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040B1 -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 Google Patents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040B1
KR102003040B1 KR1020190023278A KR20190023278A KR102003040B1 KR 102003040 B1 KR102003040 B1 KR 102003040B1 KR 1020190023278 A KR1020190023278 A KR 1020190023278A KR 20190023278 A KR20190023278 A KR 20190023278A KR 102003040 B1 KR102003040 B1 KR 10200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belt
fixing
block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연섭
Original Assignee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박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박종순 filed Critical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2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제1벨트를 매개로 엔진풀리와 연결되는 제1풀리가 마련된 제1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의 하부에 배치된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벨트를 매개로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는 제2풀리가 마련된 제2압축기; 및 상기 제1압축기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한 채 상기 제2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DUAL COMPRESSOR FOR REFRIGERATED VEHICLES}
본 발명은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1압축기와 캐빈용 압축기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고, 또한, 냉동 탑차의 하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압축기와 캐빈용 압축기 간의 결합력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탑차는 상온에서 변질의 우려가 있는 식품 등을 저온으로 저장한 채 운방함으로써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냉동고가 탑재된 차량이다.
이러한 냉동 탑차에는 운전실과 냉동고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마련되는바, 이 냉각 시스템은, 냉동고 컴프레서와 에어컨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동고 컴프레서와 에어컨 컴프레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02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벨트 및 풀리를 이용하여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냉동 탑착의 하부에 장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동고 컴프레서(100)의 일측은 크로스 멤버(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브라켓(20)의 상부측 일면과 연결되고, 에어컨 컴프레서(200)의 일측은 브라켓(20)의 하부측 일면과 연결된다.
또한, 냉동고 컴프레서(100)는 풀리(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풀리(110)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댐퍼 풀리(7)와 제2벨트(12)를 매개로 연결된다. 그리고, 에어컨 컴프레서(200)에도 풀리(2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풀리(210)는 제3벨트(30)를 매개로 냉동고 컴프레서(100)에 마련된 풀리(110)와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냉동고 컴프레서(100)와 에어컨 컴프레서(200)가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냉동고 컴프레서(100)와 에어컨 컴프레서(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동 탑차 하부의 협소한 공간에 장착되는 관계로 인하여 운전자 또는 냉동 탑차의 관리자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할 시에 그 작업과정을 어렵고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냉동 탑차가 운행되는 시간 만큼 벨트도 지속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벨트의 유효 장력이 점차 줄어들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냉동고 컴프레서(100) 또는 에어컨 컴프레서(2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벨트(12)와 제3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제2밸트(12)는, 댐퍼 풀리(7)와 냉동고 컴프레서(100)의 풀리(110)가 거의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냉동고 컴프레서(1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멤버(2)에 제2밸트(1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장력 조절수단을 장착하여 제2밸트(12)를 가압함으로써 장력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냉동고 컴프레서(100)의 풀리(110)와 에어컨 컴프레서(200)의 풀리(210)를 서로 연결하는 제3벨트(30)는, 냉동고 컴프레서(100)와 에어컨 컴프레서(200)의 배치관계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채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3벨트(30)를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별도의 수단을 냉동 탑차의 하부에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시 말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3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3벨트(30)를 가압하는 장력 조절수단을 장착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장력 조절수단이 장착될 여유 공간이 크로스 멤버(2)와 연결된 브라켓(20)의 일면 또는 냉동 탑차의 하부측 프레임면에 마련되지 않는 관계로 인하여 제3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설령, 제3벨트(30)용 장력 조절수단을 브라켓(20)의 일면에 장착한다고 하더라도, 운전자나 냉동 탑차용 관리자가 아이들러와 같은 가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작업에 필요한 각종 공구조차 사용할 수 있는 공간조차 형성되지 않는다.
