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791B1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791B1
KR101340791B1 KR1020137022486A KR20137022486A KR101340791B1 KR 101340791 B1 KR101340791 B1 KR 101340791B1 KR 1020137022486 A KR1020137022486 A KR 1020137022486A KR 20137022486 A KR20137022486 A KR 20137022486A KR 101340791 B1 KR101340791 B1 KR 10134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ring
drive bush
drive
cran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629A (ko
Inventor
히로후미 히라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8280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407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2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29/0057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for eccentric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29/0071Couplings between rotors and input or output shafts acting by interengaging or mat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of rotor and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04C2240/605Shaft sleeves or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6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원통형 링에 대한 빠짐 방지용의 스냅 링의 이상 마모 등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축단에 크랭크 핀(6C)이 마련되어 있는 크랭크축과, 크랭크 핀(6C)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부시(10)와, 드라이브 부시(10)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크랭크 핀(6C)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냅 링(27)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원통형 링(11)과, 원통형 링(11)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베어링을 구비하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드라이브 베어링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선회 스크롤이 선회 구동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부면에, 스냅 링(27)과 간섭하여 해당 스냅 링(27)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선회 스크롤을 공전 선회 구동하는 구동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과 함께 압축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선회 스크롤은, 일반적으로, 축단에 크랭크 핀이 마련되어 있는 크랭크축과, 크랭크 핀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부시와, 해당 드라이브 부시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베어링을 구비한 구동기구를 거쳐서, 드라이브 베어링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 주위로 공전 선회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운전 중에 선회 스크롤에 부하되는 가스압이 항상 드라이브 부시의 일정 위치에 걸리기 때문에, 드라이브 부시의 하나의 개소에서 집중적으로 표면 피로가 발생하여 드라이브 부시가 수명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드라이브 부시의 표면에서 생기는 집중적인 표면 피로를 회피하여 드라이브 부시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기 위해서, 드라이브 부시의 외주에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한 것이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은, 일단측이 드라이브 부시의 단차부에 접촉되어 빠짐 방지되며, 타단측(축단측)이 크랭크 핀 선단에 스냅 링 등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는 빠짐 방지 판 또는 크랭크 핀의 선단 홈에 일부가 원통형 링에 걸리도록 장착되어 있는 스냅 링 등에 의해 축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가 되어 있다(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93666 호 공보(도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105390 호 공보(도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332919 호 공보(도 1 참조)
그러나,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의 빠짐 방지 구조로서 크랭크 핀에 스냅 링을 거쳐서 고정된 빠짐 방지 판을 마련한 것에서는, 원통형 링의 축 방향으로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반면, 스냅 링 외에, 전용의 빠짐 방지 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빠짐 방지 전용의 추가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 점수의 증가, 그 제조 및 조립 공정수의 증가, 비용 상승 등을 피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크랭크 핀의 선단에 일부가 원통형 링에 걸리도록 스냅 링을 마련한 것에서는, 스냅 링이 압축기의 단속 운전이나 연속 운전에 의한 원통형 링이나 드라이브 부시의 회동, 진동 등에 부수하여 회전되어, 스냅 링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가 원통형 