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489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89B1
KR101322489B1 KR1020117018140A KR20117018140A KR101322489B1 KR 101322489 B1 KR101322489 B1 KR 101322489B1 KR 1020117018140 A KR1020117018140 A KR 1020117018140A KR 20117018140 A KR20117018140 A KR 20117018140A KR 101322489 B1 KR101322489 B1 KR 10132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cover
exhaust
main body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399A (ko
Inventor
쯔요시 사또
마사또시 다나까
기요시 에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1011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전동 송풍기(51)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로 덮음과 함께,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를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로 덮어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을 차음한다. 전동 송풍기(51)로부터의 배기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 및 배기 풍로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49)로부터 배출한다. 배기의 풍로 길이를 확보하여, 큰 풍량이 좁고 짧은 풍로를 집중적으로 통과함으로써 특히 크게 발생하는 풍잡음을 흡음하여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에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수용된 대략 원통 형상의 전동 송풍기를 갖는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본체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 송풍기실이 전후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격벽에는 본체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실을 연통하는 연통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본체 집진실은 본체 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실은 본체 케이스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는 전동기부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에 대하여, 전동기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원심 팬을 덮는 팬 커버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 송풍기는 흡입측, 즉 전단부측인 팬 커버의 주위와, 배기측인 모터 케이스의 후단부측의 단부의 각각이 방진 부재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의 전동 송풍기실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이 격벽의 연통구의 후방부에 연통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2745700호 공보(제2쪽 내지 제3쪽, 도 2)
전동 송풍기는 원심 팬에 의해 바람을 가름으로써 동작음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경우, 이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따른 동작음이 외부로 누설되기 쉬워, 정음화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로부터의 배기풍이 본체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 풍로의 길이를 충분히 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배기 풍로를 한번에 큰 풍량이 통과하므로, 이 배기 풍로에서 풍잡음이 발생하여 정음화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정음성을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커버 배기구를 구비하고, 전동 송풍기를 덮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와, 제2 커버 배기구를 구비하고,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를 지지하는 제2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이 제2 전동 송풍기 커버의 제2 커버 배기구와 본체 케이스의 배기구를 연통하는 밀폐 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체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를 덮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전동 송풍기 커버로 덮어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동작음을 차음함과 함께, 전동 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 제2 전동 송풍기 커버 및 밀폐 공간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등, 배기의 풍로 길이를 확보하여, 큰 풍량에 의해 발생하는 풍잡음을 흡음함으로써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접속 관부(15)와, 이 접속 관부(15)의 선단측에 연통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파지부(21)가 호스체(16)측에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에는 조작용의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25)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 영역에 격벽(26)이 형성되고, 이 격벽(26)의 전방측에 전방부실(27)이 구획되고, 격벽(26)의 후방측에 후방부실(28)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부실(27) 내에는 본체 집진실(31)이 구획되고, 후방부실(28) 내에는 전동 송풍기부(32)를 수용하는 전동 송풍기실(33)과, 전동 송풍기부(32) 등에 급전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권회한 코드릴을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드릴실과, 밀폐 공간으로서의 배기 풍로실(35)이 각각 구획되어 있다. 즉, 본체 케이스(25)는 전방부실(27) 내에 본체 집진실(31)이 구획되고, 후방부실(28) 내에 전동 송풍기실(33), 코드릴실 및 배기 풍로실(35)이 구획된 다중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하부 케이스(41)와, 이 하부 케이스(41)의 상측 후방부인 후방부실(28)을 덮는 상부 케이스(42)와, 이 상부 케이스(42) 혹은 하부 케이스(4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전방부실(27)을 덮음과 함께 본체 집진실(31)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덮개(4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5)의 전방부에는 흡입구로서의 본체 흡입구(44)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41)는, 전동 송풍기부(32)의 하부와 대향하는 저면(41a)과, 전동 송풍기부(32)의 측부의 각각과 대향하는 측면(41b)(한쪽만 도시)과, 전동 송풍기부(32)의 후방부와 대향하는 후방면(41c)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부 케이스(41)의 각 측면(41b)에는, 청소기 본체(13)를 피청소면으로 한 바닥면 상에서 주행 가능하게 하는 주행륜(46)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42)의 상부에는, 청소기 본체(13)를 들어 나르기 위한 손잡이부(48)가 좌우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42)의 후방부에는, 전동 송풍기실(33)과 연통되는 배기구(49)가 후방 상측을 향하여 복수 개구 형성되고, 이 배기구(49)에는 배기구 필터(50)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43)는, 후방부가 상부 케이스(42) 혹은 하부 케이스(41)에 축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측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본체 집진실(31)을 개방하고, 하측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본체 집진실(31)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 흡입구(44)는, 본체 집진실(31)과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본체 흡입구(44)에는 접속 관부(15)(도 3)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된다.