현재에는, 제3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브라켓(20)의 하부측 일면에 장착된 에어컨 컴프레서(200)를 하부로 선회시켜 에어컨 컴프레서(200)에 마련된 풀리(210)의 회전중심을 하부로 낮추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즉, 브라켓(20)의 일면과 연결된 에어컨 컴프레서(200)의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에어컨 컴프레서(200)를 지면을 향해 선회시키면 냉동고 컴프레서(100)에 마련된 풀리(110)의 회전중심과 에어컨 컴프레서(200)에 마련된 풀리(210)의 회전중심 간의 간격이 늘어나 제3벨트(30)의 장력 또한 늘어날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식은, 운전자 또는 냉동 탑차의 관리자가 에어컨 컴프레서(200)와 브라켓(20)의 일면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수시로 풀거나 조으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바, 이 작업과정이 냉동 탑차 하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실시하기에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 컴프레서(200)가 고중량인 관계로 에어컨 컴프레서(200)를 손으로 잡아 지지해주는 별도의 작업자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제3벨트(30)의 장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 에어컨 컴프레서(200)를 지면이 배치된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각도 또한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찾아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방식은, 에어컨 컴프레서(200)가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해 선회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냉동 탑차의 하부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지면에서 돌출된 과속 방지턱이나 기타 장애물에 에어컨 컴프레서(200)가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불어, 에어컨 컴프레서(200)를 선회시키는 과정에서 브라켓(20)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된 냉동고 컴프레서(100)에 연결지점에도 하중이 작용되어 브라켓(20)과 컴프레서 간의 결합력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 탑차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1압축기와 제2압축기 간의 결합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2압축기를 유동시키지 않고도 제1압축기와 제2압축기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작업자가 간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제1벨트를 매개로 엔진풀리와 연결되는 제1풀리가 마련된 제1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의 하부에 배치된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벨트를 매개로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는 제2풀리가 마련된 제2압축기; 및 상기 제1압축기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한 채 상기 제2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축기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은, 체결볼트를 매개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제1압축기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제1압축기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채, 상기 제1압축기의 둘레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제1압축기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마련된 채 상기 제2벨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압축기에 하측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블록과 연결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서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간격 유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과 연결블록 및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서로 연통 가능하게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1압축기의 폭방향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연결블록 및 상기 돌출부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유지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블록의 저면 일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2압축기에 형성된 러그(lug)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2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된 채 상기 가압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스크류는 통과되고 머리부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타단측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장공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가이드 장공에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진 채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체; 및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벨트와 접촉되는 회전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는, 작업자가 제2압축기 또는 제1압축기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제2압축기와 제1압축기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고중량의 제2압축기 또는 제1압축기를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되어 장력 조절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작업 인력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는, 제2압축기를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해 이동시키지 않고도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제2압축기가 지면에 형성된 방지턱이나 지면에 놓여진 기타 장애물과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는, 장력 조절부가 제1압축기의 측부와 제2압축기의 측부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고정 브라켓에 마련된 돌출부재와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고정 브라켓과 제1압축기 및 제2압축기 간의 상호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는, 장력 조절부에 의하여 제1압축기가 제2압축기를 지지하는 상태가 되므로, 냉동 탑차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제2압축기가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는, 작업자가 하나 또는 두 개의 체결수단만 풀거나 잠그는 과정만으로 벨트를 가압하는 회전 베어링 및 상기 회전 베어링과 연결된 샤프트를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제한하여 벨트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장력 조절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압축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력 조절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벨트가 장력 조절부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압축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력 조절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벨트가 장력 조절부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100)는,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110);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제1벨트(9)를 