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072B1 - 재박리용 점착 시트 및 재활용용 라벨 - Google Patents

재박리용 점착 시트 및 재활용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072B1
KR101335072B1 KR1020117025631A KR20117025631A KR101335072B1 KR 101335072 B1 KR101335072 B1 KR 101335072B1 KR 1020117025631 A KR1020117025631 A KR 1020117025631A KR 20117025631 A KR20117025631 A KR 20117025631A KR 101335072 B1 KR101335072 B1 KR 10133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sheet
adhesiv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185A (ko
Inventor
아키노리 모리노
스미오 시모오카
아키히로 쿠와시타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22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3262B2/ja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주파수 1 Hz, -50℃ 내지 150℃에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이, (a) -20℃ 이하의 저온역에서 위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b) 10 내지 40℃의 중온역에서 아래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c) 70℃에서의 손실 정접이 0.38 내지 0.57인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피착체의 평활면 뿐만 아니라, 엠보싱 가공 등의 요철을 갖는 조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 점착 시트의 접합을 완료하면, 점착 시트의 융기 박리 등이 장기간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는 피착체에 대해서 점착제에 의한 오염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재박리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재박리용 점착 시트 및 재활용용 라벨 {REMOVABLE ADHESIVE SHEET AND LABEL FOR RECYCLE}
본 발명은 피착체에 접착한 후에 재박리 가능한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 선전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화장품, 신체 세정 용품, 음료 및 식품 등의 포장 용기, 자동 판매기 및 자동 개찰기 등의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또는 전차 및 버스 등의 공공의 장소에서 이용되는 차량 등에는, 문자나 화상이 인쇄된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이들 점착 시트는 일정 기간 접착한 후, 피착체에 점착제가 잔류하거나 기재 시트가 절단되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될 수 있는 재박리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재박리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점착력을 약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어, 요철이 있는 피착체 또는 만곡면 등에 접착한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박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품의 품명 표시, 또는 사용자나 서비스맨 등을 위한 취급 설명문이나 부품 교환 수순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 에어컨,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의 각종 전기 제품, 토너 카트리지나 잉크 카트리지 등 재사용도 많이 행해지는 각종 관련 제품, 또는 자동차, 오토바이 및 건축 재료 등을 구성하는 각종 내외장 부품 등에는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이들 점착 시트는 장기간 접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피착체에 접착되어 있는 동안, 점착 시트와 피착체와의 사이에 융기가 발생하거나 박리가 발생(이하, 융기 박리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음)하지 않을 것이 특히 요구되고 있어, 점착력을 강하게 하는 등, 점착 시트가 박리되기 어렵게 하는 대책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자연 환경에 대한 배려로부터, 사용이 끝난 제품, 또는 그것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활용하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각종 전기 제품의 부품이나 부재, 이들의 각종 관련 제품의 부품이나 부재 등을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하여, 재활용하는 것 등이 행하여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 사용한 부품이나 부재, 또는 사용가능 년수를 초과한 부품이나 부재를 문서절단기에 의해 펠릿상으로 파쇄하고, 이것을 가열 용융하여 다시 어떠한 부품이나 부재로서 성형하고, 이러한 재생 성형품을 재차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 부품 등을 분쇄함에 있어서, 부품 등에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그것이 접착되어 있는 부품 등과 점착 시트가 상용성이 없는 경우, 가열 용융으로 서로 용해하지 않는 불순물에 의해, 재생된 부품의 강도가 저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점착 시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점착 시트를 드라이어로 열로 박리하거나, 그라인더에 의해서 깍아 내거나 하고, 그 후, 그 부품 등을 펠릿상으로 파쇄하고, 이것을 용융하여 재생 성형품을 얻고 있었다. 그런데, 부품 등으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작업은 수고와 시간이 드는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이고, 이에 따라, 부품의 재생 비용이 상승하는 결점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 때문에,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는, 피착체에 점착제가 잔류하거나, 기재 시트가 절단되지 않고 용이하게 재박리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재박리성만을 중시하면 각종 전기 제품 등에서 볼 수 있는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요철이 있는 표면에 접착한 경우나, 만곡한 피착체에 접착한 경우에, 점착 시트에 융기 박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종 전기 제품 등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발생하는 배출 가스에 의해, 일단 접착된 점착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사이에 기포가 생성되어 고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성분 74.999 내지 99.9 질량%,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성분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0 내지 0.001 질량%,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성분과 공중합 가능한 수산기 함유 단량체 0.1 내지 5 질량% 및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라디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1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 피막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 측정에 있어서의 1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2×105 내지 7×105 dyn/cm2 및 손실 정접(tanδ)이 0.05 내지 0.4이고, 또한 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105 내지 4×106 dyn/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는 점착 가공 제품에서는 재박리성은 우수하지만,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또는 각종 전기 제품 등의 전자 기기의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요철이 있는 표면에 대해서는 점착력이 불충분하여, 접착 후 장기간 경과하면 박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에 대한 180도 인장박리 점착력이 0.2 N/25 mm 내지 5.0 N/25 mm이고, 정하중 박리 측정법에 있어서의 30분 후의 박리 길이가 50 mm 이하이고, 또한 점착 필름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에 접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인장박리 속도 1 m/분, 인장박리 각도 180도로 인장 박리 시의 점착력을 P1로 하고, 6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인장박리 속도 1 m/분, 인장박리 각도 180도로 당겨서 박리한 때의 점착력을 P2로 했을 때의 P1과 P2의 비(P1/P2)가 1.4 내지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용 점착 필름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해당 기술은 우수한 접착성을 갖고, 융기 박리 등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박리할 때에 피착체를 점착제로 오염시키지 않아 재박리성이 우수한 재박리용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폴리스티렌계 필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시킨 점착 필름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 피착체에 대한 경시 접착력이 박리 속도 5 mm/분에서 2.0 내지 4.0 N/25 mm, 또한 박리 속도 300 mm/분에서 8.0 내지 12.0 N/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성 점착 필름(특허 문헌 3 참조)과 카르보닐기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산가가 3 내지 30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평균 입경이 300 nm 이하인 중합체 입자 [X]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히드라지노기를 갖는 히드라진 유도체 [Y]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재박리형 수성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피막이, 유리 전이 온도가 -25℃ 이하, 겔분률이 80 질량% 이상, 또한 물 추출물 량이 2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수성 점착제 조성물(특허 문헌 4 참조)이 알려져 있다. 이들 기술은 점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피착체에의 접착 후 장시간 방치된 후에도 피착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후자는 에멀전형 점착제를 이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 내지 4에는 엠보싱 가공 등의 표면에 요철이 실시된 조면(粗面)에 접착한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실제로 엠보싱 가공면 등의 조면에 접착하여 장기간 경과하면 점착 필름이 박리되기 쉬웠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각종 전자 기기의 부품으로부터 점착 시트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점착 시트를 접착하는 영역에 홈과 홈으로 교차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재활용 시에는 분해에 이용하는 공구 등으로 홈을 따라서 점착 시트를 갈라, 오목부를 계기로 하여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5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접착하는 부품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가공을 실시해야만 하고, 또한 점착 시트를 갈라 박리하기 때문에, 점착력이 강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면 박리의 도중에서 기재가 파단되거나, 점착제가 피착체에 잔류할 우려가 있어, 박리 작업의 효율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평)11-158453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5775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3604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771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802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착체의 평활면 뿐만 아니라, 엠보싱 가공 등의 요철을 갖는 조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 점착 시트의 접착을 완료하면, 점착 시트의 융기 박리 등이 장기간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는 피착체가 점착제에 의해 오염되기 어려워 재박리성도 우수한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평활한 표면 및 조면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 및 재박리성을 나타내고, 장기간 융기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평활한 표면 및 조면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 및 재박리성을 나타내고, 장기간 융기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또한 상기 각 피접착 물질의 만곡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 및 재박리성을 나타내고, 장기간 융기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접착 물질인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배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점착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사이에 기포의 생성 고정이 발생되지 않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적절한 탄성과 점성의 균형을 유지한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시트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게다가, 장기간 접착 후의 융기 박리 및 재박리성은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고온역에서의 손실 정접을 측정함으로써 예견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한 재박리용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주파수 1 Hz, -50℃ 내지 150℃에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이
