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987B1 -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 - Google Patents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987B1
KR101323987B1 KR1020137011670A KR20137011670A KR101323987B1 KR 101323987 B1 KR101323987 B1 KR 101323987B1 KR 1020137011670 A KR1020137011670 A KR 1020137011670A KR 20137011670 A KR20137011670 A KR 20137011670A KR 101323987 B1 KR101323987 B1 KR 10132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compressor
vibration rubber
axial direction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390A (ko
Inventor
토시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01Noise damping
    • F04B53/003Noise damping by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of foam-like material, i.e. microcellular material, e.g. spong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쿠션성을 나타내고, 또한, 장기에 걸쳐서의 사용에서도 좌굴하지 않고, 쿠션성을 계속해서 나타내고, 방진의 대상에 진동이 전해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를 제공한다.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102)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원통부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한 만곡부(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VIBRATION PROOF RUBBE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USING IT}
본 발명은, 컴프레서에서 사용되는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서 운전시에 발생하는 진동,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방진고무 등의 지지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근래, 전력 절약의 요구가 높아져서,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에어컨, 냉장고 등의 이른바 생활가전(白物家電), 및 그 밖의 제품에서도, 소비 전력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컴프레서를 인버터 제어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이 종래의 정격 운전에 비하여 넓어지고, 지지 부재에 요구되는 방진의 대상에 진동을 전하지 않는 성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에 관해,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62-35131호 공보(특허 문헌 1) 및 일본 특개평10-26180호 공보등(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은,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컴프레서의 다리부에 장착되는 수지제의 방진재로서, 중공의 개략 원통 형상이고, 내벽 및 외벽이 함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패여짐과 함께 그 패임부가 V자 형상인 부분을 포함하는,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는, 컴프레서에 장착되는 고무제의 방진재로서, 중공의 개략 원통 형상이고, 내벽 및 외벽이 함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패여짐과 함께 패여진 부분이 V자 형상인 상부와, 외벽만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상부와 비교하여 작게 패여진 얕은 홈과, 지름 방향으로 큰 두께를 갖는 두꺼운 하부를 포함하는,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62-35131호 공보(도 2 및 그에 관련되는 기재)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0-26180호 공보(도 1 및 그에 관련되는 기재)
종래로부터 어느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는, 축 방향의 상측에서 작은 외력이 걸리면 쿠션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쿠션성을 나타낸다 라는 것은, 압축 변형한 후에 효과적으로 변형 전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리면, 내벽의 V자 형상의 끝이 가는 선단 부분에 국소적으로 큰 하중이 걸려서 응력 집중이 생겨서, 장기간의 사용에서 열화됨과 함께, 지지 부재가 좌굴(座屈)되어 버려서 쿠션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작은 외력 및 큰 외력이란, 이하에 기재하는 지지 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가리킨다. 작은 외력이란, 컴프레서 운전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힘이나, 동작 주파수에 맞추어서 조금씩 전해지는 힘인 것을 말한다. 그리고, 큰 외력이란, 컴프레서의 자중에 의해 가하여지는 힘, 컴프레서와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실외기 유닛의 낙하, 쓰러짐에 의해 가하여지는 힘, 또는 트럭 등의 운반·수송시의 큰 진동에 의해 가하여지는 힘에 관한 것을 말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려도, 하부의 두꺼운 부분이 쿠션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경우도 하부를 V자 형상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쿠션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로부터 어느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쿠션성을 나타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의 사용에서도 좌굴하지 않고, 쿠션성을 계속해서 나타내고, 방진의 대상에 진동이 전해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는, 중공(中空)의 원통부를 포함하고, 원통부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한 만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의 상하 단부(端部)에는 비 만곡부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의 비 만곡부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측의 비 만곡부는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와 비 만곡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는, 만곡부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크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와 비 만곡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는, 만곡부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작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의 곡률반경(R)은, 5㎜ 이상 1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의 축 방향의 길이(A)와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A)/(R))은, 0.1 이상 7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원통부의 지름 방향의 외경의 길이(B)와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B)/(R))은, 0.2 이상 8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는 축 방향으로 복수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만곡부의 접속부에는, 육후부(肉厚部)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의 곡률반경(R)은, 1㎜ 이상 1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의 축 방향의 길이(A)와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A)/(R))은, 0.02 이상 35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원통부의 바깥쪽 방향의 외경의 길이(B)와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B)/(R))은, 0.2 이상 4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컴프레서는 상기 컴프레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한 만곡부를 갖음에 의해,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내부에 압축 방향의 힘이 걸려서 체적 변화에 대해 반발하는 응력이 생기기 때문에, 좌굴하는 일 없이 쿠션성을 나타낸다. 또한, V자 형상이 아닌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갖음에 의해, 국소적으로 큰 하중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응력 집중이 생기지 않아, 장기의 사용에 있어서 열화되기 어렵다.
