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259B1 - 5-아미노레불린산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제 - Google Patents

5-아미노레불린산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259B1
KR101322259B1 KR1020117009208A KR20117009208A KR101322259B1 KR 101322259 B1 KR101322259 B1 KR 101322259B1 KR 1020117009208 A KR1020117009208 A KR 1020117009208A KR 20117009208 A KR20117009208 A KR 20117009208A KR 101322259 B1 KR101322259 B1 KR 10132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ala
aminolevulinic acid
sodium
adul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902A (ko
Inventor
토오루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에스비아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아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비아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23L33/165Complexes or che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295Iron group metal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5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e.g. hemin, hematin, melarsop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61P29/02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without antiinflammat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생화학 반응 저해형에 의한 성인병의 치료약과 달리, 기초대사의 향상을 작용 메커니즘으로 하는, 부작용이 없고, 성인병의 약제내성이 생기지 않는 약제 조성물이나, 그것을 이용한 성인병의 예방·치료방법을 제공한다. 5-아미노레불린산(ALA)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ALA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구연산철나트륨, 구연산철암모늄 등의 철화합물을 함유하는, 메타볼릭 신드롬,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간기능 장해, 신부전, 비만, 발기부전, 갱년기 장해, 어깨결림, 요통 등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이나, 상기 조성물을 첨가한 성인병의 예방·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소재나, 이와 같은 조성물을 성인병의 예방·개선제의 조제에 사용하는 방법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5-아미노레불린산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제{PROPHYLACTIC/AMELIORATING AGENT FOR ADULT DISEASES COMPRISING 5-AMINOLEVULINIC ACID, DERIVATIVE OF 5-AMINOLEVULINIC ACID, OR SALT OF 5-AMINOLEVULINIC ACID OR THE DERIVATIVE OF 5-AMINOLEVULINIC ACID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이하, 「ALA」라고 함)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개선·예방제에 관한 것이고, 자세하게는 경구, 정맥주사, 설하정(sublingual tablet), 복강투여, 경장수액(entral fluid), 경피제, 좌약 등으로 투여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이나, 예방·개선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성인병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간기능 장해, 신부전, 비만, 발기부전, 갱년기 장해, 어깨결림 및 요통 등을 포함한 질병·병상의 총칭이고, 이전에는 나이가 듦에 따라 발증한다고 생각되었으나, 최근 이른바 생활습관병으로서 다년간의 생활습관이 발증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해명되어 왔다. 각각의 질환의 발증이나 진행의 메커니즘이 서로 관련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고,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비만이 복합하고 있는 상태에 대하여, 특히 메타볼릭 신드롬(metabolic syndrome)이라고 명명되고,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으나, 특별히 일정한 치료제나 치료방법, 예방제, 예방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의료 현장이나 환자를 공연히 혼란시키고 있는 것이 현 상태이다.
성인병은 환자의 생활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합병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특히 선진국에서 환자가 급증하고, 성인병을 예방·개선하기 위한 의약품은 이미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모두 당뇨병의 혈당치를 저하시키고, 혈압을 저하시키고, 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키는 등의 각각의 증상에 대한 개선제이고, 작용 메커니즘도 특정의 효소 등의 저해인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당뇨병에 대하여는 현재의 대부분의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의 이른바 II형이지만, 당 대사의 저해제나, 식품으로부터의 흡수억제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 저해제나 흡수억제제는 일정한 치료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여겨지지만, 당뇨병 본래의 발증원인은 세포에서의 당 흡수능의 저하이기 때문에, 세포나 혈액으로의 당의 공급을 억제한다는 접근은 본질적인 개선책이 아니라 환자의 생활활성을 저하시킨다고 생각된다.
고지혈증에 대해서는 지방의 흡수억제를 도모하는 건강식품이나, 콜레스테롤의 대사 저해제(이른바 스타틴제)가 시장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으나, 스타틴제 등은 체내에서 동맥경화로 연결된다고 하는 콜레스테롤을 의미있게 감소시키는 동시에 기초대사에 관계하는 유비퀴논(ubiquinone) 등의 공급도 억제해 버린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역학적으로도 심근경색의 리스크는 다소 낮추나, 한편으로 암 등의 발증률을 높이고, 사망률을 높인다는 결과에 대하여 보고되어 있어서 문제시되고 있다.
고혈압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칼슘길항제뿐만 아니라 각종의 저해제로 혈압을 내리는 강압제가 판매되어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대처요법에 지나지 않고,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는 접근이 아니다. 강압제에 대하여도, 역학적 유효성이나 부작용에 대하여 복용의 유효성이 논의되고 있다.
간기능 장해에 대해서는 바이러스성 간기능 장해에 대해서는 인터페론(interferon)에 의한 치료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바이러스성이 아닌 일반적인 간기능의 저하에 대하여는 유효한 수단이 없고, 영양제나 민간요법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현 상태이다. 한방약에서 발전한 곰의 쓸개 등은 경험적으로 일정한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작용기구는 물론이고 유효성분조차 특정되어 있지 않다. 재첩이나 울금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다수의 건강식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효과는 증명되어 있지 않다. 또, 프로토포르피린나트륨(sodium protoporphyrin)을 주성분으로 하는 간기능개선제도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 부작용으로서 광상해(光傷害)가 알려져 있다.
신부전에 대해서는 치료에 있어서 투석이 자주 수행되나, 신장의 기능을 인공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이며, 대처요법 중에서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신장의 기능개선과는 관계가 없다. 신장의 기능개선에 대하여는 간장과 마찬가지로 영양제나 민간요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 상태이다. 또, 투석은 의료비 상승의 최대요인으로도 되어 있다.
비만은 모든 성인병의 원흉이라고도 해서 기피되고 있으나, 적절한 의약품은 없고, 역시 흡수, 소화를 억제하는 다이어트 건강식품이나 운동이 추천되며,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금전적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부담이 크다. 동일한 식사를 하여도 나이가 듦에 따라 젊었을 때보다 확실히 살이 찌지만, 이것은 나이가 듦에 따라 흡수·소화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고, 운동부족이 주 요인도 아니며, 기초대사가 저하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초대사를 개선함으로써 비만을 해소하려고 하는 접근은 알려져 있지 않다.