매개로 엔진풀리(5)와 연결되는 제1풀리(P1)가 마련된 제1압축기(130); 상기 제1압축기(130)의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벨트(10)를 매개로 상기 제1풀리(p1)와 연결되는 제2풀리(P2)가 마련된 제2압축기(150); 및 상기 제1압축기(110)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150)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한 채 상기 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상기 제1압축기(130)와 상기 제2압축기(150)를 지지한 채 도시되지 않은 엔진룸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압축기(130)는, 냉동 탑차의 냉동고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냉동고용 압축기라 할 수 있고, 상기 제2압축기(130)는 냉동 탑차의 운전석 실내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에어컨용 압축기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에는 상기 제1압축기(130) 및 상기 제2압축기(150)가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타면은 엔진룸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엔진풀리(5)는, 엔진(미도시)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풀리(5)는 엔진의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풀리(5)는, 공지의 벨트(미도시)를 매개로 워터펌프와 연결된 풀리, 발전기와 연결된 풀리 및 스티어링(steering) 장치와 연결된 풀리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풀리(5)의 회전에 의해 워터펌프, 발전기 및 스티어링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상부와 일면 중부에는 한 쌍의 돌출부재(11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111)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채 후술할 상기 제1압축기(130)의 연결블록(13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111)에는 공지의 체결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압축기(13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압축기(130)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131)이 각각 마련되는바, 이 연결블록(1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돌출부재(1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131)에도 체결볼트가 삽입될 수 잇는 볼트공(1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트공(131a)은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돌출부재(111)에 형성된 볼트공(111a)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공(111a, 131a)은, 체결볼트가 상기 제1압축기(130)의 폭방향(Y)을 따라 배치된 채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111) 및 상기 연결블록(13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볼트는 상기 제1압축기(130)의 폭방향(Y)을 따라 상기 볼트공(111a, 131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에 상기 제1압축기(13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131)은 상기 제1압축기(130)의 길이방향(X)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제1압축기(130)의 폭방향(Y)을 따라 상기 제1압축기(130)의 상부 둘레면 및 하부 둘레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압축기(110)의 길이방향(X) 일단에는 상기 제1풀리(P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엔진풀리(5)가 회전되면 상기 제1풀리(P1)도 회전되어 상기 제1압축기(110)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150)도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압축기(150)는 상기 제1압축기(110)의 하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압축기(15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제2풀리(P2)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다. 따라서, 상기 제1압축기(110)에 마련된 상기 제1풀리(P1)가 회전되면 상기 제2풀리(P2)도 회전되어 상기 제2압축기(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압축기(150)는 일방적으로 상기 제1압축기(13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2풀리(P2)는, 상기 제1풀리(P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벨트(10)는, 수직방향(Z)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풀리(P1)와 상기 제2풀리(P2)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1풀리(P1)와 상기 제2풀리(P2)에 접촉되지 않는 부위가 사선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풀리(P1)와 상기 제2풀리(P2)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풀리(P1)와 상기 제2풀리(P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상기 제2벨트(10)의 부위는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압축기(130) 또는 상기 제2압축기(150)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가압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기에는 냉동 탑차 하부의 공간이 너무 협소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제1벨트(9), 엔진룸 및 기타 냉동 탑차의 하부에 마련되는 프레임 등에 간섭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장력 조절수단으로 가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기 제1압축기(130)의 타측부 또는 상기 제2압축기(150)의 타측부에서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압축기(130)의 타측부 또는 상기 제2압축기(150)의 타측부와 마주하는 냉동 탑차의 하부에는 장력 조절수단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실질적으로 마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력 조절부(200)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제1압축기(130) 또는 상기 제2압축기(15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장력 조절부(200)는, 상기 제1압축기(130)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150)의 타측 중앙부 사이에서 상기 제1압축기(130) 및 상기 제2압축기(150)가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더욱 견고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가압하여 제2벨트(10)의 장력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위와 같은 장력 조절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축기(130)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150)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수단(210); 및 상기 고정수단(210)에 마련된 채 상기 제2벨트(1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기 제1압축기(130)에 하측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블록(131)과 연결되는 고정블록(211); 및 상기 고정블록(210)에서 상기 제2압축기(150)의 타측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간격 유지블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211)의 길이방향(X) 양단에는 볼트공(211a)이 각각 형성되며, 이 볼트공(211a)은 상기 연결블록(131)에 형성된 볼트공(131a) 및 상기 돌출부재(111)에 형성된 볼트공(111a)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압축기(130)의 