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340B1 -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 Google Patents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340B1
KR102319340B1 KR1020210107877A KR20210107877A KR102319340B1 KR 102319340 B1 KR102319340 B1 KR 102319340B1 KR 1020210107877 A KR1020210107877 A KR 1020210107877A KR 20210107877 A KR20210107877 A KR 20210107877A KR 102319340 B1 KR102319340 B1 KR 10231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ernator
fastening
jig frame
hole
refrigeration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21010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측방에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 장착하기 위한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알터네이터의 측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블록이 대응되는 외측면 상하단 일측에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연장형성된 하단부 일측에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3체결공이 형성된 후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된 기존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Jig frame for mounting togather alternator and refrigerated compressor}
본 발명은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기존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타 부품과의 간섭없이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고를 갖춘 냉동차량(일명 ‘탑차’라 함)은 냉동 또는 냉장 식품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단열처리된 차량의 적재부에 냉동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운반 또는 보관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냉동차량은 통상 적재부가 구비되는 화물차량을 개조하여 제작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적재부에 냉동고를 설치하고, 냉동고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해야 한다.
한편, 위와 같은 화물차량은 일반적으로 조수석과 대응되는 엔진의 일측방에 알터네이터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엔진의 일측방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냉동 컴프레셔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엔진 룸 내에 설치되는 알터네이터에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 장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251974호에는 “컴프레셔 및 알터네이터 장착용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10-0251974호는 기존 알터네이터를 고정하는 장착구조물을 대체하여 냉동 컴프레셔를 알터네이터와 동시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착 구조물을 제작해야 할 뿐 아니라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알터네이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을 해체하는 작업과 별도로 제작된 장착 구조물을 장착하는 작업이 수반됨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알터네이터를 고정하는 장착 구조물은 사용하지 않고 버려지므로 이에 따른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장착 구조물은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필요에 따라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519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기존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타 부품과의 간섭없이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지그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엔진 측방에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 장착하기 위한 지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알터네이터의 측방에 배치되고, 대응되는 외측면 상하단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블록이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연장형성된 하단부 일측에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3체결공이 형성된 후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체결공이 형성된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에 의해 일측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플레이트는 상기 제3체결공이 형성된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부와, 상기 제3경사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에 의해 일측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알터네이터의 상부 일측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간섭방지블록 및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과 상기 알터네이터의 하부 일측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간섭방지블록 및 상기 제3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알터네이터의 상부 타측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간섭방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수평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를 연걸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수평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1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과 대응되는 상면 후단부 일측에 전방으로 절개된 제2장공이 형성된 보조풀리 장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는 내측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하부까지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 일측에 제1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의 전방에 노출되는 축이 형성된 이동블록 및 상기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풀리 및 하단부가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제2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보조 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된 기존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이 설치위치에서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을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을 후방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풀리 장착부에 설치되는 보조 풀리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이 설치위치에서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을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을 후방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알터네이터(100)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기타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일측에 한 쌍의 상부체결편(101)이 돌출형성되며, 한 쌍의 상부체결편(101)의 대응되는 일측에 제1결합공(10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하부 일측에 한 쌍의 하부체결편(102)이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하부체결편(102)의 대응되는 일측에 제2결합공(10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알터네이터(100)는 엔진(E)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홀(H)이 형성된 차체체결블록(VB1)에 대향하는 상부체결편(101)이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되고, 엔진(E)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h)이 형성된 차체체결브라켓(VB2)에 하부체결편(102) 중 적어도 하나가 볼트(B)와 너트(N)의해 체결되어 차량 일측에 설치된다.
냉동 컴프레셔(200)는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외주면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체결브라켓(201)을 1조로 하는 2조가 외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쌍의 상부체결브라켓(201)의 대응되는 일측에 제3결합공(20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정 간격 이격된 외주면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체결브라켓(202)을 1조로 하는 2조가 외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쌍의 하부체결브라켓(202)의 대응되는 일측에 제4결합공(202a)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1)은 차량에 설치된 기존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타 부품과의 간섭없이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플레이트(10), 전면플레이트(20), 후면플레이트(30), 제1간섭방지블록(41), 제2간섭방지블록(42), 제3간섭방지블록(43), 제1수평보강리브(51), 제2수평보강리브(52), 보조풀리 장착부(60) 및 보조풀리수단(70)을 포함한다.