발기부전에 대해서는 비아그라라는 탁효가 있는 의약품이 개발되어 발기부전에 고민하는 많은 환자의 생활을 개선하였으나, 그 작용기구는 혈관확장이고, 투여에 의해 물리적인 발기 현상을 발생시키나, 본래의 감정에 따른 발기는 아니고, 또, 동시에 심장병 등의 리스크를 발생시킨다. 해당분야에 있어서도 독사, 코뿔소의 뿔, 물개, 자라 등의 민간약이 판치고 있으나, 과학성은 전혀 없고, 오히려 건강에 해를 끼치는 예도 다수 알려져 있다. 즉, 나이가 듦에 따라 발기가 약해지는 현상에 주목한 근본적인 접근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갱년기 장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폐경 후의 여성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권태감이나 우울함 등의 증상을 종합한 것이라고 하지만, 최근에는 남성에게도 갱년기가 있어서 여성과 같이 권태감이나 우울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남녀 모두에 호르몬 보충 요법이 시행되어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여성의 경우는 장기 투여로 유방암이나 자궁암 등의 리스크 상승,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의 리스크 상승이 문제시되고 있다. 남성의 경우에도 전립선암의 리스크 상승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
어깨결림이나 요통 등의 결림은 정확하게는 병명은 아니라 증상이나, 나이가 듦에 따라 어깨결림이나 요통 등의 증상에 고통받는 사람은 대부분 침구, 유술(柔術), 맛사지, 온천요법 등의 시술, 습포제 등의 약제 등은 일대 산업이 되었다. 어깨결림이나 요통 등의 결림의 원인은 얼마든지 있으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혈류의 막힘을 예로 들 수가 있고, 기존의 시술이나 약제도 이 혈류개선에 주안을 두고 있다. 여러가지 수법이 제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효한 수단이 아직도 발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나이가 듦에 따라 이들 증상으로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것에서 분명하다.
이상, 성인병의 실태와 현상의 치료약이나 치료방법을 개략 설명하였으나, 종합적으로 말하면 성인병은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하는 기초대사를 공통의 원인, 원인(遠因)으로 하고, 기초대사가 떨어지는 것이 원인이 되어 당이나 지방의 혈중에의 잔존, 에너지 생산계의 부전에 의한 활성산소의 누설과 그에 기인하는 유전자 이상의 축적이라고 재정의할 수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병의 근본적인 치료나 예방은 얼마나 기초대사를 건전하게 유지하는가에 있으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서양의학은 성인병의 하나하나의 현상에 대하여 생화학적 저해제로 대처하려는 시도이고, 어디까지나 대처요법에 지나지 않으며, 근치적인 치료법은 아니다. 동양의학이나 전통의학에는 근본적인 기초대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기본 이념을 가지고 있으나, 구체적인 대책으로는 호흡법이나 체조, 전통적인 약초의 사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효과도 충분하지 않다.
이와 같은 실정에 있어서 단순한 대처요법이 아니라 기초대사 향상을 목표로 한 매우 유효한 성인병의 치료제, 치료방법, 예방제, 예방방법이 과학적 뒷받침을 가지고 개발되는 것이 절실히 기다려져 왔다.
한편, ALA는 색소 생합성 경로의 중간체로서 알려져 있고, 동물이나 식물이나 균류에 널리 존재하고, 통상은 5-아미노레불린산 합성효소에 의해 숙시닐 CoA(succinyl CoA)와 글리신으로부터 생합성된다. 그 자신은 광 증감작용을 갖지 않으나, 색소 생합성 경로를 거쳐 프로토포르피린 IX(PpIX)를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ALA를 도포하고 광을 조사함으로써 피부암 치료를 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된 이래, ALA를 이용한 여러 부위의 병변부 등의 진단 및 치료방법이 보고되어 있고, 예를 들면, ALA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이들 염(이하, 「ALA류」라고도 함)을 체내에 투여하면, 종양 친화성을 가진다고 보고된 PpIX가 생합성되고, 종양 세포에 축적한 PpIX가 광조사됨으로써 주위의 산소분자를 광여기하며, 그 결과 생성하는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가 그 강한 산화력에 의한 살세포(殺細胞) 효과를 가진다는 이유에서 개발된 종양진단·치료제 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또, 방광에 있어서는 요도로부터 ALA류를 포함하는 증감제 용액을 방광에 충전하고, 일정시간을 거친 후에 광을 조사하여 방광경으로 형광을 관찰함으로써 방광암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참조), 그 외 5-아미노레불린산, 그의 염 및 그들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철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나 건피 예방·개선제(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273103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12437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2002-512205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810018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991063호 공보
J.C Kennedy, R.H Pottier and DC Pross, Photodynamictherapy with endogeneous protoprophyrin IX: basic principles and present clinical experience,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6(1990)143-148. 5-아미노레불린산(5-ALA) 방광내 주입에 의한 형광 방광경을 사용한 방광암의 광역학적 진단, 이노우에 켄지, 카라시마 나오, 카마타 마사유키, 슈인 타로, 쿠라바야시 아츠시, 오츠키 유지, 일본비뇨기과학회잡지, Vol.97, pp.719-729.
본 발명의 과제는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하는 기초대사를 개선함으로써 성인병을 개선하거나, 또는 예방할 수가 있는 약제 조성물, 즉, 기존의 생화학 반응 저해형에 의한 성인병의 치료약과 달리, 기초대사의 향상을 작용 메커니즘으로 하는, 말하자면 대사의 회춘이 작용 메커니즘이고, 부작용이 없으며, 성인병의 약제 내성이 생기지 않는 약제 조성물이나, 그것을 이용한 성인병의 예방·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LA는 36억년 전의 원시의 지구에서 대기에 낙뢰의 에너지가 가해져서 생성한 유기 화합물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ALA가 8분자로 이루어지는, 테트라피롤 화합물은 매우 긴 공명계를 가지고, 또, 매우 높은 분자의 대칭성을 가진다. 따라서, 에너지를 유지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빛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가 있다.
오늘날에도 생물의 에너지 변환계에는 테트라피롤 화합물이 관여하는 반응이 많이 알려져 있고, ALA는 생명의 근원물질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많은 테트라피롤 화합물이 생명반응에 관여하고 있고, 예를 들면, 클로로필은 중심에 마그네슘을 가지는 테트라피롤 화합물이고, 빛의 에너지를 흡수한다.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의 반응 중심은 중심에 철이 배위된 테트라피롤 화합물 헴(heme)이다. 이 클로로필이나 헴의 생합성의 율속단계(rate-limiting step)는 ALA 생합성이기 때문에, ALA와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비료는 광합성을 활발하게 하고, ALA와 철을 새끼 돼지의 먹이에 첨가하면 새끼 돼지의 빈혈이 개선된다. 이미 발명자 등은 이들 발명을 하여, 일부는 제품화하고 있다.