본체 집진실(31)은 전동 송풍기부(32)의 구동에 의해 관부(12)(도 3)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한 진애를 포집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종이 팩 등의 집진 주머니(P)가 내부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이 집진 주머니(P)의 하류측에서 격벽(26)의 상류측에 집진실 필터(F)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부(32)는, 전동 송풍기(51)와, 이 전동 송풍기(51)를 덮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와,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를 덮는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51)는, 전동기부(55)를 수용한 모터 케이스(56)에 대하여, 전동기부(55)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원심 팬(57)을 덮는 팬 커버(58)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51)는, 전동기부(55)(모터 케이스(56))측을 후방측으로 하고, 원심 팬(57)(팬 커버(58))을 전방측으로 하여, 이 전방측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약간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동기부(55)는, 회전축(55a) 및 도시하지 않은 정류자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회전자에 회전 자극을 발생시켜, 이 회전자의 주위에 위치하는 통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자에 고정 자극을 발생시킴으로써, 회전축(55a)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56)는, 전동기부(55)의 외곽을 구성하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56a)와, 이 케이스 본체(56a)의 개구측을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여 설치된 설치판부(56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56a)에는 복수의 송풍기 배기구(56c)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본체(56a)의 후단부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모터 헤드부(56d)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본체(56a)의 외주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에 대하여 현가(懸架) 수단(61)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현가되어 지지되어 있다.
모터 헤드부(56d)에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및 이 베어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스프링 등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과, 모터 케이스(56)의 설치판부(56b)에 수용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55a)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현가 수단(61)은, 케이스 본체(56a)의 주위에 고정되는 원환 형상의 내측 지지부(61a)와,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측에 고정되는 원환 형상의 외측 지지부(61b)를 동축에 갖고 있고, 이들 지지부(61a, 61b)간에 가압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코일 스프링(61c)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각 코일 스프링(61c)은 전동 송풍기(51)에 대하여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61c)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현가 수단(61)은, 전동 송풍기(51)의 무게 중심 위치 혹은 무게 중심 근방의 위치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에 대하여 현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심 팬(57)은 중앙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외주측으로 분출하는 것이며, 회전축(55a)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모터 케이스(56)의 외부, 여기에서는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원심 팬(57)의 주위에는, 이 원심 팬(57)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분출된 공기를 정류하면서 케이스 본체(56a) 내로 흘리기 위한 정류판(6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정류판(64)은 모터 케이스(56)의 설치판부(56b)에 중앙부가 고정되어 있다.
팬 커버(58)는, 원심 팬(57) 및 정류판(64)을 덮어 모터 케이스(56)의 케이스 본체(56a)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팬 커버(58)는, 중앙부에 둥근 구멍 형상의 흡기구(66)를 개구한 대략 덮개가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는, 일단부인 전단부에 둥근 구멍 형상의 제1 커버 흡입구(71)가 개구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인 후단부에 전동 송풍기(51)의 모터 헤드부(56d)를 수용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헤드 수용부(72)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하부에는, 전동 송풍기(51)의 송풍기 배기구(56c)에 대향하여, 제1 커버 배기구(73)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는, 예를 들어 한쪽의 제1 커버부인 대략 원통 형상의 전방측 커버부(52a)와, 다른쪽의 제1 커버부인 대략 원통 형상의 후방측 커버부(52b)에 의해 전후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는, 전단부측인 제1 커버 흡입구(71)측이 탄성 부재로서의 방진 부재인 대략 원환 형상의 제1 시일 부재로서의 상류측 시일 부재(74)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25)측인 흡기측 소음기(75)에 연결되어 있고, 후단부측인 헤드 수용부(72)측이 탄성 부재로서의 제2 시일 부재인 하류측 시일 부재(76)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25)측인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하부는,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의 하부에 대하여 떠 있는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커버 배기구(73)는, 예를 들어 전방측 커버부(52a)와 후방측 커버부(52b)의 각각의 하단부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제1 커버 배기구(73)에는 커버 필터(77)가 설치되어 있다.
