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515B1 -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 Google Patents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515B1
KR102405515B1 KR1020200090257A KR20200090257A KR102405515B1 KR 102405515 B1 KR102405515 B1 KR 102405515B1 KR 1020200090257 A KR1020200090257 A KR 1020200090257A KR 20200090257 A KR20200090257 A KR 20200090257A KR 102405515 B1 KR102405515 B1 KR 10240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bracket
compartment
vehicle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400A (ko
Inventor
조병재
Original Assignee
조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재 filed Critical 조병재
Priority to KR102020009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5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에 관한 것으로,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 및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게 칸막이가 설치된 냉동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동차량의 엔진에 설치되는 운전석용 압축기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의 하부에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대응되는 2개의 압축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 압축기에 설치되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냉동실용 압축기 및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냉장실용 압축기;를 마련하여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를 운전석용 압축기로 이용하므로 압축기의 분리에 따른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미리 설치된 압축기의 분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필요한 압축기를 간편하게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기존 압축기의 분리 및 재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Refrigeration vehicle with triple air conditioner compressor}
본 발명은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차량의 운전석용 에어컨, 냉장실용 에어컨, 냉동실용 에어컨이 각각으로 구동되어 운전식 및 냉동차량의 냉동실과 냉장실을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탑차는 각종 냉동식품이나 저온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품이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운반고(냉동실 또는 냉장실)를 형성하고 그 차량의 헤드측 또는 운반고의 상부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통해 그 운반고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냉각장치의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순서로 순환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되며, 종래에는 하나의 압축기를 장착하여 에어컨과 냉동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즉, 냉동탑차의 스위치를 켜면 압축기의 클러치가 연결되고 냉동기 증발기 전단의 액라인에 부착된 냉동기 전자변이 작동되어 냉매가 순환하며 냉각장치가 동작하게 되는데, 차량의 엔진에 벨트 구동 방식으로 연결된 압축기가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압축기가 구동됨에 따라 고온·저압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에 이르러 중온·고압 상태가 되며, 응축기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냉동기 증발기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액체상태의 냉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주변 열을 흡수하므로 냉동기 증발기의 주변에는 차가운 공기가 형성되고, 별도의 배기팬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운반고의 내부로 토출한다.
이와 같은 냉각 사이클을 지속적으로 순환 반복하므로, 운반고의 내부에는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냉동 및 냉장을 요하는 모든 식음료 및 저온 보관 물품 등을 최적의 온도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컨의 스위치도 함께 켜게 되는 경우에는 에어컨 증발기 전단의 액라인에 부착된 에이컨 전자변이 작동하게 되며, 에이컨 증발기 쪽으로도 냉매가 순환되어 에어컨 장치도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이때 에어컨만 단일로도 동작이 가능하며 압축기는 냉각장치와 에이컨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만 커져 있어도 구동된다.
도 1은 종래의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엔진(100)의 축(미도시)에는 벨트가 체결되는 홈을 갖는 엔진 제1 풀리(110)와 엔진 제2 풀리(120)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냉동기 압축기(210)의 축(미도시)에는 홈을 갖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212)와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에어컨 압축기(310)의 축(미도시)에는 홈을 갖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차량용 엔진(100)의 축(미도시)에 설치되는 엔진 제1 풀리(110)와 발전기(미도시)에 설치되는 풀리(미도시)는 제1 구동벨트(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엔진 제2 풀리(120)와 냉동기 압축기(210)에 설치되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212)는 제2 구동벨트(1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와 에어컨 압축기(310)에 설치되는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는 제3 구동벨트(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엔진(100), 냉동기 압축기(210) 및 에어컨 압축기(310)는 제2 구동벨트(140)와 제3 구동벨트(15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차량용 엔진(100)이 동작하게 되면 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이때 냉동기 압축기 제2 풀리(211)(또는 냉동기 압축기 제1 풀리)와 에어컨 압축기 풀리(311)에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어 각각 제어기(미도시)에서 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공회전을 하고,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압축기(210, 310)를 구동시킨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브라켓(400)은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가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 장력 조절 베어링 장착부(4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는 브라켓(400)을 차량 본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4개)의 체결공(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냉동기 압축기(2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1 결합공(412)이 형성되면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복수(4개)의 제1 결합편(4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 결합공(412)은 냉동기 압축기(210)의 플랜지와 결합하여 냉동기 압축기(210)를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는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에어컨 압축기(3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2 결합공(421)이 형성되면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복수(2개)의 제2 결합편(422)을 구비한다.
