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444B1 - 센서 지지용 홀더 - Google Patents

센서 지지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444B1
KR101844444B1 KR1020160087614A KR20160087614A KR101844444B1 KR 101844444 B1 KR101844444 B1 KR 101844444B1 KR 1020160087614 A KR1020160087614 A KR 1020160087614A KR 20160087614 A KR20160087614 A KR 20160087614A KR 101844444 B1 KR101844444 B1 KR 10184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lder
elastic deformation
elastic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047A (ko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4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 G12B9/08Supports; Devices for carrying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제품(보일러, 온수기, 건조기 등)에서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된 센서를 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홀더의 구성을 달리하여 홀더에 센서를 삽입할 때에는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60)에 고정되어 센서(70)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50)에 있어서, 본체(60)에 압입 고정되는 베이스(51)와, 상기 베이스(51)의 입구에 테이퍼지게 형성된 삽입공(53)과, 상기 삽입공(53)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가 통과 시 확장되는 탄성변형부(54)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변형부(54)의 저면에는 센서(70)의 외주면이 접속되는 모따기부(55)를 형성하여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가 탄성변형부(54)를 통과할 때는 탄성변형부(54)가 확장되도록 하고, 센서(70)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80)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70)가 당겨질 때에는 센서(70)의 외주면이 접속된 모따기부(55)에 의해 탄성변형부(54)가 압축되면서 센서(70)를 파지하며, 상기 탄성변형부(54)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부(54)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홈(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지지용 홀더{Holder for Supporting Sensor}
본 발명은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제품(보일러, 온수기, 건조기 등)에서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된 센서를 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홀더의 구성을 달리하여 홀더에 센서를 삽입할 때에는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보일러, 온수기, 건조기 등의 제품은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 등을 조작함에 따라 본체(또는 케이스)에 와이어 또는 센서 등을 부착하기 위한 홀더의 설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홀더에 센서가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홀더(20)는 봉상의 센서(200)의 외주면을 소정의 폭으로 감싸며 하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개구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 연장부(22)(22')와, 상기 각 제1, 2 연장부(22)(22')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부(23)(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1)는 통상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본체(21)의 양측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2 연장부(22)(22')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측의 제1 연장부(22)는 본체(21)의 단부 가장자리에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제2 연장부(22')는 본체(21)의 타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22)의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2 연장부(22)(22')가 상호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연장부(22)(22')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부(23)(23')의 단부에는 기부(23)(23')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훅(23a)(2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0)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인 증발기에 센서(20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본체(21)의 하단부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2 연장부(22)(22')를 외측으로부터 내측, 즉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2 연장부(22)(22')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본체(21)의 하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본체(21)에 센서(200)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200)가 본체(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2 연장부(22)(22')에 가하여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본체(21)는 본체 재질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오므러 들어 센서(200)를 파지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20)의 기부(23)(23')를 증발기(100) 튜브(101) 사이에 꽂아 센서(200)를 증발기에 고정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51002(1999.04.13.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13864(2006.08.10.등록)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홀더는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센서를 압착 지지하지만, 외력에 의해 센서가 고정된 와이어가 당겨지면 홀더에서 센서가 빠져 파손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또한, 센서의 형상이 둥근머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외경이 가장 큰 부위가 통과되도록 홀더의 삽입공 크기를 설정하여야 되므로 홀더에 조립된 센서가 홀더에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써, 홀더의 구성을 개선하여 홀더에 센서를 삽입할 때에는 둥근머리가 탄성변형부를 부드럽게 통과되도록 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와이어에 외력이 작용될 경우에는 탄성변형부가 압착되도록 함에 따라 센서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에 고정되어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에 있어서, 본체에 압입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입구에 테이퍼지게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가 통과 시 확장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변형부의 저면에는 센서의 외주면이 접속되는 모따기부를 형성하여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가 탄성변형부를 통과할 