상류측 시일 부재(74)는, 예를 들어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류측 시일 부재(74)는, 전단부측이 흡기측 소음기(75)의 배기측인 후단부측에 기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가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제1 커버 흡입구(71)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되고, 또한 후단부측이 전동 송풍기(51)의 팬 커버(58)의 흡기구(66)의 주연부로부터 팬 커버(58)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흡기측 소음기(75)가 상류측 시일 부재(74)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51)의 흡기구(66)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흡기측 소음기(75)는, 소위 팽창형 소음기이며,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동작음(이하, 간단히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이라고 함), 혹은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풍잡음을 흡음하여, 바닥 브러시(19)(도 3)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흡기측 소음기(75)는, 전단부가 격벽(26)에 설치되어 후방(하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 축소된 소음기 본체로서의 깔때기 형상의 인듀서부(75a)와, 이 인듀서부(75a)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체(75b)와, 이들 인듀서부(75a)와 구획체(75b)의 사이에 배치된 흡음재(75c)를 갖고 있다.
인듀서부(75a)는 본체 집진실(31)을 통과한 공기를 하류측에 정류하는 부분이며, 격벽(26)에 개구되어 본체 집진실(31)에 연통되는 연통구(78)의 하류측인 후방측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동 송풍기(51)의 흡기구(66)는, 흡기측 소음기(75) 및 연통구(78)를 통하여, 본체 집진실(31) 및 본체 흡입구(44)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인듀서부(75a)의 후방측에는, 구획체(75b)와의 사이에서 소음 공간부로서의 팽창 공간부(75d)를 구획하는 팽창부(75e)가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팽창부(75e)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직경 치수가 대략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체(75b)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나사 등에 의해 인듀서부(75a)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구획체(75b)의 전단부에는, 팽창부(75e)의 전방측을 덮는 플랜지부(75f)가 플랜지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획체(75b)의 주위에는, 이 구획체(75b)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통 개구(75g)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75f)는, 인듀서부(75a)의 팽창부(75e)보다도 전방측(상류측)의 부분과 연속하여 공기를 정류하는 정류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흡음재(75c)는 통기성을 갖고 있고, 팽창 공간부(75d) 전체를 충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팽창 공간부(75d)는 흡기측 소음기(75)를 통과하는 공기를 팽창시킴으로써 압력을 저하시켜 소음하기 위한 공간부이다.
또한, 흡음재(75c)의 재질 및 팽창 공간부(75d)의 치수 등은,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 및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풍잡음 등의, 흡음하고자 하는 목적하는 주파수에 대응하여 임의로 설정된다.
한편, 하류측 시일 부재(76)는, 예를 들어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류측 시일 부재(76)는, 헤드 수용부(72)의 주위를 둘러싸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한쪽의 제2 커버부인 하측 커버부(53a)와 다른쪽의 제2 커버부인 상측 커버부(53b)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는, 후방부실(28) 내에 전동 송풍기실(33)을 구획하고 있다.
하측 커버부(53a)는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이고 상측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양측이 하부 케이스(41)에 나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하측 커버부(53a)의 하부는 하부 케이스(41)의 저면(41a)에 대하여 떠 있는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 커버부(53a)의 일측부는, 전동 송풍기실(33)과 코드릴실을 구획하는 벽부로 되어 있고, 이 일측부에는 전동 송풍기실(33)과 코드릴실을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가 형성되고, 이 구멍부에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 커버부(53a)의 하면은,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제1 커버 배기구(73)와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하측 커버부(53a)는, 전단부가 흡기측 소음기(75)의 주위에 기밀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후단부가 하부 케이스(41)의 후방면(41c)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 커버부(53a)의 후단부의 상부에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에 설치된 상기 하류측 시일 부재(76)의 하부가 적재되어 있다.
