리 모드에 따라, 도 17에 나타내는 버퍼 시트 카운트 취득 테이블 T2로부터 취득한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시트가 샘플 트레이(701)로 배출되는 소팅 모드이면 C=0, 시트가 스택 트레이(700)로 배출되는 스티칭 모드이면 C=2가 된다. 이것은 시트 N에 중첩되는 시트의 최대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0의 경우에는 중첩을 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C=2의 경우에는, 버퍼 롤러에 최대 2매의 시트를 감고, 시트 N을 포함해서 최대 3매의 시트를 중첩해서 반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버퍼 시트 카운트 취득 테이블 T2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버퍼 시트 카운트 취득 테이블 T2에 정의되는 정보는, 도 17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치의 기능이나 다른 후처리 모드에 대응하여 더 많은 값을 정의해도 좋다.
스텝 S1203에서, CPU(952)가 버퍼 카운터 C=0을 판정하면(스텝 S1203에서 '예') 스텝 S1214으로 진행하고, 버퍼 카운터 C가 그 이외의 값을 나타낸다면(스텝 S1203에서 '아니오') 스텝 S1204로 진행한다. 스텝 S1204에서, CPU(952)는, RAM(954)에 설정된 변수 TN을 0으로 클리어한다. 변수인 번들 간격 시간 TN은, 버퍼링에 의한 시트의 중첩이 행해진 경우에, 피니셔(500) 내로 버퍼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시트와, 버퍼 처리된 시트 번들 사이의 번들 간격 시간의 경과를 기억한다.
스텝 S1205에서, CPU(952)는 시트 N의 시트 정보를 처리 FC에 전달하고, 복귀값을 RAM(954) 내의 버퍼 가부 정보에 보존한다. 처리 FC는 전달된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그 시트가 버퍼 가능한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버퍼의 가부를 복귀값(TRUE 또는 FALSE)으로서 복귀시키는 처리이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스텝 S1206에서, CPU(952)는 스텝 S1205로 취득한 시트 N의 버퍼 가부 정보를 판정한다. CPU(952)는 버퍼 가부 정보가 TRUE이면 스텝 S1207로 진행하고, FALSE이면 스텝 S12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07에서, CPU(952)는 시트 N이 "복사"의 최종 시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트 N이 최종 시트이면(스텝 S1207에서 '예'), CPU(952)는 스텝 S1213으로, 최종 시트가 아니면(스텝 S1207에서 '아니오') 스텝 S1208로 진행한다.
스텝 S1208에서, CPU(952)는 시트 N의 정보에 첨부되어 있는 시트 N+1의 시트 정보를 처리 FC에 전달하고, 시트 N+1의 버퍼 가부 정보를 취득한다. CPU(952)는 처리 FC의 복귀값을 RAM(954) 내의 버퍼 가부 정보에 보존한다. 스텝 S1209에서, CPU(952)는 스텝 S1208에서 취득한 시트 N+1의 버퍼 가부 정보를 판정한다. CPU(952)는 버퍼 가부 정보가 TRUE이면 스텝 S1210으로 진행하고, FALSE이면 스텝 S12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10에서는, CPU(952)는 시트 N의 버퍼 모드를 "버퍼"로 RAM(954)에 기억하고, 스텝 S1211로 진행한다. 그리고, CPU(952)는 번들 간격 시간 TN에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가산한다(스텝 S1211). 그리고, 스텝 S1212에서, CPU(952)는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에 0를 대입하고, 처리 FB를 종료한다.
CPU(952)가 스텝 S1206, 스텝 S1207 또는 스텝 S1209로부터, 스텝 S1213으로 진행했을 경우, CPU(952)는, 버퍼 카운터 C를 0으로 클리어하고, 스텝 S1214로 진행한다. 스텝 S1214에서, CPU(952)는 시트 N의 버퍼 모드를 "통과"로 설정한다. 스텝 S1215에서, CPU(952)는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에 TB를 대입하고, 처리 FB를 종료한다.
(버퍼 모드 설정 /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산출 : 제1 시트 이외의 시트)
처리 FB에 있어서, CPU(952)가 제1 시트 이외의 "복사"의 시트에 있어서의 버퍼 모드를 설정하고,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의 산출하는 경우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달리 특정하지 않는 경우의 CPU(952)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952)는, 스텝 S1301에 있어서, 시트 N-1의 버퍼 모드를 판정한다. 모드가 "버퍼"이면(스텝 S1301에서 '예') CPU(952)는 스텝 S130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모드("최종 시트" 또는 "통과")이면, 스텝 S1314로 진행한다.