하측을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연결시키는 체결볼트는, 상기 제1압축기(130)의 폭방향(Y)을 따라서 배치된 채, 상기 고정블록(211)에 형성된 볼트공(211a)과 상기 연결블록(131)에 형성된 볼트공(131a) 및 상기 돌출부재(111)에 형성된 볼트공(11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110) 상에 상기 제1압축기(130)와 상기 고정블록(211)을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블록(212)은 상기 제1압축기(130)와 상기 제2압축기(150) 간의 이격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압축기(150)가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격 유지블록(212)은 상기 고정블록(211)과 일체로 연결되는바, 그 길이방향(Z) 일단은 상기 고정블록(211)의 저면 일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Z) 타단은 상기 제2압축기(150)에 형성된 러그(lug)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간격 유지블록(212)에 의하여 상기 제2압축기(150)는, 상기 제1압축기(130)와도 고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 탑차가 주행 중에 흔들리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제2압축기(150)는 상기 고정블록(211)과 상기 간격 유지블록(212)으로 구성된 고정수단(210)에 의해 상기 제1압축기(130)에 의해 지지된 채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견고히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냉동 탑차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냉동 탑차에서 발생되는 흔들림은,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부터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면과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압축기(150)가 충격이나 흔들림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되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210)이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제2압축기(15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유지블록(212)의 길이방향(Z)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211)의 저면 전체와 연결되지 않고 일부에만 연결되는 이유는 후술할 가압수단(23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만약, 상기 간격 유지블록(212)의 길이방향(Z)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211)의 저면 전체와 연결되면 장력 조절부(200)의 전체적인 크기 또는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 유지블록(212)은 상기 고정블록(211)의 저면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수단(23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230)은, 상기 고정블록(211)의 길이방향(X) 일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231); 상기 제1프레임(231)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232); 상기 가이드 장공(2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프레임(231)에 마련되며, 상기 제2벨트(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233); 상기 제1프레임(231)의 길이방향(Y) 단부에서 상기 고정블록(211)의 길이방향(X)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234); 및 상기 제2프레임(234)에 형성된 홈부(234a)에 삽입된 채 상기 가압부재(233)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공(232)은 상기 제1프레임(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술할 가압부재(233)의 샤프트(233a)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프레임(234)에 형성된 홈부(234a)는, 상기 고정볼트(235)의 스크류는 통과되고 머리부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233)는, 상기 고정블록(211)의 길이방향(X) 타단측에서 상기 고정블록(211)의 길이방향(X) 일단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장공(232)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장공(232)의 길이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샤프트(233a); 상기 가이드 장공(232)에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진 채로 상기 샤프트(233a)의 길이방향(X) 일단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볼트(235)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체(233b); 및 상기 샤프트(233a)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벨트(10)와 접촉되는 회전 베어링(23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33a)는, 상기 가이드 장공(232)에 삽입된 채 상기 제2벨트(10)가 배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233b)는 상기 고정블록(211)의 저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33a)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233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장공(232)에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체(233b)는 상기 고정볼트(235)의 스크류와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233a)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볼트(235)의 스크류가 상기 결합체(233b)의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35)의 머리부가 상기 제2프레임(234)를 가압하면 상기 결합체(233b)는 고정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233a)의 직선왕복운동 및 회전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235)는, 상기 회전 베어링(233c)이 상기 제2벨트(10)를 가압함에 따라 회전될 시에 상기 샤프트(233a)가 회전되어 상기 베어링(233c)이 샤프트(233a)의 길이방향(X) 타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샤프트(233a)가 수평자세를 유지한 채 상기 가이드 장공(232)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 베어링(233c)은 상기 샤프트(233a)의 길이방향(X) 타단과 체결되는 공지의 너트에 의해 상기 샤프트(233a)에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압부재(233)는,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이 줄어들었을 시에 상기 제2벨트(10)의 경사진 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을 늘릴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베어링(233c)이 상기 제2벨트(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33a)를 상기 제2벨트(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35)를 상기 결합체(233b)와 상기 제2프레임(234)에 체결시키면, 상기 회전 베어링(233c)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2벨트(10)를 가압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압수단(233)은, 운전자 또는 냉동 탑차의 관리자가 상기 고정볼트(235) 및 상기 샤프트(233a)의 길이방향(X) 타단과 체결되는 너트를 풀기만 하면 상기 샤프트(233a)가 상기 가이드 장공(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2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압축기(130)가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상측에 배치되고, 제2압축기(150)는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압축기(150)가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상측에 배치되고, 제1압축기(130)가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 : 엔진 풀리 9 : 제1벨트
