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924B1 - 테이프의 권취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의 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924B1
KR101330924B1 KR1020087030992A KR20087030992A KR101330924B1 KR 101330924 B1 KR101330924 B1 KR 101330924B1 KR 1020087030992 A KR1020087030992 A KR 1020087030992A KR 20087030992 A KR20087030992 A KR 20087030992A KR 101330924 B1 KR101330924 B1 KR 10133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ide plate
adhesive tap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830A (ko
Inventor
다까또 오찌
다까시 세끼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1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on flanged bobbins or s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6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2301/41368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e or two lateral flanges covering part of or entire web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원주 형상의 권취부 (3)과, 이 권취부 (3)을 사이에 두고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 (2), (2)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적어도 한쪽의 측판부 (2)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주연 볼록부 (22)를 형성한다.
Figure R1020087030992
권취부, 측판부, 볼록부, 릴, 주연 볼록부, 주연부

Description

테이프의 권취 방법{METHOD FOR WINDING TAPE}
본 발명은 접착제층(또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필름재를 세폭(細幅)의 테이프 형상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점착)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재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에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이방 도전성 필름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회로 접속에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 종류의 이방 도전성 필름은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폭이 넓은 필름재에 접착제층을 도공 형성 등을 한 후에, 이것을 세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릴에 권취되어 제조, 공급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46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거듭한 바, 이방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접착제층이 도공 형성된 필름재를 세폭으로 절단하면서 릴에 권취하는 제조 형태에 있어서는, 아직 개선하여야 할 과제가 남겨져 있다는 지견을 얻기에 이르렀다. 즉, 릴에 권취할 때나 권취 보관 시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가 릴의 내측면에 부착되면, 이것이 제품 불량의 한 원인이 되게 되고, 특히, 권취 불균일이 생기지 않도록, 피권취물의 측면을 릴의 주연부에 가이드시킨 상태에서 권취하면, 상기 주연부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이 현저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착제층이 도공 형성된 필름재를 세폭으로 절단하면서 릴에 권취하여, 이방 도전성 필름과 같은 접착 필름(테이프)을 제조, 공급할 때에, 피권취물의 측면을 릴의 주연부로 가이드하면서 권취해도,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가 상기 주연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 및 상기 접착 테이프를 풀어서 사용할 때의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릴은 원주 형상의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고, 한쪽 또는 양쪽의 상기 측판부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주연 볼록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릴은 종래에는 없었던 신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릴에 접착제층이 도공 형성된 필름재를 세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권취하여, 접착 테이프를 제조, 공급하도록 하면, 피권취물인 접착 테이프의 측면을 측판부의 주연부로 가이드하여, 권취 불균일이 생기지 않도록 권취하여 갈 때에, 접착 테이프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측판부의 주연부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릴은 피권취물인 접착 테이프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는 데에 있어서, 피권취물의 측면을 상기 측판부의 주연부로 가이드하여 권취할 때에, 적어도 상기 주연 볼록부의 상기 피권취물과 접촉하는 부위를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릴은 문제점을 수반하지 않고 측판부의 주연부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주연 볼록부가 높이 0.05 내지 1.00 mm, 폭 0.5 내지 2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층이 도공 형성된 필름재를 세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권취 불균일이 생기지 않도록 측판부의 주연부로 가이드하여 릴에 권취할 때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가 측판부의 주연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품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b)의 B-B 단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의 C-C 단부면도이다.