또한, 상측 커버부(53b)는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전체를 덮도록, 예를 들어 양측 등이 하측 커버부(53a)에 대하여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이 하측 커버부(53a)의 상측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이 상측 커버부(53b)의 평탄 형상의 전방부에는, 전동 송풍기실(33)과 배기 풍로실(35)을 연통하는 제2 커버 배기구(81)가 좌우 폭 방향으로 복수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커버부(53b)의 상부에는,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으로서의 본체 제어부(82)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8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측 커버부(53b)의 상방에는, 이 상측 커버부(53b)와의 사이에 배기 풍로실(35)을 구획하기 위한 케이스체(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커버부(53b)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상부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커버부(53b)의 후단부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외형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만곡되고, 이 후단부의 하부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에 설치된 상기 하류측 시일 부재(76)의 상부에 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후방측은, 상측 커버부(53b)의 후단부와 하측 커버부(53a)의 후단부에 의해 하류측 시일 부재(76)를 통하여 상하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움 지지 고정되어 있다.
제2 커버 배기구(81)는 흡기측 소음기(75)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2 커버 배기구(81)의 상부, 즉 배기측인 배기 풍로실(35)측에는 통기성을 갖는 배기측 흡음재(86)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배기측 흡음재(86)가 제2 커버 배기구(81)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배기측 흡음재(86)의 재질은,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 등이며,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 및 전동 송풍기(51)로부터 배기된 공기의 흐름 등에 의해 발생하는 풍잡음 등의, 흡음하고자 하는 목적하는 주파수에 대응하여 임의로 설정된다.
본체 제어부(82)는, 설정 버튼(22)(도 3)의 조작에 따라 전동 송풍기(51)를 예를 들어 도통각 제어하는 것이며, 제어 수단 본체인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각종 부품이 기판 상에 실장되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수평 형상, 즉 배기 풍로실(35) 내의 공기의 통과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부(83)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체(84)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좌우 폭 방향으로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측 커버부(53b)의 상부 전체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풍로실(35)은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의 상방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84)는 상측 커버부(53b)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설치 부재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84)는 하단부 전체가 상측 커버부(53b)의 상부에 밀착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가 본체 케이스(25)의 상부 케이스(42)의 내측에 밀착하여 수평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84)의 전단부에는, 제2 커버 배기구(81)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벽 형상의 전방 벽부(8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체(84)의 후단부는, 배기구(49)의 상류측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 풍로실(35)은, 상측 커버부(53b)(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와 케이스체(84)의 사이에, 제2 커버 배기구(81)로부터 배기구(49)에 걸쳐 밀폐되어 좌우 폭 방향으로 퍼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배기 풍로실(35)은, 제2 커버 배기구(81)와 배기구(49)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그 밖에 공기가 누설되는 구멍부나 간극(클리어런스)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팽창형의 소음 공간, 즉 챔버로 되어 있다. 즉, 배기 풍로실(35)은, 제2 커버 배기구(81)의 개구 면적에 대하여 풍로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드릴실은, 상부 케이스(42)의 후방부에 개구된 도시하지 않은 코드 도출구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25)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코드 도출구는 전원 코드의 선단측을 도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드릴실, 전원 코드 및 코드릴은 각각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즉,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에 내장된 이차 전지 등의 전지에 의해 전동 송풍기부(32) 및 본체 제어부(82) 등에 급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어서, 상기 일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 시에는 전동 송풍기(51)에의 급전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 3에 도시하는 파지부(21)를 파지하여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본체 제어부(82)가 전동 송풍기(51)를 구동시킨다. 즉, 전동 송풍기(51)의 전동기부(55)가 원심 팬(57)을 회전시킴으로써 부압을 발생시킨다. 이 부압은 흡기측 소음기(75)를 통하여 본체 집진실(31), 본체 흡입구(44) 및 관부(12)에 작용하여, 바닥 브러시(19)의 선단측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한다. 또한, 전동 송풍기(51)의 원심 팬(57)의 회전에 따른 진동은, 코일 스프링(61c)의 신축에 의해 흡수되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에의 전달이 억제됨과 함께, 이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은 흡기측 소음기(75)에 의해 소음된다.