링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되면, 스냅 링의 원통형 링에 대한 걸림 치수(면적)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의해, 스냅 링의 면압이 상승하고, 이상 마모의 발생에 의해 기능 저하하는 등의 부적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통형 링에 대한 빠짐 방지용의 스냅 링의 이상 마모 등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축단에 크랭크 핀이 마련되어 있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 핀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부시와, 해당 드라이브 부시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크랭크 핀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냅 링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원통형 링과, 해당 원통형 링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베어링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선회 스크롤이 선회 구동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에, 상기 스냅 링과 간섭하여 해당 스냅 링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드라이브 부시 단부면의 중심부에, 해당 단부면의 절삭 가공시의 가공 잔재에 의해 마련된 외측으로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에, 스냅 링과 간섭하여 해당 스냅 링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부시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원통형 링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 링의 크랭크 핀 주위에서의 회전을,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정지부에 의해 저지하고, 스냅 링을 적정 위치에 보지하여 그 개구부 등이 원통형 링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하는 것에 의한 스냅 링의 원통형 링에 대한 걸림 치수(면적)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링에 대한 걸림 치수의 감소에 수반하는 스냅 링의 면압 상승에 기인하는 이상 마모 등을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가, 드라이브 부시 단부면의 중심부에, 해당 단부면의 절삭 가공시의 가공 잔재에 의해 마련된 외측으로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정지부를 구성하는 돌기를,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의 절삭 가공시, 그 중심부에 가공 잔재를 마련함으로써,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의 절삭 가공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공정수의 증가나 추가 부품을 이용하는 일 없이 회전 정지부를 마련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비용이나 공정수를 들이지 않고 스냅 링의 이상 마모를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가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돌기에의 간섭에 의해 스냅 링의 회전을 확실하게 저지하여, 스냅 링의 원통형 링에 대한 걸림 치수(면적)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스냅 링의 이상 마모를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어느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스냅 링이 상기 원통형 링에 대하여 소정의 걸림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 초기 장착 상태에서, 해당 스냅 링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가, 스냅 링이 원통형 링에 대하여 소정의 걸림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 초기 장착 상태에서, 해당 스냅 링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냅 링이 원통형 링이나 드라이브 부시의 회동, 진동 등에 부수하여 초기 장착 위치에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개구부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정지부에 간섭되어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스냅 링의 원통형 링에 대한 소정의 걸림 치수(면적)를 유지할 수 있어서, 걸림 치수의 감소에 의한 이상 마모를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브 부시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원통형 링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 링의 크랭크 핀 주위에서의 회전을,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정지부에 의해 저지하고, 스냅 링을 적정 위치에 보지하여 그 개구부 등이 원통형 링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하는 것에 의한 스냅 링의 원통형 링에 대한 걸림 치수(면적)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원통형 링에 대한 걸림 치수의 감소에 수반하는 스냅 링의 면압 상승에 기인하는 이상 마모 등을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선회 스크롤의 구동부를 크랭크 핀측에서 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원통형 링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냅 링과 그 회전 정지부의 변형 형태의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원통형 링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냅 링과 그 회전 정지부의 변형 형태의 측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원통형 링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냅 링과 그 회전 정지부의 변형 형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스냅 링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의 가공 상태도.