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13B1 -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13B1
KR101348313B1 KR1020100133593A KR20100133593A KR101348313B1 KR 101348313 B1 KR101348313 B1 KR 101348313B1 KR 1020100133593 A KR1020100133593 A KR 1020100133593A KR 20100133593 A KR20100133593 A KR 20100133593A KR 101348313 B1 KR101348313 B1 KR 10134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va
fermentation
extract
mixed solution
fermentation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872A (ko
Inventor
박선희
김문동
Original Assignee
김문동
박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동, 박선희 filed Critical 김문동
Priority to KR102010013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구아바를 열수추출(Hot-water extraction)하여 얻어지는 구아바추출액에 매실(梅實), 포도, 연(蓮), 구아바(Guava) 등 식용 과일, 한약재, 채소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를 발효시켜 추출한 제1발효액을 첨가·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발효시킴으로써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간편하게 음용하거나 음식의 조리시 풍미감을 높일 수 있는 조미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식품 및 생활활력식품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장품, 의약품 등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응용범위를 한층 확장시킴으로써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매실, 포도, 연, 구아바 등 식용과일, 한약재, 채소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 30∼80중량%와 황설탕이나 꿀 20∼70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3∼6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1발효액을 추출하는 제1발효액 추출단계와; 용기에 구아바와 물을 각각 1:0.5∼1:5의 비율로 넣은 후 60∼120℃의 온도로 1.5∼72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열수추출하여 3∼30brix 농도의 구아바추출액을 얻는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진 구아바추출액 50∼97vol%와 제1발효액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제1발효액 3∼50vol%를 혼합하는 구아바추출액 혼합단계와; 상기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용기에 넣고 60∼120℃의 온도로 2∼7시간 동안 가열하는 혼합액 가열단계와; 상기 혼합액 가열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5∼30℃로 냉각시키는 혼합액 냉각단계와; 상기 혼합액 냉각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발효용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2개월∼3년 동안 발효시키는 혼합액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FERMENTED EXTRACT OF GUAVA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아바(Guava)를 열수추출(Hot-water extraction)하여 얻어지는 구아바추출액에 매실(梅實), 포도, 연(蓮), 구아바(Guava) 등 식용 과일, 한약재, 채소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를 발효시켜 추출한 제1발효액을 첨가·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발효시킴으로써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간편하게 음용하거나 음식의 조리시 풍미감을 높일 수 있는 조미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식품 및 생활활력식품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장품, 의약품 등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응용범위를 한층 확장시킴으로써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아바(Guava)는 다음의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멕시코 원산의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그 과실은 잼이나 젤리의 원료가 되며 잎은 차 대용으로, 수피나 근피는 수렴제나 염료로 이용되는 것이다.
Figure 112010085300539-pat00001
그림 1. 구아바 나무 및 열매
구아바에는 구아바 폴리페놀 성분이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해 주어 당뇨병 예방 및 개선에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은 아토피 치료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구아바의 건조시킨 잎에는 비타민B, 비타민C와 비타민U로 불리는 비타민 모양 물질도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비타민U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해 위점막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위궤양을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구아바의 탄닌성분은 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해주어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외에도 구아바의 탄닌성분이 정장작용을 해 변비와 설사에 좋으며, 구아바는 비타민C, 마그네슘, 칼륨,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아바의 효능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구아바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이나 건강식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대부분의 경우 구아바를 갈아 즙을 내어 만든 구아바주스로 국한되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구아바주스 등 구아바를 이용하여 만든 건강식품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변질되거나 부패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면서 유통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아바를 열수추출(Hot-water extraction)하여 얻어지는 구아바추출액에 매실(梅實), 포도, 연(蓮), 구아바(Guava) 등 식용과일, 한약재, 채소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를 발효시켜 추출한 제1발효액을 첨가·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발효시키는 새로운 구아바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간편하게 음용하거나 음식의 조리시 풍미감을 높일 수 있는 조미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식품 및 