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018B1 -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018B1
KR102243018B1 KR1020190128693A KR20190128693A KR102243018B1 KR 102243018 B1 KR102243018 B1 KR 102243018B1 KR 1020190128693 A KR1020190128693 A KR 1020190128693A KR 20190128693 A KR20190128693 A KR 20190128693A KR 102243018 B1 KR102243018 B1 KR 10224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ompressor
belt
rotation cen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박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순 filed Critical 박종순
Priority to KR102019012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장착되는 제1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채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장착되는 제2압축기; 및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풀리와 상기 제1압축기에 마련되는 제1풀리 및 상기 제2압축기에 마련되는 제2풀리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COOLING SYSTEM FOR REFRIGERATED VEHICLES USING ONE BELT}
본 발명은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에 마련된 듀얼 압축기를 하나의 벨트만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시에, 듀얼 압축기에 각각 마련된 풀리와 벨트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듀얼 압축기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탑차는 상온에서 변질의 우려가 있는 식품 등을 저온으로 저장한 채 운반함으로써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냉동고가 탑재된 차량이다.
이러한 냉동 탑차에는 운전실과 냉동고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마련되는바, 이 냉각 시스템은, 한 쌍의 냉동고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냉동고 압축기와 에어컨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의 냉동 탑차에 적용되는 냉각 시스템은, 듀얼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듀얼 압축기는 냉동고를 냉각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냉동고와 차량 실내를 각각 냉각시키는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냉동고의 규모가 크거나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은 날씨에는 냉동고의 냉각 효율을 높일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듀얼 압축기 모두가 냉동고를 냉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어 판매되고 있는 냉동 탑차는, 트럭과 같은 기존의 운반용 차량을 개조한 것이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의 듀얼 압축기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냉동고 또는 차량 실내를 가장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는 관점에서 선택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압축기가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즉, 냉동고의 규모, 냉동/냉장 식품의 종류, 날씨 등에 대응되어 냉동 탑차에 적용되어야 할 일정 크기의 압축기가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인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압축기를 냉동 탑차에 적용시키게 하여 결과적으로 냉동고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동고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 효율을 유지함과 동시에 냉동 탑차의 협소한 하부 공간에 설치 가능한 듀얼 압축기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02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벨트 및 풀리를 이용하여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냉동 탑착의 하부에 장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동고 컴프레서(100)의 일측은 크로스 멤버(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브라켓(20)의 상부측 일면과 연결되고, 에어컨 컴프레서(200)의 일측은 브라켓(20)의 하부측 일면과 연결된다.
또한, 냉동고 컴프레서(100)는 풀리(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풀리(110)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댐퍼 풀리(7)와 제2벨트(12)를 매개로 연결된다. 그리고, 에어컨 컴프레서(200)에도 풀리(2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풀리(210)는 제3벨트(30)를 매개로 냉동고 컴프레서(100)에 마련된 풀리(11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냉동고 컴프레서(100)와 에어컨 컴프레서(200)가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듀얼 압축기도, 냉동고의 규모나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냉각 효율에 비례하여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여전히,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에 장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냉각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벨트를 이용하여 듀얼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등록특허 제10-1140208호의 명세서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에 마련되는 풀리에는 두 개의 벨트가 연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벨트와 연결되는 압축기의 풀리는 하나의 벨트와 연결되는 나머지 압축기의 풀리보다 큰 크기를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투 벨트(two-belt) 동력 전달방식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존의 듀얼 압축기는, 서로 다른 크기와 길이를 가지는 풀리를 각각 구비한 관계로, 전체적인 크기 및 길이가 비정형화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벨트와 연결되는 압축기가 나머지 하나의 압축기보다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더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듀얼 압축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그 설치작업도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 당업 분야에서도 듀얼 압축기의 효율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 듀얼 압축기가 냉동 탑차의 협소한 하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원 벨트(one-belt)를 이용하여 듀얼 압축기 모두를 구동시키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원 벨트를 이용하여 듀얼 압축기를 구동시킬 시에는, 하나의 벨트와 듀얼 압축기 각각에 마련된 풀리와의 접촉 면적이 투 벨트를 이용한 방식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듀얼 압축기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줄어들어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208호의 "냉동차량의 냉동고 및 에어컨 커프레서 어셈블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벨트를 이용하여 듀얼 압축기에 각각 마련된 풀리를 동시에 회전시킬 시에, 벨트와 풀리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벨트 또는 풀리가 상호간에 헛돌지 않도록 구성된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차지하는 듀얼 압축기의 설치 공간을 늘리지 않고도 벨트와 풀리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동 탑차의 협소한 하부 공간에 듀얼 압축기가 용이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듀얼 압축기가 전체적으로 정형화된 크기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채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압축기; 및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제1압축기에 마련되는 제1풀리 및 상기 제2압축기에 마련되는 제2풀리를 동시에 서로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는,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 사이에 배치된 접촉면 증가부재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 사이에 배치된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 부위를 상기 