메인플레이트(10)는 알터네이터(100)의 측방에 배치되고, 대응되는 외측면 상하단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체결홀(11a)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블록(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블록(11)의 각각의 양단에는 냉동 컴프레셔(200)의 대향하는 한 쌍의 상부체결브라켓(201) 및 한 쌍의 하부체결브라켓(202)이 지지되고, 냉동 컴프레셔(200)는 상부체결브라켓(201)의 제3결합공(201a)과 체결블록(11)의 체결홀(11a)을 관통하는 볼트(B3)와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 및 하부체결브라켓(202)의 제4결합공(202a)과 체결블록(11)의 체결홀(11a)을 관통하는 볼트(B4)와 볼트(B4)에 체결되는 너트(N4)에 의해 체결블록(11)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냉동 컴프레셔(200)는 한 쌍의 상부체결브라켓(201) 및 한 쌍의 하부체결브라켓(202)이 체결블록(11)의 양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나의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됨에 따라 체결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알터네이터(100) 및 냉동 컴프레셔(200)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발생되는 환경에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면플레이트(20)는 메인플레이트(10)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1체결공(21)이 형성되며, 연장형성된 하단부 일측에 제2체결공(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체결공(21)은 전면플레이트(20)와 알터네이터(100)의 상부체결편(101)을 차체체결블록(VB1)에 체결하는 볼트(B1)의 체결영역을 제공하고, 제2체결공(22)은 전면플레이트(20)와 알터네이터(100)의 하부체결편(102)을 차체체결브라켓(VB2)에 체결하는 볼트(B2)의 체결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면플레이트(20)는 제1체결공(21)이 형성된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23)와, 제2체결공(22)이 형성된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24)에 의해 알터네이터(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내측영역이 절개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전면플레이트(20)가 알터네이터 풀리(AP) 및 알터네이터 풀리(AP)에 결합되는 구동벨트(MB)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플레이트(30)는 메인플레이트(10)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3체결공(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체결공(31)은 후면플레이트(30)와 알터네이터(100)의 상부체결편(101)을 차체체결블록(VB1)에 체결하는 볼트(B1)의 체결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후면플레이트(30)는 제3체결공(31)이 형성된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부(32)와, 제3경사부(32)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33)에 의해 알터네이터(100)의 후면과 대응되는 내측영역이 절개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후면플레이트(30)가 알터네이터(10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등의 제반구성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간섭방지블록(41)은 제1체결공(21)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10)의 상단부 일측과 알터네이터(100)의 상부체결편(101)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관통홀(41a)은 전면플레이트(20)와 제1간섭방지블록(41) 및 알터네이터(100)의 상부체결편(101)을 차체체결블록(VB1)에 체결하는 볼트(B1)의 체결영역을 제공한다.
제2간섭방지블록(42)은 제2체결공(22)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20)의 하단부 일측과 알터네이터(100)의 하부체결편(102)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4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관통홀(42a)은 전면플레이트(20)와 제2간섭방지블록(42) 및 알터네이터(100)의 하부체결편(102)을 차체체결브라켓(VB2)에 체결하는 볼트(B2)의 체결영역을 제공한다.
제3간섭방지블록(43)은 제3체결공(31)이 형성된 후면플레이트(30)의 상단부 일측과 알터네이터(100)의 상부체결편(101)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3관통홀(4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관통홀(43a)은 후면플레이트(30)와 제3간섭방지블록(43) 및 알터네이터(100)의 상부체결편(101)을 차체체결블록(VB1)에 체결하는 볼트(B1)의 체결영역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간섭방지블록(41, 42, 43)은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를 알터네이터의 전면 및 후면과 일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가 알터네이터 풀리, 구동풀리 및 알터네이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등의 제반구성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알터네이터(100) 및 냉동 컴프레셔(200)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발생되는 환경에서도 지그 프레임(1)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수평보강리브(51)는 삼각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일측면이 메인플레이트(10)의 내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면이 전면플레이트(20)의 후면 일측에 결합된다.
제2수평보강리브(52)는 삼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면이 메인플레이트(10)의 내면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면이 후면플레이트(30)의 전면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리브(51, 52)는 구동벨트(MB)의 장력에 의해 메인플레이트,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가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풀리 장착부(60)는 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전면플레이트(20)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1장공(61)이 형성되며, 제1장공(61)과 대응되는 상면 후단부 일측에 전방으로 절개된 제2장공(62)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풀리 장착부(60)는 차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하부까지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 절개형성된다.