생활활력식품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장품, 의약품 등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응용범위를 한층 확장시킴으로써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아바 발효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발효액의 제조방법은 매실, 포도, 연, 구아바 등 식용과일, 한약재, 채소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 30∼80중량%와 황설탕이나 꿀 20∼70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3∼6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1발효액을 추출하는 제1발효액 추출단계와; 용기에 구아바와 물을 각각 1:0.5∼1:5의 비율로 넣은 후 60∼120℃의 온도로 1.5∼72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열수추출하여 3∼30brix의 농도의 구아바추출액을 얻는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진 구아바추출액 50∼97vol%와 제1발효액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제1발효액 3∼50vol%를 혼합하는 구아바추출액 혼합단계와; 상기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용기에 넣고 60∼120℃의 온도로 2∼7시간 동안 가열하는 혼합액 가열단계와; 상기 혼합액 가열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5∼30℃로 냉각시키는 혼합액 냉각단계와; 상기 혼합액 냉각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발효용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2개월∼3년 동안 발효시키는 혼합액 발효단계와; 상기 혼합액 발효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구아바 발효액을 단위 용량별 용기에 주입하여 포장하는 구아바 발효액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는 구아바에 인삼이나 홍삼 또는 기타 동/식물성 식재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식재나 2이상의 식재를 1 : 0.2∼1: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발효액은 상기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구아바추출액 50∼97vol%와 제1발효액 3∼50vol%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구아바 발효액에는 매실, 포도, 연 등 식용과일, 한약재, 채소류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제1발효액이 첨가되기 때문에 상기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가열하고 냉각시킨 후 발효과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구아바 발효액 또한 제1발효액의 원재료의 풍미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바로 음용(飮用)할 수 있어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해 주어 당뇨병을 예방하고, 탄닌성분이 정장작용을 하면서 변비와 설사에 좋으며, 비타민C, 마그네슘, 칼륨,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작용을 하는 구아바 고유의 효능이 전혀 저감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아바 발효액은 고유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건강식품 이외에 화장품, 비누,샴푸 등의 미용제품이나 상처치유용의 항균 및 살균제품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슴에 따라 제1발효액의 원료가 되는 매실, 포도, 연, 구아바 재배농가 및 구아바가공식품 업체의 소득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발효액의 제조방법은 제1발효액 추출단계와,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와, 구아바추출액 혼합단계와, 혼합액 가열단계와, 혼합액 냉각단계와, 혼합액 발효단계 및 구아바 발효액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발효액 추출단계에서는 매실이나 포도 또는 연이나 구아바 등 식용과일, 한약재, 채소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 30∼80중량%와 황설탕이나 꿀 20∼70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3∼6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1발효액을 추출한다.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는 깨끗하게 세척한 구아바를 용기에 넣고 깨끗한 물을 첨가한 상태에서 60∼120℃의 온도로 1.5∼72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열수추출하여 구아바추출액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상기 최종 구아바추출액의 농도가 3∼30brix 되도록 구아바에 대한 물의 첨가비율을 1:0.5∼1:5의 범위내에서 조절한다.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는 구아바에 인삼이나 홍삼 또는 기타 동/식물성 식재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식재나 2이상의 식재를 1:0.2∼1: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구아바추출액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아바추출액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진 구아바추출액 50∼97vol%와 매실이나 포도 또는 연이나 구아바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재료를 발효시켜 얻어진 제1발효액 3∼50vol%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또, 상기 혼합액 가열단계에서는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60∼120℃의 온도로 2∼7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혼합액 냉각단계에서는 혼합액 가열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5∼30℃로 냉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혼합액 발효단계에서는 냉각된 상태의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발효용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2개월∼3년 동안 발효시키게 되는데, 이 같은 발효단계를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발효액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조된 구아바 발효액을 파우치 또는 병(甁) 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용량별 용기에 주입하여 포장한다.
본 발명의 제1발효액의 원료중 하나인 매실은 다음의 그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실나무의 열매로서, 「본초강목」에서 '매실은 맛이 시고, 무독하며, 간과 담을 다스리고, 근을 튼튼히 하며 혈액을 정상으로 만든다. 또, 내장의 열을 다스리고 갈증을 조절하며, 토사곽란을 멈추게 하고 사지통증을 멈추게 한다....'라고 적고 있는 바와 같이, 예로부터 살균, 해독작용이 뛰어나 물의 독, 음식의 독, 몸 속의 독을 풀어주며 식중독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 민간 요법에 널리 이용되었다.
