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956B1 -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 Google Patents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56B1
KR910001956B1 KR1019830001135A KR830001135A KR910001956B1 KR 910001956 B1 KR910001956 B1 KR 910001956B1 KR 1019830001135 A KR1019830001135 A KR 1019830001135A KR 830001135 A KR830001135 A KR 830001135A KR 910001956 B1 KR910001956 B1 KR 91000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hub
tape cassette
pi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90A (ko
Inventor
이. 넬슨 노만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페니
크루잔 알렉산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페니, 크루잔 알렉산더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페니
Publication of KR84000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57Guiding mean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쌍의 로울러 가이드가 공급된 통상의 테이프 카세트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로울러 가이드 가운데 하나를 제1도의 2-2선을 따가 절단한 단면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로울러 가이드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 :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 30 : 림
31 : 원통면 32,34 : 플랜지
36 : 허브 38 : 구멍
40 : 핀 46 : 편항 돌출부.
본 발명은 일반적인 마그네틱 레코딩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인데 특히 회전되는 테이프 로울러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테이프 카세트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 덮개판과 이 덮개판사이에 공급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지지릴과 케이스에 결합된 테이프 가이드가 포함된다. 테이프 카세트에 공급된 회전가능한 테이프 로울러 가이드는 테이프에 걸리는 저항력을 최소로 제공하므로 매우 유리하다. 그리하여 테이프 진행에 요구되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케이스(덮개판)내의 회전 가이드에 적당한 지지와 틈새여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효율과 경제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만일 지지단부의 틈새여유를 너무 작게 제공하면 로울러 가이드가 덮개판에 끼이게 되고, 반대로 틈새여유를 너무 크게 제공하면 로울러 가이드는 핀축에 관하여 진동하게 될 것이다. 더구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심한 소음이 나게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진동의 결과로 인하여 테이프의 진행위치가 불안정해지게 되어 재생시 음질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의 지지단부에 제공하는 틈새여유를 적당하게 하기 위해 시도들이 있었다. 즉, 1975년 6월 24일에 공보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3,891,159와 1974년 8월 13일 공보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3,829,040이 그것인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것들이었다. 상기 공지된 발명들은 카세트 내에 심(shim)을 공급하여 로울러 가이드에 진동을 방지하게 하였고, 로울러 가이드 구법에 스핀들을 삽입하여 카세트 케이스가 결합되었을시 로울러 가이드가 케이스에 적당히 결합되도록 한 것이었다.
로울러 가이드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또다른 특허는 1973년 5월 29일 공보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3,735,940인데 이것은 로울러 가이드가 케이스에 결합되는 부분에 코일 스프링을 공급한 것이다.
이와 같이 로울러 가이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공지되었지만 그들은 모두 제작 비용이라든가 어셈블리 코스트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에 적합한 회전 로울러 가이드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회전 로울러 가이드에는 편향 돌출부가 공급되어 있는데 이것은 카세트의 두 덮개판(케이스)중에 한쪽으로 로울러 가이드를 연속적으로 밀므로써 로울러 가이드의 진동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따로 이 부품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및 어셈블리 코스트가 크게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로울러 가이드는 테이프를 안내하는 원통면과 중심부에 허브를 공급한 것이다. 상기한 허브의 한쪽단부에는 약간 기울어진 편향 돌출부가 공급되어 있는 것이다. 이 편향 돌출부는 조립시에 약간소성변형을 공급하여 재료의 탄성을 이응하여 카세트 덮개판에 로울러 가이드를 공급할시 편향력을 제공하게끔 하여 로울러 가이드의 진동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제부터 첨부한 몇개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해 가겠다.
제1도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이 한쌍의 덮개판(12)와 (14)로된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한쌍의 덮개판(12)와 (14)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되 내측의 공간에는 한쌍의 카세트 릴(16) (18)이 회전되지지되어 지도록 수용된다. 또한 상기한 카세트 릴(16) (18)에는 유연한 마그네틱 테이프(20)의 단부가 테이프 팩(24) (26)을 형성하도록 감긴다.
상기한 양 덮개판(12)와 (14)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은 마그네틱 테이프(20)을 테이프 팩(24) (26)에서 직선형이 되도록 풀어내는 역할을 하여 마그네틱 테이프(20)은 카세트 케이스(10)의 한측단부변(29)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단부변(29)가운데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사이부분에는 몇개의 간격을 둔 천공부분이 제공되어 마그네틱 테이프(20)이 이 부분을 지날때 노출된다.
제2도에는 동일한 두개의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 (28)가운데 하나를 도시하였다.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어셈블리(28)은 금속으로 만들 수도 있으나 가급적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고 림(30)을 공급하여 원통면(31)을제공한다. 원통면(31)은 양쪽단부상의 돌출된 플랜지(32) (34)사이에 제공되는 것이다. 원통면(31)과 양측플랜지(32) (34)는 마그네틱 테이프(20)이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의 주변을 통과할때나 로울러 가이드 자체가 자신의 중심축에 관해 회전할때 마그네틱 테이프(20)이 플랜지(32) (34)사이의 어느 지점을 중심으로 동작하도록 함께 작동된다.