(a) -20℃ 이하의 저온역에서 위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b) 10 내지 40℃의 중온역에서 아래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c) 70℃에서의 손실 정접이 0.38 내지 0.5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피착체의 평활면 뿐만 아니라, 요철을 갖는 조면에 대해서도, 또는 만곡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 점착 시트의 접착을 완료하면, 점착 시트의 융기 박리 등이 장기간 발생하지 않고, 또한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는 피착체가 점착제로 오염되거나 기재 시트가 찢어지거나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 선전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화장품, 신체 세정 용품, 음료 및 식품 등의 포장 용기, 자동 판매기 및 자동 개찰 등의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또는 전차 및 버스 등의 공공의 장소에서 이용되는 차량 등, 또는 사용자나 서비스맨 등을 위한 취급 설명문이나 부품 교환 수순을 나타내는 문자 및 도면 등의 각종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 에어컨,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의 각종 전기 제품, 토너 카트리지나 잉크 카트리지 등 재사용도 많이 행해지는 각종 관련 제품, 또는 자동차, 오토바이 및 건축 재료 등을 구성하는 각종 내외장 부품 등에 접착하고 일정한 기간 접착한 후에 박리하는 것을 전제로 한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변성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평활한 표면 및 조면, 또는 만곡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박리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붙인 전기 제품 등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 피착체가 점착제로 오염되거나, 기재 시트가 절단되지 않고, 또한 박리 작업도 용이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목적으로 한 전기 제품 등의 부재에 접착하는 점착 시트로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배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점착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사이에 기포의 생성되어 고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복사기, 프린터, 텔레비젼 등의 각종 가전 제품에 있어서, 제품 완성 후에 수작업 붙이기로 접착되는 라벨의 경우에는 두꺼운 라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따르면, 두꺼운 기재에 의해 반발력이 강하고 기포가 빠지기 어려운 두께이어도, 양호한 재박리성과 내박리성을 갖고 기포의 생성 고정도 발생되기 어려운 라벨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평활한 표면 및 조면 또는 만곡면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 및 재박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신체 세정 용품 등의 포장 용기로서 사용되는 튜브나, 자동 판매기의 만곡면에 접착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로서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 곡선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그 구성 요소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고,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유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재활용이란 사용이 끝난 제품을 동일 또는 별종의 제품의 원재료로서 재이용하는 경우와, 사용이 끝난 제품을 그대로의 상태로 또는 일부를 고쳐서 재사용(리유스)하는 경우의 양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재박리용 점착 시트의 구성)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는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면에 점착제를 적층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한쪽면 점착 시트 또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점착제층 상에 박리 시트를 설치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기재 시트에 적층하는 점착제는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면의 전체면에 적층할 수도 있고,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한쪽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점착제층과 반대측의 기재 시트의 표면에 인쇄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인쇄면을 보호하거나, 의장성이나 미관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 투명 필름이나 무광택의 반투명 필름을 인쇄면에 적층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특성의 규정 방법)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특성은 특정 주파수 및 특정 온도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 또는 손실 정접 및 저장 탄성률에 의해 규정하고, 또한 특정 주파수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의 피크를 나타내는 온도, 또는 손실 정접의 피크치에 의해 규정한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사 제조, 상품명: 아레스 2KSTD)를 이용하여, 동 시험기의 측정부인 평행 원반의 사이에 시험편을 끼우넣고, 주파수 1 Hz에서 -50℃부터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시험편은 두께 0.5 내지 2.5 mm의 점착제를 단독으로 평행 원반의 사이에 끼워도 되지만, 기재와 점착제의 적층체를 겹겹이 쌓아 평행 원반의 사이에 끼워도 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점착제만의 두께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조정한다. 점착제로서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면, 중간에 기재가 끼워져 있어도 점착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영향은 없는 것을 본 발명자 등은 확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주파수 1 Hz에서 -50℃ 내지 150℃의 범위에서의 손실 정접이, -20℃ 이하의 저온역에서 위로 볼록상의 피크를 갖고, 저온역부터 중온역에 걸쳐서 감소하여, 10 내지 40℃의 중온역에서 아래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중온역부터 고온역에 걸쳐서 상승하여, 70℃에서 특정한 범위 내의 값을 취한다.
손실 정접을 상기 각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에 적절한 유동성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착체 표면의 미소한 요철에도 침투할 수 있는 유동성을 발현하면서, 과도하게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가 적절히 유동하는 성질에 의해, 점착제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착체에 접착된 점착 시트를, 경시 또는 고온 환경 하에 노출된 후에 재박리하는 작업에 있어서, 박리하고자 하는 기재가 깨어지기 쉬워지거나 피착체에 점착제가 남기 쉬워지지 않는다. 또한,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를 경시 또는 고온 환경 하에 노출했을 때에도, 점착 시트의 융기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점착 시트를 열가소성 수지에 접착한 경우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배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점착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사이에 기포의 생성 고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고온역에서의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50 내지 120℃의 고온역 중의 손실 정접은 주파수 1 Hz에서 70℃에서 0.38 내지 0.57이다. 70℃에서의 손실 정접은 0.43 내지 0.55인 것이 바람직하고, 0.46 내지 0.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50℃에서의 손실 정접은 0.38 내지 0.53인 것이 바람직하고, 0.40 내지 0.5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100℃에서의 손실 정접은 0.40 내지 0.65인 것이 바람직하고, 0.44 내지 0.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0 내지 0.6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120℃에서의 손실 정접은 0.40 내지 0.66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 내지 0.6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0.51 내지 0.6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온역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은 주파수 1 Hz에서, 10℃ 내지 60℃의 사이에 아래로 볼록한 피크를 갖는다. 또한, 그 피크치는 0.35 내지 0.51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내지 0.5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온역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 곡선의 볼록 피크를 나타내는 온도)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그 손실 정접 곡선의 볼록 피크를 나타내는 온도가 주파수 1 Hz에서,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이면, 접착 시에 점착제층이 엠보싱면 등의 요철면에 충분히 유동하기 쉽고, 그 결과, 피착체와의 접착력이 충분해져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융기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재박리할 때, 단속적인 저항감이 발생하거나, 짝짝거리는 박리음이 발생하기 어려워, 원활한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저온역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의 볼록 피크치)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그 손실 정접의 피크치가 1.3 내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그 저장 탄성률이 주파수 1 Hz에서, 70℃에서 6.0×104 내지 2.1×105(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7.0×104 내지 2.4×105(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3.0×104 내지 1.6×105(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2.0×104 내지 1.4×105(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5.0×106 내지 5.0×107(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점착력)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의 초기 점착력 Fa는 3.0 내지 9.0(N/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점착력 Fa는 3.0 내지 8.0(N/25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0 내지 7.0(N/25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점착력 Fa는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 내지 0.1 μm인 폴리스티렌판에 대한 90도 인장박리 점착력으로 정의되는 값이고, 상기 90도 인장박리 점착력은 JIS Z 0237에 준거하여, 압착 속도 5 mm/s,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시험편을 붙인 시험판을 온도 23±2℃, 상대 습도 50±5%의 분위기 중에 24시간 방치한 후, 인장 속도 50 mm/분의 조건 하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초기 점착력 Fa가 상기 범위이면 점착 시트를 접착하고 있는 기간에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박리할 때에 피착체에 점착제가 남거나, 기재 시트가 파괴하게 되어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곤란해지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Ra(3)가 6.8 내지 7.2 μm인 폴리스티렌판에 대한 점착 시트의 초기 점착력을 Fb(N/25 mm)로 했을 때, 상기 Fa와 상기 Fb의 관계가, 수학식 1
