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654B1 -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654B1
KR101348654B1 KR1020120052846A KR20120052846A KR101348654B1 KR 101348654 B1 KR101348654 B1 KR 101348654B1 KR 1020120052846 A KR1020120052846 A KR 1020120052846A KR 20120052846 A KR20120052846 A KR 20120052846A KR 101348654 B1 KR101348654 B1 KR 101348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ize
cylindrical holder
sheet siz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708A (ko
Inventor
케이스케 미즈구치
마사아키 마루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6Identifica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급지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표시한다. 제 1 부재는 축방향으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구비하여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통형상 유지부를 구비한다. 제 2 부재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되고, 제 2 표시부 및 제 2 피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은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표시부를 상기 제 1 영역에 이르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피검지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이르게 한다.

Description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SIZE SETTING APPARATUS, PAP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출원은 2011년 5월 23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원 제2011-114769호를 의거로 하며,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본 개시는 급지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의 표시를 사용자에 대해서 행함과 아울러, 상기 급지 카세트를 구비한 급지 장치 내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시트 사이즈를 자동 인식시키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또는 이들의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처리가 행해지는 복수장의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를 구비한다. 통상, 다른 사이즈의 시트를 수용한 복수의 급지 카세트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어느 급지 카세트에 어느 사이즈의 시트가 수용되어 있는지를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장치 본체에 시트 사이즈를 자동 인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은 이들 양 기능을 실현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
종래 제안된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는 시트 사이즈의 표시부와, 이 표시부에 나타내어지는 사이즈마다 소정의 검지 센서에 의해 식별 가능한 검지 패턴부를 구비하는 다이얼식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이다. 사용자가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시트 사이즈에 따라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를 적정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의한 시트 사이즈의 표시와, 상기 검지 센서에 의한 시트 사이즈의 식별이 행해진다.
그런데,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는 시트로서는 「B5」, 「A4」, 「B4」, 「A3」 등의 정형 사이즈의 시트와, 이들 정형 사이즈 외의 시트(이하, "Other 시트"라고 함)가 있다. 종래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에서는 정형 시트와 Other 시트 사이의 변경이 단순한 다이얼 변경 조작으로 실행 가능하다. 이 때문에, 시트 사이즈가 「Other 시트」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오조작에 의해 간이하게 변경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통상, 급지 카세트에는 정형 사이즈의 시트에 대해서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센서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정형 시트간에서 사이즈 설정의 오조작이 생겨도 용이하게 수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Other 시트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 기능은 무효화되고, 사용자가 조작 패널 등으로부터 입력한 시트 사이즈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Other 시트와 정형 시트 사이에서 설정의 오조작이 생기면 그 수정에 수고를 요하게 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시트 사이즈의 설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한편, 시트 사이즈의 오설정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 급지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국면에 의한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는 급지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표시함과 아울러 소정의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에 상기 사이즈의 식별 정보를 부여한다. 상기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재는 축방향으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구비하여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통형상 유지부와,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제 1 영역에 유지되어 상기 시트의 제 1 사이즈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에 의한 상기 제 1 사이즈의 검지 동작의 대상이 되는 제 1 피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되는 부재이며, 상기 통형상 유지부에 맞물려지는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부에 연이어져 상기 시트의 제 2 사이즈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 사이즈의 검지 동작의 대상이 되는 제 2 피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부재는 또한,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와는 다른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표시부를 상기 제 1 영역에 이르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피검지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이르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급지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복사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모식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복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복사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의 제 1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 1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의 제 2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 2 부재를 다른 각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제 2 부재가 퇴피 자세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를 다른 각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제 2 부재가 표시 자세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를 다른 각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급지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복사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급지 장치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이들의 복합기 등이여도 좋고,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를 구비하는 장치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복사기(1)는 소위 몸통 내 배지형의 복사기이며, 화상 형성부(40) 및 급지부(60) 등이 내부에 구비된 상자형의 장치 본체(10)와, 장치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된 화상 판독부(20)와, 장치 본체(10)와 화상 판독부(20) 사이에 설치되고 화상 형성 후의 시트가 배출되며 이 시트 용지의 인출용으로 적어도 전방으로 개방된 배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0)의 앞면에는 상부에 배치된 개폐 커버(101)와, 개폐 커버(101) 아래에 상하 방향으로 적중해서 배치된 제 1, 제 2, 제 3, 제 4 급지 카세트(11,12,13,14)가 구비되어 있다. 개폐 커버(101)는 장치 본체(10)에 대해서 그 좌단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 좌측 방향을 향해서 개폐 가능하다. 한편,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는 장치 본체(10)에 대해서 각각 전방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 각각의 전방 우단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제 1, 제 2, 제 3, 제 4 창부(111,121,131,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창부를 향하며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의 내부에는 제 1, 제 2, 제 3, 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2,S3,S4)가 구비되어 있다. 제 1~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4)는 각각의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시트의 사이즈에 따라 사용자가 매뉴얼 조작으로 설정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모식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제 1~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4)는 각각 다이얼식으로 회동하는 시트 사이즈의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 1 창부(111)에 있어서 제 1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가 「A4」를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제 1 급지 카세트(11)에 A4 사이즈의 시트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제 1 급지 카세트(11)에 A4 사이즈의 시트를 세팅했을 때에 제 1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를 조작하여 제 1 창부(111)에 표시부의 「A4」부분이 대향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사용자는 제 1 창부(111)를 통해서 제 1 급지 카세트(11)에 A4 사이즈의 시트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 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스위치 장치(90)]가 제 1 급지 카세트(11)에 A4 사이즈의 시트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자동 인식할 수 있다.