림(30)은 허브(36)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웨브(35)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허브(36)에는 축방향으로 구멍(38)이 제공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양 덮개판(12) (14)에 형성된 리세스(오목하게 들어간 부분)(42) (44)내로 연장된 핀(40)이 저널되어 있다. 허브(36)과 핀(40)사이에는 적당한 틈새여유를 제공하여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가 핀(40)에 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허브(36)은 플랜지(34)아래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면(48)에서 약간 각이지도록된 편향 돌출부(4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편향 돌출부(46)은 허브(36)과 함께 주물로 제작하거나 접착제나 용접으로 허브(36)에 접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 하든지 허브(36)이 반경방향으로 약간 편향된 부분을 제공하여 허브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절곡부를 제공한다. 허브(36)에 편향 돌출부를 형성하기에 앞서 구멍(38)에는 상기한 편향 돌출부(46)이 허브(36)으로부터 멀어질때 핀(40)이 편향 돌출부(46)으로 하여금 전혀 방해받지않도록 모서리면(52)을 깎아서 틈새여유를 제공한다
허브(36)의 길이는 양 덜개판(12) (14)가 카세트 케이스(10)과 조립될때 허브(36)쪽으로 돌출부(46)이 약간 편향될 수 있을 정도로 제공한다. 편향 돌출부(46)의 유연도는 덮개판(14)에 형성된 접촉면(50)에 허브(36)을 축방향로 지지하는 편향력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한 편향력은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리 축방향요동을 제한하는 댐핑작용(damping action)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마그네틱 테이프(20)은 요구되어지는 위치에 정렬이 유지되고 로울러 가이드의 요동에 의한 소음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과 편향 돌출부(46)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리이프(creep)"나 "냉유동(coId flow)"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 편향력이 떨어지는 돌발적인 결과가 나타난다. 상기한 냉유동현상은 플라스틱의 분자구조가 재결합되므로써 일어나는 재료내의 응력감소현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향력이 감소됨에 따라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8)과 카세트 케이스(10)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도 감소되고 예를 들어, 금속 헬리칼 스프링이 편향 돌출부로 사용된 경우보다는 로울러 가이드어셀블리(28)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가 더 작다
편향 돌출부(46)에 의한 편향력은 허브(36)의 재료에 따라 그리고 돌출부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본 발명을 제1도에서 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만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로울러 가이드 어셈블리(26)의 형상과 특징은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한 예로, 림(30)과 허브(36)을 반경방향 웨브(35)로 연겨하는 것 대신에 고체 소재(solid piece)로 구성하는 것이다.
더우기 축 방향으로 약간 각이진 편향 돌출부(46)을 항상 핀(40)의 인접부분이나 허브(36)의 한쪽단부에만 배치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편향 돌출부는 단부 플랜지(32)나 (34)의 직경반대쪽 부분을 깍아 제공할 수도있고. 허브(36)의 양쪽단부에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제한도 없다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일반적으로 평행한 두 덮개판(12, 14)을 대향시키고 그 내부공간에 덮개판의 구조에 맞춰 로울러 가이드(28)를 공급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28)는 중심부에 축이 있고 축상으로 상기한 덮개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50)을 제공하며 로울러 가이드의 주요부는 원통면(31)으로 되어있으며 한쪽단부에는 편향 돌출부(46)가 공급되어 지지부분을 구성하고 덮개판 사이의 공간에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를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한 지지부분을 주요부쪽으로 편향시키고, 로울러 가이드를 중심축에 관해 회전결합하는 수단(40)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28)에는 편향 돌출부(46)와 주요부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28)에는 상기한 원통면(31)과 동심 축상에 허브(36)를 공급하고 이 허브(36)에는 상기한 편향 돌출부(46)와 주요부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절곡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28)를 회전 결합하는 수단에는 덮개판에 양측 단부가 연결되는 핀(40)이 포함되고 로울러 가이드의 주요부에는 상기한 핀에 저널된 환형 허브(3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울러 가이드(28)에는 절곡부가 허브(36)로부터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상기한 편향 돌출부(46)는 허브로부터 약간 각이지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한 핀(40)주변은 부분적으로 호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허브에 제공된 구멍(38)은 편향 돌출부(46)의 내면과 핀(40)사이에 틈새여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인접한 돌출부의 모서리를 다듬은 것(52)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KR1019830001135A 1982-03-22 1983-03-19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KR910001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360,348 US4440359A (en) 1982-03-22 1982-03-22 Cassette roller guide
US360,348 1982-03-22
US360348 1999-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90A KR840004290A (ko) 1984-10-10
KR910001956B1 true KR910001956B1 (ko) 1991-03-30

Family

ID=2341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135A KR910001956B1 (ko) 1982-03-22 1983-03-19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440359A (ko)