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크롤 압축기(1)은 외각을 구성하는 하우징(2)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은 프론트 하우징(3)과 리어 하우징(4)을 볼트(5)로 일체적으로 체결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3) 및 리어 하우징(4)에는, 원주 상의 복수 개소, 예컨대 4개소(도 2 참조)에 등간격으로 체결용의 플랜지(3A, 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플랜지(3A, 4A)끼리를 볼트(5)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프론트 하우징(3)과 리어 하우징(4)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3)의 내부에는, 크랭크축(구동축)(6)이 메인 베어링(7) 및 서브 베어링(8)을 거쳐서 그 축선(L)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축(6)의 일단측(도 1에서 좌측)은 소경축부(6A)로 되며, 해당 소경축부(6A)는 프론트 하우징(3)을 관통하여 도 1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소경축부(6A)의 돌출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동력을 받는 도시 생략의 전자 클러치, 풀리 등이 마련되며, 엔진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V벨트 등을 거쳐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베어링(7)과 서브 베어링(8) 사이에는 메커니컬 시일(립 시일)(9)이 마련되어 있어서, 하우징(2) 내부와 대기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크랭크축(6)의 타단측(도 1에서 우측)에는 대경축부(6B)가 마련되며, 이 대경축부(6B)에는 크랭크축(6)의 축선(L)보다 소정 치수만큼 편심된 상태로 크랭크 핀(6C)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크랭크축(6)은, 대경축부(6B) 및 소경축부(6A)가 메인 베어링(7) 및 서브 베어링(8)에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프론트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 핀(6C)에는, 드라이브 부시(10),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 및 드라이브 베어링(12)을 거쳐서 후술하는 선회 스크롤(15)이 연결되며, 크랭크축(6)이 회전됨으로써 선회 스크롤(15)이 선회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브 부시(10)에는, 선회 스크롤(15)이 선회 구동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언밸런스 하중을 제거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1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선회 스크롤(15)의 선회 구동과 함께 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브 부시(10)에는, 그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크랭크 핀(6C)이 끼워 맞춤되는 크랭크 핀 구멍(10B)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 핀(6C)에 끼워 맞춤된 드라이브 부시(10) 및 선회 스크롤(15)이 가스압을 받아 크랭크 핀(6C) 주위로 회동되어, 선회 스크롤(15)의 선회 반경을 가변으로 하는 공지의 종동 크랭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 내에는 한쌍의 고정 스크롤(14) 및 선회 스크롤(15)에 의해 구성되는 스크롤 압축기구(압축기구)(13)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4)은 단부판(14A)과 해당 단부판(14A)으로부터 입설되어 있는 나선 형상 랩(14B)으로 구성되며, 선회 스크롤(15)은 단부판(15A)과 해당 단부판(15A)으로부터 입설되어 있는 나선 형상 랩(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스크롤(14) 및 선회 스크롤(15)은, 각각 나선 형상 랩(14B, 15B)의 선단면과 바닥면의 나선 방향을 따르는 소정 위치에 각각 단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차부를 경계로, 랩 선단면에서는 선회 축선 방향으로 외주측의 선단면이 높고, 내주측의 선단면이 낮게 되어 있다. 바닥면에서는, 선회 축선 방향으로 외주측의 바닥면이 낮고, 내주측의 바닥면이 높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선 형상 랩(14B, 15B)은 그 외주측에 있어서의 랩 높이가 내주측의 랩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4)과 선회 스크롤(15)은, 그 중심을 선회 반경 분만큼 떼어 놓는 동시에 나선 형상 랩(14B, 15B)의 위상을 180도 어긋나게 해서 맞물리며, 나선 형상 랩(14B, 15B)의 선단면과 바닥면 사이에 상온에서 약간의 랩 높이 방향의 간극(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을 갖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 스크롤(14, 15) 사이에는, 단부판(14A, 15A)과 나선 형상 랩(14B, 15B)에 의해 한계가 설정되는 한쌍의 압축실(16)이 스크롤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선회 스크롤(15)이 고정 스크롤(14)의 주위를 부드럽게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실(16)은, 선회 축선 방향의 높이가 나선 형상 랩(14B, 15B)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의 높이보다 높게 되는 것에 의해, 나선 형상 랩(14B, 15B)의 둘레 방향 및 랩 높이 방향으로 가스를 압축할 수 있는 삼차원 압축이 가능한 스크롤 압축기구(13)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14) 및 선회 스크롤(15)의 나선 형상 랩(14B, 15B)의 선단면에는 상대방 스크롤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팁 