사람과 ALA의 연구는 오래되었으나, 유전병인 포르피린증의 환자의 뇨에 ALA가 많아서 신경 독성이 의심되어 연구된 경위가 있다. 또, 중금속 중독 환자의 뇨에 ALA가 많아서 노동안전 위생관리 상의 지표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ALA는 굳이 말하자면 병의 지표로 몸에 나쁜 것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ALA를 사람에게 투여하는 시도로는 ALA 투여에 의해 프로토포르피린 IX를 암에 축적시켜서, 광조사와 조합시킨 암의 진단약, 치료약이 유명하고, 각각 광동역학적(光動力學的) 진단, 광동역학적 치료라고 불리며,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이 경우도, ALA는 암세포를 죽이는 굳이 말하자면 독물(toxic substance)로 알려져 있고, 기초대사를 향상시킴으로써 성인병에 대한 개선효과나 예방효과를 예상하는 자는 없었다.
인체 중에서 ALA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아미노레불린산합성효소에 의해 글리신과 숙시닐 CoA의 축합으로 생합성된다. 생합성된 ALA는 한번 세포질에 이송되고, 세포실 내의 아미노레불린산 탈수소산소(포르포빌리노겐 합성효소)에 의해 2분자가 축합하여 피롤환(pyrrole ring)을 형성, 포르포빌리노겐을 형성한다. 이 포르포빌리노겐 4분자가 포르피린환을 형성하여 테트라피롤 구조를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세포질 내의 효소로 변환되어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가 된다.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는 ABC 트랜스포터로 미토콘드리아에 취입되고, 프로토포르피린 IX에까지 순차 산화되며, 페로킬라타아제(ferrochelatase)에 의해 2가의 철이 배위되어 헴이나 시토크롬(cytochrome)이 된다.
헴이나 시토크롬을 만든 후에 미토콘드리아와 체세포가 협조하면서 작업을 하는 이 모습은 16억년 전이라고도 하는 미토콘드리아 공생에 의한 진핵생물의 탄생과 그 후의 진화에 관계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흥미롭다. 그것은 어떻든 간에, 외생적으로 투여한 ALA도 내생적인 ALA와 마찬가지로 세포질에서 코프로포르피리노겐으로 변환되어 미토콘드리아 내에 도달한다.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ALA로부터 유도된 헴이나 시토크롬은 여러가지 중요한 역할을 완수한다. 일부는 다시 세포질에 운반되어 단백질과 회합하여 각각의 역할을 완수하지만,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작용하는 헴이나 시토크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전자전달계의 형성이다. 헴이나 시토크롬은 전자전달계를 구성하는 복합체의 II, III, IV의 구성요소이고, 또, 시토크롬 C는 복합체 III에서 IV에 직접 전자를 운반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수명은 전자전달계의 수명, 특히 복합체 IV의 효소활성으로 규정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에너지 획득계인 전자전달계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좋은 예이지만, 이 전자전달계의 반응 중심은 ALA로부터 유도되는 시토크롬과 헴이다.
이상과 같이, 나이가 듦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내의 ALA 생합성능이 저하하는 것이 노화의 원인이고, 성인병의 근본적인 원인이며, ALA의 투여로 성인병이 개선되는 기본적 메커니즘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각 증상에 대한 상정되는 메커니즘을 이하에 고찰하였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메타볼릭 신드롬인 경우,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을 투여함으로써 전자전달계의 헴이나 시토크롬이 증강되고, 이른바 기초대사가 향상되는 것이 제1의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생각하였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당뇨병인 경우,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을 투여함으로써 전자전달계의 헴이나 시토크롬이 증강되고, 이른바 기초대사가 향상하는 것이 제1의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생각하였다. 전자전달계가 활발화되고서야 비로서 TCA 회로가 잘 작동한다. TCA 회로가 작동하면 기질인 아세틸 CoA가 요구되고, 해당계(glycolytic system)에서 당이 소비되기 때문에 당뇨병의 개선으로 연결된다고 추측하였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고지혈증인 경우,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을 투여함으로써 전자전달계의 헴이나 시토크롬이 증강되어서, 이른바 기초대사가 향상하는 것이 제1의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생각하였다. 전자전달계가 활발화되고 나서 비로서 TCA 회로가 잘 작동한다. TCA 회로가 작동하면 기질인 아세틸 CoA가 요구되고, β산화로 지방산이 소비되기 때문에 고지혈증의 개선으로 연결된다고 추측하였다. 지방산은 아실 CoA로서 미토콘드리아에 취입되고, 미토콘드리아 중에서 β산화된다. 또, 당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세포질 중에서는 지방산의 합성반응이 발생하나, ALA와 철의 투여로 당의 소비도 억제되기 때문에 지방산의 합성도 저하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고혈압인 경우, 기초대사 향상뿐만 아니라 혈관확장 인자인 NO의 생성이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로부터 유도되는 헴 효소에 의해 활발화하는 것도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생각된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간기능 장해인 경우, 기초대사 향상뿐만 아니라 간기능의 중요한 작용인 독물의 분해가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로부터 유도되는 헴을 반응 중심에 가지는 P450에 의하는 것이고,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의 투여로 독물 분해능이 향상하는 것이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추정된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신부전(신기능 장해)인 경우, 기초대사 향상이나 혈관확장에 의한 혈류개선뿐만 아니라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의 투여에 의해 유도되는 헴이나 시토크롬의 상승이 신장의 중요한 역할인 이온 펌프의 활동을 활발화하는 것이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생각된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비만인 경우,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을 투여하는 것에 의한 전자전달계의 헴이나 시토크롬이 증강되고, 이른바 기초대사가 향상하는 것이 제1의 작용 메커니즘이라고 생각된다. 기초대사 향상으로 나이가 듦에 따라 내키지 않던 운동이 쉽게 재개되는 것도 비만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발기부전인 경우, 기초대사 향상이나 혈관확장이 주된 작용 메커니즘이지만, ALA는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하는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높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유추된다. 남성호르몬의 대사의 율속단계는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시토크롬 P450scc에 의한 히드록실화이고,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의 투여에 의해 동(同) 효소의 활성이 향상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갱년기 장해인 경우, 기초대사 향상이 주된 작용 메커니즘이지만, ALA는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하는 성 호르몬의 분비를 높이는 중요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유추된다. 성 호르몬의 대사의 율속단계는 남성호르몬, 여성호르몬 모두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시토크롬 P450scc에 의한 히드록실화이고,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의 투여에 의해 동 효소의 활성이 향상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대상으로 하는 성인병이 어깨결림이나 요통 등의 결림인 경우, ALA, 바람직하게는 ALA와 철의 투여에 의한, 기초대사의 향상이나 혈관의 확장 작용에 의한 울혈(congestion)의 개선이 현저한 치료효과로 연결되고 있다고 추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성인병이란 무엇인가, 가령현상이란 무엇인가, 노화란 무엇인가, 나이가 듦에 따른 기초대사의 저하는 왜 발생하는가 라고 하는, 많은 생화학자가 피해 온 근본적인 문제에 정면에서 부딪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의 저하, 더 자세하게 말하면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의 약체화가 에너지의 획득 효율을 떨어뜨리고, 나아가서는 TCA 회로의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당이나 지방의 흡수를 저하시켜서,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메타볼릭 신드롬 등의 성인병을 야기하고 있지는 않는가 라는 가설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더 깊이 거듭 생각하여, 전자전달계의 활성 저하는 전자전달계의 전자의 통로에 상당하는 헴 화합물이나 시토크롬이 나이가 듦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ALA 생산능력의 저하에 기인하지는 않는가 라는 가설을 세웠다. 