작업자는 바닥면 상에 도 3에 도시하는 바닥 브러시(19)를 적재하고, 파지부(21)를 파지하여 바닥 브러시(19)를 전후로 주행시킴으로써, 바닥면 상의 진애를 바닥 브러시(19)로부터 흡입하여 청소한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풍으로 되어, 진애와 함께 연장관(18), 호스체(16) 및 접속 관부(15)를 통하여 본체 집진실(31)에 흡입되어, 이 본체 집진실(31)의 집진 주머니(P)에서 진애가 포집된다. 그리고, 이 진애가 포집된 흡입풍은 집진실 필터(F)를 통과한 후, 연통구(78)로부터 흡기측 소음기(75)에 흡입되어, 이 흡기측 소음기(75)의 인듀서부(75a) 및 플랜지부(75f)를 따라 정류된다. 또한, 흡입풍은 연통 개구(75g)로부터 팽창 공간부(75d)로 팽창함으로써 풍잡음이 흡음됨과 함께, 이 팽창 공간부(75d)에 충전된 흡음재(75c)에 의해 흡음된다.
이 후, 흡입풍은, 흡기측 소음기(75)로부터 상류측 시일 부재(74)의 내부를 경유하여 제1 커버 흡입구(71)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51)의 흡기구(66)에 흡입되고, 원심 팬(57)의 중앙부로부터 흡입되어 외주측으로 분출되고, 정류판(64)에 의해 정류되면서 모터 케이스(56)의 케이스 본체(56a) 내에 흡입되어 배기풍으로 되고, 이 케이스 본체(56a) 내를 통과할 때에 전동기부(55)를 냉각하여 송풍기 배기구(56c)로부터 분출된다.
그리고, 이 배기풍은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 내에서 정류된 후, 커버 필터(77)를 통과하면서 제1 커버 배기구(73)로부터 하방의 전동 송풍기실(33) 내로 배기되어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의 하측 커버부(53a)의 하면에 분사되고, 이 하측 커버부(53a)로부터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전방측을, 흡기측 소음기(75)의 주위를 경유하면서 제2 커버 배기구(81)로부터 상방의 배기 풍로실(35) 내로 배기된다.
이때, 배기풍에 의해 발생하는 풍잡음 및 배기풍에 포함되는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은, 각각 배기풍이 제1 커버 배기구(73)로부터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 내로 배기되고, 또한 제2 커버 배기구(81)로부터 배기 풍로실(35)로 배기되는 등, 긴 풍로 길이를 경유함과 함께 배기 풍로실(35)에서 팽창되고, 또한 제2 커버 배기구(81)에 배치된 배기측 흡음재(86)를 통과함으로써 흡음된다.
이 후, 배기풍은 본체 제어부(82)를 냉각하면서 배기 풍로실(35) 내를 후방으로 통과하고, 배기구 필터(50)를 통과하면서 배기구(49)로부터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설정 버튼(22)을 적절히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51)를 덮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를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로 덮어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을 차음함과 함께, 전동 송풍기(51)로부터의 배기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 및 배기 풍로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49)로부터 배출하는 등, 배기의 풍로 길이를 확보하여, 큰 풍량이 좁고 짧은 풍로를 집중적으로 통과함으로써 특히 크게 발생하는 풍잡음을 흡음함으로써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 풍로실(35)을 팽창형의 소음 공간으로 함으로써, 전동 송풍기실(33)로부터 배기 풍로실(35)로 흐른 배기풍에 포함되는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 혹은 풍잡음이, 배기풍이 배기 풍로실(35)에서 팽창됨으로써 흡음되므로,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배기구(81)의 배기측에 배기측 흡음재(86)를 배치함으로써, 이 배기측 흡음재(86)에 의해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 혹은 풍잡음 등을 흡음할 수 있어,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제1 커버 흡입구(71)에 상류측 시일 부재(74)를 통하여 흡기측 소음기(75)를 연결함으로써, 이 흡음측 소음기(75)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51)의 축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와 함께 전동 송풍기(5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흡기측 소음기(75)의 팽창 공간부(75d) 내에 흡음재(75c)를 배치함으로써, 흡기측 소음기(75)에 의한 흡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어,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기측 소음기(75)에 의해 전동 송풍기(51)의 흡기측의 음을 흡음할 수 있으므로, 본체 집진실(31), 본체 흡입구(44) 및 관부(12)를 통하여 바닥 브러시(19)의 선단측으로부터 방출되는 소음을 보다 억제할 수 있어,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배기구(73)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후방측에 배치하고, 제2 커버 배기구(81)를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의 전방측, 즉 제1 커버 배기구(73)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배기구(49)를 본체 케이스(25)의 후방측, 즉 제2 커버 배기구(81)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동 송풍기(51)로부터의 배기풍이 통과하는 배기 풍로의 길이가, 도 2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반복 되접어져 길어지므로,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51)의 주위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에 대하여 현가 수단(61)에 의해 탄성적으로 현가하고,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축 방향의 양단부인 전방측 및 후방측을, 시일 부재(74, 76)를 통하여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에 의한 