도 4는 접착 테이프의 권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의 변형예에 있어서 측판부의 내측면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의 변형예에 있어서 측판부의 내측면에 형성하는 볼록부 또는 측판부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형성하는 주연 볼록부의 단면 형상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릴의 변형예에 있어서 측판부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형성하는 주연 볼록부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릴의 변형예에 있어서 측판부의 내측면에 형성하는 볼록부 및 측판부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형성하는 주연 볼록부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릴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도 1의 (a)는 정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릴 (1)은 원주 형상의 권취부 (3)과, 이 권취부 (3)을 사이에 두고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 (2), (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릴 (1)의 거의 중앙에는 D자 구멍 형상의 축 구멍 (4)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있고, 이 축 구멍 (4)에, 도시하지 않은 권취 장치의 권취축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상기 권취 장치에 릴 (1)이 장착되어 권취축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릴 (1)은 접착제층이 도공 형성된 필름재를 세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권취하여, 다양한 접착 테이프 (5)를 제조하고 공급할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권취부 (3)의 폭, 즉, 권취부 (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측판부 (2), (2) 사이의 거리는 피권취물인 접착 테이프 (5)의 절단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측판부 (2)는 일반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직경은 접착 테이프 (5)의 권취 길이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릴 (1)은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일 수도 있지만, 한 쌍의 측판부 (2), (2)와 권취부 (3)을 별개로 형성하고, 이것을 감합, 접착 등의 적절하게 수단에 의해 접합하여 일체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측판부 (2), (2)와 권취부 (3)을 별개로 하면, 예를 들면, 권취부 (3)을 공통으로 하고, 이것에 서로 다른 직경의 측판부 (2)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권취 길이에 대응시키거나, 공통의 측판부 (2)에 폭이 서로 다른 권취부 (3)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절단폭에 대응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판부 (2), (2)의 내측면에 도 1의 (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 (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의 (b)의 B-B 단면을 도시하는 단부면도이다.
측판부 (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볼록부 (21)은 접착 테이프 (5)를 릴 (1)에 권취할 때나 접착 테이프 (5)의 권취 보관 시에,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노출되는 접착제층이 릴 (1)의 내측면(측판부 (2)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고, 이에 의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가 릴 (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이다.
즉, 권취부 (3)으로 이격되어 있는 측판부 (2), (2) 사이의 거리는 권취부 (3)에 권취되는 접착 테이프 (5)가 측판부 (2)의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 (5)의 절단폭에 따라서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고 설정되는데, 접착 테이프 (5)를 권취할 때에, 릴 (1)의 회전에 흔들림 등이 생기거나 하여 접착 테이프 (5)의 권취 위치가 치우치거나, 권취 보관 시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권취된 접착 테이프 (5)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거나 하면, 접착 테이프 (5)가 측판부 (2)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경우에도, 측판부 (2)의 내측면에 볼록부 (21)을 형성함으로써,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노출되는 접착제층과, 측판부 (2)의 내측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가 릴 (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볼록부 (21)을 형성함에 있어서, 볼록부 (21)의 높이 h1은, 0.05 내지 1.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0 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0 mm이다.
볼록부 (21)의 높이 h1이 0.05 mm 미만이면, 접착 테이프 (5)의 측판부 (2)의 내측면에 대한 접촉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또한, 릴 (1)을 사출 성형할 때의 조건 관리의 정밀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볼록부 (21)의 높이 h1이 1.00 mm를 초과하면, 볼록부 (21)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어, 릴 (1)의 폭 치수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대한 가압력이 강해져서,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볼록부 (21)의 흔적이 남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볼록부 (21)의 폭 w1은 0.5 내지 2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mm이다.
볼록부 (21)의 폭 w1이 0.5 mm 미만이면,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흠집을 낼 우려가 있다. 또한, 릴 (1)을 사출 성형할 때의 조건 관리의 정밀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볼록부 (21)의 폭 w1이 20.0 mm를 초과하면, 볼록부 (21)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도시하는 예에서는 8개)의 볼록부 (21)을 방사상으로 형성하면, 보다 확실하게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릴 (1)의 내측면에 대한 부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판부 (2)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도 1의 (b)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연 볼록부 (22)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은 도 1의 (b)의 C-C 단면을 도시하는 단부면도이다.