보조풀리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제1풀리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1)과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제2풀리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외면과 접촉되는 롤러이며,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풀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제1풀리의 전체 둘레면과 상기 제2풀리의 전체 둘레면 각각의 50%를 초과하여 상기 벨트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벨트의 외면과 접촉되는 롤러이며,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풀리의 반대측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의 반경이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 사이에 배치된 상기 벨트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제1풀리의 전체 둘레면과 상기 제2풀리의 전체 둘레면 각각의 40%를 초과하여 상기 벨트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압축기 및 상기 제2압축기가 일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기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가 마련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풀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로는, 다수개의 산과 골이 내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립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은, 하나의 벨트를 이용하여 듀얼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벨트와 연결되는 풀리가 간소화(크기, 개수)된 채 듀얼 압축기에 각각 마련되게하여 듀얼 압축기의 전체적인 무게 및 크기를 줄이고, 이에 따른 듀얼 압축기의 설치작업을 작업자가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은, 접촉면 증가부재에 의하여 벨트와 풀리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하나의 벨트를 이용하고도 보조풀리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듀얼 압축기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은, 듀얼 압축기에 각각 적용되는 풀리의 스펙을 동일하게 구성 가능하게 하므로, 듀얼 압축기가 브라켓의 일면 상에서 차지하는 전체적인 크기 또는 부피가 정형화됨에 따라서 작업자가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에서 듀얼 압축기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설계하고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은,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립벨트와 이에 대응하는 풀리를 이용하므로, 벨트와 풀리간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듀얼 압축기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100)은,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브라켓(110);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장착되는 제1압축기(120); 상기 제1압축기(120)의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브라켓(110)에 일측이 장착되는 제2압축기(130); 및 상기 브라켓(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풀리(50)와 상기 제1압축기(120)에 마련되는 제1풀리(121) 및 상기 제2압축기(130)에 마련되는 제2풀리(131)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제1압축기(120)와 상기 제2압축기(130)를 지지한 채 도시되지 않은 엔진룸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브라켓(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축기(120) 및 상기 제2압축기(130)가 일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111); 상기 고정프레임(111)에서 상기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마련되는 제1지지프레임(112);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에서 상기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풀리(50)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11)은,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가 장착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형성하며, 그 일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블록이 다수개로 마련되어 있다. 이 체결블록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하여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에 각각 마련된 연결블록과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할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고정프레임(111)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지지프레임(112)의 길이방향 일단은 고정프레임(11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연결되고 엔진룸 또는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12)이 고정프레임(111)의 전단부에 마련되는 이유는, 고정프레임(111)과 연결되는 엔진룸 또는 기타 차량부품에 간섭되지 않기 위함이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풀리(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지지프레임(112)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지지프레임(113)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1지지프레임(112)의 길이방향 타단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압축기(12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면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압축기(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이 각각 마련되는바, 이 연결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1)의 일면에 마련된 체결블록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블록과 체결블록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은, 체결부재가 상기 제1압축기(1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는 상기 제1압축기(120)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면에 상기 제1압축기(12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제1압축기(1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제1압축기(120)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압축기(120)의 상부 둘레면 및 하부 둘레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압축기(12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제1풀리(12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보조풀리(50)가 회전되면 상기 제1풀리(121)도 회전되어 상기 제1압축기(120)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130)도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면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압축기(130)는 상기 제1압축기(120)의 하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압축기(13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제2풀리(13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다. 