발명자들은 대담하게도 헴이나 시토크롬의 전구체이며, 그 생합성이 헴이나 시토크롬의 율속단계이기도 하고, 역시 나이가 듦에 따라 그 생산량이 저하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진 ALA의 첨가가 성인병의 치료약, 예방약으로서 유효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성인병의 치료방법, 예방방법을 확립할 수 있지는 않은가 라는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서 ALA의 투여 방법이나 조합하는 미네랄의 종류나 양에 관하여 다양한 검토를 거듭한 바, ALA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성인병의 치료·예방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5-아미노레불린산(ALA)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이나, (2) 철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이나, (3) 철화합물이 구연산제일철, 구연산제일철나트륨, 구연산철나트륨, 구연산철암모늄, 피로인산제이철, 헴철, 덱스트란철, 유산철, 글루콘산제일철, DTPA철,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철나트륨,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철암모늄,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오아세트산철암모늄,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철,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철나트륨,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암모늄철암모늄, 락토페린철, 트랜스페린철, 염화제이철, 삼이산화철, 철클로로필린나트륨, 페리틴철, 푸마르산제일철, 피로인산제일철, 함당산화철, 아세트산철, 옥살산철, 호박산제일철, 호박산구연산철나트륨, 황산철 및 황화글리신철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4) 성인병이 메타볼릭 신드롬,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간기능 장해, 신부전, 비만, 발기부전, 갱년기 장해, 어깨결림 및 요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이나, (5)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조성물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소재나, (6)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조성물을 성인병의 예방·개선제의 조제에 사용하는 방법이나, (7)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당뇨병 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ALA 투여에 의한 혈당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당뇨병 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ALA 투여에 의한 당 부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당뇨병 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ALA 투여에 의한 지질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당뇨병 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ALA 투여에 의한 인슐린 분비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당뇨병 환자의 ALA 투여에 의한 공복시 혈당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경계역 당뇨병 환자의 ALA 투여에 의한 당화 헤모글로빈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경계역 당뇨병(borderline diabete) 환자의 ALA 투여에 의한 당화 헤모글로빈(glycated hemoglobin)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당뇨병 환자의 ALA 투여 유무에 의한 당화 헤모글로빈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건강한 사람의 안전성 시험에서의 ALA 투여에 의한 층별 당화 헤모글로빈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건강한 사람의 안전성 시험에서의 ALA 투여에 의한 층별 혈당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예방·개선제)로는 ALA나 그의 유도체나 그들 염으로부터 구성되는 ALA류를 유효성분이나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ALA는 δ-아미노레불린산이라고도 하고, 식 HOOC-(CH2)2-(CO)-CH2-NH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의 일종이다. 이들 ALA류는 화학 합성, 미생물에 의한 생산, 효소에 의한 생산 등의 어떤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도 제조할 수가 있다.
ALA류 중 ALA의 유도체로는 ALA의 에스테르기와 아실기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 수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에스테르기와 포르밀기, 메틸에스테르기와 아세틸기, 메틸에스테르기와 n-프로파노일기, 메틸에스테르기와 n-부타노일기, 에틸에스테르기와 포르밀기, 에틸에스테르기와 아세틸기, 에틸에스테르기와 n-프로파노일기, 에틸에스테르기와 n-부타노일기의 조합을 예시할 수가 있다.
ALA류 중 AL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염으로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인산염, 질산염, 황산염, 아세트산염, 프로피온산염, 톨루엔설폰산염, 호박산염, 옥살산염, 유산염, 주석산염, 글리콜산염, 메탄설폰산염, 낙산염, 길초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인산염, 사과산염 등의 산부가염 및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암모늄염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또한, 이들 염은 사용 시에 용액으로서 이용되고, 그 작용은 ALA의 경우와 같은 효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염류는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또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인병이란, 다년간의 생활습관이 발증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생활습관병을 말하고, 메타볼릭 신드롬,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간기능 장해, 신부전, 비만, 발기부전, 갱년기 장해, 어깨결림, 요통 등을 적합하게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성인병 예방·개선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철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철화합물로는 철을 분자 내에 가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연산제일철, 구연산제일철나트륨, 구연산철나트륨, 구연산철암모늄, 피로인산제이철, 헴철, 덱스트란철, 유산철, 글루콘산제일철, DTPA철,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철나트륨,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철암모늄,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오아세트산철암모늄,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철,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철나트륨,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암모늄철암모늄, 락토페린철, 트랜스페린철, 염화제이철, 삼이산화철, 철클로로필린나트륨, 페리틴철, 푸마르산제일철, 피로인산제일철, 함당산화철, 아세트산철, 옥살산철, 호박산제일철, 호박산구연산철나트륨, 황산철 및 황화글리신철를 예로 들 수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구연산제일철이나 구연산철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들 철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성인병 예방·개선 조성물에 함유되는 철화합물은 통상 ALA의 투여량에 대하여 몰비로 0~100배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0.1배~8배이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은 성인병의 예방·개선제로서 유용하고, 경구투여제형 또는 정맥주사제형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경구투여제형의 예방·개선제의 제형으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시럽제, 현탁액 등을 예로 들 수가 있고, 정맥주사제형의 예방·개선제의 제형으로는 주사제, 점적제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을 주사제 등의 수용액으로서 조제하는 경우에는 ALA류의 분해를 막기 위해 수용액이 알칼리성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이 되어 버리는 경우는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유효성분의 분해를 막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방·개선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약효성분, 영양제, 담체 등의 다른 임의성분을 첨가할 수가 있다. 