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284B1 -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284B1
KR101317284B1 KR1020120062794A KR20120062794A KR101317284B1 KR 101317284 B1 KR101317284 B1 KR 101317284B1 KR 1020120062794 A KR1020120062794 A KR 1020120062794A KR 20120062794 A KR20120062794 A KR 20120062794A KR 101317284 B1 KR101317284 B1 KR 10131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ulley
refrigerator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선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기 압축기 풀리에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엔진의 보조 풀리를 동시에 연결하여 듀얼 압축기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엔진 제1 풀리와 엔진 제2 풀리; 냉동기 압축기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와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 및 에어컨 압축기에 설치되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를 포함하며, 엔진 제1 풀리는 제1 구동 벨트에 의해 발전기에 설치되는 풀리와 연결되고, 엔진 제2 풀리는 제2 구동 벨트에 의해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와 연결되고,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는 제3 구동 벨트에 의해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듀얼 압축기의 배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냉동기 압축기 풀리와 에어컨 압축기 풀리를 일직선상에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도 듀얼 압축기를 장착하여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APPARATUS FOR JOINTING DUAL COMPRESSOR OF TRUCK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동기 압축기 풀리에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엔진의 보조 풀리를 동시에 연결하여 듀얼 압축기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탑차는 각종 냉동식품이나 저온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운반고를 형성하고 그 차량의 헤드측 또는 운반고의 상부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통해 그 운반고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냉각장치의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순서로 순환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되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압축기(2)를 장착하여 에어컨과 냉동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즉, 냉동탑차의 스위치를 켜면 압축기(2)의 클러치가 연결되고 냉동기 증발기(3) 전단의 액라인에 부착된 냉동기 전자변(4)이 작동되어 냉매가 순환하며 냉각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데, 차량의 엔진(1)에 벨트 구동 방식으로 연결된 압축기(2)가 엔진(1)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압축기(1)가 구동됨에 따라 고온저압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5)에 이르러 중온고압 상태가 되며, 응축기(5)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는 팽창밸브(6)를 통해 냉동기 증발기(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액체상태의 냉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주변 열을 흡수하므로 냉동기 증발기(3)의 주변에는 차가운 공기가 형성되고, 별도의 배기팬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운반고의 내부로 토출한다. 이와 같은, 냉각 사이클을 지속적으로 순환 반복하므로 운반고의 내부에는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냉동 및 냉장을 요하는 모든 식음료 및 저온 보관 물품 등을 최적의 온도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컨의 스위치도 함께 켜게 되는 경우에는, 에어컨 증발기(7) 전단의 액라인에 부착된 에이컨 전자변(8)이 작동하게 되며, 에이컨 증발기(7) 쪽으로도 냉매가 순환되어 에어컨 장치도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이때, 에어컨만 단일로도 동작이 가능하며 압축기(2)는 냉각장치와 에이컨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만 커져 있어도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동기 및 에어컨을 함께 운전하는 경우, 냉동기 증발기(3) 출구단과 에어컨 증발기(7)의 출구단이 압축기(2)의 입구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데, 냉동기 증발기(3)와 에어컨 증발기(7)는 서로 온도가 다르므로 압력에서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냉동기의 성능과 에어컨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두 장치 모두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 증발기(7) 온도가 일부 영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적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냉동기 압축기와 에어컨 압축기를 따로 장착(이하, '듀얼 압축기'라 한다)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듀얼 압축기를 차량에 장착하고자 할 때 차량 공간이 협소하여 냉동기 압축기와 에어컨 압축기를 따로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듀얼 압축기를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019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동기 압축기 풀리에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엔진의 보조 풀리를 동시에 연결하여 듀얼 압축기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는, 차량용 엔진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엔진 제1 풀리와 엔진 제2 풀리; 냉동기 압축기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와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 및 에어컨 압축기에 설치되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 제1 풀리는 제1 구동 벨트에 의해 발전기에 설치되는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엔진 제2 풀리는 제2 구동 벨트에 의해 상기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는 제3 구동 벨트에 의해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기 압축기에 다열의 홈이 형성되는 단일의 냉동기 압축기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기 압축기 풀리의 일측은 상기 제2 구동 벨트에 의해 상기 엔진 제2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냉동기 압축기 풀리의 타측은 상기 제3 구동 벨트에 의해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냉동기 압축기와 상기 에어컨 압축기가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차량 본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기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1 결합공이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을 구비하는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와; 상기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컨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2 결합공이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을 구비하는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는 상기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보다 낮은 높이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 구동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베어링과 상기 장력 조절 베어링을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조절 나사가 장착되는 장력 조절 베어링 장착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브라켓의 반대 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냉동기 압축기의 플랜지 및 에어컨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되어 상기 에어컨 압축기를 고정시키면서 제3 구동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장홈이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에 따르면, 듀얼 압축기의 배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냉동기 압축기 풀리와 에어컨 압축기 풀리를 일직선상에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도 듀얼 압축기를 장착하여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가 