따라서, 상기 제1압축기(120)에 마련된 상기 제1풀리(121)가 회전되면 상기 제2풀리(131)도 회전되어 상기 제2압축기(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가 냉동 탑차의 냉동고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냉동고용 압축기라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압축기(120)를 냉동고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제2압축기(130)를 냉동 탑차의 운전석 에어컨용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보조풀리(50)는, 엔진(미도시)에서 발생된 동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풀리(50)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에 마련되어 엔진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또 다른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엔진풀리(40)와 엔진벨트(b)를 매개로 연결되어 엔진 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풀리(50)는, 공지의 벨트(미도시)를 매개로 워터펌프와 연결된 풀리, 발전기와 연결된 풀리 및 스티어링(steering) 장치와 연결된 풀리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풀리(50)의 회전에 의해 워터펌프, 발전기 및 스티어링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한편, 상기 제1압축기(120)는, 상기 제1풀리(121)의 회전중심이 상기 보조풀리(50)의 회전중심보다는 높은 위치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2압축기(130)는, 상기 제2풀리(131)의 회전중심이 상기 보조풀리(50)의 회전중심보다는 낮은 위치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가 고정프레임(111)에 장착되면, 보조풀리(50)와 제1풀리(121)의 구간 및 제1풀리(131)와 보조풀리(50)의 구간에 배치되는 벨트(140)는 경사진 형태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벨트(140)를 경사진 형태로 순환시키는 이유는, 벨트(140)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에 장착된 기타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는, 고정프레임(111)의 일면상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압축기(12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단부와 제2압축기(13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단부가 고정프레임(111) 상에서 돌출되는 정도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가 고정프레임(111)의 일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한 정형화될 수 있도록 하여 냉동 탑차의 협소한 하부 공간에 한 쌍의 압축기(120, 1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고정프레임(111)의 일면에서 제1압축기(120) 또는 제2압축기(130) 중 어느 하나가 유난히 그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면 한 쌍의 압축기(120, 130)가 차지하는 공간이 비정형화되며, 이 비정형화된 공간을 냉동 탑차의 협소한 하부 공간에 마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100)은, 하나의 벨트(140)를 이용하여 보조풀리(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제1압축기(120)에 마련된 제1풀리(121)와 제2압축기(130)에 마련된 제2풀리(131)로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정프레임(111)에 장착되는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의 돌출 정도를 서로 동일하게 유지시켜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으로 간소화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에는 하나의 벨트(140)와 연결되는 하나의 풀리(121, 131)만 그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고정프레임(110)에서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가 서로 동일한 돌출길이를 가진 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가 고정프레임(111)의 일면 상에서 정형화된 부피만을 차지한 채 장착 가능하여 작업자는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고, 그 설치과정 또한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를 이용하여 제2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를 가동시킬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벨트와 연결되는 풀리를 제1압축기(120) 또는 제2압축기(1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제1압축기(120)나 제2압축기(130) 중 어느 하나는 유난히 큰 돌출길이와 부피를 가진 채로 고정프레임(111)에 장착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가 배치될 수 있는 비정형화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어렵고, 그에 따른 설치과정도 번거롭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벨트(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축기(120)에 마련된 상기 제1풀리(121)의 회전중심보다는 낮고 상기 제2압축기(130)에 마련된 상기 제2풀리(131)의 회전중심보다는 높은 위치상에 배치된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제1풀리(121)와 제2풀리(13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벨트(140)의 길이방향 부위를 상기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시키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풀리(50)와 상기 제1풀리(121)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1)과 상기 보조풀리(50)와 상기 제2풀리(131)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0)의 제1지지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벨트(140)의 외면과 접촉되는 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풀리(121)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131)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풀리(50) 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풀리(50)와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2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풀리(50)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제1풀리(121)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131)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등분하는 수평축선(X1)과 만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113)에 장착되고,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구현하는 롤러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제1풀리(121)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131)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등분하면서 상기 보조풀리(50)의 회전중심을 경유한 수평축선(X1)과 만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풀리(121)와 상기 제2풀리(131) 사이에 배치된 벨트(140)는, 상기 선(Y)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으로 편중되게 배치된 롤러에 가압을 받은 채 순환되기 때문에,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에 각각 감겨지는 정도가 증가되어 제1풀리(121) 또는 제2풀리(13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의 냉각 효율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1풀리(121)와 벨트(140)가 접촉되는 면적 및 제2풀리(131)와 벨트(140)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보조풀리(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제1풀리(120) 및 제2풀리(13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하나의 벨트(140)를 이용하여 보조풀리(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가 고정프레임(111) 상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작업자가 냉동 탑차의 하부 공간에 압축기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와 접촉되는 벨트(140)의 길이방향 면적이 적어도 두 개의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결과적으로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줄어들어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지지프레임(112)에 마련되어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보다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편중되게 배치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제1풀리(121)와 제2풀리(131) 사이에 배치된 벨트(140)의 길이방향 외면 부위를 상기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되게 하여 상기 제1풀리(121) 전체 둘레면 또는 상기 제2풀리(131)의 전체 둘레면 중에서 50%~80%의 비율을 차지하는 둘레면이 상기 벨트(140)와 접촉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벨트(140)는 접촉면 증가부재(200)에 의하여 제1풀리(121)의 원둘레 중심 또는 제2풀리(131)의 원둘레 중심에서 약 240도~270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호의 길이만큼 제1풀리(121)의 둘레면 또는 제2풀리(131)의 둘레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풀리(121)를 경유한 벨트(140)는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된 후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경유한 채 다시 제2풀리(131)를 경유하게 되는바, 이 과정에서 벨트(140)는 제1풀리(121)의 하부 둘레면과 제2풀리(131)의 상부 둘레면에 접촉된 상태로 순환된다.