임의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결정성 셀룰로오스, 젤라틴, 유당, 전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유지, 껌,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담체, 결합제, 안정화제, 용제, 분산매, 증량제, 부형제, 희석제, pH 완충제, 붕괴제, 가용화제, 용해 보조제, 등장제 등의 각종 조제용 배합 성분을 첨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제에 포함되는 ALA류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ALA, ALA 메틸에스테르, ALA 에틸에스테르, ALA 프로필에스테르, ALA 부틸에스테르, ALA 펜틸에스테르, 이들 ALA 에스테르류 등의 염산염, 인산염, 황산염 등이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제의 바람직한 투여법으로는 설하투여도 포함하는 경구투여 및 링거를 포함하는 정맥주사, 발포제, 좌약 등에 의한 경피투여를 예로 들 수가 있고, 이들 예방·개선제에 포함되는 ALA류의 양은 ALA 염산염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당 0.1mg~1000mg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0.3mg~300mg, 더 바람직하게는 1mg~100mg이다. 또,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제의 바람직한 투여 시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아침도 저녁도 좋으나, 투여량이 많은 경우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편이 좋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은 다른 성인병의 예방제나 개선제나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투여 예방·개선 조성물은 기존의 해당 분야의 의약품은 특정 반응의 저해제이며, 기초대사를 높인다는 본 제의 작용 메커니즘과는 다르므로, 상호보환적인, 경우에 따라서는 상승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소재로는 상기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을 첨가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ALA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식품에 첨가함으로써 성인병의 예방·개선용의 식품 또는 식품소재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사용방법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을 성인병의 예방·개선제의 조제에 사용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방·개선제의 조제에 ALA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ALA류에 상기 임의성분을 배합하여 경구투여제형이나 정맥주사제형의 예방·개선제를 조제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방법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투여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경구투여, 정맥주사, 경피투여를 예로 들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소재의 실시태양으로서 ALA류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성인병의 예방·개선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라는 취지의 표시가 부착된 식품 또는 식품소재; ALA류를 첨가한 식품 또는 식품소재를 성인병의 예방·개선용의 식품 또는 식품소재로서 사용하는 방법; ALA류를 성인병의 예방·개선용의 식품 또는 식품소재의 배합제로서 사용하는 방법; ALA류를 식품 또는 식품소재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용의 식품 또는 식품소재의 제조 방법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용의 식품 또는 식품소재로는 요구르트, 드링크 요구르트, 쥬스, 우유, 두유, 주류, 커피, 홍차, 전차(煎茶), 우롱차, 스포츠 음료 등의 각종 음료나, 푸딩, 쿠키, 빵, 케이크, 젤리, 전병 등의 구운 과자, 양갱 등의 일본식 과자, 빙과, 추잉껌 등의 빵·과자류나, 우동, 메밀국수 등의 면류나, 어묵, 햄, 어육 소세지 등의 어육 가공식품이나, 된장, 간장, 드레싱, 마요네즈, 감미료 등의 조미류나, 치즈, 버터 등의 유제품이나, 두부, 곤약, 기타 해산물 조림, 만두(餃子), 크로켓, 샐러드 등의 각종 반찬, 영양식품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또한, 성인병의 예방·개선용이란, 식품 또는 식품소재의 포장용기나 설명서 등에 성인병의 예방·개선에 유효하다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등 ALA류의 사용 용도가 성인병의 예방·개선을 의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보충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61세 남성에게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5-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아침저녁으로 각 1캡슐 섭취하도록 한 바, 2주일에 하기와 같은 생화학치의 개선을 보았다.
TG 314 → 132
GOT 19 → 19
GPT 17 → 15
γ-GTP 60 → 48
HbA1c 6.2 → 5.9
지질대사, 간기능, 당대사 모두 개선하였다. 특히 지질대사는 정상치로 개선되어 분명한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본예로부터 ALA 투여가 각종 성인병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2
60세 남성에게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1개월 후 하기와 같은 생화학치의 개선을 보았다.
TC 264 → 260
LDL 192 → 173
HDL 65 → 58
본예에 의해 ALA 투여가 지질대사와 간기능 개선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3
73세의 남성에게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고혈압이 개선되고, 1개월 후에는 지금까지 계속해 온 강압제의 투약을 중지하였으나, 혈압은 정상치로 유지되었다. 이 예에 의해 ALA 투여가 고혈압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4
70세의 경계역 당뇨병 환자인 남성에게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1개월, 2개월 후, 3개월 후에 하기와 같은 생화학치의 개선을 보았다.
개시전 1개월 후 2개월 후 3개월 후
HbA1c 7.4 7.2 6.9 6.8
본예에 의해 아미노레불린산의 투여가 당뇨병의 개선 및 예방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5
68세 남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섭취 1주일 후부터 오랫동안 계속되어온 어깨결림에 개선이 보여졌다. 본예에 의해 아미노레불린산의 투여가 어깨결림 등의 결림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6
42세 남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3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섭취 다음날부터 40세 이래로 앓아온 편두통에 개선이 보여졌고, 섭취 1주일에 완전히 편두통이 치유되었다. 이로부터 아미노레불린산의 투여가 남성 갱년기 장해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7
47세 남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2캡슐 섭취한 바, 다음날 오래동안 없었던 발기가 일어났다. 섭취 다음날에는 1년만의 성교를 가지고, 그 후 평균 2주일에 1회의 성교를 계속하고 있다. 이로부터 아미노레불린산 투여가 발기부전에 유효하고 노화에 수반하는 기력의 감퇴 방지에도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8
45세 남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3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2캡슐 섭취한 바, 섭취 다음날부터 체력 및 기력의 충실함을 느껴 섭취 3일째에 반년만의 성교를 가지고, 그 후 평균 1주일에 2회의 성교를 계속하고 있다. 이로부터 아미노레불린산 투여가 발기부전에 유효하고 노화에 수반하는 기력의 감퇴 방지에도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9
47세 남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0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57.4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섭취 다음날부터 체력 및 기력의 충실함을 느꼈다. 부인 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한 바, 섭취 전후로 0.1~0.2℃의 상승을 보았다. 섭취 3개월에 체중이 79kg에서 74kg으로 5kg 감소하고, 백발이나 주름 등의 개선도 보았다. 이로부터 아미노레불린산의 투여가 메타볼릭 신드롬 등의 성인병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0
냉증에 고민하는 46세 여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87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1캡슐 섭취한 바, 2일 후부터 사지에 따뜻함을 느끼고 냉증이 개선되고 변비도 없어졌다. 이로부터 아미노레불린산 투여가 냉증이나 변비에도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1
갱년기 장해에 고민하는 55세 여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 23mg을 포함하는 캡슐을 1일 2캡슐 섭취한 바, 섭취 1주간 무렵부터 체력의 개선이나 피부의 회복을 느끼고, 몸이 더워지거나 초조해 하는 등의 갱년기 장해의 증상이 소실하였다. 이로부터 아미노레불린산의 투여가 갱년기 장해에 유효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2
어깨결림에 고민하는 47세 남성이 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과 DTPA철(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틱아시드)-Fe)을 각각의 중량으로 1%를 요통이나 어깨결림의 부위에 1일 1회 도포하자 1주일에 어깨결림이 없어졌다.