<수학식 1>
0.30≤Fb/Fa≤1.00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점착력 Fb는 상기 Ra(3)가 6.8 내지 7.2 μm인 폴리스티렌판에 대하여 90도 인장박리 점착력으로 정의되는 값이고, 90도 인장박리 점착력은 JIS Z 0237에 준거하여, 압착 속도 5 mm/s,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시험편을 붙인 시험판을 온도 23±2℃, 상대 습도 50±5%의 분위기 중에 24시간 방치한 후, 인장 속도 50 mm/분의 조건 하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Fb/Fa의 값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Fa와 상기 Fb의 관계가 이 범위에 있는 것은, 점착 시트가 피착체의 평활면만이 아니라, 요철을 갖는 조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것을 뜻하고 있다. Fb/Fa의 값이 이 범위이면 요철면을 갖는 조면에 대한 양호한 점착력이 얻어져, 융기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수학식 2>
0.40≤Fb/Fa≤1.0 
<수학식 3>
0.50≤Fb/Fa≤1.0 
(기재 시트)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사용하는 기재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야할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플라스틱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부직포, 종이, 천, 또는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계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서는, 셀로판,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펄프, 레이온, 마닐라삼, 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종이로서는, 상질지, 수지 코팅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한쪽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재박리 시에 기재 시트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재 시트로서 플라스틱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료에 관하여, 단독 성분을 주성분으로 할 수도 있고, 이들의 복합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 시트를 개질할 목적으로 다른 성분을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을 기재 시트로 사용하는 경우, 주성분의 폴리스티렌에 폴리부타디엔을 소량 배합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킨 하이임팩트폴리스티렌(HIPS)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내광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 수지(MS 수지)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ASA 수지)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블렌드한 기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재활용 부재의 라벨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의 주성분을 피착 대상인 재활용 부재의 주성분과 동일한 재활용 처리가 가능한 소재, 특히 피착 대상의 재활용 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된 부재를 구비한 전기 제품 등의 상기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부재의 주성분과 동질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를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상기 부재와의 상용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재박리하지 않고서 점착 시트를 접착한 채로 상기 부재 그 자체를 자원재활용(material recycle)하는 것도 가능해져서, 재활용 적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폴리에틸렌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을,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폴리스티렌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스티렌을,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폴리페닐렌에테르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폴리페닐렌에테르를,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ABS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ABS를,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상기 부재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와 ABS의 복합 재료인 경우에는 기재 시트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ABS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의 배출 가스에 의한 점착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사이의 기포의 생성 고정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스 투과성이 우수한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HIPS의 기재 시트의 경우, 인장 파단 강도는 MD에서 20 MPa 이상, TD에서 15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재박리할 때 기재가 절단되지 않고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장 파단 신장도는 MD 및 TD 모두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적절한 강성과 유연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필름이 절단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신장하기 어려워져서 재박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기재 시트의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장도는 온도 23±2℃, 상대 습도 50±5%의 분위기 중에서, 인장 속도 200 mm/분의 조건 하에서 기재 시트를 인장하여, 기재가 파단했을 때의 강도 및 신장도로 규정한다. 규정에 있어서는, 기재 시트의 진행 방향(MD), 폭 방향(TD)으로 규정한다. 측정에 있어서는, 기재 시트 단독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점착제층이 적층된 상태에도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장도에 영향은 없는 것을 본 발명자 등은 확인하고 있다.
기재를 착색하는 경우에는, 산화티탄 등의 무기 안료를 기재 시트와 동일한 수지로 반죽한 착색제(마스터배치)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량은 필름 베이스가 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 질량%의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를 5 내지 2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기재의 은폐성이 양호해지고, 20 질량부 이내로 함으로써 마스터배치에 기인하는 기재가 갈라지거나 피쉬아이 등의 이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들 기재 시트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하면 되는데, 한쪽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첩부 작업성이나 내반발성 측면에서 15 내지 25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115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95 μm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양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30 내지 2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15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평량(坪量)은 10 내지 10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50 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의 표면 처리)
또한, 기재 시트의 위에 적층하는 층(점착제층이나 인쇄층 등)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조면화 처리, 화염 처리, 크롬산 처리, 열풍 처리, 오존 조사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를 실시하거나, 밑칠코팅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특히, 점착제를 적층하는 측의 기재 표면에, 코로나 처리나 밑칠코팅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점착제층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워져서,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접착한 후의 재박리성이 향상하여, 피착체에 점착제층이 잔류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밑칠코팅층은 잉크를 흡착하는 안료, 결합제 수지 및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밑칠코팅제를 기재 시트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안료는 공지된 탄산칼슘, 산화티탄, 합성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재 시트를 롤형으로 감았을 때에, 기재 시트 이면과 밑칠코팅층과의 블록킹을 방지하는 것도 고려하여, 입경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합성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잉크(UV 잉크)의 결합제 수지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분산매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용제로 팽윤이나 용해하기 쉬운 폴리스티렌이나 ABS 등의 기재 시트에 도공하는 경우에는, 기재 시트를 용해시키지 않는 분산제를 선택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칠코팅제의 배합은 안료 5 내지 10 질량부, 결합제 수지 20 내지 30 질량부, 분산매 60 내지 70 질량부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제의 도포량은, 0.5 내지 4.0 g/m2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2.0 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밑칠코팅제의 기재 시트에의 도포 방법은, 그라비어 코팅기, 나이프 코팅기, 롤 코팅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라비어 코팅기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제조)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는, 공지된 아크릴계, 고무계, 비닐에테르계, 실리콘계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의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단량체 성분으로서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고,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을 병용한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점착제 조성 중의 50 내지 99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내지 99%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70/30 내지 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5/55 내지 5/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65 내지 15/8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단량체로서, 상기한 종류, 사용량으로 함으로써, 상기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저온 영역의 손실 정접의 위로 볼록한 피크치를 목적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것을 발명자 등은 발견하고 있다.