이러한 보조풀리 장착부(60)는 구동벨트(MB)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풀리수단(70)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보조풀리수단(70)은 전면 일측에 제1장공(61)을 관통하여 보조풀리 장착부(60)의 전방에 노출되는 축(71a)이 형성된 이동블록(71)과, 축(7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풀리(72)와, 하단부가 이동블록(71)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제2장공(62)을 관통하여 보조풀리 장착부(60)의 상부로 노출되는 스크류부재(73)와, 스크류부재(73)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고 보조풀리 장착부(60)의 상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7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풀리수단(70)는 보조풀리(7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기존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알터네이터가 설치된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그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구동벨트의 장력 변화로 인해 냉동 컴프레셔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풀리 장착부에 설치되는 보조 풀리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조풀리수단(7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너트(74)를 통해 스크류부재(73)를 상하 이동시켜 이동블록(71)의 축(71a)에 결합된 보조풀리(7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풀리(MP)와 냉동 컴프레셔 풀리(CP)에 연결된 구동벨트(MB)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풀리수단을 통해 구동벨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구동력을 냉동 컴프레셔로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지그 프레임 10 : 메인플레이트
11 : 체결블록 11a : 체결홀
20 : 전면플레이트 21 : 제1체결공
22 : 제2체결공 23 : 제1경사부
24 : 제2경사부 30 : 후면플레이트
31 : 제3체결공 32 : 제3경사부
33 : 수직부 41 : 제1간섭방지블록
41a : 제1관통홀 42 : 제2간섭방지블록
42b : 제2관통홀 43 : 제3간섭방지블록
43b : 제3관통홀 51 : 제1수평보강리브
52 : 제2수평보강리브 60 : 보조풀리 장착부
61 : 제1장공 62 : 제2장공
70 : 보조풀리수단 71 : 이동블록
71a : 축 72 : 보조풀리
73 : 스크류부재 74 : 조절너트
100 : 알터네이터 101 : 상부체결편
101a : 제1결합공 102 : 하부체결편
102a : 제2결합공 200 : 냉동 컴프레셔
201 : 상부체결브라켓 201a : 제3결합공
202 : 하부체결브라켓 202a : 제4결합공
VB1 : 차체체결블록 VB2 : 차체체결브라켓
AP : 알터네이터 풀리 CP : 냉동 컴프레셔 풀리
MP : 구동풀리 MB : 구동벨트
B1, B2, B3, B4 : 볼트 N1, N2, N3, N4 : 너트

Claims (8)

  1. 차량의 엔진 측방에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를 동시 장착하기 위한 지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알터네이터의 측방에 배치되고, 대응되는 외측면 상하단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블록이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연장형성된 하단부 일측에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형성된 상단부 일측에 제3체결공이 형성된 후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체결공이 형성된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에 의해 일측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는 상기 제3체결공이 형성된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부와, 상기 제3경사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에 의해 일측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알터네이터의 상부 일측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간섭방지블록과;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과 상기 알터네이터의 하부 일측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간섭방지블록과;
    상기 제3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알터네이터의 상부 타측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간섭방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수평보강리브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를 연걸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수평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1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과 대응되는 상면 후단부 일측에 전방으로 절개된 제2장공이 형성된 보조풀리 장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는
    내측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하부까지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8. 제6항에 있어서,
    전면 일측에 제1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의 전방에 노출되는 축이 형성된 이동블록과;
    상기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풀리와;
    하단부가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제2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보조풀리 장착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보조 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KR1020210107877A 2021-08-17 2021-08-17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KR10231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77A KR102319340B1 (ko) 2021-08-17 2021-08-17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77A KR102319340B1 (ko) 2021-08-17 2021-08-17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340B1 true KR102319340B1 (ko) 2021-10-28

Family

ID=7823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877A KR102319340B1 (ko) 2021-08-17 2021-08-17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559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레프텍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974B1 (ko) 1996-12-04 2000-04-15 정몽규 컴프레서 및 알터네이터 장착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974B1 (ko) 1996-12-04 2000-04-15 정몽규 컴프레서 및 알터네이터 장착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559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레프텍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340B1 (ko)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US6296303B1 (en) Vehicle cockpit module
KR20050110385A (ko) 방진기능을 구비한 와인 냉장고
KR20120089738A (ko) 냉장 컴프레서에서의 서스펜션 스프링들의 설치 장치
US6669452B2 (en) Compressor with built-in motor mounted on engine of mobile structure
KR102421974B1 (ko)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1838151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장착구조
US8366222B2 (en) Container refrigeration unit
KR102599559B1 (ko)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JP3789280B2 (ja) 車両のコンプレッサ搭載構造
KR102235337B1 (ko) 차량의 듀얼 컴프레서 고정 및 장력 조절 텐셔너가 구비된 브라켓트
US11845317B2 (en) Bracket for a power module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KR101600941B1 (ko) 차량용 쿨링모듈
US20100018245A1 (en) Hermetically enclosed refrigerant compressor
KR20230169746A (ko) 이종 컴프레셔 동시 장착용 브라켓
KR100608672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CN112440675B (zh) 用于运输制冷单元的电力模块的支架
KR100959854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전용 컴프레서 어셈블리
KR102454190B1 (ko) 냉동 탑차용 압축 시스템
US20230311614A1 (en) Vehicle
JP6953913B2 (ja) 補機支持ブラケット
KR20170004729A (ko) 차량의 듀얼 알터네이터 장착용 구조물
JP2010054106A (ja) アンダーマウント式輸送用冷凍ユニット
KR100488553B1 (ko) 버스의 라디에이터 마운팅 구조
KR100320506B1 (ko) 에어컨 콤프레서용 벨트 장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