스텝 S1302에서, CPU(952)는 시트 N이 "복사"의 최종 시트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트 N이 최종 시트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1302에서 '아니오') CPU(952)는 스텝 S1303으로 진행하고, 시트 N이 최종 시트인 경우에는(스텝 S1302에서 '예') 스텝 S1307로 진행한다. 스텝 S1303에서, CPU(952)는 처리 시간 TB과, 번들 간격 시간 TN +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비교하여, 버퍼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952)가 TB > TN + IN이라고 판정하면(스텝 S1303에서 '예'), 버퍼 처리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CPU(952)는 스텝 S1304로 진행한다. CPU(952)가 TB ≤ TN + IN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버퍼 처리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CPU(952)는 스텝 S1307로 진행한다.
스텝 S1304에서, CPU(952)는 시트 N의 정보에 첨부되어 있는 시트 N+1의 시트 정보를 처리 FC에 전달하고, 시트 N+1의 버퍼 가부 정보를 취득한다. CPU(952)는 처리 FC의 복귀값을 RAM(954) 내의 버퍼 가부 정보에 보존한다. 스텝 S1305에서, CPU(952)는 스텝 S1304에서 취득한 시트 N+1의 버퍼 가부 정보를 판정한다. CPU(952)는 버퍼 가부 정보가 TRUE이면 스텝 S1306으로 진행하고, FALSE이면 스텝 S1307로 진행한다.
스텝 S1306에서, CPU(952)는 버퍼 카운터 C를 1만 감소(decrement)시키고, 스텝 S1308로 진행한다. CPU(952)가 스텝 S1302, 스텝 S1303 또는 스텝 S1305로부터 스텝 S1307로 진행한 경우에는, CPU(952)는 버퍼 카운터 C를 0으로 클리어하고, 스텝 S1308로 진행한다. 스텝 S1308에서, CPU(952)가 버퍼 카운터 C≠0인 것을 판정하면(스텝 S1308에서 '아니오') 스텝 S1309로, C=0인 것을 판정되면(스텝 S1308에서 '예') 스텝 S1312로 진행한다.
스텝 S1309에서, CPU(952)는 시트 N의 버퍼 모드를 "버퍼"로 설정하고, RAM(954)에 보존한다. 그리고, CPU(952)는, 번들 간격 시간 TN에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가산한다(스텝 S1310). 그리고, 스텝 S1311에서, CPU(952)는,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에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대입하고, 처리 FB를 종료한다.
스텝 S1312에서, CPU(952)는 시트 N의 버퍼 모드를 "최종 시트"로 설정하고, RAM(954)에 보존한다. 그리고, CPU(952)는,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에, 선행의 시트 번들의 후처리 시간 TB로부터 버퍼 동작에 의해 상쇄되는 시간(번들 간격 시간 TN+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감산한 시간을 대입하고(스텝 S1313), 처리 FB를 종료한다. 스텝 S1314에서, CPU(952)는 시트 N의 버퍼 모드를 "통과"로 설정하고, RAM(954)에 보존한다. 스텝 S1315에서, CPU(952)는 필요한 시트 간격 시간 D에 표준 시트 간격 시간 IN을 대입하고, 처리 FB를 종료한다.
(버퍼 가부 판정)
처리 FC에 있어서, CPU(952)가 전달된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의 가부를 판정하는 경우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 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달리 특정하지 않는 경우의 CPU(952)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401 내지 스텝 S1403에서, CPU(952)는, 처리 FC에 전달된 시트 정보의 시트재 타입 정보가, OHP 시트, 코팅지, 인덱스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시트가 이들 타입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CPU(952)는 스텝 S1408로 진행하고, 어느 것에도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404로 진행한다.
스텝 S1404에서, CPU(952)는 평량이 50gsm 내지 200gsm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1405에서, CPU(952)는 종이 폭이 182㎜ 내지 297㎜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스텝 S1406에서, CPU(952)는 종이 길이가 182㎜ 내지 216㎜의 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04, 스텝 S1405 또는 스텝 S1406에서 '아니오'인 경우, CPU(952)는 스텝 S1408로 진행하고, 스텝 S1404, 스텝 S1405 또는 스텝 S1406에서 '예'인 경우, 스텝 S1407로 진행한다.
스텝 S1407에서, CPU(952)는 시트가 버퍼될 수 있다고 판정하고, 결과에 TRUE를 대입한다. 스텝 S1408에서, CPU(952)는 시트가 버퍼될 수 없다고 판정하고, 결과에 FALSE를 대입한다. CPU(952)는, 이 결과를 복귀값으로서 복귀시키고, 처리 FC를 종료한다.