또한, 측쇄에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0.01 내지 15 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카르복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아미드,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서,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것을 병용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그 사용량은 0.5 내지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재박리성과 만곡면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총량을 점착제 조성 중의 1.5 내지 2.5 질량%가 되는 양을 사용하여, 아크릴산에 대한 메타크릴산의 비율을 질량비로 0.5 내지 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상기한 종류, 사용량으로 함으로써, 상기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치를 목적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워지고, 또한 재박리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명자 등은 발견하고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자외선 조사법, 전자선 조사법에 의해서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화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고, 점착력 또는 재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킬레이트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옥사졸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옥사졸린계 가교제를 이용한 경우, 기재 시트와의 밀착성이 높아짐으로써 재박리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옥사졸린기와 반응하는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사용하여, 카르복실기에 대한 옥사졸린기의 관능기수의 비가 0.05 내지 0.2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공지된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50℃ 내지 120℃의 손실 정접은 가교제의 첨가량, Tg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손실 정접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첨가량을 감량하고 Tg가 낮은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고,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첨가량을 증량하고 Tg가 높은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점착제에는, 예를 들면, 광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안료, 난연제 등의 공지 관용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광안정화제로서는, 연쇄금지제, 히드로퍼옥시드 분해제, 금속 불활성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내황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제의 타입)
점착제의 타입으로서는, 에멀전형, 용제형, 무용제형 등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이용하는 점착제로서는 에멀전형의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멀전형의 점착제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면에서도 우수함과 동시에, 상기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고온역의 손실 정접을 목적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것을 발명자 등은 발견하고 있다.
(아크릴계 에멀전형 점착제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에멀전형 점착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일괄 중합, 연속 적하 중합, 분할 적하 중합 등을 채용할 수 있고, 중합 온도는 예를 들면 20 내지 100℃ 정도이다.
에멀전형의 점착제를 얻기 위한 유화 중합 시에, 중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음이온계나 비이온계의 유화제가 적량 이용된다. 특히 유화제는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계 유화제로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며, 비이온계 유화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유화제를 단독 또는 복수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프로페닐기 등을 도입한 라디칼 중합성의 유화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에멀전형의 점착제를 얻기 위한 유화 중합 시에 중합 개시제가 이용된다. 특히 중합 개시제는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염산염,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아조계,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과의 조합이나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과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지는 산화환원반응 개시제가 이용된다. 이들 개시제는, 통상은 유화 중합의 각 단계에 소정량을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행하게 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 라디칼을 생성하는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조계의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라디칼은 탈수소력이 부족하고 중합체의 그래프트화가 진행하기 어려워져서, 직쇄상의 중합체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상기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고온역의 손실 정접, 중온 영역에서의 손실 정접의 아래로 볼록한 피크치를 목적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것을 발명자 등은 발견하고 있다.
에멀전형의 점착제를 얻기 위한 유화 중합 시에 환원제가 이용된다. 환원제로서, 아스코르브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포도당, 포름알데히드술폭실레이트 금속염 등의 환원성 유기 화합물,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성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에멀전형의 점착제를 얻기 위한 유화 중합 시에 중합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쇄 이동제로서, 라우릴메르캅탄, 부틸메르캅탄, 2-머캅토에탄올, 트리클로로브로모메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계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계의 단량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라우릴메르캅탄을 0.01 내지 0.2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4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 내지 0.025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멀전형의 점착제를 얻기 위한 유화 중합 시에, 유화 중합 후, 통상, 암모니아 등의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 처리하여, 소정의 pH로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에멀전형의 점착제를 얻는다. 그 중에서도, pH 8.5 내지 9.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이용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한쪽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건조 후의 두께로 3 내지 200 μm가 바람직하고, 5 내지 50 μm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내지 25 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30 내지 300 μm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200 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지고,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쇄나 다이컷 가공 시에 점착제가 비어져나오기 쉬워진다.
(박리 시트)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제층 상에 박리 시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박리 시트로서는, 크래프트지, 글라신지 및 상질지 등의 종이, 이들의 종이에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클레이 등을 한쪽면 또는 양면에 코팅한 종이, 또는 이들의 종이에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한쪽면 또는 양면에 라미네이트한 종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에,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의 박리제를 한쪽면 또는 양면에 코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박리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20 내지 300 μm의 범위이다.
(재박리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제조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점착제 용액을 박리 시트에 도공하고, 건조, 열경화, 또는 전자 방사선 효과 등에 의한 처리를 행한 후, 기재 시트를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점착제 용액을 박리 시트에 도공하고, 상기 처리한 박리 시트를 기재 시트의 양면에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또는, 점착제 용액을 직접 기재 시트에 도공한 후 상기 처리를 행하여 박리 시트를 접합시키는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와 점착제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40℃ 내지 100℃ 등의 고온 하에서 접합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는 제조 공정을 선택함으로써 롤상, 테이프상, 또는 시트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예)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의 형상이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여 롤상, 테이프상, 또는 시트상의 점착 시트로부터 절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한쪽면 점착 시트의 경우, 원하는 형상이나 치수로 절출하기 전, 또는 절출한 후 기재 시트의 점착제층이 설치되지 않는 면측에 상품명, 서비스, 또는 광고 선전 내용 등을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도안이나 문자 등의 인쇄가 행하여진다. 인쇄 방식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프셋 인쇄 방식 등의 평판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 방식 등의 오목판 인쇄법, 플렉소그래프 인쇄 방식 등의 볼록판 인쇄법, 또는 스크린 인쇄 방식 등의 공판 인쇄법 등의 각종 인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인쇄면을 보호하거나 의장성이나 미관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 투명 필름이나 무광택 반투명 필름을 인쇄면에 적층할 수도 있다. 인쇄가 실시되고 각종 형상, 치수로 재단된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사용한 시트, 스티커 또는 라벨은 화장품, 신체 세정 용품, 가사 용품, 의약품, 식료품, 음료품, 전화 제품 또는 문구 등의 점두 판매되는 상품 등에 접착되어 일반 소비자에 대하여 구입을 재촉하는 아이캐치 라벨 등의 판매 촉진 자재로서 사용된다. 또한, 전차, 버스 또는 택시 등의 차량, 담배 또는 음료 등의 자동 판매기, 자동 개찰기, 쇼윈도우 등의 공공의 면전에서 이용되는 설비 등에 접착되어 소비자에 대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 선전을 행하는 판매 촉진 자재로서 사용된다. 또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 에어컨,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의 각종 전기 제품, 토너 카트리지나 잉크 카트리지 등 재사용도 많이 행해지는 각종 관련 제품, 또는 자동차, 오토바이 및 건축 재료 등을 구성하는 각종 내외장 부품 등에 접착하여, 상품 및 부품의 품명, 또는 사용자나 서비스맨 등을 위한 취급 설명문이나 부품 교환 수순을 나타내는 문자 및 도면 등의 각종 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소모품의 주문처, 또는 수리의 연락처가 기입되어 있다. 