진동이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 혹은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하부를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의 하부에 대하여 이격하고, 또한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의 하부를 본체 케이스(25)의 하부 케이스(41)의 저면(41a)에 대하여 이격하고 있으므로,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본체 케이스(25)로 보다 전달되기 어려워져, 이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체 케이스(25)를, 전방부실(27) 내에 본체 집진실(31)을 구획하고, 후방부실(28) 내에 전동 송풍기실(33)을 구획하는 등, 다중 구조로 하였으므로, 전동 송풍기(51)의 구동음 및 구동에 따른 진동 등이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전달되기 어려워져,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제어부(82)를 배기 풍로실(35) 내에 배치함으로써, 이 배기 풍로실(35)을 통과하는 배기풍에 의해 본체 제어부(82)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기 풍로실(35)의 일부를 팽창형의 소음 공간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제2 전동 송풍기 커버(53)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52)의 일부를 덮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전기 청소기(11)의 세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11) 뿐만 아니라, 세로로 긴 청소기 본체(13)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19)를 접속한 업라이트형의 전기 청소기, 혹은 핸디형의 전기 청소기 등, 임의의 전기 청소기에서도 대응시킬 수 있다.
11: 전기 청소기
25: 본체 케이스
35: 밀폐 공간으로서의 배기 풍로실
44: 흡입구로서의 본체 흡입구
49: 배기구
51: 전동 송풍기
52: 제1 전동 송풍기 커버
53: 제2 전동 송풍기 커버
61: 현가 수단
71: 제1 커버 흡입구
73: 제1 커버 배기구
74: 탄성 부재로서의 방진 부재인 상류측 시일 부재
75: 흡기측 소음기
75c: 흡음재
75d: 소음 공간부로서의 팽창 공간부
76: 탄성 부재로서의 하류측 시일 부재
81: 제2 커버 배기구
84: 케이스체
86: 배기측 흡음재

Claims (7)

  1. 전기 청소기로서,
    흡입구 및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와,
    흡입측이 상기 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전동 송풍기와,
    이 전동 송풍기의 배기풍을 배출하는 제1 커버 배기구를 하부의 후방측에 구비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를 덮는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기 제1 커버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배기풍을 배출하는 제2 커버 배기구를 상부의 전방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이 제1 전동 송풍기 커버를 지지하는 제2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이 제2 전동 송풍기 커버의 제2 커버 배기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기구를 연통하는 밀폐 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밀폐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팽창형의 소음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커버 배기구의 배기측에 배치된 배기측 흡음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동 송풍기 커버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제1 커버 흡입구를 구비하고,
    이 제1 커버 흡입구에 설치된 방진 부재와,
    팽창형의 소음 공간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방진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에 연결된 흡기측 소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흡기측 소음기는 소음 공간부 내에 배치된 흡음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의 주위를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현가하는 현가 수단과,
    상기 제1 전동 송풍기 커버의 축 방향의 양단부를 본체 케이스측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KR1020117018140A 2009-05-29 2009-11-30 전기 청소기 KR101322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1451 2009-05-29
JP2009131451A JP5216688B2 (ja) 2009-05-29 2009-05-29 電気掃除機
PCT/JP2009/070113 WO2010137191A1 (ja) 2009-05-29 2009-11-30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399A KR20110112399A (ko) 2011-10-12
KR101322489B1 true KR101322489B1 (ko) 2013-10-28

Family

ID=4322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140A KR101322489B1 (ko) 2009-05-29 2009-11-30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36291B1 (ko)
JP (1) JP5216688B2 (ko)
KR (1) KR101322489B1 (ko)
CN (1) CN202801475U (ko)
RU (1) RU2498761C2 (ko)
WO (1) WO2010137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514A (ja) * 2012-01-11 2013-07-22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DE102012207355A1 (de) * 2012-05-03 2013-11-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vom Staubsaugergehäuse entkoppelten Gebläse