시일면을 밀봉하기 위한 팁 시일(17)이 각각 선단면에 마련된 홈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4)은 리어 하우징(4)의 내면에 볼트(18)를 거쳐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15)은, 단부판(15A)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는 보스부(15C)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축(6)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는 크랭크 핀(6C)이 드라이브 부시(10),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 및 드라이브 베어링(12)을 거쳐서 연결되어 선회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15)은, 프론트 하우징(3)의 스러스트 지지면(3B)에 단부판(15A)의 배면이 지지되며, 해당 스러스트 지지면(3B)과 단부판(15A)의 배면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자전 저지 기구(19)를 통해 자전이 저지되면서 고정 스크롤(14)의 주위로 공전 선회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전 저지 기구(19)는, 선회 스크롤(15)의 단부판(15A)에 마련되어 있는 링 구멍에 장착된 자전 방지 링(19A)의 내주면에 대하여, 프론트 하우징(3)에 마련되어 있는 핀 구멍에 장착된 자전 방지 핀(19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는 핀 링식의 자전 저지 기구(19)로 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4)에는 단부판(14A)의 중앙 부위에 압축된 냉매 가스를 토출하는 토출 포트(14C)가 개구되어 있으며, 토출 포트(14C)에는 단부판(14A)에 리테이너(20)을 거쳐서 장착되어 있는 토출 리드 밸브(21)가 마련되어 있다. 단부판(14A)의 배면측에는 리어 하우징(4)의 내면과 밀접되도록 O링 등의 시일재(22)가 개재되어 있어서, 리어 하우징(4)의 내면과의 사이에 하우징(2)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토출 챔버(23)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토출 챔버(23)을 제외한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이 흡입 챔버(24)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입 챔버(24)에는 프론트 하우징(3)에 마련되어 있는 흡입구(25)를 거쳐서 냉동 사이클로부터 돌아오는 냉매 가스가 흡입되며, 이 흡입 챔버(24)를 경유하여 압축실(16)로 냉매 가스가 빨려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3)과 리어 하우징(4) 사이의 접합면에는 O링 등의 시일재(26)가 개재되어, 하우징(2) 내에 형성되는 흡입 챔버(24)를 대기에 대하여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상기의 스크롤형 압축기(1)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15)을 선회 구동하는 드라이브 부시(10)의 외주에는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어서, 드라이브 부시(10)의 표면에서 생기는 집중적인 표면 피로를 회피하여 플레이킹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해당 원통형 링(11)은, 일단측이 드라이브 부시(10)에 마련되어 있는 단차부에 접촉되어 크랭크 핀(6C)의 기단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크랭크 핀(6C)의 선단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는 크랭크 핀(6C)의 선단에 마련된 홈에 끼워넣어져 있는 E형 스냅 링(27)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E형 스냅 링(27)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27A)의 일부에 축부에 대하여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27B)가 마련된 범용적인 것이며, 내경에 대응하여 외형 형상도 대략 제약된 것이다. 이 E형 스냅 링(27)은 드라이브 부시(1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크랭크 핀 구멍(10B)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크랭크 핀(6C)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링부(27A)의 일부가 직접 원통형 링(11)에 걸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편, 원통형 링(11)은 드라이브 부시(10)의 외주에 동심 형상으로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 때문에, E형 스냅 링(27)이 초기 장착 상태에서 링부(27A)의 일부가 원통형 링(11)에 걸리도록 마련되어 있었다고 해도, E형 스냅 링(27)이 회전하여 그 개구부(27B)가 원통형 링(11)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되면, E형 스냅 링(27)의 원통형 링(11)에 대한 걸림 치수(면적)가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브 부시(10)의 축단측의 단면에, E형 스냅 링(27)이 원통형 링(11)에 대하여 소정의 걸림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 초기 장착 상태에서 E형 스냅 링(27)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27B)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개구부(27B)와 간섭하여 E형 스냅 링(27)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용의 돌기(28)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도시 생략의 풀리 및 전자 클러치를 거쳐서 회전 구동력을 크랭크축(6)에 전달하여 크랭크축(6)을 회전하면, 그 크랭크 핀(6C)에 드라이브 부시(10),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 및 드라이브 베어링(12)을 거쳐서 선회 반경이 가변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회 스크롤(15)이 핀 링식 자전 저지 기구(19)에 의해 자전이 저지되면서 고정 스크롤(14)의 주위로 소정의 선회 반경으로 공전 선회 구동된다.