제 2~제 4 급지 카세트(12~14)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다. 도 2에서는 제 2 창부(121)에 있어서 제 2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2)가 「B5」를, 제 3 창부(131)에 있어서 제 3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3)가 「A3」을, 제 4 창부(141)에 있어서 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4)가 「Other」를 각각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제 2 급지 카세트(12)에 B5 사이즈의 시트가, 제 3 급지 카세트(13)에 A3 사이즈의 시트가, 제 4 급지 카세트(14)에 정형 사이즈 이외의 다른 사이즈의 시트가 각각 수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들 사이즈 표시와 장치 본체(10)의 자동 인식이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로 돌아가서, 화상 판독부(20)는 배지부(30)를 위한 공간을 통해서 장치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20)는 장치 본체(10)의 상면 좌측에 배치된 지주부(102)와, 장치 본체(10)의 상면 후방측에 배치된 측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화상 판독부(20)는 복사되는 원고를 원고 판독 위치에 급지하고 이 후에 배지를 행하는 자동 원고 급지 유닛(20B)과, 상기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광학계를 갖는 스캐너 유닛(20A)을 포함한다(도 3).
배지부(30)는 화상 판독부(20)에서 판독된 원고 화상에 의거해서 장치 본체(10)에서 화상 형성된 용지가 배지되는 부위이며, 배지 트레이(31)와 배지구(32)를 포함하고 있다. 배지구(32)는 지주부(102)의 우측면[배지부(30)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화상 형성 후의 용지를 장치 본체(10)로부터 배출시키는 개구이다. 배지 트레이(31)는 이 배지구(32)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수취하기 위한 용지 수취면이다.
화상 판독부(20)의 앞면에는 조작부(50)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부(50)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의 조작 지시, 설정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는, 각종 복사 동작의 설정 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 가이드 정보 등을 표시함과 아울러 여러가지의 조작 버튼 등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기(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표시부(51)와, 사용자가 인쇄 실행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트 키(52)를 구비한 패널을 조작부(50)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 외에, 인쇄 부수 등의 입력을 접수하는 텐 키 등이 구비되어 있다.
계속해서, 복사기(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복사기(1)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사기(1)는 지주부(102)를 상면에 갖는 장치 본체(10), 화상 판독부(20), 배지부(30), 및 조작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치 본체(10)의 내부에는 급지부(60), 화상 형성부(40), 및 정착부(47)가 구비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20)는 스캐너 유닛(20A)과, 그 위에 배치된 자동 원고 급지 유닛(20B)으로 이루어진다. 스캐너 유닛(20A)은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노광 램프를 구비하는 이동 프레임체(21)를 그 내부에 포함한다. 이 외에,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스캐너 유닛(20A)에는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나, 이 CCD 센서에 상기 반사광을 인도하기 위한 광학계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스캐너 유닛(20A)의 상면에는 적재 원고의 판독용 제 1 플래튼 글래스(platen glass)(22)와, 자동 급지되는 원고의 판독용 제 2 플래튼 글래스(23)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 원고 급지 유닛(20B)은 판독해야 할 원고를 저류하는 급지 트레이와, 판독 후의 원고를 수취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자동 원고 급지 유닛(20B)은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원고 반송 기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원고를 제 2 플래튼 글래스(23)의 원고 판독 위치로 급송함과 아울러 판독 후의 원고를 배출부로 배출한다.
장치 본체(10)의 급지부(60)는 화상 형성부(40)에 대해서 시트의 급지를 행한다. 급지부(60)는 상술한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에 각각 대응하고, 각 사이즈의 시트가 수납되는 제 1~제 4 급지 저류부(110~140)와, 장치 본체(10)의 우측방부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입력 트레이(15)로 이루어지는 수동 급지부(150)를 구비한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제 1~제 4 급지 저류부(110~140)에는 시트 다발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커서나, 시트 다발을 탄발적으로 들어 올려서 후술하는 픽업 롤러(621~624)에 최상위의 시트를 접촉시키는 리프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급지부(60)로부터 화상 형성부(40) 및 정착부(47)를 통해 배지구(32)에 이르는 경로에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시트 반송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반송로는 제 1~제 4 급지 저류부(110~140)로부터 화상 형성부(40)에 이르는 제 1 시트 반송로(611), 수동 급지부(150)로부터 화상 형성부(40)에 이르는 제 2 시트 반송로(612), 및 화상 형성부(40)로부터 배지구(32)에 이르는 제 3 시트 반송로(613)를 포함한다.
제 1~제 4 급지 저류부(110~140)의 용지 인출측의 상부에는 수납되어 있는 시트를 1장씩 인출하기 위한 픽업 롤러(621,622,623,624)와, 그 하류측에 배치된 급지 롤러 쌍(631,632,633,63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급지 롤러 쌍(631,632,633,634)은 추출된 시트를 제 1 시트 반송로(611)에 보내주기 위한 것이다.