그 결과,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쿠션성을 나타내고, 또한, 장기에 걸쳐서의 사용에서도 좌굴하지 않고, 쿠션성을 계속해서 나타내고, 방진의 대상에 진동이 전해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컴프레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하고,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하나 갖는 방진고무(101)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하고,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하나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방진고무(102)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방진고무(103)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방진고무(105)의 단면도와, 이 방진고무(105)가 컴프레서 본체(1)에 장착된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우선,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발명자는, 종래의 방진고무(컴프레서용 지지 부재)의 문제점이, 만곡부의 형상이 V자 형상이기 때문에라고 생각하고,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마련하여 개선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는, 방진고무의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만곡하는 것과, 내측으로 만곡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이와 같은 만곡부에 관해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는, 내벽 및 외벽 모두 만곡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은,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하고,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하나 갖는 방진고무(101)의 단면도(A)와,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1)의 축 방향의 상측에서 외력이 걸린 경우의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단면도(B)이다.
또한, 도 2는,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하고,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하나 갖는 방진고무(102)의 단면도(A)와,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의 축 방향의 상측에서 외력이 걸린 경우의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B)이다. 도 1의 (B), 도 2의 (B)의 1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도형은, 외력이 걸려서 압축 변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면 중 점선은 외력이 크게 걸려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외력의 크기는 동등하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방진고무(101)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중심구멍(81)과, 내벽 및 외벽이 함께 방진고무(101)의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11)와, 만곡부(11)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상단 비 만곡부(21)와, 하단부에 마련된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하단 비 만곡부(22)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의 (A)를 참조하면, 방진고무(102)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중심구멍(82)과, 내벽 및 외벽이 함께 방진고무(102)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12)와, 만곡부(12)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상단 비 만곡부(23)와, 하단부에 마련된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하단 비 만곡부(24)를 포함한다.
이 때의 응력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만곡한 만곡부(11)는, 축 방향의 상측에서 외력이 걸리면,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이 걸리는 방향과 교차하는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형한다. 이 때, 만곡부(11)의 축 방향에 수직한 원주 방향의 면에는 신장 방향의 힘이 생긴다.
따라서 외력이 크면 용이하게 변형한다.
한편, 도 2의 (B)를 참조하면,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한 만곡부(12)는, 축 방향의 상측에서 외력이 걸리면, 도면 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에 따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한다. 이 때, 만곡부(12)의 축 방향에 수직한 원주 방향의 면에는 압축력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고무는, 신장 방향에 대해서는, 치수 비(比) 수백퍼센트의 변형이 가능 하지만, 압축 방향에 대해서는, 체적 변화의 저항에 의해, 신장 방향만큼 크게 변형할 수가 없는 특성을 갖는다. 즉, 고무는 압축력에 대해서는 강하기 때문에, 외력이 커도 충분히 그 형상을 유지한다.