이 선회 스크롤(15)의 공전 선회 구동에 의해, 반경 방향 최외측에 형성되는 압축실(16) 내로 흡입 챔버(24) 내의 냉매 가스가 빨려들어간다. 압축실(16)은 소정의 선회각 위치에서 흡입 마감된 후, 그 용적이 둘레 방향 및 랩 높이 방향으로 감소되면서 중심측으로 이동된다. 이 사이에 냉매 가스는 압축되며, 해당 압축실(16)이 토출 포트(14C)에 연통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토출 리드 밸브(21)를 밀어 개방한다. 그 결과, 압축된 고온 고압의 가스는 토출 챔버(23) 내로 토출되며, 해당 토출 챔버(23)를 경유하여 압축기(1)의 외부로 송출된다.
상기한 압축 운전 동안,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은 드라이브 부시(10)의 외주 상에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선회 스크롤(15)로부터 드라이브 베어링(12)을 거쳐서 드라이브 부시(10)에 부하되는 하중이 항상 동일 개소에 집중되어 있어도, 드라이브 부시(10) 표면이 이동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부시(10)의 표면에서 생기는 집중적인 표면 피로를 회피하여, 플레이킹의 발생을 방지하며 드라이브 부시(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은 크랭크 핀(6C)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E형 스냅 링(27)에 의해 크랭크 핀(6C)의 선단측으로의 빠짐 방지가 되어 있다. 게다가,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부면에 E형 스냅 링(27)과 간섭하여 해당 E형 스냅 링(27)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용의 돌기(2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링(11)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E형 스냅 링(27)의 크랭크 핀(6C) 주위에서의 회전을 해당 회전 정지용 돌기(28)에 의해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E형 스냅 링(27)을 원통형 링(11)에 대하여 링부(27A)가 소정의 걸림 치수를 갖도록 설치된 초기 장착 위치에 보지할 수 있어서, 원통형 링(11) 및 드라이브 부시(10)의 회동, 진동 등에 의해 개구부(27B)가 원통형 링(11)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하여 E형 스냅 링(27)의 원통형 링(11)에 대한 걸림 치수(면적)가 감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원통형 링(11)에의 걸림 치수의 감소에 수반하는 E형 스냅 링(27)의 면압 상승에 기인하는 이상 마모를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회전 정지용 돌기(28)를, E형 스냅 링(27)이 원통형 링(11)에 대하여 소정의 걸림 치수(면적)를 갖도록 설정된 초기 장착 상태에서 E형 스냅 링(27)의 개구부(27B)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E형 스냅 링(27)이 원통형 링(11)이나 드라이브 부시(10)의 회동, 진동에 부수하여 초기 장착 위치에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개구부(27B)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정지용 돌기(28)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E형 스냅 링(27)의 원통형 링(11)에 대한 소정의 걸림 치수를 유지할 수 있어서, 걸림 치수의 감소에 의한 E형 스냅 링(27)의 이상 마모 등의 부적합을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3a로부터 도 3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스냅 링 및 회전 정지용 돌기의 구성이 상이하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11)의 축단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용 스냅 링에, 상기 E형 스냅 링(27)에 대신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C형 스냅 링(37), R형 스냅 링(47) 및 S형 스냅 링(57)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 스냅 링(37, 47, 57)의 크랭크 핀(6C) 주위에 대한 회전 정지용의 돌기로서,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면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냅 링(37, 47)이 원통형 링(11)에 대하여 소정의 걸림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 초기 장착 상태에서 스냅 링(37, 47)에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계합부(37A, 47A)의 외주와 간섭하는 위치에 한쌍의 원형의 돌기(38, 48)를 마련한 구성, 또는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냅 링(57)에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계합부(57A)의 사이에 해당 계합부(57A)와 간섭하는 원형의 돌기(58)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냅 링(37, 47, 57)이 원통형 링(11)이나 드라이브 부시(10)의 회동, 진동 등에 부수하여 초기 장착 위치에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했을 때, 한쌍의 계합부(37A, 47A)의 외주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회전 정지용 돌기(38, 48), 또는 한쌍의 계합부(57A)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정지용 돌기(58)에 간섭되어 그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냅 링(37, 47, 57)의 원통형 링(11)에 대한 소정의 걸림 치수(면적)를 유지할 수 있어서, 걸림 치수의 감소에 의한 이상 마모를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회전 정지용 돌기(68)의 형성 방법에 특징이 있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부면에 마련되는 스냅 링[E형 스냅 링(27)]의 회전 정지용 돌기(68)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부면을 절삭 공구(69)에 의해 절삭 가공할 때 드라이브 부시(10)의 중심을 제외하고 절삭 공구(69)를 전진시켜서, 드라이브 부시(10)의 중심부에 가공 잔재에 의해 외측으로의 돌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돌기(68)는 크랭크 핀 구멍(10B)의 가공시 크랭크 핀 구멍(10B)에 걸쳐져 있는 부분이 절삭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E형 