제 1 시트 반송로(611)에는 용지를 화상 형성부(40)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 롤러 쌍(641,642,643,64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 2 시트 반송로(612)에는 수동 공급된 시트를 받아들이는 급지 롤러(635)와, 이 수동 공급 시트를 화상 형성부(40)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 롤러 쌍(64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 1 시트 반송로(611)의 종단 위치에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40)의 전방에서 대기시키기 위한 레지스트 롤러 쌍(65)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시트 반송로(613)의 종단 위치에는 시트를 배지부(30)를 향해 반송(배출)하는 배출 롤러 쌍(66)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 롤러 쌍(66)을 따르도록 배지구(32)가 형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40)는 화상 판독부(20)에서 얻어진 원고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급지부(6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시트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화상 형성부(40)는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체 드럼(41)과, 이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을 따르도록 배치된 대전기(42), 노광 장치(43), 현상 장치(44), 전사 롤러(45) 및 클리닝 장치(46)를 포함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41)은 그 둘레면에 정전잠상, 및 이 정전잠상에 따른 토너 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감광체 드럼(41)으로서는 둘레면에 비정질 실리콘층이 적층된 비정질 실리콘 감광체 드럼이 적합하다. 대전기(42)는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을 일률적으로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43)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변조된 레이저광을 회전하고 있는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에 조사한다. 감광체 드럼(41) 둘레면의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은 전하가 소거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에 레이저광 조사 패턴에 따른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장치(44)는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에, 내장하는 현상 롤러를 통해서 토너를 공급한다. 감광체 드럼(41)에 토너가 공급되면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토너가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에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 장치(44)에는 도시 생략된 토너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현상 장치(44) 내의 토너가 다 소비되면 이 토너 용기로부터 토너가 보급된다.
전사 롤러(45)는 감광체 드럼(41)과 닙부를 구성하고, 그 닙부에 보내진 용지에 대해서 상기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 상을 전사시킨다. 감광체 드럼(41) 둘레면의 토너 상이 예컨대 플러스로 대전하고 있을 경우 전사 롤러(45)는 토너 상의 전하와 역극성인 마이너스의 전하를 시트에 부여한다. 클리닝 장치(46)는 전사 처리 후의 감광체 드럼(41)의 둘레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해서 청정화한다.
정착부(47)는 화상 형성부(40)에 의해 토너 상의 전사 처리가 실시된 시트에 가열에 의한 정착 처리를 실시한다. 정착부(47)는 내부에 통전 발열체가 장착된 히트 롤러(471)와, 이 히트 롤러(471)와 둘레면끼리가 대향 배치된 가압 롤러(472)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 처리 후의 시트는 구동 회전되는 히트 롤러(471) 및 가압 롤러(472) 사이의 닙부를 통과함으로써 히트 롤러(471)로부터의 열을 얻어 정착 처리가 실시된다. 그 후, 시트는 제 3 시트 반송로(613) 및 배출 롤러 쌍(66)을 거쳐 배지부(30)로 배출된다.
도 4는 복사기(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복사기(1)는 상기 복사기(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8)를 구비한다. 제어부(48)는, 예컨대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이나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부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제어부(48)는 조작부(50)에 부여되는 조작 지시에 따라 화상 판독부(20), 화상 형성부(40), 정착부(47) 및 급지부(60) 등을 구동시켜 시트에 대한 소정의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컨대, 화상 판독부(20)에 A4 사이즈의 원고 시트가 세팅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부(50)에 등배 복사 동작 실행의 조작 지시가 부여되었을 경우 제어부(48)는 급지부(60) 중 A4 사이즈의 시트를 수용하고 있는 급지 카세트[도 2의 예에서는 제 1 급지 카세트(11)]로부터 시트를 뽑아내고, 상기 A4 시트에 대해서 화상 형성부(40) 및 정착부(47)에 화상 형성 처리 및 정착 처리를 행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지부(60)에 시트 센서(67)와 복수의 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 장치(90)(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가 구비되고, 제어부(48)는 기능적으로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센서(67)는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제 1 ~제 4 급지 저류부(110~140)] 각각에 대해서 설치되고, 그 안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에 따른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시트 센서(67)로서는, 예컨대 급지 카세트 내의 커서 등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광 반사체 또는 광 차폐체를 검지 요소로 한 광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시트 센서(67)가 식별 가능한 시트 사이즈는, 예컨대 「A5」, 「A4」, 「A3」, 「B5」, 「B4」, 「LT」(letter-size)이다.
스위치 장치(90)는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 1~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4)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각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4)에 의해 형성되는 시트 사이즈 식별을 위한 검지 패턴을 검지한다. 즉, 스위치 장치(9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트 사이즈에 대한 식별 정보를 검지하여 이 검지한 시트의 사이즈에 따른 제 2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는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 각각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판정하고, 제어부(48)가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할 때에 있어서의 급지 카세트 선택 등을 위해 필요한 시트 사이즈 정보를 제공한다. 이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에는 시트 센서(67)가 출력하는 상기 제 1 검출 신호와, 스위치 장치(90)가 출력하는 상기 제 2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제 1~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4)에 의해 설정 가능한 시트 사이즈는, 예컨대 「A5」, 「A4」, 「A3」, 「B5」, 「B4」, 「LT」 등의 정형 사이즈의 시트, 및 정형 사이즈 외의 「Other」이다.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는 상기 제 2 검출 신호가 정형 사이즈의 시트를 나타내는 것일 경우 상기 제 1 검출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사이즈와 상기 제 2 검출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사이즈를 대비한다. 양자가 일치하고 있을 경우 얻어진 사이즈가 시트 사이즈 정보로서 제공된다. 한편, 양자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는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조작부(50)의 패널[조작 표시부(51)]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에 대해서, 상기 제 2 검출 신호가 「Other」를 나타내는 것일 경우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는 시트 센서(67)로부터 부여되는 상기 제 1 검출 신호를 무효화하고, 조작부(50)의 패널에 시트 사이즈의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시트 사이즈 정보의 커스텀 입력을 재촉한다. 이 커스텀 입력은, 예컨대 「LDR」, 「LGL」, 「Folio」, 「EXEC」 등의 일본국 내에서는 비교적 이용되지 않는 규격의 선택 입력, 또는,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설정하는 시트 폭 및 시트 길이의 수치 입력이다. 시트 사이즈 정보가 조작부(50)에 입력되면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는 그 시트 사이즈 정보를 제어부(48)에 제공한다.