또한, 점착 시트의 표면에 소정의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는 상기 용도에 사용된 경우, 피착체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각종 전기 제품 등의 평활면만이 아니라 요철을 갖는 조면에 접착한 경우에도 융기 박리를 발생하지 않고, 또한 재박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간 접착되어 있던 피착체로부터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당겨서 박리한 경우에도 피착체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류하거나 기재 시트가 절단되거나 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는 선전·광고 매체, 정보 표시용으로서 사용되는 시트, 스티커, 또는 라벨을 제조하는 데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 또는 상기 점착 시트를 이용한 라벨은 재활용을 행할 때에 점착 시트 또는 점착 라벨을 박리하는 공정이 포함되고, 또한 표면의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 내지 10.0 μm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된 부재를 구비한 전기 제품의 상기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장기간 첩부 후의 접착력이 높아지기기 쉬움)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부재의 주성분과 동일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부재와의 상용성이 향상되어, 필요에 따라서, 재박리하지 않고서 점착 시트를 접착한 채로 상기 부재 그 자체로 자원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해져, 재활용 적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 또는 상기 점착 시트를 이용한 라벨을 접착하여 재활용 용도로 사용하는 부재의 재질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 제품만이 아니라 유리나 금속 등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이 보다 거친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로 적합하고, Ra(3)가 3.0 내지 10.0 μm인 상기 부재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고, 특히, Ra(3)가 5.0 내지 10.0 μm인 상기 부재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배출 가스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예를 들면, 성형 직후나 고온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접착한 경우에는 점착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사이에 기포의 생성 고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만곡면에 첩부하여, 일정 기간 첩부 후에 박리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그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포장 용기(화장품이나 신체 세정 용품으로 사용하는 튜브 용기)에 접착하는 라벨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를 코팅한 금속,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고, 그 만곡 부분의 곡률 반경이 200 mm 이내인 만곡 볼록면(자동 판매기의 만곡부, 전기 제품의 코너 부분)에 접착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만곡 부분의 곡률 반경이 보다 작은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에 적합하고, 곡률 반경이 50 mm 이내인 상기 부재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고, 특히 곡률 반경이 10 mm 이내인 상기 부재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라테물 S-180(카오사 제조: 유효 성분 50%) 3부, 탈이온수 40부를 넣고,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60℃까지 승온하였다. 교반 하에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염산염 0.05부를 탈이온수 4.95부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아크릴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72.3부, 아크릴산부틸 25부, 메타크릴산메틸 0.5부, 아크릴산 1.0부, 메타크릴산 1.2부, 연쇄 이동제로서 라우릴메르캅탄 0.02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에 라테물 S-180(2부)와 탈이온수 20부를 첨가하여 유화시킨 단량체 프리에멀전의 일부(4부)를 첨가하고, 반응 용기내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60분간으로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반응 용기내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나머지 단량체 프리에멀전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염산염 0.2부를 탈이온수 19.8부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각각 별도의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내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240분간에 걸쳐서 적하하여 중합시켰다. 적하 종료 후, 동일 온도에서 180분간 교반하고 내용물을 냉각한 후, pH가 8.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수성 분산액 100부에 대하여, 레벨링제로서 사피놀420(에어·프로덕트·재팬사 제조) 0.8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가교제로서 옥사졸린계 가교제 에포크로스 K-2020E(니혼쇼쿠바이사 제조)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한 옥사졸린기가 몰비로 0.15배가 되도록 첨가한 후, 1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여 에멀전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지에 실리콘 화합물을 도공한 박리 시트(오지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OKB-105NC」)에, 점착제를 도공하고 80℃에서 90초간 건조시켜 건조한 후의 두께 20 μm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어서, 이 점착제층면 상에 유포 SGS80(유포 코포레이션사 제조)를 접합시켜, 40℃의 분위기 중에서 3일간 방치한 후, 재박리용 점착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2)
(밑칠코팅제의 제조)
잉크 수리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 용액(소켄 가가꾸 제조의 「사모래크 EF-32-3」, 고형분 45%)을 50부, 희석 용제로서 에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4:1 혼합 용제를 45부, 블록킹 방지제로서 합성 실리카(후지 시리시아 가가꾸 제조 「사이리시아350」)를 5부 첨가하여 합계 100부의 배합액을 조정하였다. 페인트 콘디셔너를 사용하여 배합액을 20분간 분산하여 고형분 27.5%의 밑칠코팅제를 얻었다.
(폴리스티렌 필름 기재 시트의 제막)
스티렌과 SBR을 각각 60부, 40부로 그래프트 중합시킨 HIPS 수지 100부에, 50%의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15부를 첨가한 배합물을 T 다이 압출 제막기를 이용하여 200℃에서 용융압출하여, 두께 100 μm의 무연신 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의 양면에 50 mN/m의 젖음 지수가 되도록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밑칠코팅층을 적층시키는 면에 그라비어 코팅기를 이용하여 상기 코팅제를 도공하고, 도포량 1.5 g/m2의 밑칠코팅층을 설치함으로써 폴리스티렌 필름 기재 시트를 제조하였다.
기재 시트로서 상기 폴리스티렌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2)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2)의 평가를 행한 후, HIPS 수지 펠릿(도요우 스티렌사 제조의 난연 HIPS 수지)에 대하여, 점착 시트(2)를 20%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출 온도 220℃에서 재펠릿화를 1회 행하였다. 마찬가지로 점착 시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재펠릿화를 1회 행하였다(블랭크).   다음으로 재펠릿화한 펠릿을 금형 온도 50℃, 용융 온도 220℃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JIS K 7113에 준거하여,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인장 파단 강도와 인장 파단 신장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속도: 50 mm/분, 시험편의 형상: 1호형 시험편).   측정 기기로서, A&D사 제조의 텐시론 만능 시험기 「RTA-100」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표선간 거리 50 mm, 고정기구간 거리 115 mm, 고정부분 길이 각 30 mm, 평행 부분의 폭 10 mm, 두께 5 mm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PS 수지 펠릿 대신에, 스티렌계 수지로 변성된 PPE 수지 펠릿(GE 플라스틱사 제조 「노릴」)에 점착 시트를 20% 첨가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240℃에서 재펠릿화 및 시험편 제조를 행하였다. 점착 시트(2)와 재활용 부재를 일체로 하여 재활용한 경우의 인장 물성의 변화를 평가한 바, 점착 시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어느 수지에 첨가한 경우에도 인장 파단 강도의 저하가 9%, 인장 파단 신장도의 증가가 13%이고, 어느 쪽의 특성 변화도 ±20% 이하인 바람직한 재활용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기재 시트로서 두께 65 μm 폴리스티렌 기재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3)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3)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HIPS 수지 펠릿과 변성 PPE 수지 펠릿에 점착 시트(3)를 20% 첨가하여 재활용한 경우의 인장 물성의 변화를 평가한 바, 어느 수지에 첨가한 경우에도 인장 파단 강도의 저하가 12%, 인장 파단 신장도의 증가가 15%로서, 어느 특성 변화도 ±20% 이하인 바람직한 재활용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에멀전형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사용한 가교제를 옥사졸린계 가교제 에포크로스 K-2010(니혼쇼쿠바이사 제조)로 하여, 카르복실기에 대한 옥사졸린기가 몰비로 0.03배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4)를 얻었다.
(실시예 5)
에멀전형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기재한 카르복실기에 대한 옥사졸린기가 몰비로 0.1배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5)를 얻었다.
(실시예 6)
에멀전형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기재한 카르복실기에 대한 옥사졸린기가 몰비로 0.25배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6)을 얻었다.
(실시예 7)
에멀전형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아크릴산 1.0부, 메타크릴산 1.2부를 병용하여 이용하는 배합을, 아크릴산 단독으로 2.2부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7)를 얻었다.
(실시예 8)
에멀전형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아크릴산 1.0부, 메타크릴산 1.2부를 병용하여 이용하는 배합을, 메타크릴산 단독으로 2.2부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8)를 얻었다.
(비교예 1)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 2-에틸헥실 79부, 아크릴산메틸 20부, 아크릴산 0.8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부와 중합 촉매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부를 아세트산에틸 100부에 용해하고, 80℃에서 8시간 중합한 후 냉각하고, 고형분이 3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 100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사 제조 「바녹 NC-40」)을 0.7부 첨가하고, 15분간 교반하여 용제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점착제의 제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H1)를 얻었다.
(비교예 2)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부틸 90.3부, 아세트산비닐 8부, 아크릴산 1.5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부와 중합 촉매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부를 아세트산에틸 100부에 용해하고, 80℃에서 8시간 중합하여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불균화 로진에스테르(아라카와 가가꾸사 제조 「수퍼에스테르 A100」)를 10부, 및 중합 로진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아라카와 가가꾸사 제조 「펜셀 D135」)를 10부 첨가하고, 고형분45%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 공중합체 혼합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혼합 용액 100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사 제조 「바녹 NC-40」)을 1.2부 첨가하고, 15분간 교반하여 용제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점착제의 제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H2)를 얻었다.