전술한 제2 결합공(421)은 에어컨 압축기(310)의 플랜지와 결합하여 에어컨 압축기(310)를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전술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와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는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가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보다 낮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에어컨 압축기(310)와 차량 프레임부에 설치된 차체 볼트와의 간섭을 피하고 강도 개선을 위한 것으로,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와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를 평판 형태로 구현하게 되면, 차량에 설치된 차체 볼트와 에어컨 압축기(310) 간에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 압축기(310)가 장착되는 에어컨 압축기 장착부(420)를 냉동기 압축기 장착부(410)보다 낮게 형성하면, 에어컨 압축기(310)와 차체 볼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동차량에 설치되는 냉동기는 싱글 냉동기와 듀얼 냉동기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냉동차량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각각 구획되게 설치되는데, 그 중에서 냉동실 냉동기는 차량의 운전석 에어컨과 상관없이 압축기가 작동되어서 냉동실의 냉각을 유지하므로,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냉장실 냉동기는 기존 차량의 에어컨 압축기를 탈거한 후 냉장 및 에어컨 겸용 압축기를 재설치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냉동차량의 냉장실 냉각 및 운전석 에어컨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이로 인하여 운전석 에어컨과 관계없이 가동되는 냉동 및 냉장실 듀얼 냉동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듀얼 냉동기 개발에는 운전석 에어컨 압축기가 기존 차량 엔진에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냉동차량의 냉동실 압축기와 냉장실 압축기, 즉 듀얼 압축기(더블 압축기)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차량의 운전석 에어컨용 압축기, 냉동차량의 냉장실용 압축기, 냉동차량의 냉동실용 압축기 3개가 필요하다. 즉, 3개의 압축기(트리플 압축기)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대응되는 압축기를 설치하려면 듀얼 압축기를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이 필요한데,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기존에는 부득이 냉동실 압축기(210)와 냉장실 및 운전석 에어컨 겸용 압축기(310)를 설치할 수 있는 듀얼 압축기 브래킷(400)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듀얼 압축기 브래킷(400)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전석 에어컨 압축기(310)를 탈거한 후 그 자리에 듀얼 압축기 브래킷(400)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듀얼 압축기 브래킷(400)은 에어컨 압축기(310)를 탈거하게 되면, 가스 누출로 인하여 환경 피해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배관 등을 다시 연결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더불어 듀얼 압축기 브래킷(400)의 구조는 엔진(100)의 중심축과 메인 동력 풀리에 냉동실 압축기(210)를 제2 구동벨트(140)로 냉동기 압축기(210)를 연결하고, 에어컨 압축기(310)는 냉동기 압축기(210)와 제3 구동벨트(150)로 연결한다.