실시예 13
시험 개시 전에 참가 동의를 얻은 22세 이상 63세 이하의 남녀 30예를 대상으로 ALA 인산염, 및 ALA 인산염과 구연산제일철을 포함하는 캡슐을 섭취시키는 이중맹검시험(double-blind test)을 실시하였다. 1군에는 ALA 인산염을 5mg 포함하는, 2군에는 ALA 인산염을 15mg 포함하는, 3군에는 ALA 인산염 5mg과 구연산제일철 2.87mg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을 각각 1일 1캡슐, 4주간 연속 섭취시켰다. 섭취 개시부터 2주일 후, 4주일 후 및 시험 종료후 2주일 후에 혈액 생화학 검사를 실시하였다. 혈액 생화학 검사로 유의한 변동을 나타낸 항목은 이하와 같았다.
1) ALP
·2군의 2주 후에 18.0±23.2U/L 저하하였다(195.2±74.7 vs 177.2±55.2U/L).
2) 총 단백질
·2군의 4주 후에 0.29±0.22g/dL 저하하였다(7.28±0.48 vs 6.99±0.47g/dL).
3) 알부민
·3군의 2주 후에 0.12±0.11g/dL 저하하였다(4.43±0.26 vs 4.31±0.26g/dL).
4) 크레아티닌
·2군의 4주 후에 0.040±0.037mg/dL 저하하였다(0.701±0.134 vs 0.661±0.109mg/dL).
5) 총 콜레스테롤
·3군의 2주 후에 13.2±15.0mg/dL 저하하였다(204.1±21.0 vs 190.9±30.3mg/dL).
6) HDL-콜레스테롤
·1군의 4주 후에 3.7±4.9mg/dL 저하하였다(64.6±17.3 vs 60.9±15.8mg/dL).
·3군의 2주 후에 2.6±2.8mg/dL 저하하였다(67.8±12.4 vs 65.2±11.7mg/dL).
·종료 2주 후에 2.8±3.7mg/dL 저하하였다(67.8±12.4 vs 65.0±11.4mg/dL).
7) LDL-콜레스테롤
·3군의 2주 후에 10.7±7.8mg/dL 저하하였다(122.5±20.6 vs 111.8±25.9mg/dL).
8) Na
·3군의 종료 2주 후에 0.7±0.7mEq/L 상승하였다(140.4±1.6 vs 141.1±1.5mEq/L).
ALP의 저하는 간기능이 개선되는 좋은 변화이고, 총 단백질, 알부민, 크레아티닌의 저하는 단백질 대사의 향상을 의미한다. 또한,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저하는 지질대사가 개선될 방향으로 향하는 좋은 변동이었다. 나트륨의 상승은 세포로부터의 나트륨 배출에 관련하고 있다고 추정되어 신장기능개선을 예상시킨다.
이상의 시험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성인병에 관계하는 대사가 좋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성인병의 예방·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14
자연 발증형의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 KK-Ay 마우스를 정법에 따라 사육하고, 비만하게 한 후에 체중 1kg당 5-아미노레불린산인산염(ALA) 10mg과 구연산제일철나트륨(구연산철) 92mg 및 ALA 30mg과 구연산철 276mg을 투여하였을 경우의 혈당치를 도 1에, 당 부하 시험의 결과를 도 2에, 이 기간 동안의 중성지방의 추이를 도 3에, 인슐린의 분비량의 경위를 도 4에 나타낸다. 실험은 각 구 10마리로 실시하였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ALA와 철의 투여로 혈당치가 내려가고, 당 부가 능력이 향상하고, 지질대사도 향상하여 인슐린의 분비도 회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당뇨병, 고지혈장에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당뇨병 개선제는 지질대사를 나쁘게 하지만, ALA와 철은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를 활발화하고, 연쇄하는 TCA 회로의 회전을 개선하기 때문에, 이른바 기초대사의 개선을 볼 수 있고, 당, 지질과 함께 그 소비가 개선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15
53세 남성의 II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치료중에 아침 10단위, 낮 5단위, 밤 10단위의 인슐린이 투여되었다. 이 환자에게 1일당 ALA 인산염 25mg과 몰비로 ALA의 0.5배의 구연산철을 섭취시켰을 경우의 공복시 혈당의 변화를 도 5에 나타낸다.
공복시 혈당은 전날의 식생활 등에 따라 변화가 크고, 상하는 있으나, 평균적으로는 보조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월에 15mg/dl정도 저하하고 있어 당뇨병의 개선에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4의 남성이 동 조건으로 섭취를 계속한 바, 섭취 개시로부터 5개월 후에는 HbA1c가 5.9로, 8개월 후에는 5.2로 저하하고, 완전하게 당뇨병으로부터 이탈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II형 당뇨로 고통받는 72세 여성은 의사의 지도 아래 식생활이나 운동을 주의하여 생활해 왔으나, 서서히 HbA1c가 상승하였다. 2008년 11월 7일에 1일당 ALA 인산염 50mg과 몰비로 ALA의 0.5배의 구연산철의 섭취를 개시한 바, HbA1c에 급속한 개선을 볼 수 있었고 반년만에 개선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경위를 도 7에 나타낸다. 덧붙여, 섭취 개시시의 11월 7일의 공복시 혈당은 195mg/dl, 다음해 5월 9일의 107mg/dl로 개선하였다.
실시예 18
II형 당뇨병의 69세 여성이 1일당 ALA 인산염 15mg과 몰비로 ALA의 0.5배의 구연산철의 섭취를 개시하고, 한번 섭취를 중단하고 다시 섭취를 재개하였다. 도 8에 이 기간 동안의 HbA1c의 변화를 나타낸다.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이 섭취 기간이다. 섭취에 의해 HbA1c가 개선하였다. 또, 중지하자 HbA1c가 상승하기 때문에, ALA의 효과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19
안전성 시험으로서 정상인에게 ALA 인산염 25mg과 몰비로 ALA의 0.5배의 구연산철의 섭취를 개시하여 4주일 섭취하도록 하고, 섭취전, 섭취 중지 2주일도 포함하여 2주일마다 혈액을 검사하였으나 평균치에는 의미있는 변화는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정상인을 섭취전의 HbA1c가 4.8보다 높은 군과 4.8 이하의 군으로 층별화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HbA1c가 4.8을 초과하는 군에는 약간의 저하 경향이 보여지나, 4.8 이하의 군은 오히려 상승의 경향이 보여지고, 정상인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성이 높은 효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시시의 공복시 혈당이 90 이상의 군과 90보다 낮은 군으로 층별화하였을 경우의 혈당치 변화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정상 범위에서도 비교적 높게 속하는 군에서는 완만한 저하가 보여지나, 낮은 군에는 거의 변화가 보여지지 않고, 정상인에게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는 안전한 효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
경계형 당뇨병 남성 6명의 ALA 섭취량, 기간, HbA1c의 변화를 표 1에 나타낸다. 6명 전원의 HbA1c가 개선되었고, 본 발명의 개연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1030095070-pct00001
본 발명에 의하면,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하는 기초대사를 개선함으로써 성인병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생화학 반응 저해형에 의한 성인병의 치료약과 달리, 기초대사의 향상을 작용 메커니즘으로 하는, 말하자면 대사의 회복이 작용 메커니즘이고, 부작용이 없고, 성인병의 약제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또, 기존약과 작용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약과 병용함으로써 효과를 높이는 것도 기대된다.