적용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후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가 적용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냉동탑차는, 차량용 엔진(100)에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냉동기 압축기(210), 냉동기 응축기(220), 냉동기 증발기(2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냉동탑차의 운반고를 냉각시키는 냉동기 장치(200)와, 냉동기 압축기(210)에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에어컨 압축기(310), 에어컨 응축기(320), 에어컨 증발기(3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냉동탑차의 운전실을 냉각시키는 에어컨 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동탑차는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가 따로 장착되며, 따로 장착된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는 벨트에 의해 차량용 엔진(100)에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엔진(100)의 축(미도시)에는 벨트가 체결되는 홈을 갖는 엔진 제1 풀리(110)와 엔진 제2 풀리(120)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냉동기 압축기(210)의 축(미도시)에는 홈을 갖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212)와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에어컨 압축기(310)의 축(미도시)에는 홈을 갖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차량용 엔진(100)의 축(미도시)에 설치되는 엔진 제1 풀리(110)와 발전기(미도시)에 설치되는 풀리(미도시)는 제1 구동 벨트(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엔진 제2 풀리(120)와 냉동기 압축기(210)에 설치되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212)는 제2 구동 벨트(1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와 에어컨 압축기(310)에 설치되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는 제3 구동 벨트(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엔진(100), 냉동기 압축기(210) 및 에어컨 압축기(310)는 제2 구동 벨트(140)와 제3 구동 벨트(15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차량용 엔진(100)이 동작하게 되면 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이때,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또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와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에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어 각각 제어기(미도시)에서 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공회전을 하고,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압축기(210, 310)를 구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냉동기 압축기(210)의 축(미도시)에 설치되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212) 및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열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일의 냉동기 압축기 풀리(213)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기 압축기 풀리(213)의 일측은 제2 구동 벨트(140)에 의해 엔진 제2 풀리(120)와 서로 연결되고, 냉동기 압축기 풀리(213)의 타측은 제3 구동 벨트(150)에 의해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와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냉동기 압축기 풀리(213)가 12개의 홈을 갖는 풀리로 형성되는 경우, 냉동기 압축기 풀리(21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홈에 엔진 제2 풀리(120)와 체결되는 제2 구동 벨트(140)를 체결하고, 냉동기 압축기 풀리(213)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홈에 에어컨 압축기 풀리(331)와 체결되는 제2 구동 벨트(140)를 체결하며, 가운데 나머지 4개의 홈은 비어있는 상태로 남겨 놓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후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라켓(400)은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가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 장력 조절 베어링 장착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400)을 차량 본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체결공(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냉동기 압축기(2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1 결합공(412)이 형성되면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1 결합편(4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 결합공(412)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동기 압축기(210)의 플랜지(214)와 결합하여 냉동기 압축기(210)를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에어컨 압축기(3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2 결합공(421)이 형성되면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2 결합편(42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 결합공(421)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압축기(310)의 플랜지(312)와 결합하여 에어컨 압축기(310)를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전술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와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가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보다 낮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에어컨 압축기(310)와 차량 프레임부에 설치된 차체 볼트(500)와의 간섭을 피하고 강도 개선을 위한 것으로,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와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를 평판 형태로 구현하게 되면, 차량에 설치된 차체 볼트(500)와 에어컨 압축기(310) 간에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 압축기(310)가 장착되는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를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보다 낮게 형성하면,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압축기(310)와 차체 볼트(50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장력 조절 베어링 장착부(430)는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측면에는 장공(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공(431)이 형성된 측면에는 장공(43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 구동 벨트(14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베어링(440)이 장착되고, 장력 조절 베어링(440)은 또 다른 측면에 형성된 홈(432)에 체결되는 조절 나사(445)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장력 조절 베어링(4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가동 부재(4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가동 부재(441)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에 조절 나사(445)가 체결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절 나사(445)는 가동 부재(441)와 체결되어 있어, 조절 나사(445)를 회전시키면, 가동 부재(441)는 조절 나사(4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가동 부재(441)와 결합된 장력 조절 베어링(440)이 장공(431)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제2 구동 벨트(140)의 장력을 조절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컨 압축기(310)는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제2 결합편(422)과 결합하여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에어컨 압축기(310)는 2개의 제2 결합편(422)에 의해 제2 결합편(42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공(421)을 중심축으로 하여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 압축기(310)가 동작 중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대(450)를 이용하여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에 장착되는 에어컨 압축기(310)를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에 장착되는 냉동기 압축기(210)에 의해 고정시킨다.