스냅 링(27)의 회전 정지용 돌기(68)를,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부면의 중심부에, 해당 단부면의 절삭 가공시의 가공 잔재에 의해 마련된 외측으로의 돌기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E형 스냅 링(27)의 회전 정지부를 구성하는 돌기(68)를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부면의 절삭 가공에 의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공정수의 증가나 추가 부품을 이용하는 일 없이 회전 정지용의 돌기(68)를 마련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비용이나 공정수를 들이지 않고 E형 스냅 링(27)의 이상 마모를 방지하여, 그 기능 저하에 의한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정지용 돌기(28, 38, 48, 58)는 초승달 형상, 원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각형 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고, 이들 돌기는 드라이브 부시(10)의 단면에 핀 등을 매입하여 마련해도 좋다.
스냅 링(27, 37, 47, 57)에 대해서도, 상기한 E형, C형, R형, S형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동등의 스냅 링을 이용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 : 스크롤 압축기 6 : 크랭크축
6C : 크랭크 핀 10 : 드라이브 부시
11 : 원통형 링(플로팅 부시) 12 : 드라이브 베어링
15 : 선회 스크롤 27 : E형 스냅 링
27B : 개구부 28, 38, 48, 58, 68 : 회전 정지용 돌기
37 : C형 스냅 링 37A, 47A, 57A : 계합부
47 : R형 스냅 링 57 : S형 스냅 링
69 : 절삭 공구

Claims (3)

  1. 축단에 크랭크 핀이 마련되어 있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 핀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부시와, 상기 드라이브 부시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크랭크 핀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냅 링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원통형 링과, 상기 원통형 링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드라이브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베어링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선회 스크롤이 선회 구동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에, 상기 스냅 링과 간섭하여 상기 스냅 링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정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드라이브 부시 단부면의 중심부에, 상기 단부면의 절삭 가공시의 가공 잔재에 의해 마련된 외측으로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드라이브 부시의 단부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스냅 링이 상기 원통형 링에 대하여 소정의 걸림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 초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스냅 링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와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137022486A 2009-03-31 2010-03-26 스크롤 압축기 KR101340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7516A JP5506227B2 (ja) 2009-03-31 2009-03-31 スクロール圧縮機
JPJP-P-2009-087516 2009-03-31
PCT/JP2010/055363 WO2010113794A1 (ja) 2009-03-31 2010-03-26 スクロール圧縮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440A Division KR20110044320A (ko) 2009-03-31 2010-03-26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629A KR20130103629A (ko) 2013-09-23
KR101340791B1 true KR101340791B1 (ko) 2013-12-11

Family

ID=428280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440A KR20110044320A (ko) 2009-03-31 2010-03-26 스크롤 압축기
KR1020137022486A KR101340791B1 (ko) 2009-03-31 2010-03-26 스크롤 압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440A KR20110044320A (ko) 2009-03-31 2010-03-26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56605B2 (ko)
EP (1) EP2416015B1 (ko)
JP (1) JP5506227B2 (ko)
KR (2) KR20110044320A (ko)
CN (1) CN102165196B (ko)
BR (1) BRPI1004903B1 (ko)
WO (1) WO2010113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4225B2 (ja) * 2009-12-28 2014-01-22 株式会社ケーヒン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021373B2 (ja) * 2012-03-23 2016-1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そのスクロールの加工方法
CN103382938B (zh) * 2012-04-30 2016-04-06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具有卸荷器组件的涡旋压缩机
US9188124B2 (en) 2012-04-30 2015-11-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with unloader assembly
CN103851087A (zh) * 2012-12-06 2014-06-11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涡旋压缩机用一体化轴承
WO2014116582A1 (en) 2013-01-22 2014-07-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bearing assembly
US9765784B2 (en) 2013-07-31 2017-09-19 Trane International Inc. Oldham coupling with enhanced key surface in a scroll compressor
