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466B1 - 플라스틱 부시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466B1
KR101510466B1 KR20130108706A KR20130108706A KR101510466B1 KR 101510466 B1 KR101510466 B1 KR 101510466B1 KR 20130108706 A KR20130108706 A KR 20130108706A KR 20130108706 A KR20130108706 A KR 20130108706A KR 101510466 B1 KR101510466 B1 KR 10151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iece
engaging piece
bush
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469A (ko
Inventor
허용훈
김영춘
Original Assignee
허용훈
김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훈, 김영춘 filed Critical 허용훈
Priority to KR2013010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4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2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specially adapted for units of the bush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에 설치하여 부가 장치의 지지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부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지지구(20)와, 지지구(20)를 감싸게끔 결합되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30)로 부시(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30)는 플랜지 형태의 지지체(31)와 지지구(20)가 통과하는 원통 형태의 결합부(32)로 구획하고, 결합부(32)의 외벽에 쐐기 형태의 제1 압입편(33a)과 제2 압입편(33b)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층층이 형성하되 제1 압입편(33a)은 제2 압입편(33b)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제2 압입편(33b)과 접하는 결합편(34)의 내측에는 중공부(35)를 형성하여 결합편(34)이 탄성을 가지도록 하되 결합편(34)은 제2 압입편(33b)과 같은 직경을 가지면서 제1 압입편(33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합편(34)의 선단부 외주면에 라운드처리된 곡부(R)를 형성하며, 결합편(34)의 곡부(R) 후방에 단턱부(35)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당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금속 소재로 된 차량 부품과의 접촉성 미끌림이나 마찰 등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시에 발생하는 편중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켜 편마모에 따른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부시{plastic bush}
본 발명은 플라스틱 부시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에 설치하여 부가 장치의 지지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부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의 서브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의 부품에 설치하여 부가 장치의 지지 등에 사용되는 부시는 고무 부시가 이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철제 파이프의 외벽에 고무를 입힌 하이브리드 타입의 부시가 사용되고 있다.
차량의 서브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과 같은 금속성 부품에 고무 부시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과정에서 고무 부시와 차량 부품의 접촉성 미끌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심하여 차량의 정숙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고무 부시의 내마모성이 심하여 유지보수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고무 부시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방편으로 금속제 파이프의 외벽에 고무를 입힌 하이브리드 타입의 부시가 안출되었으나 이 또한 고무를 이용하므로 작동과정에서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향상시키기는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서브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과 같은 차량 부품에 결합되는 부시의 경우에는 특정한 방향에서 강한 하중이 발생하여 부시에 편마모를 일으켜 부시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부시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접촉성 미끌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중진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편중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켜 편마모 등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지지구와, 지지구를 감싸게끔 결합되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로 부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플랜지 형태의 지지체와 지지구가 통과하는 원통 형태의 결합부로 구획하고, 결합부의 외벽에 쐐기 형태의 제1 압입편과 제2 압입편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층층이 형성하되 제1 압입편은 제2 압입편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제2 압입편과 접하는 결합편의 내측에는 중공부를 형성하여 결합편이 탄성을 가지도록 하되 결합편은 제2 압입편과 같은 직경을 가지면서 제1 압입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합편의 선단부 외주면에 라운드처리된 곡부를 형성하며, 결합편의 곡부 후방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플라스틱 부시는 차량 부품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고무에 비교해 상당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금속 소재로 된 차량 부품과의 접촉성 미끌림이나 마찰 등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시에 발생하는 편중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켜 편마모에 따른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임.
도 3 [A]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시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임.
도 5 [A],[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시(10)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에 부시(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일단에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의 통공(22)을 형성하여서 된 금속 재질의 지지구(20)와, 지지구(20)를 감싸게끔 결합되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0)는 플랜지 형태의 지지체(31)와 지지구(20)가 통과하는 원통 형태의 결합부(32)로 구획하며, 결합부(32)의 외벽에 쐐기 형태의 제1 압입편(33a)과 제2 압입편(33b)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층층이 형성하되, 제1 압입편(33a)은 제2 압입편(33b)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 압입편(33b)과 접하는 결합편(34)의 내측에는 중공부(35)를 형성하여 결합편(34)이 판의 형태로 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하되, 결합편(34)은 제2 압입편(33b)과 같은 직경을 가지면서 제1 압입편(33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편(34)의 선단부 외주면에 라운드처리된 곡부(R)를 형성하며, 결합편(34)의 곡부(R) 후방에 단턱부(35)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과 같은 부품에 마련되는 통공에 결합하여 부가 장치의 지지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부시(10)를 구성하는 몸체(30)의 결합편(34)을 차량 부품의 통공에 맞춘 상태에서 지지체(31) 부위를 강한 힘으로 눌러주면 몸체(30)가 차량 부품의 통공에 압입되는데, 이때, 결합편(34)이 탄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편(34)의 선단에 곡부(R)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편(34)의 원할한 삽입이 이루어지고 강한 힘으로 푸싱되어 통공에 삽입되는 몸체(30)의 제1 압입편(33a)은 그 외주면이 통공의 내벽면에 강하게 압착되어 부시(10)와 차량 부품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통공을 통과한 결합편(34)에는 외부로 확개하려는 탄성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결합편(34) 하방에 마련된 제2 압입편(33b)이 차량 부품의 통공 외주면에 걸려지면서 부시(10)가 차량 부품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몸체(30)가 차량 부품에 접촉하므로 고무 부시에 비해 상당한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접촉성 미끌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시(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부시(10)를 구성하는 몸체(30)의 결합부(32)에 하나 이상의 수직 요홈(36)을 형성하여 제1,2 압입편(33a,33b)과 결합편(34)이 수직 요홈(36)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구성할 경우 제1,2 압입편(33a,33b)과 결합편(34)에 탄성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시(10)의 압입시에 제1,2 압입편(33a,33b)과 결합편(34)에 발생하는 변형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므로 부시(10)의 결합작업을 좀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시(10)를 구성하는 몸체(30)의 결합부(32)의 중앙 또는 결합부(32)에 마련되는 수직 요홈(36)을 중심으로 한 양측이 경도를 달리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구성을 이중 사출장비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편중 하중이 예상되는 부분에 대한 경도 보강이 가능하여 편중 하중에 따른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부시 20: 지지구
21: 플랜지부 22: 통공
30: 몸체 31: 지지체
32: 결합부 33a: 제1 압입편
33b: 제2 압입편 34: 결합편
35: 중공부 36: 수직 요홈