계속해서, 도 5~도 12에 의거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의 구체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제 1~제 4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1~S4)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이하, 이들을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로서 설명한다. 도 5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의 제 1 부재(7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제 1 부재(7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의 제 2 부재(8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제 2 부재(80)를 다른 각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의 사시도이며, 제 2 부재(80)가 퇴피 자세(T1)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9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를 다른 각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의 사시도이며, 제 2 부재(80)가 표시 자세(T2)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는 도 11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를 다른 각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에 각각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표시함과 아울러 스위치 장치(90)에 시트 사이즈의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장치이다.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는 제 1 부재(70)와, 이 제 1 부재(7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부재(80)로 이루어진다.
제 1 부재(70)는 통형상 유지부(71), 제 1 표시부(72), 제 1 피검지부(73), 리브(74), 및 다이얼 조작부(75)를 포함한다. 통형상 유지부(7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체이며, 그 내부에는 축 구멍(710)이 형성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 내에 세워 설치된 회전 지축(도시 생략)에 축 구멍(710)이 관통됨으로써 제 1 부재(70)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 1 부재(70)에는 도시 생략된 래칫 기구가 부설되어 일정한 회전 각도마다 클릭감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 유지부(71)의 상단에는 다이얼 조작부(75)가 배치되고, 그 아래쪽에는 제 1 표시부(72)가 배치되는 제 1 영역(Y1)이, 이 제 1 영역(Y1)의 아래쪽에는 제 1 피검지부(73)가 배치되는 제 2 영역(Y2)이 설정되어 있다. 제 2 영역(Y2)의 아래쪽의 제 3 영역(Y3)에 있어서는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 3 영역(Y3)의 둘레면에 있어서 리브(74)가 상하 방향(축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영역(Y2)으로부터 제 3 영역(Y3)에 걸쳐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에는 표시 자세(T2)로 설정된 상태의 제 2 부재(8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711)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7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편(712)과, 이 지지편(712)에 하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 클로(713)로 이루어진다. 지지편(712)은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의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슬릿(714)에 의해 형성된 가늘고 길며 스프링성을 구비한 부재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제 1 표시부(72)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제 1 영역(Y1)에 있어서 유지되고, 정형 사이즈(제 1 사이즈)의 시트 사이즈를 표시하는 원통형의 표시 외주면을 구비한다. 제 1 표시부(72)의 상기 표시 외주면에는 「A5」, 「A4」, 「A3」, 「B5」, 「B4」, 「LT」 등의 범용 정형 사이즈(이들은 사용이 예정되는 나라나 지역에 따라 다름)의 사이즈 표시 기호가 프린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 폭의 개별 영역(R1,R2,R3,R4…)이 복수개 설정된다. 예컨대 개별 영역은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을 45도마다 띠형상으로 구획한 8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 개별 영역(R1,R2,R3,R4…)의 구획에 대응한 제 1 표시부(72)의 표시 외주면에 사이즈 표시 기호가 각각 프린팅되어 있다. 도 6에서는 개별 영역(R1)에 대응하는 제 1 표시면(72R1)에 「A3」이라는 사이즈 표시 기호가 프린팅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개별 영역(R2)에 대응하는 제 2 표시면(72R2)에는 「B4」, 개별 영역(R3)에 대응하는 제 3 표시면(72R3)에는 「A4」의 사이즈 표시 기호가 프린팅되어 있다. 또한, 개별 영역(R4)에 대응하는 제 4 표시면(72R4)에는 사이즈 표시 기호가 프린팅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제 4 표시면(72R4)의 영역에 있어서는 제 2 부재(80)의 제 2 표시부(82)에 의한 표시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 1 피검지부(73)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제 2 영역(Y2)에 형성되고, 스위치 장치(90)에 의한 상기 정형 사이즈의 검지 동작의 대상이 되는 부분이다. 제 1 피검지부(73)는 후술하는 복수의 접점 스위치(91,92,93)를 구비한 스위치 장치(90)에 의한 시트 사이즈의 식별을 위해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검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개별 영역(R1,R2,R3,R4…)의 구획에 대응해서 제 1 피검지부(73)에는 제 1, 제 2, 제 3,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1,73R2,73R3,73R4)이 설정되어 있다. 각 패턴 형성 영역(73R1,73R2,73R3,73R4)에는 각각의 바로 위의 표시면(72R1,72R2,72R3,72R4)에 표시된 시트 사이즈마다 미리 설정된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이 요철 형상의 형성하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내는 제 2 영역(Y2)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3단으로 구획되고, 3개의 요철 형성 단위(P1,P2,P3)가 설정되어 있다. 이 요철 형성 단위(P1,P2,P3)로 볼록면 및 오목면이 형성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검지 패턴이 형성된다. 예컨대, 개별 영역(R1)에 대응하는 제 1 패턴 형성 영역(73R1)에 있어서는 요철 형성 단위(P1,P2,P3) 모두가 볼록면으로 되어 있다. 볼록면을 ○(ON), 오목면을 ×(OFF)로 표현하면 이 제 1 패턴 형성 영역(73R1)은 「○○○」의 검지 패턴을 나타내고, 이 검지 패턴이 스위치 장치(90)에 있어서 검출되었을 때 상술한 시트 사이즈 판정부(481)는 「A3」 사이즈의 시트가 상기 급지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다는 취지의 상기 제 2 검지 신호를 수취하게 된다.