즉, 벨트(140)는, 접촉면 증가부재(200)에 의하여, 제1풀리(121)의 상부 둘레면과 타측부 둘레면 및 하부 둘레면 순차적으로 경유한 뒤 다시 제2풀리(131)의 상부 둘레면과 타측부 둘레면 및 하부 둘레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기 때문에 결국 제1풀리(121) 전체 둘레면 또는 제2풀리(131)의 전체 둘레면 중에서 50%~80%의 비율을 가지는 둘레면과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벨트(140)는 제1풀리(121)의 상부 둘레면과 타측부 둘레면 그리고 제2풀리(131)의 타측부 둘레면와 하부 둘레면만 순차적으로 경유한 채 순환되기 때문에 벨트(140)가 제1풀리(121)의 전체 둘레면 또는 제2풀리(131)의 전체 둘레면 중에서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부은 30% 미만의 둘레면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풀리(121)의 타측부와 제2풀리(131)의 타측부는 고정프레임(111)의 일면과 마주하지 않는 부위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마련하지 않게 되면, 보조풀리(5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이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1압축기(120) 및 제2압축기(130)의 냉각효율이 떨어질 뿐더러, 벨트(140)가 제1풀리(121) 또는 제2풀리(131)에서 헛도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100)은,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마련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상기 벨트(140)가 상기 제1풀리(121)의 둘레면 및 상기 제2풀리(131)의 둘레면에 각각 면접촉되는 비율을 기존보다 약 1.5배~2배 정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보조풀리(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140)로는, 다수개의 산과 골이 내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립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립벨트는, PV벨트, PK벨트, V 립벨트(V-Ribbed belts)라고도 불리우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가지기 하나의 V형 리브만 내면에 형성된 공지의 V 벨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풀리와의 마찰력이 커 동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순환시에 슬립(slip) 현상이 적어 동력전달 효과가 더욱 크다.
따라서, 하나의 벨트(14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압축기(120, 130)에 각각 마련된 풀리(121, 131)를 동시에 회전시킬 시에는 V 벨트보다 립벨트가 사용되는 것이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풀리(50)와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로는 립벨트와 대응되는 형태, 즉, 산과 골이 다수개로 외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풀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풀리(121)와 제2풀리(13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벨트(140)의 길이방향 부위를 상기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시키며, 상기 보조풀리(50)와 상기 제1풀리(121)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1)과 상기 보조풀리(50)와 상기 제2풀리(131)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도, 상기 벨트(140)의 외면과 접촉되는 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풀리(121)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131)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풀리(50)의 반대측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의 반경 부위가 상기 제1풀리(121)와 상기 제2풀리(13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벨트(140)의 길이방향 부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300)로 구현된 롤러는, 상기 제1압축기(120)에 마련된 연결블록 또는 상기 제2압축기(131)에 마련된 연결블록과 연결되는 고정블록(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고정블록(310)은, 정확하게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압축기(120)의 하부 둘레면에 마련된 연결블록 또는 제2압축기(130)의 상부 둘레면에 마련된 연결블록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300)가, 상기 고정블록(310)에 의하여 제1압축기(120)의 하부 둘레면과 제2압축기(130)의 상부 둘레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140)는,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 사이에서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의 타측 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300)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접촉면 증가부재(300)는, 제1풀리(121)와 제2풀리(131) 사이에 배치된 벨트(140)의 길이방향 외면 부위를 보조풀리(5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1풀리(121)의 전체 둘레면 또는 제2풀리(131)의 전체 둘레면 중에서 40%~50%의 비율을 차지하는 둘레면이 벨트(140)와 접촉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벨트(14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에 의하여, 제1풀리(121)의 원둘레 중심 또는 제2풀리(131)의 원둘레 중심에서 약 150도~190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호의 길이만큼 제1풀리(121)의 둘레면 또는 제2풀리(131)의 둘레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러면, 벨트(140)는, 제1풀리(121)의 하부측 둘레면 일부와 제2풀리(131)의 상부측 둘레면 일부를 경유한 채 순환되기 때문에 보조풀리(5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제1풀리(121) 및 제2풀리(131)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에 의하여 형성된 벨트(140)와 풀리(121, 131) 간의 접촉면적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200)에 의하여 형성된 벨트(140)와 풀리(121, 131) 간의 접촉면적보다 작은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는, 제1압축기(120)와 제2압축기(130)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브라켓(110)을 구성하는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13) 중 어느 하나를 생략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13)이 형성하는 전체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브라켓(11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2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를 이용하여 벨트(140)와 풀리(121, 131)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113)을 생략하고 제1지지프레임(112)에 보조풀리(50)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브라켓(110)의 전체적인 길이 및 부피가 줄어든 관계로 인하여, 냉동 탑차의 하부에서 브라켓(110)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그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브라켓(110)을 설치하는 작업도 작업자가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브라켓(110)의 하중에 의한 냉동 탑차의 하부 무게가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되어 엔진 효율에 따른 냉동 탑차의 운행효율 및 냉동고의 냉동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고의 규모, 냉동/냉장 식품의 종류, 운행 거리, 날씨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200)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증가부재(300)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 보조 풀리 100 :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110 : 브라켓 111 : 고정프레임