Figure 112010085300539-pat00002
그림 2. 매실
또, 매실에는 레몬의 15배에 해당되는 풍부한 구연산이 함유되어 있고, Ca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운동수행시 체내 신진대사의 활성화, 노폐물 제거, 젖산생성억제 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발효액의 원료중 하나인 포도는 다음의 그림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도속(Vitis) 식물의 그 열매를 일컫는 것으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도 먹을 수 있는 과일이며, 포도주, 주스, 젤리, 건포도 등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Figure 112010085300539-pat00003
그림 3. 포도
이와 같은 포도에는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조혈 작용을 해 임산부, 여성에게 일어나기 쉬운 빈혈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레스케라트콜 성분이 암세포 억제기 때문에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체내에서 흡수가 빠른 포도당과 과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포도에 함유되어 있는 칼륨(K)은 이뇨(利尿)작용을 돕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부종을 가라 앉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존 페주토 박사는 포도에 암세포 발생을 차단하는 레스베라트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이언스지 에 발표하였고, 미국 위스콘스대학교 존 폴츠 교수는 포도의 식물성 색소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혈전(血栓)생성을 억제하여 동맥경화증과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심장학회에 발표한 바와 같이 포도는 항암작용은 물론, 동맥경화증 및 심장병 예방에도 좋다는 것이 연구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발효액의 원료중 하나인 연(蓮)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지만 연못에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는 것으로, 다음의 그림 4에서와 같이 연녹색을 띠는 둥근 형태의 잎은 지름이 40㎝ 정도이고 뿌리줄기에서 나와 물 위를 향해 1m 정도 높이 솟아 있는 형태를 띠고, 뿌리는 둥근 막대형으로 옆을 향해 길게 뻗으며 마디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Figure 112010085300539-pat00004
그림 4. 연
연(蓮)의 비대한 뿌리와 잎자루 및 열매는 식용으로, 잎은 수렴제 및 지혈제로 이용되고 민간에서는 야뇨병 치료에 사용한다. 뿌리는 강장제로, 열매는 부인병 치료나 강장제로도 사용된다.
연잎은 더위를 풀고 체내의 불필요한 습기를 제거하며 지혈 작용을 하는데, 여름철 설사, 부종, 각종 출혈, 산후 출혈 과다에 따른 어지럼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 또 연잎은 수렴효과가 뛰어나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야뇨증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연근은 비타민과 무기질의 함량이 비교적 많아 약으로 뿐만 아니라 요리를 해서 먹기도 한다. 연근의 생것은 열을 떨어뜨리고 어혈을 풀며, 소염, 지혈 작용을 하기 때문에 열병이나 출혈성 질환, 방광염에 의한 배뇨통에 쓰기도 하며, 꽃은 타박상에 의한 어혈을 풀어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상기한 매실, 포도, 연 등 식용과일이나 한약재 또는 채소류를 이용하여 제1발효액을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된 재료를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재료 30∼80중량%와 황설탕이나 꿀 20∼70중량%(바람직하게는 50:50)로 버무린 상태에서 용기에 켜켜이 넣어 밀봉하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킨다.
이 과정에서 일주일 정도 지난 시점에서 용기의 뚜껑을 열고 균일하게 저어주어 황설탕이 용기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발효가 종료되면, 이물질과 재료가 되는 열매나 잎을 깨끗하게 걸러주면서 착즙하여 제1발효액을 얻고, 얻어진 제1발효액은 시원한 상온에서 보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발효액의 원료로는 위에서 기술한 매실, 포도, 연 구아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풍미감이 높고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기타 식용 과일이나 식용의 채소류, 한약재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제1발효액의 제조-
5월에 채취하여 꼭지부분을 제거한 청매실 1kg을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완전히 빼낸 상태로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청매실 1kg에 황설탕 1kg을 넣어 고르게 버무린 다음 별도로 준비한 용기의 내부에 황설탕에 버무린 청매실을 켜켜이 채워 넣은 상태에서 뚜껑을 닫고 상온에서 5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1발효액을 추출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기 1개월 동안 1주일 마다 용기의 뚜껑을 열고 고르게 저어주어 황설탕이 용기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구아바추출액의 열수추출-
깨끗하게 세척한 구아바 1kg과 인삼 200g 및 깨끗한 물 5ℓ를 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10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열수추출하여 15brix 농도의 구아바추출액을 추출하였다.
-구아바발효액의 제조-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진 구아바추출액 90vol%와 제1발효액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제1발효액 10vol%를 혼합하고, 상기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80℃의 온도로 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다시 5∼30℃로 냉각시켰다.