이상으로부터, 축 방향의 상측에서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1) 및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는 함께 쿠션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1)보다도,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체적 변화가 적음과 함께, 내부에 체적 변화에 대해 반발하는 응력이 생김에 의해, 좌굴하는 일 없이 쿠션성을 나타낸다. 또한, 장기의 사용에서도 좌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쿠션성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진고무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부를 갖는 방진고무는, 유리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만곡부를 갖는 방진고무의 실시예에 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1)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방진고무(103)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방진고무(103)는, 기본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와 같은 형상이지만, 하단 비 만곡부(26)가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늘어나지 않은 것이, 방진고무(102)와 다르다. 방진고무(103)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중심구멍(83)과, 내벽 및 외벽이 함께 방진고무(103)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13)와, 만곡부(13)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상단 비 만곡부(25)와, 하단부에 마련된 하단 비 만곡부(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끈하게 만곡하는 만곡부(13)는 타원형상이라도 좋지만, 원호형상이 바람직하다.
방진고무(103)의 형상 및 쿠션성을 유지하기 위해, 만곡부(13)의 축 방향의 길이(A) 및 방진고무(103)의 외경 치수(B)는, 일정한 치수가 필요하다. 실용성을 고려하면, 만곡부(13)의 축 방향의 길이(A)는 10㎜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고무(103)의 외경 치수(B)에 관해서는,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2개의 치수와 진동 흡수 특성을 이용하여 해석하면, 만곡부(13)의 곡률반경(R)은 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미만인 경우는, 강성이 너무 낮아져서 방진고무의 좌굴의 우려가 있다. 100㎜ 이상인 경우는, 강성이 너무 높아져서 외력을 흡수할 수가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만곡부의 축 방향의 길이(A)와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A)/(R))은, 0.1 이상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고무(103)의 외경 치수(B)와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B)/(R))은, 0.2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만곡부(13)와, 상단 비 만곡부(25) 또는 하단 비 만곡부(26)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는, 만곡부(13)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작다.
만곡부(13)는, 내벽 및 외벽이 함께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함에 의해, 외력이 걸리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한다. 이에 의해,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방진고무(103)의 내부에 체적 변화에 대해 반발하는 응력이 생김에 의해, 좌굴하는 일 없이 쿠션성을 나타낸다. 또한, 만곡부는 매끈하게 만곡함에 의해, 국소적인 하중이 걸리지 않아, 장기의 사용에서도 좌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쿠션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단 비 만곡부(25)를 갖음에 의해, 원통 형상을 유지함과 함께,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더욱 쿠션성을 나타냄과 함께, 컴프레서 본체에서 생기는 진동을 방진고무에 전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판을 지지한다. 만곡부(13)와, 상단 비 만곡부(25) 또는 하단 비 만곡부(26)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가, 만곡부(13)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작음에 의해, 더욱 쿠션성을 나타냄과 함께, 만곡부(13)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큰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 비 만곡부가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늘어나지 않음에 의해, 염가의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2)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방진고무(102)의 단면도는 앞서 도시한 도 2의 (A)와 같다.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하단 비 만곡부(24)를 갖는 것, 및 만곡부와 비 만곡부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가 만곡부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큰 것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3)와 같은 형상이고, 방진고무를 구성한 주요부의 비율도 같고,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하단 비 만곡부(24)를 갖음에 의해, 설치면적이 커져서, 더욱 원통 형상을 유지함과 함께,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 더욱 쿠션성을 나타냄과 함께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만곡부(12)와, 상단 비 만곡부(23) 또는 하단 비 만곡부(24)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가, 만곡부(12)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큼에 의해, 제 1 실시예의 방진고무(103)와 비교하여, 더욱 쿠션성을 나타낸다.
(3) 제 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방진고무(105)의 단면도와, 이 방진고무(105)가 컴프레서 본체(1)에 장착된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진고무(105)의 형상은, 도 2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를 축 방향으로 2개 겹친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컴프레서 본체(1)에는, 컴프레서 본체(1)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방진고무(1)와 같은 방진고무가, 적어도 3개소에 마련된다.