Claims (3)

  1. 어느 일단에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의 통공(22)을 형성하여서 된 금속 재질의 지지구(20)와, 지지구(20)를 감싸게끔 결합되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30)로 부시(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30)는 플랜지 형태의 지지체(31)와 지지구(20)가 통과하는 원통 형태의 결합부(32)로 구획하고, 결합부(32)의 외벽에 쐐기 형태의 제1 압입편(33a)과 제2 압입편(33b)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층층이 형성하되 제1 압입편(33a)은 제2 압입편(33b)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제2 압입편(33b)과 접하는 결합편(34)의 내측에는 중공부(35)를 형성하여 결합편(34)이 탄성을 가지도록 하되 결합편(34)은 제2 압입편(33b)과 같은 직경을 가지면서 제1 압입편(33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합편(34)의 선단부 외주면에 라운드처리된 곡부(R)를 형성하며, 결합편(34)의 곡부(R) 후방에 단턱부(35)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결합부(32)에 하나 이상의 수직 요홈(36)을 형성하여 제1,2 압입편(33a,33b)과 결합편(34)이 수직 요홈(36)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부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는 결합부(32)의 중앙 또는 결합부(32)에 마련되는 수직 요홈(36)을 중심으로 한 양측이 경도를 달리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부시.
KR20130108706A 2013-09-10 2013-09-10 플라스틱 부시 KR10151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706A KR101510466B1 (ko) 2013-09-10 2013-09-10 플라스틱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706A KR101510466B1 (ko) 2013-09-10 2013-09-10 플라스틱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69A KR20150029469A (ko) 2015-03-18
KR101510466B1 true KR101510466B1 (ko) 2015-04-10

Family

ID=5302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706A KR101510466B1 (ko) 2013-09-10 2013-09-10 플라스틱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1582A (zh) * 2016-07-14 2016-11-23 洛阳诚创耐磨材料有限公司 一种磨机用可更换耐磨衬体的进出料衬套的制备方法
KR101844444B1 (ko) 2016-07-11 2018-04-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센서 지지용 홀더
KR101860828B1 (ko) * 2017-04-20 2018-05-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 서브 프레임용 부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0387A (ja) * 2016-09-05 2018-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8236U (ko) * 1989-01-24 1990-08-06
JPH04121456U (ja) * 1991-04-17 1992-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のマウントラバー
JP2002500860A (ja) 1998-03-28 2002-01-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動モータ用の減結合装置
JP2013151996A (ja) 2012-01-25 2013-08-08 Yamauchi Corp コンプレッサ用防振ゴ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プレッ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8236U (ko) * 1989-01-24 1990-08-06
JPH04121456U (ja) * 1991-04-17 1992-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のマウントラバー
JP2002500860A (ja) 1998-03-28 2002-01-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動モータ用の減結合装置
JP2013151996A (ja) 2012-01-25 2013-08-08 Yamauchi Corp コンプレッサ用防振ゴ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プレッ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444B1 (ko) 2016-07-11 2018-04-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센서 지지용 홀더
CN106141582A (zh) * 2016-07-14 2016-11-23 洛阳诚创耐磨材料有限公司 一种磨机用可更换耐磨衬体的进出料衬套的制备方法
KR101860828B1 (ko) * 2017-04-20 2018-05-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 서브 프레임용 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69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466B1 (ko) 플라스틱 부시
DK3069067T3 (en) Device for noise-reduced attachment of pipes or hoses
US9707837B2 (en) Hydraulic mount
KR101845418B1 (ko)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
KR101648427B1 (ko) 다이나믹 댐퍼
CN107407308B (zh) 补偿螺母
US20140291094A1 (en) Vibration absorber
JP2016138564A (ja) グロメット組付構造
KR20110064015A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댐퍼
KR101791555B1 (ko) 저마찰형 마운팅 부시
KR20200044811A (ko) 그로멧
WO2014061356A1 (ja) リバウンドラバー
KR101934011B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JP2016159033A (ja) 脚具
US20180073674A1 (en) Structure for mounting engine mount
KR20160057666A (ko) 서브프레임용 부시
KR101738048B1 (ko) 연결 및 내구 개선 스토퍼 구조
KR101687694B1 (ko) 차량용 2중 절연 하이드로 마운트
JP4205424B2 (ja) 防振装置
JP6343955B2 (ja) シールワッシャの成形方法
US20040130082A1 (en) Mechanical isolator
CN217682982U (zh) 一种衬套装置及汽车
KR101860828B1 (ko) 자동차 서브 프레임용 부시
CN210769629U (zh) 气缸装配结构及气缸
JP2013119887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