또한, 도 19의 판정에서의 각각의 시트재 타입이나 각각의 시트의 사양(예를 들어, 크기, 평량)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장치의 기능 및 사양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시트재 타입과 사양은 도 19에 나타낸 값 및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N에 대하여 버퍼 처리를 행할 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에 시트 N의 버퍼 가부 판정 결과 뿐만 아니라 후속 시트 N+1의 버퍼 가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한다. 시트 N+1이 버퍼될 수 없는 경우에도, 시트 N을 버퍼링한 후에 버퍼 처리의 취소가 발생하지 않고, 어떤 시트의 조합에 있어서도, 최적인 시트 간격으로 후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종래예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차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의 최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간격 시간 I=500ms로 가정하고, 시트 번들의 최종 시트에 있어서는 처리 시간 P=700ms를 필요로 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최종 시트를 처리하기 위해서 시트 간격 시간이 200ms 부족하게 된다. 이 때, 다음 시트 번들[(X+1)매째 복사]의 제1 시트가 버퍼 가능하다면, 시트 번들 간의 시간(번들 간격 시간 B)을 처리 시간 P보다도 길게 할 수 있어서,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20에서는 번들 간격 시간 B=1,000ms이다. 이 때, 시트 번들 간격 시간 I=500ms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종래예의 버퍼 제어에 있어서, 다음 시트 번들[(X+1)매째 복사]의 제1 시트가 버퍼될 수 없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제1 시트는 버퍼될 수 없기 때문에, 다음 시트 번들의 제1 시트는 처리 시간 P를 경과하고 나서 반송된다. 시트 간격 시간 I=500ms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면, 선행 시트 번들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시간(200ms)만큼 배지가 지연된다.
그러나, 종래예의 버퍼 제어에서는, 이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시트 번들[(X+1)매째 복사]의 제1 시트가 버퍼될 수 있으며, 제2 시트가 버퍼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선행 시트 번들(X매째 복사)의 최종 시트의 처리 시간 P가 경과할 때까지, 제1 시트가 버퍼된다. 그러나, 제2 시트가 버퍼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버퍼된 제1 시트의 버퍼링을 캔슬하고, 제1 시트를 배지한다. 이 경우, 버퍼 시간(300ms)만큼 제1 시트의 배지가 지연된다. 다음 시트 번들[(X+1)매째 복사]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의 시트 간격 시간 I가 500ms로 유지되면, 처리 시간 P를 경과하고 나서 제1 시트를 반송하는 상술한 경우보다 배지가 지연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생산성은, 제1 시트를 버퍼링하지 않고, 선행 시트 번들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제1 시트를 대기시킨 후, 배지했을 경우보다 저하된다. 이것은, 시트 번들의 제1 시트의 정보만을 사용해서 제1 시트를 버퍼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제2 시트가 버퍼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중첩시키지 않고 배지하기 때문이다(버퍼링의 캔슬).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 시트 번들[(X+1)매째 복사]의 Y매째와 (Y+1)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의 일부를 사용하여, Y매째 시트를 버퍼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종래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시키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디바이스)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 상술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시킴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상술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로그램은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제공되는 다양한 타입의 기록 매체로부터 또는 네크워크 등을 통해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수정과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에 반송되는 시트를 체류시키는 시트 버퍼 장치이며,
    상기 후처리 유닛에 반송되는 시트를 체류시키고 체류 대상인 상기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시켜 버퍼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과,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이 체류 대상인 시트에 후속하는 시트를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라고 판정하면, 상기 버퍼 유닛을 제어하여 체류 대상인 상기 시트의 체류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버퍼 장치.
  2.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복수의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이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시트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된 시트 반송 유닛과,
    상기 시트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유닛과,
    상기 시트 적재 유닛에 의해 적재된 상기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번들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과,
    상기 시트 적재 유닛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 중에 다음 시트 번들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까지 1매 이상의 시트를 체류시키고, 체류된 1매 이상의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과,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시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상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 중 N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와 (N+1)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N매째 시트를 체류시킬지의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매째 시트가 버퍼 처리가 금지되지 않은 시트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N+1)매째 시트가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N매째 시트를 체류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N+1)매째 시트가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N매째 시트를 체류하도록 제어하는, 후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1)매째 시트가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N매째 시트가 다음 시트 번들의 제1 시트인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N매째 시트를 체류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N매째 시트가 다음 시트 번들의 제1 시트 이외의 시트인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N매째 시트 이전에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해 체류된 1매 이상의 시트와 상기 N매째 시트를 중첩하고, 상기 시트 적재 유닛에 상기 1매 이상의 시트 및 상기 N매째 시트를 반송하도록 상기 버퍼 유닛을 제어하는, 후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N매째 시트를 체류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후처리 장치로의 상기 N매째 시트와 선행하는 (N-1)매째 시트 사이의 배지 간격이 상기 N매째 시트를 체류시킬 때의 배지 간격보다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후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정보는 시트 크기, 평량, 시트재 타입, 후처리 타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처리가 금지된 시트는,
    상기 시트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범위 밖인 시트,
    상기 시트 정보의 평량이 미리 결정된 평량의 범위 밖인 시트 및
    상기 시트 정보의 시트재 타입이 인덱스 시트, OHP 시트, 폴딩(folded) 시트 중 하나인 시트,
    중 하나인, 후처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해 체류되는 시트에 시트 크기가 다른 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버퍼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후처리 장치.