EP (1) EP0090509B1 (ko)
JP (1) JPS58171772A (ko)
KR (1) KR910001956B1 (ko)
AU (1) AU544210B2 (ko)
BR (1) BR8301390A (ko)
CA (1) CA1201101A (ko)
DE (1) DE3364008D1 (ko)
HK (1) HK41087A (ko)
SG (1) SG428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463A (ja) * 1995-12-15 1997-06-24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S6074287U (ja) * 1983-10-27 1985-05-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プカセツト
JPS6231645A (ja) * 1985-07-30 1987-02-10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プ巻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H04318383A (ja) * 1991-04-17 1992-11-09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ープカセット及びその製法
JP3256969B2 (ja) * 1991-10-31 2002-02-18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2824040B2 (ja) * 1996-01-23 1998-11-11 株式会社フジパーツ 磁気テープ用ガイドローラ
JP2968225B2 (ja) * 1997-02-12 1999-10-25 ヤマウチ株式会社 ピンチローラー及びピンチローラー装置
JP4132391B2 (ja) 1999-04-28 2008-08-13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用ローラ
US6633449B1 (en) * 2000-05-22 2003-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L.P. High bandwidth tape positioning system and servo controlled rollers for active tape positioning
JP4124607B2 (ja) * 2001-04-06 2008-07-23 ヤマウチ株式会社 ピンチローラおよびピンチローラ装置
US20060175450A1 (en) * 2005-02-10 2006-08-10 Quantum Corporation Passive air bearing tape guide
US7800863B1 (en) * 2005-04-01 2010-09-21 Oracle America, Inc. Guide for directing tape media along tape path while applying balanced lateral forces to minimize contact between guide and tape
US20090201610A1 (en) * 2008-02-12 2009-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pe guide roll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2057A (en) * 1967-02-03 1969-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guide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4818116B1 (ko) * 1968-12-28 1973-06-04
DE2062458A1 (de) * 1970-12-18 1972-07-06 Sued Atlas Werke Gmbh Magnetbandkassette
US3735940A (en) * 1971-02-05 1973-05-29 Information Terminals Corp Mou Idler assembly for tape cassette
US3837599A (en) * 1971-04-22 1974-09-24 Polygon Concepts Inc Cassette
JPS5138338Y2 (ko) * 1971-07-06 1976-09-20
US3891159A (en) * 1973-04-25 1975-06-24 Minnesota Mining & Mfg Guide roller biasing shim liner
US3829040A (en) * 1973-06-25 1974-08-13 Minnesota Mining & Mfg Collapsing pin roller for tape cassette
JPS55135356A (en) * 1979-04-10 1980-10-22 Olympus Optical Co Ltd Tape guide unit of cassette
DE3005630A1 (de) * 1980-02-15 1981-08-20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Schmalfilmk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90509A3 (en) 1983-11-02
SG42887G (en) 1988-01-15
AU1264483A (en) 1983-09-29
EP0090509B1 (en) 1986-06-11
EP0090509A2 (en) 1983-10-05
US4440359A (en) 1984-04-03
AU544210B2 (en) 1985-05-23
JPS58171772A (ja) 1983-10-08
CA1201101A (en) 1986-02-25
BR8301390A (pt) 1983-11-29
KR840004290A (ko) 1984-10-10
DE3364008D1 (en) 1986-07-17
JPH0418396B2 (ko) 1992-03-27
HK41087A (en) 198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956B1 (ko) 카세트 로울러 가이드
US4427166A (en) Magnetic tape cassette
JP4787354B2 (ja) テープを巻くためのリールおよ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930011382B1 (ko) 벨트 구동 테이프 카아트리지의 마찰 및 진동 저항 스푸울
KR940004990B1 (ko) 벨트 구동 테이프 카아트리지의 무진동 스푸울
JPS61168161A (ja) ベルト駆動カートリツジ用耐摩耗キヤプスタン
US6257519B1 (en) Three-piece tape reel assembly for a data storage tape cartridge
US3891159A (en) Guide roller biasing shim liner
JP2005116163A (ja) テープドライブシステム用の硬質巻取表面を備えたテープリールアセンブリ
US4516181A (en) Tape cassette liner sheet arrangement
US4681280A (en) Magnetic-tape cassette with stretched liner arrangement
EP0274182A2 (en) Tape cassette
US20020067573A1 (en) Data storage tape cartridge with a compliant guide
US5702065A (en) Tape cartridge with reduced tangential drive force
JP2002251859A (ja) テープリール
JP3188122B2 (ja) テープガイド機構
JPH0528612Y2 (ko)
JPH10199195A (ja) テープリール
KR20018767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가이드롤러장치
KR100252024B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JPH0863938A (ja) テープリール
US20030075638A1 (en) Take-up reel adapted to high speed rotation
JPH08147928A (ja) テープリール
JP2000322862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619181U (ja) テープカセット用のスリップ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