10 : 제2벨트 100 :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110 : 고정 브라켓 111 : 돌출부재
130 : 제1압축기 131 : 연결블록
150 : 제2압축기 200 : 장력 조절부
210 : 고정수단 211 : 고정블록
212 : 간격 유지블록 230 : 가압수단
231 : 제1프레임 232 : 가이드 장공
233 : 가압부재 233a : 샤프트
233b : 결합체 233c : 회전 베어링
234 : 제2프레임 234a : 홈부
235 : 고정볼트 P1 : 제1풀리
P2 : 제2풀리

Claims (10)

  1.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제1벨트를 매개로 엔진풀리와 연결되는 제1풀리가 마련된 제1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의 하부에 배치된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일측부가 장착되며, 제2벨트를 매개로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되는 제2풀리가 마련된 제2압축기; 및
    상기 제1압축기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한 채 상기 제2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압축기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은, 체결볼트를 매개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제1압축기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제1압축기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채, 상기 제1압축기의 둘레면에 마련되고,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제1압축기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마련된 채 상기 제2벨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압축기에 하측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블록과 연결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서 상기 제2압축기의 타측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간격 유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과 연결블록 및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서로 연통 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1압축기의 폭방향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연결블록 및 상기 돌출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블록의 저면 일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2압축기에 형성된 러그(lug)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2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된 채 상기 가압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고정볼트의 스크류는 통과되고 머리부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타단측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방향 일단측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장공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가이드 장공에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진 채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체; 및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벨트와 접촉되는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KR1020190023278A 2019-02-27 2019-02-27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KR102003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278A KR102003040B1 (ko) 2019-02-27 2019-02-27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278A KR102003040B1 (ko) 2019-02-27 2019-02-27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40B1 true KR102003040B1 (ko) 2019-07-24

Family

ID=6748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278A KR102003040B1 (ko) 2019-02-27 2019-02-27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18B1 (ko) * 2019-10-16 2021-04-20 박종순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KR102300780B1 (ko) 2020-06-10 2021-09-10 조병재 냉동차량용 압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494A (ja) * 1994-09-20 1996-04-09 Tochigi Fuji Ind Co Ltd コンプレッサ駆動装置
KR101317284B1 (ko) * 2012-06-12 2013-10-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KR20150008694A (ko) * 2013-07-15 2015-01-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듀얼 압축기 장착구조
KR101861508B1 (ko) * 2018-02-27 2018-07-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494A (ja) * 1994-09-20 1996-04-09 Tochigi Fuji Ind Co Ltd コンプレッサ駆動装置
KR101317284B1 (ko) * 2012-06-12 2013-10-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KR20150008694A (ko) * 2013-07-15 2015-01-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듀얼 압축기 장착구조
KR101861508B1 (ko) * 2018-02-27 2018-07-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18B1 (ko) * 2019-10-16 2021-04-20 박종순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KR102300780B1 (ko) 2020-06-10 2021-09-10 조병재 냉동차량용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040B1 (ko)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US20080092373A1 (en) Jig for fastening bolt
CN101517268B (zh) 用于控制重型装备中履带张力的设备
US6416102B1 (en) Vehicle body mount with anti-rotation feature
US20070137379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7318608B2 (en) Running gear with integral engine supports
US8512183B2 (en) Belt drive system assembly and tension apparatus
KR101027836B1 (ko) 캠버 조절용 마운트
KR102235337B1 (ko) 차량의 듀얼 컴프레서 고정 및 장력 조절 텐셔너가 구비된 브라켓트
KR102454190B1 (ko) 냉동 탑차용 압축 시스템
KR20150021640A (ko)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KR102421974B1 (ko)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2319340B1 (ko)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US6312202B1 (en) Bed rail for trucks
CN216422076U (zh) 带轮组件及包含其的砂带机
KR102599559B1 (ko)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CN110735895A (zh) 一种集成可调皮带张紧装置
CN216241154U (zh) 一种冷藏车辅助制冷装置
CN112124448B (zh) 履带行走机构及具有其的履带车辆
CN215284282U (zh) 制冷机组
JP2008120260A (ja) 輸送用冷凍装置のモータパックユニット
JP2929914B2 (ja) 車両の補機駆動装置
US11845317B2 (en) Bracket for a power module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KR100218166B1 (ko) 차량의 냉방용 에어컨 압축기의 진동방지장치
MXPA01000132A (es) Tuerca excentrica de aju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