개별 영역(R2)에 대응하는 제 2 패턴 형성 영역(73R2)에 있어서는 요철 형성 단위(P1 및 P3)가 볼록면으로 되고, 요철 형성 단위(P2)는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별 영역(R3)에 대응하는 제 3 패턴 형성 영역(73R3)에 있어서는 요철 형성 단위(P1)만이 볼록면으로 되고, 요철 형성 단위(P2 및 P3)는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 패턴 형성 영역(73R2)은 「○×○」, 제 3 패턴 형성 영역(73R3)은 「○××」의 검지 패턴을 나타내고 있고, 이들 검지 패턴이 각각 「B4」 사이즈의 시트 및 「A4」 사이즈의 시트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된다. 이상의 제 1, 제 2, 제 3 패턴 형성 영역(73R1,73R2,73R3)은 시트 사이즈 식별을 위한 검지 패턴을 형성하는 요철 형상부이다. 이에 대해서, 개별 영역(R4)에 대응하는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수용부)에는 볼록면(검지 패턴)이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이 제 2 부재(80)의 제 2 피검지부(83)의 진입을 허용하고, 「Other」 시트용 검지 패턴의 형성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다.
여기서, 제 1 피검지부(73)에 있어서 8개의 개별 영역(R1~R8)과, 3개의 요철 형성 단위(P1~P3)로 형성할 수 있는 요철 검지 패턴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가지이다. 표 1에 있어서 상기 게시한 예와 같이 ○는 볼록면, ×는 오목면을 나타낸다.
개별 영역 P1 P2 P3
R1
R2 ×
R3 × ×
R4 × ×
R5 × × ×
R6 ×
R7 × ×
R8 ×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별 영역(R4)의 검지 패턴[요철 형성 단위(P3)만이 볼록면]은 제 1 부재(70)의 제 1 피검지부(73)가 아니라 다음에 설명하는 제 2 부재(80)의 제 2 피검지부(83)의 볼록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한편, 개별 영역(R5)은 모두가 오목면인 것을 검지 패턴으로 하는 것이 예정된 영역이다. 따라서, 제 1 피검지부(73)에 있어서 개별 영역(R4)에 대응하는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 및 개별 영역(R5)에 대응하는 제 5 패턴 형성 영역(도 6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 쌍방 모두 요철 형성 단위(P1~P3) 모두가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리브(74)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상하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볼록 조이다. 리브(74)의 하단 가장자리(741)(규제부)는 통형상 유지부(71)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제 1 피검지부(73)의 요철 형상부에 연접하고 있다. 하단 가장자리(741)는 통형상 유지부(71)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제 2 부재(80)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한편, 통형상 유지부(71)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와는 다른 소정의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리브(74)는 제 2 부재(80)의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이얼 조작부(75)는 사용자가 시트 사이즈 설정을 위해서 제 1 부재(70)를 통형상 유지부(71)의 축 주위에서 회전시킬 때에 조작하는 부분이다. 다이얼 조작부(75)는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내지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 작은 돌기가 환상으로 연접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부재(80)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축방향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제 1 부재(70)에 장착되는 부재이며,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81), 제 2 표시부(82) 및 제 2 피검지부(83)를 구비한다.
맞물림부(81)는 제 1 부재(70)의 통형상 유지부(71)에 맞물려지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물림부(81)는 상면으로 봤을 때에 사각형의 평판 형상 프레임 부재(810)와, 이 프레임 부재(810)의 중앙부에 천공된 관통 구멍(8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관통 구멍(811)에는 통형상 유지부(71)가 관통되고(도 9~도 12 참조), 이것에 의해, 제 2 부재(80)는 제 1 부재(70)와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형상 유지부(71)의 축방향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통 구멍(811)은 대략 원형의 구멍이지만 상기 관통 구멍(811)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810)의 내주벽은 2개의 부분적인 대경부(812,813)(제 2 부분)와, 이들보다 직경이 작은 소경부(814)(제 1 부분)로 구성되어 있다(도 8). 소경부(814)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맞물림부(81)가 통형상 유지부(71)의 제 3 영역(Y3)(도 5)에 감합된 상태에서 소경부(814)가 리브(74)의 세움 설치 위치에 대향하고 있으면 소경부(814)는 리브(74)의 하단 가장자리(741)와 간섭한다. 대경부(812,813)는 리브(74)의 세움 설치 높이를 포함한 통형상 유지부(71)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다. 이 때문에, 대경부(812,813)가 리브(74)의 세움 설치 위치에 대향하고 있으면 간섭은 생기지 않는다.