Claims (7)

  1. 5-아미노레불린산(ALA)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철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철화합물이 구연산제일철, 구연산제일철나트륨, 구연산철나트륨, 구연산철암모늄, 피로인산제이철, 헴철, 덱스트란철, 유산철, 글루콘산제일철, DTPA철,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철나트륨,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철암모늄,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오아세트산철암모늄,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철,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철나트륨,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암모늄철암모늄, 락토페린철, 트랜스페린철, 염화제이철, 삼이산화철, 철클로로필린나트륨, 페리틴철, 푸마르산제일철, 피로인산제일철, 함당산화철, 아세트산철, 옥살산철, 호박산제일철, 호박산구연산철나트륨, 황산철 및 황화글리신철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인병이 메타볼릭 신드롬,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간기능 장해, 신부전, 비만, 발기부전, 갱년기 장해, 어깨결림 및 요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조성물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소재.
  6. 삭제
  7. 삭제
KR1020117009208A 2008-10-27 2009-10-27 5-아미노레불린산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제 KR101322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75914 2008-10-27
JP2008275914 2008-10-27
PCT/JP2009/005651 WO2010050179A1 (ja) 2008-10-27 2009-10-27 5-アミノレブリン酸若しくはその誘導体、又はそれらの塩を有効成分とする成人病の予防・改善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902A KR20110058902A (ko) 2011-06-01
KR101322259B1 true KR101322259B1 (ko) 2013-10-28

Family

ID=4212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208A KR101322259B1 (ko) 2008-10-27 2009-10-27 5-아미노레불린산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095165B2 (ko)
EP (2) EP3192506A3 (ko)
JP (1) JP5665544B2 (ko)
KR (1) KR101322259B1 (ko)
CN (3) CN106692122A (ko)
CA (2) CA2736866C (ko)
WO (1) WO20100501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592B1 (ko) 2020-10-29 2021-06-17 김진왕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3486B1 (en) * 2010-09-30 2019-11-06 COSMO TRaDE & SERVICE CO., LTD. 5-aminolevulinic acid-containing solid fertiliz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5713473B2 (ja) * 2011-06-16 2015-05-07 Sbiファーマ株式会社 アレルギー性鼻炎の治療剤
WO2013024589A1 (ja) 2011-08-12 2013-02-21 Sbiファーマ株式会社 敗血症の予防剤及び/又は治療剤
CN104105482B (zh) * 2011-10-12 2017-10-24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红细胞生成素产生促进剂
EP2767276B1 (en) * 2011-10-12 2018-10-03 SBI Pharmaceuticals Co., Ltd. Improving / prophylactic agent for chronic kidney disease
US9707196B2 (en) * 2011-10-12 2017-07-18 Sbi Pharmaceuticals Co., Ltd. Treatment agent and/or prophylactic agent for side effects of cancer drugs
CN103930103B (zh) 2011-10-12 2016-08-24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移植器官的成活促进剂
JP5881722B2 (ja) 2011-10-12 2016-03-09 Sbiファーマ株式会社 がん性貧血改善・予防剤
US10376362B2 (en) 2012-04-05 2019-08-13 Medtronic Vascular Galway Valve introducers with adjustable deployment mechanism and implantation depth gauge
JP5904518B2 (ja) * 2012-07-13 2016-04-13 Sbiファーマ株式会社 免疫寛容誘導剤
CN104487067B (zh) 2012-07-19 2017-09-01 思佰益药业股份有限公司 流行性感冒病毒感染症的预防·治疗剂
JP5920902B2 (ja) 2012-07-23 2016-05-1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放射線障害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JP6177343B2 (ja) * 2013-10-29 2017-08-09 学校法人東京農業大学 フラタキシン増強剤
CN103529029B (zh) * 2013-10-30 2015-08-19 云南盐化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食盐中柠檬酸铁铵含量的方法
US9962350B2 (en) 2014-07-11 2018-05-08 Sbi Pharmaceuticals Co., Ltd. Agent for improving normal development rate of fertilized eggs
CN104146142A (zh) * 2014-07-28 2014-11-19 四川安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6999514B (zh) * 2014-11-25 2020-06-12 普惠德生技股份有限公司 含有亚铁氨基酸螯合物的组合物在制备改善糖尿病的药物中的用途
AU2014413288B2 (en) * 2014-12-01 2018-06-28 Profeat Biotechnology Co., Ltd. Use of composition containing iron (II) amino acid chelate in preparing drug for regulating and controlling fat metabolism
CN105878225B (zh) * 2015-01-26 2018-12-28 叶芝藩 氨基乙酰丙酸在脂肪肝治疗中的应用
US11504236B2 (en) 2015-03-13 2022-11-22 Medtronic Vascular, Inc. Delivery device for prosthetic heart valve with capsule adjustment device
US10327899B2 (en) 2015-03-13 2019-06-25 Medtronic Vascular, Inc. Delivery device for prosthetic heart valve with capsule adjustment device
CN106420691A (zh) * 2016-10-18 2017-02-22 集美大学 一种α‑葡萄糖苷酶抑制剂的制备方法
US11123320B2 (en) 2017-05-31 2021-09-21 Sbi Pharmaceuticals, Co., Ltd.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hyperaciive bladder
RU2760132C1 (ru) 2017-12-01 2021-11-22 ЭсБиАй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КО., ЛТД.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силения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го эффекта ингибитора иммунной контрольной точки
EP3855180B1 (en) 2018-09-20 2024-05-01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Method for evaluating pathology of cardiac failure
GB202201708D0 (en) * 2022-02-10 2022-03-30 Intract Pharma Ltd Compositions for oral delivery of biotherapeutics
CN117297106B (zh) * 2023-11-30 2024-02-20 北京挑战生物技术有限公司 5-氨基乙酰丙酸在制备防治中老年人便秘的药品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286A1 (ja) 2004-09-02 2006-03-09 Cosmo Oil Co., Ltd. 健康機能向上剤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9262A (en) 1989-07-28 1992-01-07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Method of detection and treatment of malignant and non-malignant lesions utilizing 5-aminolevulinic acid