DE102012211252A1 (de) * 2012-06-29 2014-0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gebläsedichtung und Staubsauger mit einer Staubsaugergebläsedichtung
JP5948282B2 (ja) * 2013-07-04 2016-07-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2870905B1 (en) 2013-11-11 2019-01-02 NELA razvojni center d.o.o. Podruznica OTOKI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EP3037116B1 (en) 2014-01-30 2019-01-1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uction device
CN104840154B (zh) * 2014-02-18 2018-03-0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吸尘器的电机降噪结构
CN103919509A (zh) * 2014-03-14 2014-07-16 苏州亚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甲醛分解功能的吸尘器
EP3207845B1 (en) * 2014-10-13 2019-09-04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Air duct structure and surface cleaning device having same
CN104983362A (zh) * 2015-07-30 2015-10-21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电机罩结构和吸尘器
CN105193349B (zh) * 2015-10-12 2018-07-1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及其电机组件
KR102450240B1 (ko) * 2016-02-19 202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FR3089108B1 (fr) * 2018-11-30 2021-11-05 Seb Sa Dispositif d’aspiration pour aspirateur domestique équipé d’un élément d’amortiss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4759A (ko) * 1971-12-10 1973-09-07
JPS60103929A (ja) * 1983-11-10 198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04343816A (ja) * 1991-05-21 1992-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WO2009066648A1 (ja) * 2007-11-22 2009-05-28 Kabushiki Kaisha Toshiba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8251U (ko) *
JP2745700B2 (ja) 1989-07-14 1998-04-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4100858A1 (de) * 1991-01-14 1992-07-16 Siemens Ag Staubsauger mit einem geblaeseaggregat
KR930001867A (ko) * 1991-07-26 1993-02-22 배순훈 저소음 진공청소기
KR0136300Y1 (ko) * 1996-09-10 1999-02-01 최진호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소음감쇠구조
US6804857B1 (en) * 2001-09-20 2004-10-19 M.D. Manufacturing, Inc. Apparatus for dampening the noise of a vacuum cleaner
JP4028872B2 (ja) * 2004-11-05 2007-12-26 三星光州電子株式会社 モータ組立体の排気装置及びこれを含む掃除機
KR20060117711A (ko) * 2005-05-13 2006-11-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4759A (ko) * 1971-12-10 1973-09-07
JPS60103929A (ja) * 1983-11-10 198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04343816A (ja) * 1991-05-21 1992-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WO2009066648A1 (ja) * 2007-11-22 2009-05-28 Kabushiki Kaisha Toshiba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6291B1 (en) 2016-12-21
JP5216688B2 (ja) 2013-06-19
JP2010273992A (ja) 2010-12-09
KR20110112399A (ko) 2011-10-12
CN202801475U (zh) 2013-03-20
EP2436291A4 (en) 2015-10-21
EP2436291A1 (en) 2012-04-04
RU2011148366A (ru) 2013-08-27
RU2498761C2 (ru) 2013-11-20
WO2010137191A1 (ja)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489B1 (ko) 전기 청소기
KR101165897B1 (ko) 전기 청소기
US7475449B2 (en) Vacuum cleaner
JP5350732B2 (ja) 電気掃除機
KR20100114067A (ko) 전기 진공 청소기
JP5368207B2 (ja) 電気掃除機
CN104421223B (zh) 电动送风机组装体
JP2008212500A (ja) 電気掃除機
JP2009207555A (ja) 電気掃除機
JP5368218B2 (ja) 電気掃除機
JP2009183610A (ja) 電気掃除機
JP435827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97233B2 (ja) 電気掃除機
JP2003033300A (ja) 電気掃除機
JP664379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12000265A (ja) 電気掃除機
JP5368166B2 (ja) 電気掃除機
JP5197044B2 (ja) 電気掃除機
JP2004174044A (ja) 電気掃除機
JP2009233289A (ja) 電気掃除機
JP6385663B2 (ja) 電気掃除機
JP2009207554A (ja) 電気掃除機
JP2011196337A (ja) 電動送風機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9207553A (ja) 電気掃除機
JPH08507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