112 : 제1지지프레임 113: 제2지지프레임
120 : 제1압축기 121 : 제1풀리
130 : 제2압축기 130 : 제2풀리
140 : 벨트 200 : 접촉면 증가부재

Claims (10)

  1. 냉동 탑차의 엔진룸과 연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채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압축기; 및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제1압축기에 마련되는 제1풀리 및 상기 제2압축기에 마련되는 제2풀리를 동시에 서로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 사이에 배치된 접촉면 증가부재를 경유하여 순환되고,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 사이에 배치된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 부위를 상기 보조풀리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시키고,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제1풀리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1)과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제2풀리가 서로 공유하는 접선(t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외면과 접촉되는 롤러이며,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풀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압축기 및 상기 제2압축기가 일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기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가 마련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엔진룸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풀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보조풀리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보조풀리와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풀리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등분하는 수평축선(X1)과 만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제1풀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선(Y)을 등분하면서 상기 보조풀리의 회전중심을 경유한 수평축선(X1)과 만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상기 제1풀리의 전체 둘레면과 상기 제2풀리의 전체 둘레면 각각의 50%를 초과하여 상기 벨트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로는, 다수개의 산과 골이 내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립벨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KR1020190128693A 2019-10-16 2019-10-16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KR10224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693A KR102243018B1 (ko) 2019-10-16 2019-10-16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693A KR102243018B1 (ko) 2019-10-16 2019-10-16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018B1 true KR102243018B1 (ko) 2021-04-20

Family

ID=7574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693A KR102243018B1 (ko) 2019-10-16 2019-10-16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0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589U (ko) * 1998-04-15 1999-11-15 고동환 버스 냉방장치용 콤프레셔 장치
JP2018071630A (ja) * 2016-10-27 2018-05-10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及び動力伝達機構
KR101861508B1 (ko) * 2018-02-27 2018-07-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KR102003040B1 (ko) * 2019-02-27 2019-07-24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589U (ko) * 1998-04-15 1999-11-15 고동환 버스 냉방장치용 콤프레셔 장치
JP2018071630A (ja) * 2016-10-27 2018-05-10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及び動力伝達機構
KR101861508B1 (ko) * 2018-02-27 2018-07-02 (주)동인써모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KR102003040B1 (ko) * 2019-02-27 2019-07-24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4720C (en) Zero cube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for straight trucks
KR101861508B1 (ko)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KR102243018B1 (ko) 원 벨트를 이용한 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US6626781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lubrication nozzle outputs at maximum power transmitting secondary radial belt position
KR101140208B1 (ko) 냉동차량의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US10118464B2 (en) Off-road utility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N202071676U (zh) 主动轮和具有这种主动轮的机动车辆
KR102405515B1 (ko)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JP2013108633A (ja) 保冷車
KR101236505B1 (ko) 냉동차량용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US9683486B2 (en) Belt drive arrangement
CN202746008U (zh) 一种双空调发动机轮系结构
US4597746A (en) Fan drive system for transverse engine
JP7274950B2 (ja) 冷凍システム
CN210660313U (zh) 发动机组件和车辆
KR101838151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장착구조
CN212796454U (zh) 空调压缩机传动装置、空调及起重机
KR100959854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전용 컴프레서 어셈블리
KR102454190B1 (ko) 냉동 탑차용 압축 시스템
CN205349522U (zh) 冷藏车的发动机带传动系统和冷藏车
CN220350926U (zh) 一种应用于波纹挡边输送带清理的清扫器
KR20120032240A (ko) 대형탑차의 냉각장치용 동력전달구조
CN214269116U (zh) 新型液压滚筒及包含该新型液压滚筒的带式输送机
JPS6237937Y2 (ko)
CN204605453U (zh) 一种冷凝器内置的冷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