JP6274089B2 (ja) * 2014-11-28 2018-02-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563238B2 (ja) 2015-04-10 2019-08-21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圧縮機
US10215175B2 (en) 2015-08-04 2019-02-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igh-side axial seal and seal assembly retainer
US11015598B2 (en) 2018-04-11 2021-05-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bushing
US11002276B2 (en) 2018-05-11 2021-05-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bushing
JP2020020285A (ja) * 2018-07-31 2020-02-0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圧縮機及び圧縮機システム
CN110319016B (zh) * 2019-07-04 2021-08-17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轴向限位组件、涡旋压缩机和空调器
CN110319003B (zh) * 2019-07-08 2021-07-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动涡盘驱动组件和涡旋式压缩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575A (ja) * 1995-12-18 1997-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3659U (ko) * 1985-12-19 1987-07-02
JPH0242889Y2 (ko) * 1986-06-03 1990-11-15
US5102316A (en) * 1986-08-22 1992-04-07 Copeland Corporation Non-orbiting scroll mounting arrangements for a scroll machine
US5201646A (en) * 1992-04-20 1993-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eccentric bushing retainer
DE69504233T2 (de) * 1994-03-15 1999-01-07 Denso Corp Spiralverdichter
JP3392567B2 (ja) 1994-07-28 2003-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DE69604607T2 (de) * 1995-03-13 2000-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Spiralverdrängermaschine
JP3781460B2 (ja) * 1995-03-17 2006-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3592810B2 (ja) 1995-10-12 2004-11-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3341531A (ja) * 2002-05-28 2003-12-03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補助操舵力伝達機構
JP4875411B2 (ja) 2006-06-16 2012-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877017B1 (ko) * 2006-06-14 2009-01-0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기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575A (ja) * 1995-12-18 1997-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4903A2 (pt) 2016-04-05
WO2010113794A1 (ja) 2010-10-07
EP2416015A4 (en) 2017-06-14
US8556605B2 (en) 2013-10-15
EP2416015B1 (en) 2018-10-24
KR20130103629A (ko) 2013-09-23
JP2010236489A (ja) 2010-10-21
BRPI1004903B1 (pt) 2020-07-07
CN102165196A (zh) 2011-08-24
JP5506227B2 (ja) 2014-05-28
CN102165196B (zh) 2014-10-08
EP2416015A1 (en) 2012-02-08
KR20110044320A (ko) 2011-04-28
US20110165006A1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9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472664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그 스크롤의 가공 방법
US9732753B2 (en) Scroll compressor with inclined surfaces on the stepped portions
WO2015041284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WO201304669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025555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15064612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8082187A (ja) 流体機械
EP4033101A1 (en) Scroll compressor
JP2007332850A (ja) 流体機械
JP523245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259378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899230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WO2015064611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6718223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4868446B2 (ja) スクロール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クロール流体機械
WO2017141703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5200231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WO2017115559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EP3315781B1 (en) Open type compressor
KR20200030390A (ko) 전동식 압축기
WO2017208833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913036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19913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6077732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