컴프레서 본체(1)에서 생긴 진동은, 컴프레서 본체(1)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지지판(2)을 통하여, 방진고무(105)에서 흡수된다. 방진고무(105)는, 하단 육후부(29)가 갖는 저부(52)가, 방진의 대상인 저판(3)에 맞닿아 있다. 저판(3)에는 볼트(4)가 고정되어 있고, 이 볼트(4)는, 방진고무(105)의 중심구멍(84)을 관통함에 의해, 방진고무(105)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또한, 볼트(4)의 상단에, 너트(5) 및 와셔(6)를 채워 장착함에 의해, 방진고무(105)의 축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또한, 장착시에는, 방진고무(105)와 너트(5) 및 와셔(6)의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간극이 마련된다.
방진고무(105)는, 그 상부에 축 방향의 상향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의 테이퍼부(31)가 마련된다. 이 테이퍼부(31)에 의해, 지지판(2)의 관통구멍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해짐과 함께, 심(芯)어긋남 등에 대처할 수 있다.
테이퍼부(31)의 하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두꺼운 부분을 갖는 제1 육후부(27)가 마련된다. 제1 육후부(27)는 그 상부에 지름 방향과 평행한 단부(段部)(51)를 갖는다. 지지판(2)은 단부(51)에 맞닿고, 컴프레서 본체(1)를 지지함과 함께, 컴프레서 본체(1)에서 생긴 진동을 방진고무(105)에 전한다. 제1 육후부(27)의 하부에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17)가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주요부의 비율은, 만곡부를 2개 갖기 때문에, 제1 만곡부(17)의 곡률반경(R)은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만곡부의 축 방향의 길이(A)와 제1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A)/(R))은, 0.02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고무(105)의 외경 치수(B)와 제1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B)/(R))은, 0.2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만곡부(17)의 하부에는, 제1 육후부(27)와 같은 형상의 제2 육후부(28)가 마련된다. 제2 육후부(28)의 하부에는, 제1 만곡부(27)와 같은 형상의 제2 만곡부(18)가 마련된다. 제2 만곡부(18)의 하부에는, 제1 육후부(27) 및 제2 육후부(28)와 같은 형상이고, 그 저부(52)가 저판(3)에 맞닿는 제3 육후부(29)가 마련된다.
테이퍼부(31)와 대응하는 내경측에는, 상부가 방진고무(1)의 축 방향과 평행함과 함께 하부가 축 방향의 상향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의 내벽인 테이퍼 내벽부(31A)가 마련된다. 제1 육후부(27)와 대응하는 내경측에는, 축 방향과 평행한 내벽인 제1 육후 내벽부(27A)가 마련된다. 제1 만곡부(17)와 대응하는 내경측에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하는 내벽인 제1 만곡 내벽부(17A)가 마련된다. 제2 육후부(28)와 대응하는 내경측에는, 축 방향과 평행한 내벽인 제2 육후 내벽부(28A)가 마련된다. 제2 만곡부(18)와 대응하는 내경측에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하는 내벽인 제2 만곡 내벽부(18A)가 마련된다. 제3 육후부(29)와 대응하는 내경측에는, 상부가 방진고무(1)의 축 방향과 평행함과 함께 하부가 지름 방향의 상향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의 내벽인 면취부(29B)를 갖는 제3 육후 내벽부(29A)가 마련된다.
볼트(4)는, 중심구멍(84)을 통과하여 방진고무(1)를 관통한다. 볼트(4)는, 테이퍼 내벽부(31A), 제1 육후 내벽부(27A), 제1 만곡 내벽부(17A), 제2 육후 내벽부(28A), 제2 만곡 내벽부(18A), 및 제3 육후 내벽부(29A)에는 맞닿지 않고,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갖는다.
또한, 만곡부와 육후부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는, 만곡부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작다.