때는 탄성변형부가 확장되도록 하고, 센서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가 당겨질 때에는 센서의 외주면이 접속된 모따기부에 의해 탄성변형부가 압축되면서 센서를 파지하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부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저면에 모따기부를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와이어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가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때 탄성변형부에 작용되는 힘의 백터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부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게 절개홈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가 삽입공을 통해 탄성변형부를 통과할 때 적은 힘으로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삽입공 및 탄성변형부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을 더 형성하면 센서의 삽입 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홀더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홀더에 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있어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를 홀더에 적은 힘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센서의 조립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둘째, 홀더에 지지된 센서가 홀더의 탄성변형부 저면에 형성된 모따기부에 접속되도록 와이어의 길이를 설정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홀더가 센서의 고정은 물론이고 본체와의 기밀을 동시에 수용하게 되므로 제품 생산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와이어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센서만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깨끗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홀더에 센서가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홀더에 센서가 고정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홀더에 센서가 삽입되기 전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의 홀더에 센서가 삽입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탄성변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홀더에 센서가 고정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홀더에 센서가 삽입되기 전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본 발명의 홀더(50)는 루버(Rubber)재질로 베이스(51)의 외주면에 본체(60)의 통공(61)으로 끼워지는 걸림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51)의 입구에는 삽입공(53)이 상광하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53)에 연이어진 지점에는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가 통과 시 확장되는 탄성변형부(54)가 형성되어 있어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가 탄성변형부(54)를 통과할 때는 탄성변형부(54)가 확장되도록 하고, 센서(70)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80)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70)가 당겨질 때에는 탄성변형부(54)가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변형부(54)의 저면에 모따기부(55)를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와이어(80)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70)가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때 탄성변형부(54)에 작용되는 힘의 백터(Vector)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센서(70)의 삽입 측 외경보다 삽입 완료된 부위의 외경이 작아 홀더(50)로부터 센서(70)가 과잉 삽입되지 않도록 와이어(80)를 감싸 고정하는 위치결정용 스토퍼(9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70)의 둥근머리 부위가 통과할 때 확장되는 탄성변형부(54)는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3 및 4와 같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부(54)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홈(56)을 형성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6과 같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게 절개홈(57)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53) 및 탄성변형부(54)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58)이 더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를 조립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센서(70)가 탄성변형부(54)를 보다 적은 힘으로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홀더(5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60)의 통공(61)으로 밀어 넣으면 루버재질의 베이스(51)가 변형되면서 도 3 및 도 4a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52)이 통공(61)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홀더(50)가 본체(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80)의 끝단에 고정된 센서(70)를 홀더(50)에 고정시키기 위해 센서(70)를 파지하여 도 4a와 같이 베이스(51)에 형성된 상광하협된 삽입공(53)으로 밀어 넣으면 센서(70)의 둥근머리 형상의 외경이 탄성변형부(54)의 내경보다 커 상기 탄성변형부(54)를 통과하면서 상기 탄성변형부(54)를 화살표방향으로 밀어내 확장시키게 되므로 센서(70)가 도 3과 같이 홀더(50)에 부드럽게 조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센서(70)를 홀더(50)에 조립하고 나면 탄성변형부(54)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므로 도 4b와 같이 센서(70)의 외주면이 탄성변형부(54)의 저면에 형성된 모따기부(55)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홀더(50)의 삽입공(53) 및 탄성변형부(54)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58)이 형성되어 있으면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센서(70)를 보다 적은 힘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주의로 와이어(80)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70)가 도 4b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센서의 이탈방향)으로 당겨지면 센서(70)의 외주면이 모따기부(55)에 접속되어 있어 모따기부(55)의 각도와 탄성변형부(54)가 압축될 때 받는 힘의 백터 방향이 수평이 되어 탄성변형부(54)가 압축될수록 고무재질의 홀더(50)는 밀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홀더(50)에서 센서(70)가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모따기부(55)의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탄성변형부(54)의 압축되는 힘의 백터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 홀더 51 : 베이스
53 : 삽입공 54 : 탄성변형부
55 : 모따기부 56 : 수용홈
57 : 절개홈 58 : 홈
70 : 센서 80 : 와이어
90 : 위치결정용 스토퍼