여기서 제2 구동벨트(140)가 냉동기 압축기(210)와 에어컨 압축기(310)를 한꺼번에 가동 시에 제2 구동벨트(140)에 높은 장력과 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엔진(100) 중심축의 동력 발생 중에 제2 구동벨트(140)가 장력 및 열 발생으로 인하여 벨트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제2 구동벨트(140) 파손으로 냉장실, 냉동실의 냉각 상태가 불능 상태로 되고, 운전석 에어컨까지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172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엔진에 부착된 운전석 에어컨용 압축기의 탈거 없이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대응되는 더블 압축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 중심축에 냉장실 압축기와 냉동실 압축기를 개별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동실 압축기와 냉장실 압축기를 하나의 브래킷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석 에어컨용 압축기와 냉동실 및 냉장실 압축기 3개를 각각 개별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 3개의 압축기를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개의 압축기와 중심축을 각각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압축기 벨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3개의 벨트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식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에어컨 압축기를 탈거할 필요없이 그동안 진행되었던 냉동기 및 차량 에어컨 겸용 압축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고압 및 저압 배관을 별도로 설치하였는데 배관을 재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미리 설치된 압축기를 탈거하지 않아 가스 누출 등의 환경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은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3) 및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4)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4)의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게 칸막이(5)가 설치된 냉동차량(1)에 있어서, 상기 냉동차량(1)의 엔진에 설치되는 운전석용 압축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의 하부에 상기 냉동실(3) 및 냉장실(4)에 각각 대응되는 2개의 압축기(31, 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에 설치되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냉동실용 압축기(31) 및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냉장실용 압축기(32);를 포함하며,
상기 냉동차량(1)의 엔진에서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돌출된 중심축과 벨트로 연결된 운전석용 압축기(30)를 탈거하지 않고서 상기 냉동실(3) 및 상기 냉장실(4)에 각각 대응되게 냉동실용 압축기(31)와 냉장실용 압축기(32)를 하나의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브래킷본체(11); 상기 압축기(31, 32)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도록 상기 브래킷본체(1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고정브래킷(12); 상기 압축기(31, 32)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도록 상기 브래킷본체(1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고정브래킷(14); 상기 브래킷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브래킷(16);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2)에 설치된 냉동실용 압축기(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장력조절풀리(19)가 설치되게 형성되는 상부장공(17);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4)에 설치된 냉장실용 압축기(32)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장력조절풀리(20)가 설치되게 형성되는 하부장공(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에 의하면,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를 운전석용 에어컨 압축기로 이용하므로 압축기의 분리에 따른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미리 설치된 압축기의 분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필요한 압축기를 간편하게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기존 압축기의 분리 및 재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에 의하면, 기존의 압축기의 탈거없이 냉동차량의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대응되는 압축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압축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동차량의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대응되는 압축기를 설치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의 냉각 성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추가되는 2개의 압축기를 냉동실과 냉장실에 각각 병렬로 연결 설치하여 그 중의 하나의 압축기 파손에도 불구하고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브래킷을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은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3) 및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4)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4)의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게 칸막이(5)가 설치된 냉동차량(1)에 있어서, 상기 냉동차량(1)의 엔진에 설치되는 운전석용 압축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의 하부에 상기 냉동실(3) 및 냉장실(4)에 각각 대응되는 2개의 압축기(31, 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 압축기(30)에 설치되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와,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냉동실용 압축기(31) 및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냉장실용 압축기(3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차량(1)을 도시한 것으로, 냉동차량(1)에는 냉동차량을(1)을 조종할 수 있는 운전석(2)이 마련되고, 냉동차량(1)에는 냉동 보관이 가능하도록 냉동실(3)이 구획 형성되며, 냉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냉장실(4)이 구획 형성된다.
이들 냉동실(3)과 냉장실(4)을 구획하는 칸막이(5)가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5)는 냉동실(3)과 냉장실(4)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운전석(2)의 하부에는 차량의 엔진(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엔진에는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30, 31, 32)로 전달하는 중심축풀리(4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브래킷본체(11)의 일면에 냉동실용 압축기(31)와 냉장실용 압축기(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브래킷(12)과 하부고정브래킷(14)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본체(11)의 일면에는 상부에 상부고정브래킷(12)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브래킷본체(11)의 하부에는 하부고정브래킷(1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들 상부고정브래킷(12) 및 하부고정브래킷(14)은 압축기(31, 32)의 브래킷(33)에 각각 대응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2)에는 및 하부고정브래킷(14)에는 각각 고정구멍(13, 1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2)은 브래킷본체(11)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2개의 압축기(31, 32)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2)은 브래킷본체(1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고정브래킷(12)에 설치되는 냉동실용 압축기(31)를 운전석용 압축기(30)와 보다 근접하게 설치되게 하고, 그 하부에는 냉장실용 압축기(32)를 높게 설치함으로써 냉장실용 압축기(32)를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부고정브래킷(12)을 높게 형성하여 냉장실용 압축기(32)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되게 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일이 없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본체(11)의 일측에는 구동벨트(44, 4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풀리(19, 20)가 설치될 수 있게 측면브래킷(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브래킷(16)의 상부에는 상부고정브래킷(12)에 대응되게 상부장공(1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공(17)의 하부에는 하부고정브래킷(14)에 대응되게 하부장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장공(17)에는 제1 장력조절풀리(19)가 설치되고, 하부장공(18)에는 제2 장력조절풀리(20)가 설치되며, 이들 장력조절풀리(19, 20)는 구동벨트(44, 4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본체(11)의 타측에는 운전석 에어컨용 압축기(30)에 설치될 수 있게 브래킷고정부(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고정부(21)는 브래킷본체(11)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브래킷(22)와, 상기 수평브래킷(22)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브래킷(23)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수직브래킷(23)에는 운전석용 압축기(30)에 고정되게 고정구멍(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2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5)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래킷(25)에는 다수의 고정홈부(26) 및 고정구멍(27)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브래킷(25)은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로 있고,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에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의 브래킷고정부(21)를 맞대어 설치된다.