즉, 제 1 부재(70)[통형상 유지부(71)]의 회전 위치에 의해 제 2 부재(80)[맞물림부(81)]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이동의 규제 및 그 규제 해제가 행해진다. 통형상 유지부(71)의 리브(74)와 소경부(814)가 대향하는 회전 위치(제 1 회전 위치)에 통형상 유지부(71)가 있을 때 소경부(814)가 리브(74)의 하단 가장자리(741)와 간섭하므로 제 2 부재(80)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퇴피 자세(T1)의 상태로부터 축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을 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리브(74)와 대경부(812 또는 813) 중 어느 하나가 대향하는 회전 위치(제 2 회전 위치)에 통형상 유지부(71)가 있을 때 제 2 부재(80)는 퇴피 자세(T1)로부터 축방향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표시 자세(T2)의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축방향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 대경부(812 또는 813)는 리브(74)에 의해 가이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형상 유지부(71)로의 리브(74)의 세움 설치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 2 부재(80)의 축방향 이동 규제와, 제 2 부재(80)의 축방향 이동시의 가이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82)는 정형 사이즈 외(제 2 사이즈)의 시트 사이즈를 표시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표시부(82)는 「Other」를 표시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제 2 표시부(82)는 제 1 표시부(72)의 원통 곡면에 대략 합치된 곡면을 갖는 수직판(820)을 포함한다. 맞물림부(81)의 한쪽 측변에 이 수직판(820)의 하단이 연이어져 있다. 수직판(820)의 상방부 표면(도 7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는 면)에 표시 영역(821)이 설치되고, 이 표시 영역(821)에 「OTHER」라는 사이즈 표시 기호가 프린팅되어 있다. 또한, 수직판(820)의 양쪽측 가장자리에는 스페이서 리브(822)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 2 피검지부(83)는 제 2 부재(80)가 표시 자세(T2)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90)에 의한 시트 사이즈의 검지 대상이 되는 부분이다. 제 2 피검지부(83)는 맞물림부(81)의 다른쪽 측변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간섭 편(831)을 포함한다. 간섭 편(831)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부재(70)의 제 1 피검지부(73)에 진입 가능하고, 요철 형성 단위의 하나를 볼록면으로서 메우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편(831)[제 2 피검지부(83)]은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의 요철 형성 단위(P3)에 진입 가능하고, 이 요철 형성 단위(P3)에 진입한 상태[표시 자세(T2)]에 있어서 볼록면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즉, 간섭 편(831)은 「Other」 사이즈용 검지 패턴을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에 있어서 형성한다. 간섭 편(831)의 꼭대기면은 사용자가 제 2 부재(8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조작면(832)으로 되어 있다. 간섭 편(831)의 하면은 사용자가 제 2 부재(8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부분이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스위치 장치(90)는 검지 대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피검지부(73,83)가 형성하는 검지 패턴의 볼록면]과의 간섭 동작에 의해 출몰하는 3개의 접점 스위치(91,92,93)를 포함한다. 접점 스위치(91,92,93)는 하우징(94)에 의해 유지되고, 검지 대상에 접촉하면 하우징(94) 내에 내려앉고, ON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검지 대상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점 스위치(91,92,93)는 ON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OFF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장치(90)는 급지 카세트의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의 설치 위치에 근접해서 장치 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94)의 상하에는 장치 본체(10)에 스위치 장치(90)를 장착하기 위한 록킹 편(95,96)이 부설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9~도 12를 참조해서 제 2 부재(80)의 자세 변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제 2 부재(80)가 퇴피 자세(T1)인 상태이며, 제 1 부재(70)[통형상 유지부(71)]의 회전 위치가 통형상 유지부(71)의 리브(74)와 맞물림부(81)의 대경부(812)가 대향하는 회전 위치(제 2 회전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퇴피 자세(T1)일 때 제 2 부재(8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최하위 위치에 맞물림부(81)의 관통 구멍(811)이 감합된 상태에서 제 1 부재(70)와 맞물려져 있다.
퇴피 자세(T1)에 있어서 제 2 표시부(82)는 제 1 표시부(72)의 하방으로 퇴피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영역으로 말하면 제 2 영역(Y2)에 제 2 표시부(82)의 표시 영역(821)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제 4 급지 카세트(11~14)의 제 1~제 4 창부(111~141)(도 2)에는 제 1 표시부(72)의 표시가 나타나고, 제 2 표시부(82)의 표시는 표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피검지부(83)는 제 1 피검지부(73) 하방의 제 3 영역(Y3)으로 퇴피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피검지부(83)[간섭 편(831)]는 스위치 장치(90)에 대한 검지 패턴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9 및 도 10의 상태와는 달리, 통형상 유지부(71)의 회전 위치가 통형상 유지부(71)의 리브(74)와 맞물림부(81)의 소경부(814)가 대향하는 회전 위치(제 1 회전 위치)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소경부(814)의 상측 가장자리부와 리브(74)의 하단 가장자리(741)가 간섭하므로 제 2 부재(80)의 축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은 규제된다. 이에 대해서, 통형상 유지부(71)가 제 2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2 부재(80)가 통형상 유지부(71)를 따라 축방향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즉, 리브(74)와 대경부(812)가 위치 맞춤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피검지부(83)의 받아들임을 위해서 준비되어 있는 제 1 피검지부(73)의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과 제 2 피검지부(83)가 위치 맞춤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제 2 부재(80)가 표시 자세(T2)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자세(T2)에 있어서 맞물림부(81)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제 3 영역(Y3)의 최상위까지 이동한다. 제 2 표시부(82)는 제 1 영역(Y1)까지 이르고, 제 1 표시부(72)를 덮어서 숨겨 그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 자세(T2)에서는 제 1~제 4 창부(111~141)(도 2)에는 제 2 표시부(82)의 표시 영역(821)이 위치하고, 「OTHER」의 프린팅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제 2 피검지부(83)는 통형상 유지부(71)의 제 2 영역(Y2)에 이르고, 스위치 장치(90)에 대한 검지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제 4 패턴 형성 영역(73R4)에 제 2 피검지부(83)가 진입하고, 요철 형성 단위(P3)에 있어서 볼록면을 구성하고 있다. 스위치 장치(90)의 최하위의 접점 스위치(93)는 제 2 피검지부(83)에 접촉함으로써 밀어내려진다. 이에 따라, 상기 게시된 표 1에 나타내는 개별 영역(R4)의 검지 패턴 「××○」를 나타내는 신호를 스위치 장치(90)가 출력하게 된다.