방진고무(105)는, 만곡부를 2개 갖는 것, 2개의 만곡부의 접속부에 육후부가 마련되는 것, 만곡부의 형상과 다른 주요부와의 치수의 비율, 및 만곡부와 육후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가, 만곡부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작은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형상이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만곡부를 2개 갖음과 함께 만곡부의 형상과 다른 주요부와의 치수의 비율을 적합한 것으로 함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와 비교하여, 더욱 쿠션성을 나타낸다. 또한, 2개의 만곡부의 접속부에 육후부가 마련됨에 의해, 방진고무(105)의 원통 형상을 보다 유지한다. 또한, 만곡부와 육후부의 접속부의 내경의 최대 치수가, 만곡부의 외경의 최소 치수보다도 작음에 의해, 쿠션성을 나타냄과 함께, 도 2에 도시하는 방진고무(102)와 비교하여, 더욱 원통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만곡부를 축 방향으로 2개 갖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만곡부를 축 방향으로 3개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 방진고무는 고무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점탄성 부재이라면,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나, 겔상 물질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 방진고무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중공과 중실(中實)과의 중간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하도록, 방진고무에 공극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는, 축 방향의 상측에서 큰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작은 외력이 걸린 경우에도 쿠션성을 나타내고, 또한, 장기에 걸쳐서의 사용에서도 좌굴하지 않고, 쿠션성을 계속해서 나타내고, 방진의 대상에 진동이 전해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컴프레서용 지지 부재로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 : 컴프레서 본체 2 : 지지판
3 : 저판 4 : 볼트
5 : 너트 6 : 와셔
11, 12, 13 : 만곡부 17 : 제1 만곡부
17A : 제1 만곡 내벽부 18 : 제2 만곡부
18A : 제2 만곡 내벽부 21, 23, 25 : 상단 비 만곡부
22, 24, 26 : 하단 비 만곡부 27 : 제1 육후부
27A : 제1 육후 내벽부 28 : 제2 육후부
28A : 제2 육후 내벽부 29 : 제3 육후부
29A : 제3 육후 내벽부 29B : 면취부
31 : 테이퍼부 31A : 테이퍼 내벽부
51 : 단부 52 : 저부
81, 82, 83, 84 : 중심구멍
101, 102, 103, 104, 105, 106 : 방진고무

Claims (15)

  1.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서, 방진의 대상에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하는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부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매끈하게 만곡한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축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만곡부의 접속부에는 상기 만곡부와 비교하여 지름 방향으로 두꺼운 육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곡률반경(R)은, 1㎜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축 방향의 길이(A)와 상기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A)/(R))은, 0.02 이상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원통부의 바깥쪽 방향의 외경의 길이(B)와 상기 만곡부의 곡률반경(R)과의 비율((B)/(R))은, 0.2 이상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11670A 2012-01-25 2012-05-18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 KR101323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3450A JP5208288B1 (ja) 2012-01-25 2012-01-25 コンプレッサ用防振ゴ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プレッサ
JPJP-P-2012-013450 2012-01-25
PCT/JP2012/062787 WO2013111356A1 (ja) 2012-01-25 2012-05-18 コンプレッサ用支持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プレッ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390A KR20130098390A (ko) 2013-09-04
KR101323987B1 true KR101323987B1 (ko) 2013-10-30

Family

ID=4871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670A KR101323987B1 (ko) 2012-01-25 2012-05-18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08288B1 (ko)
KR (1) KR101323987B1 (ko)
CN (1) CN103392072B (ko)
WO (1) WO2013111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66B1 (ko) 2013-09-10 2015-04-10 허용훈 플라스틱 부시
CN103542028A (zh) * 2013-09-30 2014-01-29 安徽华印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缓冲减震通用件
AT14820U1 (de) * 2015-06-30 2016-07-15 Secop Gmbh Verbindungsbauteil eines Kältemittel Verdichters