즉,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는 운전석용 압축기(30)로 이용되고, 운전석용 압축기(30)에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는 냉동차량(1)의 냉동실(3)에 대응되는 냉동실용 압축기(31)를 상부고정브래킷(12)에 설치하며, 냉동차량(1)의 냉장실(4)에 대응되는 냉장실용 압축기(32)를 하부고정브래킷(32)에 설치한다.
이러한 냉동실용 압축기(31) 및 냉장실용 압축기(3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부고정브래킷(12)에 냉장실용 압축기(32)를 설치하고, 하부고정브래킷(14)에 냉동실용 압축기(31)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압축기(31, 32)에는 고정브래킷(12, 14)에 각각 대응되게 브래킷(33)이 형성되고, 압축기(31, 32)의 일측에는 중심풀리(40)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벨트홈부(34)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엔진(100, 도 1 참조)의 중심축(미도시)에는 중심축풀리(40)가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풀리(40)는 운전석용 압축기(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벨트홈부(41)가 형성된다.
또 상기 벨트홈부(41)의 일측에는 냉동실용 압축기(3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제1 풀리(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풀리(42)의 일측에는 냉장실용 압축기(3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제2 풀리(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벨트홈부(41)에는 일정 폭을 갖는 평벨트의 일종인 V리브드벨트(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V리브드벨트는 운전석용 압축기(30)에 연결된다.
아울러 제1 풀리(42)에는 제1 구동벨트(4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벨트(44)는 냉동실용 압축기(31)에 연결된다.
또 상기 제2 풀리(43)에는 제2 구동벨트(45)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벨트(45)는 냉장실용 압축기(3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벨트(44)에는 장력을 조절하는 아이들풀리(46)가 설치되며, 제2 구동벨트(44)에도 장력을 조절하는 아이들풀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심축풀리(40)의 일면에는 엔진(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미도시)의 열을 식히는 팬(미도시)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일면을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홈부(47)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부(47)는 중심축풀리(40)의 설치 시 고정되는 볼트(미도시)가 라디에이터 팬과 접촉 및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의 상부고정브래킷(12)에는 냉동차량(1)의 냉동실(3)에 대응되는 냉동실용 압축기(31)를 설치하고, 하부고정브래킷(14)에는 냉동차량(1)의 냉장실(4)에 대응되는 냉장실용 압축기(32)를 설치한다.