Claims (7)

  1. 본체(60)에 고정되어 센서(70)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50)에 있어서, 본체(60)에 압입 고정되는 베이스(51)와, 상기 베이스(51)의 입구에 테이퍼지게 형성된 삽입공(53)과, 상기 삽입공(53)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가 통과 시 확장되는 탄성변형부(54)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변형부(54)의 저면에는 센서(70)의 외주면이 접속되는 모따기부(55)를 형성하여 둥근머리 형상의 센서(70)가 탄성변형부(54)를 통과할 때는 탄성변형부(54)가 확장되도록 하고, 센서(70)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80)에 외력이 작용되어 센서(70)가 당겨질 때에는 센서(70)의 외주면이 접속된 모따기부(55)에 의해 탄성변형부(54)가 압축되면서 센서(70)를 파지하며, 상기 탄성변형부(54)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부(54)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홈(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54)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게 절개홈(57)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53) 및 탄성변형부(54)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58)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70)가 과잉 삽입되지 않도록 와이어(80)를 감싸 고정하는 위치결정용 스토퍼(9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용 홀더(50)의 재질이 루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용 홀더.
KR1020160087614A 2016-07-11 2016-07-11 센서 지지용 홀더 KR10184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14A KR101844444B1 (ko) 2016-07-11 2016-07-11 센서 지지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14A KR101844444B1 (ko) 2016-07-11 2016-07-11 센서 지지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47A KR20180007047A (ko) 2018-01-22
KR101844444B1 true KR101844444B1 (ko) 2018-04-04

Family

ID=6109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614A KR101844444B1 (ko) 2016-07-11 2016-07-11 센서 지지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625B1 (ko) 2019-11-13 2021-04-30 (주)현대케피코 홀소자 이탈 방지 홀더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2314A (ja) 2011-05-23 2012-12-10 Yaskawa Electric Corp エンコーダ、サーボモータ及びサーボユニット
KR101510466B1 (ko) 2013-09-10 2015-04-10 허용훈 플라스틱 부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2314A (ja) 2011-05-23 2012-12-10 Yaskawa Electric Corp エンコーダ、サーボモータ及びサーボユニット
KR101510466B1 (ko) 2013-09-10 2015-04-10 허용훈 플라스틱 부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625B1 (ko) 2019-11-13 2021-04-30 (주)현대케피코 홀소자 이탈 방지 홀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47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4849B (zh) 紧固夹
US7152831B2 (en) Conduit support
US9334887B2 (en) Clip
JP5484492B2 (ja) 締め付け要素
CN110617261B (zh) 盖形螺母保持器
US2746110A (en) Panel engaging fastening device
US2366456A (en) Detachable clip fastener
JP2012154485A5 (ko)
KR101844444B1 (ko) 센서 지지용 홀더
WO2017214171A1 (en) Water pipe retainer
US10557493B1 (en) Spring fastener
CA1041808A (en) Screw grommet
US2920129A (en) Strain relief grommet
KR101750116B1 (ko) 후크 터미널
CN109958699A (zh) 紧固件及基底组件
US2928637A (en) Wiring clip
JP2006311925A (ja) 金属線材製ピンチ
KR200479126Y1 (ko) 파이프용 고정클립
US2764791A (en) Fastening device for a support
JP6193658B2 (ja) クランプ具
WO2016037515A1 (zh) 线缆快速插头
KR200352566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멀티너트
JP6925730B2 (ja) 柄収容保持構造及びちり取り
JP7339411B1 (ja) ハンガー係止具付き物干竿
US6135330A (en) Suit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