  9. 제2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와,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시트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된 시트 반송 유닛과, 상기 시트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유닛과, 상기 시트 적재 유닛에 의해 적재된 시트 번들에 대해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시트를 수취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적재 유닛까지 연장되는 시트의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후처리 유닛에 의한 상기 시트 번들에 대한 후처리 중에 다음 시트 번들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까지 1매 이상의 시트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고, 체류된 상기 1매 이상의 시트와 후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버퍼 처리하도록 구성된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후처리 장치의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각각의 시트에 관한 시트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후처리 장치의 제어 유닛이, 상기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한 시트의 체류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매수의 시트 중 N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와 (N+1)매째 시트의 시트 정보에 기초하여 N매째 시트를 체류시킬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0110043578A 2010-05-18 2011-05-09 시트 버퍼 장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50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4709 2010-05-18
JPJP-P-2010-114709 2010-05-18
JPJP-P-2011-083126 2011-04-04
JP2011083126A JP5486544B2 (ja) 2010-05-18 2011-04-04 シートバッファ装置、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後処理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69A KR20110127069A (ko) 2011-11-24
KR101350131B1 true KR101350131B1 (ko) 2014-01-09

Family

ID=4487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578A KR101350131B1 (ko) 2010-05-18 2011-05-09 시트 버퍼 장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73582B2 (ko)
EP (1) EP2397911B1 (ko)
JP (1) JP5486544B2 (ko)
KR (1) KR101350131B1 (ko)
CN (1) CN102295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6544B2 (ja) 2010-05-18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バッファ装置、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後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806750B2 (ja) * 2010-05-18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665450B2 (ja) * 2010-09-17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12749B2 (ja) * 2011-07-29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00718B2 (ja) * 2011-08-19 2016-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7627B2 (ja) * 2012-03-30 2014-11-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6047959B2 (ja) * 2012-07-06 2016-12-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846188B2 (ja) * 2013-12-16 2016-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455062B2 (ja) * 2014-10-14 2019-01-23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システム
US10286422B2 (en) * 2014-10-24 2019-05-14 Glory Lt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JP7003587B2 (ja) * 2017-11-10 2022-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7198130B2 (ja) 2019-03-22 2022-12-28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の収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208B2 (ja) * 1994-08-24 2004-03-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後処理制御方法
JP2004175553A (ja) 2002-11-29 2004-06-24 Ricoh Co Ltd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74622B2 (ja) * 2003-11-04 2005-07-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5708B2 (ja) 1995-08-09 2003-06-09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273465B2 (ja) * 1996-12-27 2002-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799124B2 (ja) * 1997-04-09 2006-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50725B2 (ja) * 1997-10-27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672586B2 (en) * 1999-07-23 2004-01-0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sheet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a therefor
JP2001097631A (ja) 1999-07-23 2001-04-10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シート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143446B2 (ja) * 2003-03-07 2008-09-03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58374B2 (ja) * 2003-03-07 2008-03-0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263457A (ja) * 2004-03-19 2005-09-29 Canon Inc 後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518925B2 (ja) * 2004-11-30 2010-08-0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5486544B2 (ja) 2010-05-18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バッファ装置、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後処理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208B2 (ja) * 1994-08-24 2004-03-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後処理制御方法
JP2004175553A (ja) 2002-11-29 2004-06-24 Ricoh Co Ltd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74622B2 (ja) * 2003-11-04 2005-07-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95183A (zh) 2011-12-28
CN102295183B (zh) 2014-07-02
US20140021675A1 (en) 2014-01-23
US20110285071A1 (en) 2011-11-24
EP2397911A1 (en) 2011-12-21
KR20110127069A (ko) 2011-11-24
JP2012003235A (ja) 2012-01-05
US8727331B2 (en) 2014-05-20
JP5486544B2 (ja) 2014-05-07
US8573582B2 (en) 2013-11-05
EP2397911B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131B1 (ko) 시트 버퍼 장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US7281707B2 (en) After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3937947B2 (ja) 挿入シートの供給装置、供給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JP5921108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3937915B2 (ja)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635162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method, and book-binding method
US667258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sheet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a therefor
JP37282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7438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905394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with an alignment-side determination feature
JP201402126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5580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シートインサート装置
JP5806750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83998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製本化方法
JP2010052919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68708B2 (ja) 画像形成装置、後処理方法およ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554665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45811A (ja) シート厚み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シート処理装置
JP200404546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300252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後処理制御方法
JP2004345810A (ja) シート厚み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シート処理装置
JP2004035228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30955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35227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3204418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