상기 냉각된 상태의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발효용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6개월 동안 발효시켜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구아바 발효액은 파우치 등의 단위용량별 용기에 넣어 포장하여 시원한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발효액은 건강식품으로서 그대로 음용하는 경우 제1발효액의 풍미감이 고스란히 유지되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음식의 조리시 조미액의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액의 제조에 적용되는 구아바추출액이 열수추출방식에 의하여 추출되면서 구아바의 유효성분 또한 고스란히 추출되기 때문에 섭취시 구아바 고유의 약리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액은 건강식품으로 섭취하는 용도 이외에 상처치유용의 살균 및 항균제품의 원료로 적용되거나 샴푸, 비누, 화장품 등 기능성 미용제품의 원료로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매실, 포도, 연 및 구아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 30∼80중량%와 황설탕이나 꿀 20∼70중량%를 혼합하여 용기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3∼6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1발효액을 추출하는 제1발효액 추출단계와;
    용기에 구아바와 물을 각각 1:0.5∼1:5의 중량비로 넣은 후 60∼120℃의 온도로 1.5∼72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열수추출하여 3∼30brix 농도의 구아바추출액을 얻는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 얻어진 구아바추출액 50∼97vol%와 제1발효액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제1발효액 3∼50vol%를 혼합하는 구아바추출액 혼합단계와;
    상기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용기에 넣고 60∼120℃의 온도로 2∼7시간 동안 가열하는 혼합액 가열단계와;
    상기 혼합액 가열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5∼30℃로 냉각시키는 혼합액 냉각단계와;
    상기 혼합액 냉각단계를 거친 제1발효액과 구아바추출액의 혼합액을 발효용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2개월∼3년 동안 발효시키는 혼합액 발효단계와;
    상기 혼합액 발효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구아바 발효액을 단위 용량별 용기에 주입하여 포장하는 구아바 발효액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발효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바추출액 열수추출단계에서 구아바에 인삼 또는 홍삼을 1:0.2∼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발효액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구아바추출액 50∼97vol%와 제1발효액 3∼50vo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발효액.
KR1020100133593A 2010-12-23 2010-12-23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593A KR101348313B1 (ko) 2010-12-23 2010-12-23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593A KR101348313B1 (ko) 2010-12-23 2010-12-23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872A KR20120071872A (ko) 2012-07-03
KR101348313B1 true KR101348313B1 (ko) 2014-01-09

Family

ID=4670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593A KR101348313B1 (ko) 2010-12-23 2010-12-23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896B1 (ko) 2015-12-18 2016-10-31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금산흑삼 표준화 소재를 이용한 혈당조절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826B1 (ko) * 2013-11-26 2016-06-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팜 곡물 첨가용 홍삼 발효액, 홍삼 발효곡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2804B1 (ko) * 2021-09-02 2022-01-18 태리온 주식회사 독활 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제
KR102352803B1 (ko) * 2021-09-02 2022-01-17 조민준 자리공 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살충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95A (ko) * 2001-08-22 2003-03-04 주식회사 연수당 숙취제거 및 생리활성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4043505A (ja) * 2003-10-24 2004-02-12 Ratia Creates Inc 発酵組成物及び該発酵組成物を含有する抗酸化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95A (ko) * 2001-08-22 2003-03-04 주식회사 연수당 숙취제거 및 생리활성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4043505A (ja) * 2003-10-24 2004-02-12 Ratia Creates Inc 発酵組成物及び該発酵組成物を含有する抗酸化性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896B1 (ko) 2015-12-18 2016-10-31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금산흑삼 표준화 소재를 이용한 혈당조절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872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3972B (zh) 一种无花果青果的腌渍方法
Tarantul et al. Grapes (lat. Vítis)
KR101348311B1 (ko) 마늘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7006748A (zh) 一种玫瑰苏打水及其生产方法
KR101348313B1 (ko)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905497B1 (ko) 수삼과 모링가를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CN101792703B (zh) 一种滇橄榄茶酒及其制备方法
CN106954851A (zh) —种三叶青食品
CN105767994A (zh) 一种抗衰老大樱桃果酱
CN107557254B (zh) 一种荔枝玫瑰酒和制备方法及补益气血与抗氧化应用
CN107557204B (zh) 一种混酿荔枝玫瑰酒及其制备方法
KR20120071890A (ko) 동/식물성 식재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5495433A (zh) 一种火龙果全果利用高附加值休闲果条及其制备方法
CN105087278A (zh) 一种果蔬米酒罐头及其制作方法
CN104921018A (zh) 一种玫瑰地瓜丸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0527374B1 (ko) 녹용을 포함하는 건강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2129B1 (ko)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6675942A (zh) 荔枝酒的制备方法
KR101348312B1 (ko) 양파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6701424A (zh) 保健荔枝酒的制备方法
Trivedi et al. A critical review on the wonders of cac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