여기서, 세폭으로 절단된 접착 테이프 (5)를 릴 (1)에 권취함에 있어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5)를 약간 기울이면서,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을 측판부 (2)의 주연부에 가이드시킨 상태로 권취하면,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을 동일면에 정렬하여 권취 불균일이 생기지 않도록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접착 테이프 (5)의 권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상태의 좌측면도이고,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릴 (1)에 접착 테이프 (5)가 권취되어 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판부 (2)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형성되는 주연 볼록부 (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접착 테이프 (5)를 릴 (1)에 권취할 때에,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노출되는 접착제층이 측판부 (2)의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가 측판부 (2)의 주연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을 측판부 (2)의 주연부로 가이드할 때에, 접착 테이프 (5)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측판부 (2)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연 볼록부 (22)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연 볼록부 (22)는 적어도 접착 테이프 (5)와 접촉하는 부위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곡률 반경은 접착 테이프 (5)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는 데에 있어서, 0.3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m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주연 볼록부 (22)를 형성함에 있어서, 주연 볼록부 (22)의 높이 h2는 0.05 내지 1.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0 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0 mm이다.
주연 볼록부 (22)의 높이 h2가 0.05 mm 미만이면, 접착 테이프 (5)의 측판부 (2)의 내측면에 대한 접촉을 억제하는 효과가 손상되게 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 (5)를 권취할 때에 볼록부 (21)과 접착 테이프 (5)가 간섭하여, 접착 테이프 (5)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주연 볼록부 (22)의 높이 h2가 1.00 mm를 초과하면, 주연 볼록부 (22)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어, 접착 테이프 (5)를 권취할 때에 접착 테이프 (5)와 간섭하게 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 (5)를 권취한 후의 접착 테이프 (5)와 측판부 (2), (2)의 간극이 커지기 때문에, 보관 시의 감김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있는 등, 보관 안정성이 저하되게 된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주연 볼록부 (22)의 폭 w2는 0.5 내지 2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mm이다.
주연 볼록부 (22)의 폭 w2가 0.5 mm 미만이면,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에 흠집을 낼 우려가 있다. 반대로, 주연 볼록부 (22)의 폭 w2가 20.0 mm를 초과하면, 주연 볼록부 (22)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릴 (1)에 권취된 접착 테이프 (5)를 풀어서 사용할 때에, 접착 테이프 (5)가 주연 볼록부 (22)에 걸릴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기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 (2), (2)의 양쪽에 볼록부 (21)과 주연 볼록부 (22)가 형성되어 있는데, 볼록부 (21)과 주연 볼록부 (22)는 필요에 따라서 한쪽의 측판부 (2)에만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한쪽의 측판부 (2) 측에 치우쳐 접착 테이프 (5)를 권취하고, 다른 쪽의 측판부 (2)와 접착 테이프 (5) 사이에 여유를 두면, 상기 한쪽의 측판부 (2)에만 볼록부 (21)과 주연 볼록부 (22)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D자 구멍 형상으로 한 축 구멍 (4)의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권취축측에 형성된 키에 대응하는 키 홈이 형성된 형상일 수도 있고, 축 구멍 (4)의 구체적인 형태는 권취 장치의 권취축에 대한 장착 수단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부 (3)의 형태를 간략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강성 확보를 위한 리브를 설치하는 등, 이 종류의 릴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제층을 구비한 접착 테이프 (5)를 피권취물로 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릴은 일반적으로 점착제라고 칭해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도공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피권취물에도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점착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측판부 (2)의 내측면에 형성하는 볼록부 (21)은 릴 (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 볼록 줄로서 형성되지만, 볼록부 (21)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적으로 형성된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 (21)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측판부 (2)의 중심으로부터 주연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외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방향과 교차시킬 수도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꾸불꾸불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 (21)을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그 방사 중심은 측판부 (2)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일치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서로 다른 각각의 방사 중심으로부터 볼록부 (21)이 방사상으로 넓어져 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 (21)의 단면 형상도 상술한 바와 같은 원호 형상에 한하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 또는 그 각부를 모따기한 형상 등일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판부 (2)의 내측면에 형성하는 볼록부 (21)의 개수나 형상 등, 그 구체적인 양태는 릴 (1)의 내측면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측판부 (2)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형성되는 주연 볼록부 (22)도, 접착 테이프 (5)의 측면을 측판부 (2)의 주연부로 가이드하여 권취를 행할 때에,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연 볼록부 (22)는 측판부 (2)의 주연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부 (2)의 주연부를 따라서 단속적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으로 꾸불꾸불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도시하는 예에서는 두 개)의 주연 볼록부 (22)를 병설할 수 도 있다.