(참고예 1)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탈이온수 40부를 넣고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75℃까지 승온하였다. 교반 하에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0.03부, L-아스코르브산 0.015부를 첨가하고, 계속해서 아크릴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75부, 아크릴산부틸 19부, 메타크릴산메틸 2부, 아세트산비닐 1부, 아크릴산 1.5부, 메타크릴산 1.5부, 연쇄 이동제로서 라우릴메르캅탄 0.02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에, 라테물 E-118B(카오사 제조: 유효 성분 25%) 1.6부와 탈이온수 15부를 첨가하여 유화시킨 단량체 프리에멀전의 일부(4부)를 첨가하고, 반응 용기내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60분간으로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반응 용기내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나머지 단량체 프리에멀전과,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의 수용액(유효 성분 1%) 15부, L-아스코르브산의 수용액(유효 성분 0.5%) 15부를 각각 별도의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내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240분간에 걸쳐서 적하하여 중합시켰다. 적하 종료 후, 동일 온도에서 180분간 교반하고, 내용물을 냉각한 후, pH가 8.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수성 분산액 100부에 대하여, 레벨링제로서 서피놀420(에어·프로덕트·재팬사 제조) 0.8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가교제로서, 옥사졸린계 가교제 에포크로스 K-2020E(니혼쇼쿠바이사 제조)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한 옥사졸린기가 몰비로 0.2배가 되도록 첨가한 후, 1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여 에멀전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에멀전형 점착제의 제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재박리용 점착 시트(H3)를 얻었다.
(실시예 9)
(ABS 기재 시트의 제막)
ABS 수지 100부에, 50%의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20부를 첨가한 배합물을 캘린더법에 의해 제막하여 두께 80 μm의 무연신 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의 양면에 46 mN/m의 젖음 지수가 되도록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그라비어 코팅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밑칠코팅제를 상기 필름에 도공하고 도포량 1.5 g/m2의 밑칠코팅층을 설치함으로써, ABS 필름 기재 시트를 제조하였다.
기재 시트로서, 상기 ABS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9)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9)의 평가를 행한 후, ABS 수지 펠릿(UMG ABS사 제조의 난연 ABS 수지)에 대하여, 점착 시트(9)를 1%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출 온도 240℃에서 재펠릿화를 1회 행하였다. 마찬가지로 점착 시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재펠릿화를 1회 행하였다(블랭크).   다음으로 재펠릿화한 펠릿을 금형 온도 50℃, 용융 온도 200℃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JIS K 7113에 준거하여,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인장 파단 강도와 인장 파단 신장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속도: 50 mm/분, 시험편의 형상: 1호형 시험편).   측정 기기로서, A&D사 제조의 텐실론 만능 시험기 「RTA-100」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표선 간 거리 50 mm, 고정기구간 거리 115 mm, 고정부분 길이 각 30 mm, 평행 부분의 폭 10 mm, 두께 5 mm로 하였다. 점착 시트(9)와 재활용 부재를 일체로 하여 재활용한 경우의 인장 물성의 변화를 평가한 바, 점착 시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어느 수지에 첨가한 경우에도 인장 파단 강도의 저하가 0%, 인장 파단 신장도의 증가가 0%로서, 어느 특성 변화도 ±20% 이하인 바람직한 재활용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기재 시트로서 두께 120 μm ABS 기재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10)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10)도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ABS 수지 펠릿에 점착 시트(10)를 1% 첨가하여 재활용한 경우의 인장 물성의 변화를 평가한 바, 어느 수지에 첨가한 경우에도 인장 파단 강도의 저하가 1%, 인장 파단 신장도의 증가가 0%로서, 어느 특성 변화도 ±20% 이하인 바람직한 재활용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시트의 제막)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부에 50%의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20부를 첨가한 배합물을 캘린더법에 의해 제막하여 두께 100 μm의 무연신 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의 양면에 50 mN/m의 젖음 지수가 되도록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그라비어 코팅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밑칠코팅제를 상기 필름에 도공하고 도포량 1.5 g/m2의 밑칠코팅층을 설치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기재 시트를 제조하였다.
기재 시트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11)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11)의 평가를 행한 후, 폴리카보네이트와 HIPS의 얼로이 수지 펠릿(다이셀폴리머사 제조의 난연 폴리카보네이트·HIPS 얼로이 수지)에 대하여, 점착 시트(11)를 2.5%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출 온도 240℃에서 재펠릿화를 1회 행하였다. 마찬가지로 점착 시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재펠릿화를 1회 행하였다(블랭크).   다음으로 재펠릿화한 펠릿을 금형 온도 50℃, 용융 온도 220℃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JIS K 7113에 준거하여,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인장 파단 강도와 인장 파단 신장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속도: 50 mm/분, 시험편의 형상: 1호형 시험편).   측정 기기로서, A&D사 제조의 텐시론 만능 시험기 「RTA-100」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표선 간 거리 50 mm, 고정기구간 거리 115 mm, 고정부분 길이 각 30 mm, 평행 부분의 폭 10 mm, 두께 5 mm로 하였다. 점착 시트(11)와 재활용 부재를 일체로 하여 재활용한 경우의 인장 물성의 변화를 평가한 바, 점착 시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어느 수지에 첨가한 경우에도 인장 파단 강도의 저하가 3%, 인장 파단 신장도의 저하가 4%로서, 어느 특성 변화도 ±20% 이하인 바람직한 재활용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측정한 손실 정접 곡선을 도 1로서 나타내었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
상기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사 제조, 상품명: 아레스 2KSTD)를 이용하여, 평행 원반형의 측정부에 시험편을 끼우고, 주파수 1 Hz에서 -50℃부터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하였다. 손실 정접 tanδ는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시험편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시트를 복수매 중첩하고, 기재의 두께를 제외한 실질적인 점착제의 두께가 0.64 mm가 되도록 적층시켜 제작하였다.
손실 정접 tanδ= G"/G'
다만, 점착 시트(2) 내지 (3) 및 (9) 내지 (11)에 있어서는, 가열에 의해 폴리스티렌 기재 시트, ABS 기재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시트의 연화에 의해 측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2) 내지 (3) 및 (9) 내지 (11)의 동적 점탄성의 측정치는 유포 SGS80을 기재 시트에 사용한 점착 시트(1)의 측정치를 유용하였다.
(초기 점착력 Fa의 측정)
JIS Z 0237에 준거하여,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점착 시트를 폭 25 mm, 길이 100 mm로 절단하여,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1 μm인 폴리스티렌판에, 2 kg의 롤러로 압착 속도 5 mm/s,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접착한 후 24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가부시끼가이샤 A&D 제조, RTA100)로 50 mm/분의 속도로 90도 인장박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초기 점착력 Fb의 측정)
JIS Z 0237에 준거하여,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점착 시트를 폭 25 mm, 길이 100 mm로 절단하여,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7.0 μm인 폴리스티렌판에, 2 kg의 롤러로 압착 속도 5 mm/s,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접착한 후 24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가부시끼가이샤 A&D 제조, RTA100)로 50 mm/분의 속도로 90도 인장박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의 측정)
상기한 점착력의 측정 시에 이용한 폴리스티렌판의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μm)는 하기의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한 것이다. 표면 형상 측정 장치 사프콤 575A(가부시끼가이샤 도쿄 세이미쯔 제조)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판의 표면의 조도를, 접촉 선단 5 μmR, 다이아몬드, 측정력 4 mN 이하, 측정 기준 길이 10 mm의 조건으로, 1시료마다 10개소 측정하여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Ra(3);  μm)로서 구하였다.