표시 자세(T2)에 있어서 제 2 부재(80)는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에 설치된 탄성 지지부(711)의 지지 클로(713)에 의해 지지된다(도 1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맞물림부(81)가 상승할 때 소경부(814)의 내주벽이 지지 클로(713)와 간섭해서 지지편(712)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맞물림부(81)가 통형상 유지부(71)의 제 3 영역(Y3)의 최상위까지 이동하면 소경부(814)의 내주벽에 의한 지지 클로(713)의 압박은 해제되고, 지지편(712)의 탄성 변형이 복원된다. 이에 따라, 지지 클로(713)는 맞물림부(81)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고, 제 2 부재(80)가 표시 자세(T2)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 지지부(711)에 의해 제 2 부재(80)의 상승 위치에서의 유지와, 그 해제를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80)가 끌어 올려질 때 리브(74)와 맞물림부(81)의 대경부(812)[또는 대경부(813)]가 맞물리므로 맞물림부(81)는 리브(74)에 의해 그 상승 이동이 가이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2 부재(80)의 끌어올림을 행할 때 제 2 부재(80)가 통형상 유지부(71)의 축 주위에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80)가 표시 자세(T2)로 설정된 후는 리브(74)와 대경부(812)의 맞물림에 의해 통형상 유지부(71)의 축주위에서의 회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리브(74)는 제 2 표시부(82)가 제 1 영역(Y1)에 이르고 제 2 피검지부(83)가 제 2 영역(Y2)에 이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통형상 유지부(71)의 축주위에서의 회전을 규제한다. 따라서, 표시 자세(T2)의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이얼 조작부(75)를 조작해서 통형상 유지부(71)를 회전시키고자 하더라도 이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1의 사이즈의 시트로부터 다른 사이즈의 시트로의 오조작에 의한 설정 변경을 강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2 부재(80)를 표시 자세(T2)로부터 퇴피 자세(T1)로 복귀시킬 경우 사용자는 제 2 피검지부(83)[간섭 편(831)]의 꼭대기면의 조작면(832)을 밀어내리고, 지지 클로(713)를 내측으로 내려앉혀서 지지 상태를 해제시키면 좋다. 이에 따라, 제 2 부재(80)는 통형상 유지부(71)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 2 부재(80)가 퇴피 자세(T1)에 도달한 후에는 리브(74)와 대경부(812)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통형상 유지부(71)의 축주위에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는 정형 시트에 대한 제 1 표시부(72)에 의한 사이즈 표시 및 제 1 피검지부(73)에 의한 사이즈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에 의하면 다이얼 조작부(75)를 통해서 통형상 유지부(71)에 회전 조작이 부여됨으로써 시트 사이즈의 표시 및 스위치 장치(90)에 의한 시트 사이즈의 자동 검지 동작을 간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형 시트의 사이즈 표시와 검지 패턴의 형성을 행하는 제 1 부재(70)와, 「Other」 시트의 사이즈 표시와 검지 패턴의 형성을 행하는 제 2 부재(80)의 조합으로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가 구성되고, 제 2 부재(80)는 통형상 유지부(71)가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만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그 사이즈의 표시나 검지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작 스텝을 요하는 것 때문에 정형 시트와 「Other」 시트 사이의 시트 설정에 있어서 오조작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따라서, 시트 사이즈의 설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한편, 시트 사이즈의 오설정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S)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 1 부재(70)는 통형상 유지부(71)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 2 부재(80)는 리브(74)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제 1 부재(7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축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맞물림부(81)가 통형상 유지부(7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승한다. 이와 같이, 제 2 부재(8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부재(80)의 퇴피(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와, 표시 위치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피검지부(73,83)가 요철 형상을 갖고,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로서 상기 요철 형상에 의해 ON-OFF되는 스위치 장치(90)가 이용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 대신에, 예컨대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로서 광 센서를 이용하고, 제 1 및 제 2 피검지부(73,83)가 반사면과 광 흡수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검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여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로서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에 리브(7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리브(74)에 대경부(812)가 끼워 넣어지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 대신에, 통형상 유지부(71)의 둘레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맞물림부(81)의 관통 구멍(811)의 내주면에 볼록 조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들 홈과 볼록 조가 위치 맞춤되었을 때에 제 2 부재(80)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규제 부재의 형태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재(80)에 「Other」 시트의 사이즈 표시와 검지 패턴의 형성을 행하게 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일례이며, 예컨대 정형 시트의 하나 또는 복수를 제 2 부재(80)에 의한 사이즈 표시 및 검지 패턴 형성의 대상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시트 사이즈의 설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한편 시트 사이즈의 오설정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 급지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급지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표시함과 아울러 소정의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에 상기 사이즈의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로서:
    축방향으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구비하여 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통형상 유지부와,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제 1 영역에 유지되어 상기 시트의 제 1 사이즈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에 의한 상기 제 1 사이즈의 검지 동작의 대상이 되는 제 1 피검지부를 구비하는 제 1 부재, 및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되는 부재이며, 상기 통형상 유지부에 맞물려지는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부에 연이어져 상기 시트의 제 2 사이즈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 사이즈의 검지 동작의 대상이 되는 제 2 피검지부를 구비하는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와는 다른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표시부를 상기 제 1 영역에 이르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피검지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이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축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리브이고,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브의 끝 가장자리와 간섭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브를 따라 가이드되는 것이 가능한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제 2 표시부가 상기 제 1 영역에 이르고 또한 상기 제 2 피검지부가 상기 제 2 영역에 이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축주위에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는 검지 대상과의 간섭 동작에 의해 출몰하는 복수의 접점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피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접점 스위치에 의한 시트 사이즈 식별을 위한 검지 패턴을 형성하는 요철 형상부와, 상기 검지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피검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진입 가능한 간섭 편이며, 이 간섭 편은 상기 제 2 영역에 이른 상태에서 상기 검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통형상 유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규제부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축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통형상 유지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승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상기 통형상 유지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7.