DE4139921A1 (de) * 1991-12-04 1993-06-09 Wella Ag, 6100 Darmstadt, De Verwendung von radikalfaengern und/oder zur deaktivierung nicht-radikalischer, reaktiver sauerstoffspezies geeigneter substanzen zur verhinderung oder verzoegerung des ergrauens von menschlichen haaren
JPH05252898A (ja) 1992-03-12 1993-10-05 Lotte Co Ltd 肥満予防食品および肥満予防剤
JPH0881381A (ja) 1994-09-09 1996-03-26 Toyo Hakko:Kk Sod作用を有する健康・美容増進剤、血圧抑制剤及び便秘改良剤
US5753706A (en) 1996-12-16 1998-05-19 Hsu; Chen Hsing Methods for treating renal failure
JPH10295325A (ja) * 1997-04-28 1998-11-10 Katsuji Nagamitsu 健康食品
FR2777782B1 (fr) * 1998-04-22 2001-05-18 Alexandre Marti Solution pour la preparation d'une substance pharmaceutique pour le diagnostic et/ou le traitement de lesions tissulaires
US6908614B2 (en) 1999-10-12 2005-06-21 Chee-Keung Chung Anti-aging/menopause symptoms relief using ganoderma lucidum spores
JP2002080376A (ja) 2000-06-06 2002-03-19 Ibe:Kk 生物活性剤および医薬
JP4534316B2 (ja) 2000-07-14 2010-09-01 株式会社玄米酵素 栄養補助食品の製造方法並びに栄養補助食品
JP2002034509A (ja) * 2000-07-27 2002-02-05 S F C:Kk 健康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38027A (ja) 2000-10-27 2002-05-14 Kose Corp 皮膚外用剤
JP4754731B2 (ja) * 2001-07-31 2011-08-24 コスモ石油株式会社 豚成育促進剤及び豚成育促進方法
US8853266B2 (en) * 2001-12-06 2014-10-07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for treating diabetes
US20040048842A1 (en) * 2002-09-10 2004-03-11 Mcmillan Kathleen Method of treating skin disorders
EP1743621B1 (en) 2004-04-28 2014-03-05 Cosmo Oil Co., Ltd. Hair restorer
JP4814501B2 (ja) * 2004-09-02 2011-11-16 コスモ石油株式会社 抗酸化機能向上剤
JP5034032B2 (ja) 2004-09-29 2012-09-26 Sbiファーマ株式会社 腫瘍診断剤
JP2007238441A (ja) 2004-12-03 2007-09-20 Fuji Chem Ind Co Ltd アスタキサンチンを有効成分とする体脂肪減少用組成物
CA2770430A1 (en) * 2005-02-16 2006-08-24 Md Bioalph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involving obesity, diabetes, metabolic syndrome,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mitochondria dysfunction diseases
EP1878421B1 (en) * 2005-04-28 2019-04-03 SBI Pharmaceuticals Co., Lt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US20070148721A1 (en) * 2005-12-28 2007-06-28 Agilent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methods, systems, and kits for affinity purification
CN101374416A (zh) 2006-01-30 2009-02-25 环亚有限公司 逆转、防止、延迟或稳定软组织钙化的方法
KR20070107623A (ko) * 2006-05-03 2007-11-07 정규성 탁주의 주박 또는 상기 주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GB0624361D0 (en) * 2006-12-06 2007-01-17 Michelson Diagnostics Ltd Multiple beam source for a multi-beam interferometer and multi-beam interferometer
JP5098051B2 (ja) * 2007-04-05 2012-12-12 Sbiファーマ株式会社 ミトコンドリア障害脳疾患治療剤及び診断剤
JP5496881B2 (ja) 2008-05-14 2014-05-21 Sbiファーマ株式会社 男性不妊治療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286A1 (ja) 2004-09-02 2006-03-09 Cosmo Oil Co., Ltd. 健康機能向上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592B1 (ko) 2020-10-29 2021-06-17 김진왕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2092735A1 (ko) 2020-10-29 2022-05-05 김진왕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6866C (en) 2016-09-06
US9730904B2 (en) 2017-08-15
EP2340821B1 (en) 2017-01-25
WO2010050179A1 (ja) 2010-05-06
JP5665544B2 (ja) 2015-02-04
US20150290159A1 (en) 2015-10-15
US20110196033A1 (en) 2011-08-11
EP2340821A4 (en) 2012-10-03
KR20110058902A (ko) 2011-06-01
US9095165B2 (en) 2015-08-04
CA2935654A1 (en) 2010-05-06
CA2736866A1 (en) 2010-05-06
CN106692122A (zh) 2017-05-24
CA2935654C (en) 2019-01-08
EP3192506A2 (en) 2017-07-19
CN103800310A (zh) 2014-05-21
EP2340821A1 (en) 2011-07-06
CN102164596A (zh) 2011-08-24
JPWO2010050179A1 (ja) 2012-03-29
EP3192506A3 (en)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259B1 (ko) 5-아미노레불린산 혹은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인병의 예방·개선제
JP5611548B2 (ja) 5−アミノレブリン酸若しくはその誘導体、又はそれらの塩を有効成分とするがんの予防・改善剤
CA2600550C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odulating hydrogen ion physiology
US8021659B2 (en) Coenzyme Q10, lactoferrin and angiogenin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7224006B2 (ja) 腹膜線維症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chp(シクロ-ヒスプロ)の用途
EP2050444A1 (en) Fatigue-reducing agent
KR20170104575A (ko) 신부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카복실산 혼합물
US8916612B2 (en) Agmatine containing dietary supplements, nutraceuticals, and foods
ES2271242T3 (es) Tratamiento con cromo/biotina de la dislipemia.
JP6423275B2 (ja) 一酸化窒素濃度上昇剤
CN1535605A (zh) 饮食品
Bryan et al. Dietary nitrat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An update on clinical benefits and mechanisms of action
JP2004520341A (ja) 血圧低下効果を有する機能製品中のベタインの使用
KR102033846B1 (ko) 유데나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516030A (ja) Copd及びその他の疾患に罹患した患者の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Levin Chronic Fatigue Syndrome: The Yeast Concept
Scheer CoQio
CN115177614A (zh) 正丁基苯酞的应用
JP2018123085A (ja) 脂質燃焼促進剤
Blair Liposomal Glutathione: The Best Way to Ensure Absorption and Effectiveness
Braverman The Healing Nutrients Within (Volume 1 of 2)(EasyRead Comfort Edition)
Christ The Art of Getting Well The Surprising Psoriasis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