(내박리성의 평가)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점착 시트를 폭 25 mm, 길이 100 mm로 절단하여,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1 μm, 및 7.0 μm의 표면을 갖는 폴리스티렌판, 폴리페닐렌에테르판, ABS판, 및 폴리카보네이트판에 2 kg의 롤러로 1왕복 압착하여, 1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온도 60℃, 상대 습도 0 내지 5%의 환경 하에 60일 방치한 후의 점착 시트의 융기 박리 상태를 육안에 의해 판정하였다.
○: 모든 피착체에 대하여 융기 박리가 없고 문제가 없는 상태였다.
△: 일부의 피착체에 대하여 융기 박리가 없었다.
×: 모든 피착체에 대하여 융기 박리가 발생하였다.
(재박리성의 평가)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점착 시트를 폭 25 mm, 길이 100 mm로 절단하여,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1 μm, 및 7.0 μm의 표면을 갖는 폴리스티렌판, 폴리페닐렌에테르판, ABS판, 및 폴리카보네이트판에 2 kg의 롤러로 1왕복 압착하여, 1시간 방치하였다. 또한, 온도 60℃, 상대 습도 0 내지 5%의 환경 하에 60일 방치하고, 이어서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에 1시간 방치한 후, 인장박리 각도 135도 방향으로 1 m/분의 속도로 당겨서 박리한 후의 상태를 육안에 의해 판정하였다.
○: 모든 피착체에 대하여 풀 잔류가 없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 일부의 피착체에 대해서는 풀 잔류가 없이 박리할 수 있었다.
×: 피착체에의 풀 잔류가 현저하고 재박리가 곤란하였다.
(재활용 적성의 평가: 재활용 재사용성)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중에서, 점착 시트를 폭 25 mm, 길이 100 mm로 절단하여, JIS B 06012001에서 정의되는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1 μm, 및 7.0 μm의 표면을 갖는 폴리스티렌판, 폴리페닐렌에테르판, ABS판, 및 폴리카보네이트판에 2 kg의 롤러로 1왕복 압착하여 1시간 방치하였다. 또한, 온도 60℃, 상대 습도 0 내지 5%의 환경 하에 60일 방치하고, 이어서 온도 23℃, 상대 습도 50%에 1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피착체에 점착제가 잔류하거나 기재 시트가 찢어지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점착 시트를 박리하여 그 박리 작업의 행하기 쉬움을 평가하였다.
○: 모든 피착체에 대하여, 특단의 고안을 하지 않더라도, 점착제의 잔류나 기재 시트의 찢어지지 않고 재박리할 수 있어 박리 작업성이 우수하다.
△: 일부의 피착체에 대하여, 특단의 고안을 하지 않더라도, 점착제의 잔류나 기재 시트의 찢어지지 않고 박리 작업이 가능하다.
×: 드라이어로 따뜻하게 하거나 매우 천천히 박리함으로써 재박리가 가능해지지만, 박리 작업성은 나쁘다.
××: 드라이어로 따뜻하게 하거나 매우 천천히 박리하더라도, 피착체에 점착제가 잔류하거나 기재 시트의 찢어져서 박리 작업성은 매우 곤란하다.
(만곡면에 대한 내박리성 및 재박리성의 평가1)
점착 시트에 UV 잉크로 인쇄한 후, 그 표면에 15 μm의 점착제층을 통해 20 μm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층시켜, 폭 50 mm, 길이 50 mm의 아이캐치 라벨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아크릴계 수지가 표면에 코팅된 폴리에틸렌제 스퀴즈튜브 용기의(의 만곡면의) 상기 아크릴 수지 코팅 상에 아이캐치 라벨을 점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3개월간 방치하여, 아이캐치 라벨의 융기 박리 상태 및 재박리성을 육안에 의해 판정하였다.
◎: 라벨의 융기 박리가 없고, 또한 재박리성도 문제가 없는 상태였다.
○: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의 매우 약간 라벨의 융기가 보였지만, 재박리성은 문제가 없는 상태였다.
○ 내지 △: 매우 약간 라벨의 융기 및 매우 약간 점착제의 피착체에의 잔존이 보였지만, 모두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의 융기, 점착제의 잔존이었다.
△: 라벨의 융기 박리는 없지만, 라벨을 박리하면 점착제의 용기 표면에의 잔존이나 기재 시트의 깨짐이 생겼다.
×: 재박리성은 문제가 없지만, 라벨의 융기 박리가 현저히 발생하였다.
××: 라벨의 융기 박리가 발생하고, 또한 라벨을 박리하면 점착제의 용기 표면에의 잔존이나 기재 시트의 깨짐이 생겼다.
(만곡면에 대한 내박리성 및 재박리성의 평가 2)
점착 시트에 오프셋 인쇄한 후, 그 표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20 μm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층시켜, 폭 50 mm, 길이 50 mm의 라벨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곡률 반경 25 mm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에 접착하여,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3개월간 방치하고, 라벨의 융기 박리 상태 및 재박리성을 육안에 의해 판정하였다.
◎: 라벨의 융기 박리가 없고, 또한 재박리성도 문제가 없는 상태였다.
○: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의 매우 약간 라벨의 융기가 보였지만, 재박리성은 문제가 없는 상태였다.
○ 내지 △: 매우 약간 라벨의 융기 및 매우 약간 점착제의 피착체에의 잔존이 보였지만, 모두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의 융기, 점착제의 잔존이었다.
△: 라벨의 융기 박리는 없지만, 라벨을 박리하면 점착제가 피착체에 잔존하거나 기재 시트가 찢어졌다.
×: 재박리성은 문제가 없지만, 라벨의 융기 박리가 현저히 발생하였다.
××: 라벨의 융기 박리가 발생하고, 또한 라벨을 박리하면 점착제가 피착체에 잔존하거나, 기재 시트가 찢어졌다.
(팽창의 평가)
점착 시트에 스크린 인쇄한 후, 유포 SGS80을 기재 시트에 이용한 점착 시트(1) 및 (H1) 내지 (H3)에 대해서는 그 표면에 15 μm의 접착제층을 통해 20 μm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층시키고, 폴리스티렌 필름 기재를 이용한 점착 시트(2) 내지 (3)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20 μm의 점착제층을 통해 25 μm의 폴리스티렌 필름을 적층시켜, 폭 70 mm, 길이 70 mm의 라벨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HIPS판의 표면에 접착하여, 온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1일 방치하고, 라벨의 팽창의 상태를 육안에 의해 판정하였다.
○: 팽창이 보이지 않는 상태였다.
○ 내지 △: 주시하면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매우 약간 팽창이 보였다.
△: 약간 팽창이 보였다.
×: 분명하게 팽창이 발생해 있고, 문제가 있는 레벨이었다.