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와,
    제 1 항에 기재된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와,
    상기 제 1 피검지부 또는 상기 제 2 피검지부에 대해서 검지 동작을 행하여 상기 급지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의 사이즈를 검지하는 시트 사이즈 검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8. 제 7 항에 기재된 급지 장치와,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52846A 2011-05-23 2012-05-18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48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4769A JP5364757B2 (ja) 2011-05-23 2011-05-23 シートサイズ設定装置、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1-114769 2011-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708A KR20120130708A (ko) 2012-12-03
KR101348654B1 true KR101348654B1 (ko) 2014-01-08

Family

ID=4665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46A KR101348654B1 (ko) 2011-05-23 2012-05-18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44140B2 (ko)
EP (1) EP2527277B1 (ko)
JP (1) JP5364757B2 (ko)
KR (1) KR101348654B1 (ko)
CN (1) CN1027954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0808B2 (ja) * 2011-11-28 2014-08-2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07692B2 (ja) * 2012-09-13 2016-10-12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48295B2 (ja) * 2013-09-26 2016-07-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サイズ設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5957432B2 (ja) * 2013-11-14 2016-07-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64A (ja) * 1992-06-24 1994-01-18 Canon Inc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92346A (ja) * 1998-04-15 1999-10-26 Canon Inc シート材検知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722B2 (ja) * 1991-01-09 2000-04-1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カセット装置
US5839047A (en) * 1992-01-28 1998-11-17 Fujitsu Limited Sheet-size detection mechanism for sheet cassettes and image-forming-apparatus using the same
JP2923207B2 (ja) * 1994-07-22 1999-07-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用紙サイズ検出機構
US5572310A (en) * 1996-01-24 1996-11-05 Hewlett-Packard Company Universal media size dial
JP3805293B2 (ja) * 2002-09-09 200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68956B2 (ja) 2002-12-27 2008-03-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サイズ設定装置
JP2005228490A (ja) * 2004-02-10 2005-08-25 Canon Finetech Inc 回転式スイッ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12882B2 (ja) * 2005-09-27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カセット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17121A (ja) * 2006-02-16 2007-08-30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02425A (ja) * 2006-05-12 2007-11-22 Kyocera Mita Corp 表示装置、用紙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63045A (ja) * 2008-04-23 2009-11-12 Kyocera Mita Corp 用紙サイズ検知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用紙供給装置
JP2011114769A (ja) 2009-11-30 2011-06-09 Nikon Corp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64A (ja) * 1992-06-24 1994-01-18 Canon Inc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92346A (ja) * 1998-04-15 1999-10-26 Canon Inc シート材検知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7277B1 (en) 2014-12-31
US8444140B2 (en) 2013-05-21
EP2527277A1 (en) 2012-11-28
KR20120130708A (ko) 2012-12-03
US20120299237A1 (en) 2012-11-29
CN102795490A (zh) 2012-11-28
JP2012240821A (ja) 2012-12-10
JP5364757B2 (ja) 2013-12-11
CN102795490B (zh)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297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08017564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48654B1 (ko) 시트 사이즈 설정 장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42784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59156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detecting recording paper presence/absence, paper feed cassette attaching/detaching, and lift plate reaching rising stop posi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528390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56065A (ja) 画像形成装置
US7848676B2 (en) Internal output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32793A1 (en) Recording medium delivery mechanism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JP5899157B2 (ja) 画像形成装置
JP588163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08626A (ja) 画像形成装置
JP616153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H02110028A (ja) 給紙装置
JP20062035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0862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38249A (ja) 画像形成装置
JP6319131B2 (ja) 画像形成装置
JP4532981B2 (ja) 稼働中の取り出しのための安全遮蔽機構を有するシート複写原稿作成マシン
JP568367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399189A1 (en) Sheet ejection device, sheet post-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150246785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749066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読取用プログラム
JP2006151667A (ja) 画像形成装置
JP4575523B1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