전술한 연결대(450)의 일측에는 브라켓(400)의 반대측에 형성된 냉동기 압축기(210)의 플랜지(214)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브라켓(400)의 반대측에 형성된 에어컨 압축기(310)의 플랜지(312)와 결합하는 장홈(4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400)의 반대 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냉동기 압축기(210)의 플랜지(214)와 에어컨 압축기(310)의 플랜지(312)를 연결대(45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과 장홈(451)에 각각 결합하여 에어컨 압축기(310)를 고정시킨다.
또한, 연결대(450)는 제3 구동 벨트(150)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즉, 제3 구동 벨트(150)의 장력이 떨어지면, 제3 구동 벨트(150)의 장력을 높이기 위해 연결대(450)의 장홈(451)과 브라켓(40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컨 압축기 플랜지(312)의 결합을 느슨하게 한 후, 에어컨 압축기(310)를 냉동기 압축기(210)와 멀어지도록 회전시켜 제3 구동 벨트(150)의 장력을 높인 후, 연결대(450)와 에어컨 압축기(310)의 플랜지(312)를 고정 결합시킨다. 여기서, 연결대(450)의 타측에는 장홈(451)이 형성되어 있어서 에어컨 압축기(310)의 회전에 따라 에어컨 압축기 플랜지(312)와의 결합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에어컨 압축기(310)와 연결대(45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차량용 엔진, 110. 엔진 제1 풀리,
120. 엔진 제2 풀리, 130. 제1 구동 벨트,
140. 제2 구동 벨트, 150. 제3 구동 벨트,
200. 냉동기 장치, 210. 냉동기 압축기,
211.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 212.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
213, 냉동기 압축기 풀리, 214, 312. 플랜지,
220. 냉동기 응축기, 230. 냉동기 증발기,
300. 에어컨 장치, 310. 에어컨 압축기,
311. 에어컨 압축기 풀리, 320. 에어컨 응축기,
330. 에어컨 증발기, 400. 브라켓,
410.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 411. 체결공,
412. 제1 결합공, 413. 제1 결합편,
420.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 421. 제2 결합공,
422. 제2 결합편, 430. 장력 조절 베어링 장착부,
431. 장공, 432. 홈,
440. 장력 조절 베어링, 441. 가동 부재,
445. 조절 나사, 450. 연결대,
451. 장홈, 500. 차체 볼트

Claims (6)

  1. 차량용 엔진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엔진 제1 풀리와 엔진 제2 풀리;
    냉동기 압축기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와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
    에어컨 압축기에 설치되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
    상기 엔진 제1 풀리와 발전기에 설치되는 풀리를 연결하는 제1 구동 벨트;
    상기 엔진 제2 풀리와 상기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를 연결하는 제2 구동 벨트;
    상기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와 상기 에어컨 압축기 풀리를 연결하는 제3 구동 벨트;
    일측에는 냉동기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컨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장홈이 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냉동기 압축기와 상기 에어컨 압축기가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차량 본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기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1 결합공이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을 구비하는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와;
    상기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 보다 낮은 높이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에어컨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2 결합공이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을 구비하는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 압축기에 다열의 홈이 형성되는 단일의 냉동기 압축기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기 압축기 풀리의 일측은 상기 제2 구동 벨트에 의해 상기 엔진 제2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냉동기 압축기 풀리의 타측은 상기 제3 구동 벨트에 의해 에어컨 압축기 풀리와 연결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 구동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베어링과 상기 장력 조절 베어링을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조절 나사가 장착되는 장력 조절 베어링 장착부가 형성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브라켓의 반대 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냉동기 압축기의 플랜지 및 에어컨 압축기의 플랜지와 결합되어 상기 에어컨 압축기를 고정시키면서 제3 구동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장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KR1020120062794A 2012-06-12 2012-06-12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KR10131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94A KR101317284B1 (ko) 2012-06-12 2012-06-12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94A KR101317284B1 (ko) 2012-06-12 2012-06-12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284B1 true KR101317284B1 (ko) 2013-10-14

Family