또한,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적으로 형성된 주연 볼록부 (22)를 릴 (1)의 내측면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볼록부 (21)과 연속시킬 수도 있다.
주연 볼록부 (22)의 단면 형상도, 원호 형상, 직사각형 형상, 또는 그 각부를 모따기한 형상, 나아가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 등, 볼록부 (2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도 7 및 도 8은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의 볼록부 (21), (22)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6은 볼록부 (21)(또는 주연 볼록부 (22))의 단면 형상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의 (d), (f)는, 두 개의 볼록부 (21)(또는 주연 볼록부 (22))를 근접시켜서 병설한 예이고, 도 6의 (e), (g)에 도시하는 예는 두 개의 볼록부 (21)(또는 주연 볼록부 (22))가 접한 상태에서 병설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를 제조,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릴로서, 그 내측면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이 방지된 릴을 제공한다.

Claims (5)

  1. 원주 형상의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며, 한쪽 또는 양쪽의 상기 측판부의 주연부를 따른 내측면에 주연 볼록부를 형성한 릴에, 기재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에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이방 도전성 필름을 세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를 권취하는 방법이며,
    피권취물인 상기 접착 테이프를 기울이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측면을 상기 측판부의 주연부로 가이드시킨 상태에서 권취함과 동시에, 그 때 적어도 상기 주연 볼록부의 상기 접착 테이프와 접촉하는 부위를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권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볼록부의 높이가 0.05 내지 1.00 mm인 테이프의 권취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볼록부의 폭이 0.5 내지 20.0 mm인 테이프의 권취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쪽 또는 양쪽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면에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테이프의 권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테이프의 권취 방법.
KR1020087030992A 2006-06-21 2007-06-14 테이프의 권취 방법 KR101330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0962 2006-06-21
JPJP-P-2006-170962 2006-06-21
PCT/JP2007/061965 WO2007148594A1 (ja) 2006-06-21 2007-06-14 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830A KR20090018830A (ko) 2009-02-23
KR101330924B1 true KR101330924B1 (ko) 2013-11-18

Family

ID=3883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992A KR101330924B1 (ko) 2006-06-21 2007-06-14 테이프의 권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90283625A1 (ko)
EP (2) EP2364945A3 (ko)
JP (2) JPWO2007148594A1 (ko)
KR (1) KR101330924B1 (ko)
CN (2) CN101472821A (ko)
TW (2) TW200827279A (ko)
WO (1) WO2007148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148594A1 (ja) * 2006-06-21 2009-11-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ール
KR101330861B1 (ko) * 2006-06-21 2013-11-1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권중체
JP2013035646A (ja) * 2011-08-05 2013-02-21 Toppan Printing Co Ltd リール
WO2013024544A1 (ja) * 2011-08-18 2013-02-2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材リール
JP2021080098A (ja) * 2019-11-22 2021-05-2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リール部材、接着フィルム巻装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990A (ja) 2001-07-11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1151A (en) * 1933-07-21 1934-03-13 Metal Package Corp Tape spool
US2183521A (en) * 1937-03-06 1939-12-19 Eastman Kodak Co Motion picture apparatus
GB869979A (en) * 1959-02-17 1961-06-07 Hallmark Card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ools for decorative or other ribbon
US2973159A (en) * 1959-08-17 1961-02-28 Thomas S Kulka Friction reducing tape reel