US10359225B2 (en) * 2016-03-07 2019-07-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vibration isolating compressor mount
CN106593825B (zh) * 2016-12-26 2018-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减震装置及具有其空调器
CN110965283A (zh) * 2018-09-30 2020-04-07 台山市森美家居有限公司 一种可变洗衣机底座
CN110965284A (zh) * 2018-09-30 2020-04-07 台山市森美家居有限公司 一种洗衣机底座
CN110965274A (zh) * 2018-09-30 2020-04-07 台山市森美家居有限公司 一种可调洗衣机底座
WO2020105392A1 (ja) * 2018-11-21 2020-05-28 Nok株式会社 騒音低減構造
CN114893391A (zh) * 2022-05-11 2022-08-12 长沙市健科电子有限公司 一种水泵用复合式减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247A (ja) * 1987-01-26 1988-07-29 Hitachi Ltd 電子銃構体
JPS6458828A (en) * 1987-08-28 1989-03-06 Matsushita Refrigeration Vibration isolating support device for compressor or the like
JPH0299272A (ja) * 1988-10-03 1990-04-11 Origin Electric Co Ltd アーク加工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708A (en) * 1979-05-14 1981-12-22 Tennessee Bolt And Screw Co., Inc. Means for establishing a support post for a grommet
JPS59188336U (ja) * 1983-06-02 1984-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振動発生機器用の防振支持装置
JPS63184247U (ko) * 1987-05-20 1988-11-28
JPS6488042A (en) * 1987-09-28 1989-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pressor vibration isol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JPH0299272U (ko) * 1989-01-24 1990-08-07
JPH08296558A (ja) * 1995-04-26 1996-11-12 Nippondenso Co Ltd 圧縮機の防振支持構造
JPH09151849A (ja) * 1995-11-29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の支持装置
JP4040158B2 (ja) * 1998-01-23 2008-01-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圧縮機固定用ボルトの固定方法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059478A (ja) * 1999-08-20 2001-03-06 Fujitsu General Ltd 圧縮機の支持装置
US6499714B1 (en) * 2001-10-04 2002-12-31 John R. Wike System for and method of mounting compressors
CN201170285Y (zh) * 2008-03-27 2008-12-24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压缩机保护装置
CN202107996U (zh) * 2011-06-21 2012-01-11 衡水中铁建工程橡胶有限责任公司 桥梁伸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247A (ja) * 1987-01-26 1988-07-29 Hitachi Ltd 電子銃構体
JPS6458828A (en) * 1987-08-28 1989-03-06 Matsushita Refrigeration Vibration isolating support device for compressor or the like
JPH0299272A (ja) * 1988-10-03 1990-04-11 Origin Electric Co Ltd アーク加工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390A (ko) 2013-09-04
CN103392072B (zh) 2016-03-09
JP5208288B1 (ja) 2013-06-12
JP2013151996A (ja) 2013-08-08
WO2013111356A1 (ja) 2013-08-01
CN103392072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987B1 (ko) 컴프레서용 방진 고무 및 그것을 이용한 컴프레서
US10208791B2 (en) Center bearing bush unit for propeller shaft
CN105339703A (zh) 隔振装置
US20180149148A1 (en) Refrigerant compressor
KR102487792B1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CN107076256B (zh) 隔振装置
JP546958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EP3208490A1 (en) Strut mount
JP5933278B2 (ja) 被支持体及びフローティング支持構造
US9863496B2 (en) Damping component an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JP6437783B2 (ja) 空気調和機の圧縮機の支持構造
JP6297368B2 (ja) 防振装置
JP2007292187A (ja) 防振装置及び筒状防振部材
JP2014219049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CN106032829B (zh) 隔振垫以及包括该隔振垫的压缩机系统
US10865781B2 (en) Connection component of a refrigerant compressor
JP2013231478A (ja) 防振支持構造体
JP5112226B2 (ja) 締結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振装置
JP4742122B2 (ja) 防振装置
CN204512264U (zh) 隔振垫以及包括该隔振垫的压缩机系统
JP2013164115A (ja) 防振架台の減衰装置
JP2012026623A (ja) 冷蔵庫
JP2005172242A (ja) 防振装置
CN106090097B (zh) 振动隔离支架总成
JP6526487B2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