ID=4963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94A KR101317284B1 (ko) 2012-06-12 2012-06-12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28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151B1 (ko) * 2017-12-27 2018-04-27 김용호 냉동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장착구조
KR101861508B1 (ko) * 2018-02-27 2018-07-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KR102003040B1 (ko) * 2019-02-27 2019-07-24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KR102235337B1 (ko) * 2019-10-17 2021-04-02 (주)동인써모 차량의 듀얼 컴프레서 고정 및 장력 조절 텐셔너가 구비된 브라켓트
KR102300780B1 (ko) 2020-06-10 2021-09-10 조병재 냉동차량용 압축기
KR102313445B1 (ko) * 2020-07-15 2021-10-15 (주)동인써모 엘피아이 엔진이 탑재된 화물차량용 듀얼 컴프레서 체결 어셈블리
KR102342882B1 (ko) 2021-06-18 2021-12-24 에이텍엘써모 주식회사 차량 냉각장치용 압축기
KR20220011400A (ko) 2020-07-21 2022-01-28 조병재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102407256B1 (ko) 2021-06-18 2022-06-10 에이텍엘써모 주식회사 차량 냉각장치용 압축기의 압력조절밸브
KR20220085591A (ko) * 2020-12-15 2022-06-22 김용호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986Y1 (ko) * 2005-09-05 2005-11-23 조경윤 다수의 증발기를 구동하기 위해 냉동탑차용 엔진에장착되는 브라켓트
KR100684288B1 (ko) * 2005-08-16 2007-02-16 고홍달 트윈 컴프레서가 구비된 차량용 에어컨 및 냉각기구동시스템
KR101140208B1 (ko) * 2011-09-02 2012-05-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의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88B1 (ko) * 2005-08-16 2007-02-16 고홍달 트윈 컴프레서가 구비된 차량용 에어컨 및 냉각기구동시스템
KR200401986Y1 (ko) * 2005-09-05 2005-11-23 조경윤 다수의 증발기를 구동하기 위해 냉동탑차용 엔진에장착되는 브라켓트
KR101140208B1 (ko) * 2011-09-02 2012-05-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의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151B1 (ko) * 2017-12-27 2018-04-27 김용호 냉동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장착구조
KR101861508B1 (ko) * 2018-02-27 2018-07-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WO2019168246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KR102003040B1 (ko) * 2019-02-27 2019-07-24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KR102235337B1 (ko) * 2019-10-17 2021-04-02 (주)동인써모 차량의 듀얼 컴프레서 고정 및 장력 조절 텐셔너가 구비된 브라켓트
KR102300780B1 (ko) 2020-06-10 2021-09-10 조병재 냉동차량용 압축기
KR102313445B1 (ko) * 2020-07-15 2021-10-15 (주)동인써모 엘피아이 엔진이 탑재된 화물차량용 듀얼 컴프레서 체결 어셈블리
KR20220011400A (ko) 2020-07-21 2022-01-28 조병재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20220085591A (ko) * 2020-12-15 2022-06-22 김용호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2421974B1 (ko) * 2020-12-15 2022-07-15 김용호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2342882B1 (ko) 2021-06-18 2021-12-24 에이텍엘써모 주식회사 차량 냉각장치용 압축기
KR102407256B1 (ko) 2021-06-18 2022-06-10 에이텍엘써모 주식회사 차량 냉각장치용 압축기의 압력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284B1 (ko)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KR101472689B1 (ko) 하이브리드 서브타입 차량용 냉동기 시스템
JP5428551B2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US9791203B2 (en) Secondary fluid infrastructure within a refrigerator and method thereof
CN107923665B (zh) 具有节能器的多隔室运输制冷系统
KR101861508B1 (ko)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CN104956168A (zh) 遮蔽装置及包括该遮蔽装置的冰箱
KR200456849Y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102405515B1 (ko)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US730630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KR101015951B1 (ko) 이중 냉각장치가 설치된 냉동탑차
US20160058207A1 (en)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common air plenum
CN112660014B (zh) 一种温区可变的多温区节能冷藏车及温度控制方法
KR20140120646A (ko) 냉동 및 냉장화물 운송차량용 냉각장치
AU2004250035B2 (en) Cooling device
KR101595629B1 (ko) 냉장고용 팬 모터 및 팬 모터 조립체
KR20050087005A (ko) 이중 냉동싸이클에 의한 구분냉각이 가능한 냉동탑차용공조시스템
KR101236505B1 (ko) 냉동차량용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KR101038671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20050087004A (ko) 이중 냉동싸이클을 갖는 냉동탑차의 압축기 결합구조
JP2013057441A (ja) 冷蔵庫
JP2010076587A (ja) 輸送車両のキャビン空調装置
KR102439937B1 (ko) 냉동탑차용 샌드위치 축냉 패널 냉동기
KR200306361Y1 (ko) 냉동탑차용 냉동기
KR100959854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전용 컴프레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