US3099414A (en) * 1961-02-27 1963-07-30 Thomas S Kuika Tape reel having friction reducing means
FR1313449A (fr) * 1962-01-23 1962-12-28 Bague en matière plastique
US3342435A (en) * 1966-04-11 1967-09-19 Data Packaging Corp Reel with tape guide
JPS5443246Y2 (ko) * 1971-05-11 1979-12-14
JPS56140557U (ko) * 1980-03-19 1981-10-23
JPS56140557A (en) * 1980-04-04 1981-11-02 Pioneer Electronic Corp Bookshelf type record player
JPS60183767A (ja) * 1984-03-01 1985-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光検出半導体装置
JPS6162747A (ja) * 1984-08-31 1986-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の風向変更装置
USD298541S (en) * 1985-12-17 1988-11-15 Strapack Corporation Reel plate for a strapping machine
US4726534A (en) * 1986-08-06 1988-02-23 Advantek Inc. Convertible reel assembly
JP2570366Y2 (ja) * 1993-01-29 1998-05-0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キャリアテープ用リール
US5474254A (en) * 1994-11-08 1995-12-12 Faulkner Fabricators, Inc. Spoo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D370908S (en) * 1995-09-08 1996-06-18 Alpha Enterprises, Inc. Tape reel flange
JP3398531B2 (ja) * 1995-10-03 2003-04-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記録紙の巻取機構
JPH09278291A (ja) * 1996-04-16 1997-10-28 Toshiba Corp テープ巻取リール
WO1997046070A1 (en) * 1996-05-30 1997-12-04 Kolon Industries, Inc. Reel for winding photosensitive film
US6598825B2 (en) * 1998-02-13 2003-07-29 C. Robert Ripplinger Simultaneous-access surfaces for reel-flange fasteners
JP2000109248A (ja) * 1998-10-02 2000-04-18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DE29918667U1 (de) * 1999-10-22 1999-12-30 Bic Deutschland Gmbh & Co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mit einer Rücklaufsperre
US6435451B1 (en) * 2000-10-19 2002-08-20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Compliant tape reel flanges
JP2002128334A (ja) * 2000-10-24 2002-05-09 Fuji Photo Film Co Ltd マガジン
JP3959247B2 (ja) * 2001-02-16 2007-08-15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ール部材及びフィルムの巻取方法
US20040140392A1 (en) * 2003-01-21 2004-07-22 George Saliba Butterfly tape reel
US7073742B2 (en) * 2003-01-21 2006-07-11 Quantum Corporation Tape guiding reel
JPWO2007148594A1 (ja) * 2006-06-21 2009-11-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990A (ja) 2001-07-11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4945A2 (en) 2011-09-14
JPWO2007148594A1 (ja) 2009-11-19
CN102070048A (zh) 2011-05-25
US20090283625A1 (en) 2009-11-19
JP2011032101A (ja) 2011-02-17
US20110198433A1 (en) 2011-08-18
JP4862956B2 (ja) 2012-01-25
EP2364945A3 (en) 2011-12-21
KR20090018830A (ko) 2009-02-23
WO2007148594A1 (ja) 2007-12-27
EP2030937A1 (en) 2009-03-04
CN102070048B (zh) 2016-02-03
TW201109263A (en) 2011-03-16
EP2030937A4 (en) 2010-12-22
CN101472821A (zh) 2009-07-01
TW200827279A (en) 2008-07-01
TWI360512B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861B1 (ko) 권중체
KR101330924B1 (ko) 테이프의 권취 방법
KR910001956B1 (ko)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US20160284377A1 (en) Reel
US10071516B2 (en) Mold for manufacturing reel component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reel componen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el
CN217076544U (zh) 一种胶带卷盘
JP2010013271A (ja) 物流用リール
JP5050832B2 (ja) 接着テープ用リール
JP2000038258A (ja) 巻取リール
JP2006111419A (ja) テープ用リールおよびリールテープの製造方法
JPS62291772A (ja) 磁気テ−プ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