Figure 112011084659660-pat00001
Figure 112011084659660-pat00002
Figure 112011084659660-pat00003
표 1 내지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진 재박리용 점착 시트는 피착체의 평활면 뿐만 아니라, 요철을 갖는 조면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 점착 시트의 접착을 완료하면, 점착 시트의 융기 박리 등이 장기간 발생하지 않고, 또한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는 피착체를 점착제로 오염시키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8의 점착 시트는 배출 가스가 발생하기 쉬운 피착체에 접착되더라도 기포의 생성 고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재박리용 점착 시트에 따르면,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 선전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화장품, 신체 세정 용품, 음료 및 식품 등의 포장 용기, 자동 판매기 및 자동 개찰 등의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또는 전차 및 버스 등의 공공의 장소에서 이용되는 차량에의 접착, 또는 상품의 품명 표시, 또는 사용자나 서비스맨 등을 위한 취급 설명문이나 부품 교환 수순을 나타내는 문자 및 도면 등의 각종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 쿨러,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의 각종 전기 제품, 토너 카트리지나 잉크 카트리지 등 재사용도 많이 행해지는 각종 관련 제품, 또는 자동차, 오토바이 및 건축 재료 등을 구성하는 각종 내외장 부품 등에 접착하고, 일정한 기간 접착한 후에 박리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재활용을 행하는 공정에서 점착 시트를 박리할 필요가 있고, 또한 표면의 윤곽 곡선의 산술 평균 높이 Ra(3)가 0 내지 10.0 μm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된 부재를 구비한 전기 제품의 상기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이 보다 거친 부재에 접착하는 용도로 적합하고, Ra(3)가 3.0 내지 10.0 μm인 상기 부재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고, 특히, Ra(3)가 5.0 내지 10.0 μm인 상기 부재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만곡면에 첩부하고, 일정 기간 첩부한 후에 박리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그의 복합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포장 용기(화장품이나 신체 세정 용품으로 사용하는 튜브용기)에 접착하는 라벨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를 코팅한 금속,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고, 그 만곡 부분의 곡률 반경이 200 mm 이내인 만곡 볼록면(자동 판매기의 만곡부, 전기 제품의 코너 부분)에 접착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10)

  1.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사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에멀전형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주파수 1 Hz, -50℃ 내지 150℃에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이
    (a) -20℃ 이하의 저온역에서 위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b) 10 내지 40℃의 중온역에서 아래로 볼록한 피크를 갖고,
    (c) 70℃에서의 손실 정접이 0.38 내지 0.5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에 대한 메타크릴산의 비율이 질량비로 0.5 내지 2.0인 재박리용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50℃ 내지 120℃의 고온역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이 50℃에서 0.38 내지 0.53이고, 100℃에서 0.40 내지 0.65이고, 120℃에서 0.40 내지 0.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주파수 1Hz, 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6.0×104 내지 2.1×105 Pa인 재박리용 점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을 단량체 성분으로 포함하고,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50 내지 99 질량%인 재박리용 점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함유량이 0.5 내지 4.0 질량%인 재박리용 점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조계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에멀전형 점착제를 포함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가교제로서 옥사졸린계 가교제를 함유하는 재박리용 점착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재박리용 점착 시트를 이용한 재활용용 라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박리용 점착 시트의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 에테르,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것들의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 시트를 사용한 재활용용 라벨.
KR1020117025631A 2007-05-28 2008-01-29 재박리용 점착 시트 및 재활용용 라벨 KR101335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40254 2007-05-28
JP2007140254 2007-05-28
JP2007205248 2007-08-07
JPJP-P-2007-205248 2007-08-07
JP2007222446A JP5063262B2 (ja) 2006-08-30 2007-08-29 再剥離用粘着シート
JPJP-P-2007-222446 2007-08-29
PCT/JP2008/051254 WO2008146503A1 (ja) 2007-05-28 2008-01-29 再剥離用粘着シー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074A Division KR101157723B1 (ko) 2007-05-28 2008-01-29 재박리용 점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185A KR20110126185A (ko) 2011-11-22
KR101335072B1 true KR101335072B1 (ko) 2013-12-03

Family

ID=40074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631A KR101335072B1 (ko) 2007-05-28 2008-01-29 재박리용 점착 시트 및 재활용용 라벨
KR1020097027074A KR101157723B1 (ko) 2007-05-28 2008-01-29 재박리용 점착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074A KR101157723B1 (ko) 2007-05-28 2008-01-29 재박리용 점착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335072B1 (ko)
CN (1) CN101679815B (ko)
WO (1) WO2008146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2438B2 (ja) * 2009-03-26 2014-06-18 Dic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5967688B2 (ja) * 2009-09-16 2016-08-10 Dic株式会社 遮光性粘着剤組成物及び遮光性粘着テープ
TWI519409B (zh) * 2010-12-27 2016-02-01 三菱麗陽股份有限公司 積層結構體及加工品的製造方法
JPWO2013031032A1 (ja) 2011-08-31 2015-03-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TWI666286B (zh) * 2014-08-12 2019-07-21 日商三菱化學股份有限公司 Transparent adhesive sheet
JP6603479B2 (ja) * 2015-05-18 2019-11-06 日東電工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ダイシングテープ一体型接着フィルム、複層フィルム、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CN107163867B (zh) * 2016-03-07 2021-10-26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用粘合片、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液晶显示装置
CN111148810B (zh) * 2017-08-16 2022-10-2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压敏粘着剂组合物和其制备方法
CN110079231A (zh) * 2019-04-23 2019-08-02 中山市旭森涂层材料有限公司 一种弱溶剂pp直面贴及其制作工艺
CN110172305A (zh) * 2019-04-23 2019-08-27 中山市旭森涂层材料有限公司 一种pp直面贴制备方法及其直面贴的使用方法
WO2023208999A1 (en) * 2022-04-27 2023-11-02 Synthomer Deutschland Gmbh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static peel resist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775A (ja) * 2003-02-28 2004-11-11 Dainippon Ink & Chem Inc 再剥離用粘着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098B2 (ja) * 2005-08-05 2012-07-1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剥離型水性粘着シート、剥離型水性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貼るカイロ用粘着部材、並びに貼るカイ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775A (ja) * 2003-02-28 2004-11-11 Dainippon Ink & Chem Inc 再剥離用粘着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185A (ko) 2011-11-22
CN101679815B (zh) 2014-01-29
CN101679815A (zh) 2010-03-24
KR101157723B1 (ko) 2012-06-20
KR20100010937A (ko) 2010-02-02
WO2008146503A1 (ja)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072B1 (ko) 재박리용 점착 시트 및 재활용용 라벨
TWI422663B (zh) 再剝離用黏著片
JP5024590B2 (ja) 再剥離用粘着シート
JP4804007B2 (ja) 粘着製品
JPWO2018092904A1 (ja) 粘着シート
JP5332124B2 (ja)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1162659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825404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2201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リサイクル用部材
JP5885051B2 (ja) 粘着テープ及び部材の製造方法
JP4837311B2 (ja) 血液バック用粘着シート
JP2016537443A (ja) 可逆性感圧接着剤
JP2008150494A (ja) 湾曲部貼付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貼付方法
WO2000057765A1 (fr) Feuille de nettoyage
JP5030044B2 (ja) 貼合用の圧着性再剥離型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TW201912704A (zh) 脆丙烯酸薄膜和包含它的防偽標籤
JPH10310745A (ja) 粘着シート
JP2019099635A (ja) 粘着シート
JP2007023057A (ja) 架橋剤併用型自己粘着性フィルム
JP2004315775A (ja) 再剥離用粘着フィルム
JP5162270B2 (ja) ラベル用粘着シート、ラベルおよびラベル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1131503A (ja) 感圧接着シート
JP2001172578A (ja) 粘着シート
JP4071144B2 (ja) 記録用シート
JPH10120990A (ja) 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