이러한 냉동실용 압축기(31)는 하부고정브래킷(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장실용 압축기(32)는 상부고정브래킷(12)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냉동실용 압축기(31)는 냉동실(3)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배관이 연결될 뿐만 아니라 냉장실(4)에도 배관이 병렬로 연결되며, 냉장실용 압축기(32)는 냉장실(4) 뿐만 아니라 냉동실(3)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배관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냉동실용 압축기(31) 또는 냉장실용 압축기(32)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냉동실(3) 및 냉장실(4)에 관계없이 칸막이(5)이 의해 구획된 냉동실(3) 및 냉장실(4)을 동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측면브래킷(16)의 상부장공(17)에는 냉동실용 압축기(31)에 연결되는 제1 구동벨트(44)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장력조절풀리(19)를 설치하며, 하부장공(18)에는 냉장실용 압축기(32)에 연결되는 제2 구동벨트(45)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장력조절풀리(2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벨트(44) 및 제2 구동벨트(45)에는 각각 구동벨트(44, 45)의 장력을 조절하는 아이들풀리(46)가 설치된다.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의 일면에는 차체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25)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브래킷(25)에는 고정홈부(26) 및 고정구멍(27)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홈부(26)와 고정구멍(27)에는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브래킷(25)은 압축기(31, 32)의 구동에 따른 진동 및 냉동차량(1)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도 압축기(31, 32)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냉동실용 압축기(31)와 냉장실용 압축기(32)가 설치된 상태에서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을 운전석용 압축기(30)의 일면에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은 냉동차량(1)의 제조 시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운전석용 압축기(30)를 별도로 탈거(분리)하지 않고서 추가로 2개의 압축기(31, 32)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된 냉동실용 압축기(31)와 냉장실용 압축기(32)는 도 3에서와 같이 운전석용 압축기(3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중심축풀리(40)는 엔진(100)의 중심축(미도시)에 설치되며, 이때 중심축풀리(40)의 일면에는 요입홈부(4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디에이터 팬과 접촉이나 간섭없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압축기(30)의 하부에 냉동실용 압축기(31)와 냉장실용 압축기(32)를 설치한 다음 중심축풀리(40)와 구동벨트(44, 45)로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풀리(40)의 벨트홈부(41)와 운전석용 압축기(30)는 평벨트의 일종인 V리브드벨트(미도시)가 연결된다.
또 상기 제1 풀리(42)와 냉동실용 압축기(31)는 제1 구동벨트(44)가 연결되고, 제2 풀리(43)와 냉장실용 압축기(32)는 제2 구동벨트(45)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중심축풀리(40)와 3개의 압축기(30, 31, 32)는 V리브드벨트, 제1 구동벨트(44), 제2 구동벨트(45)로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V리브드벨트, 벨트(44, 45)에 가해지는 장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개의 벨트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냉동차량(1)의 냉동실(3) 및 냉장실(4)을 냉각된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냉동차량 2: 운전석
3: 냉동실 4: 냉장실
5: 칸막이
10: 듀얼압축기용 브래킷 11: 브래킷본체
12: 상부고정브래킷 13: 고정구멍
14: 하부고정브래킷 15: 고정구멍
16: 측면브래킷 17: 상부장공
18: 하부장공 19: 제1 장력조절풀리
20: 제2 장력조절풀리 21: 브래킷고정부
22: 수평브래킷 23: 수직브래킷
24: 고정구멍 25: 고정브래킷
26: 고정홈부 27: 고정구멍
30: 운전석용 압축기 31: 냉동실용 압축기
32: 냉장실용 압축기 33: 브래킷
34: 벨트홈부
40: 중심축풀리 41: 벨트홈부
42: 제1 풀리 43: 제2 풀리
44: 제1 구동벨트 45: 제2 구동벨트
46: 아이들풀리 47: 요입홈부

Claims (2)

  1.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3) 및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4)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4)의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게 칸막이(5)가 설치된 냉동차량(1)에 있어서,
    상기 냉동차량(1)의 엔진에 설치되는 운전석용 압축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의 하부에 상기 냉동실(3) 및 냉장실(4)에 각각 대응되는 2개의 압축기(31, 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에 설치되는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냉동실용 압축기(31) 및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냉장실용 압축기(32);를 포함하며,
    상기 냉동차량(1)의 엔진에서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돌출된 중심축과 벨트로 연결된 운전석용 압축기(30)를 탈거하지 않고서 상기 냉동실(3) 및 상기 냉장실(4)에 각각 대응되게 냉동실용 압축기(31)와 냉장실용 압축기(32)를 하나의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중심축의 회전력을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31)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32)에 각각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는 중심축풀리(40)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풀리(40)에는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벨트홈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홈부(41)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3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제1 풀리(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풀리(42)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3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제2 풀리(43)가 형성되고, 상기 운전석용 압축기(30)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31) 및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32)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중심축풀리(40)에는 팬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일면을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홈부(47)가 형성되며,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홈부(26)와 고정구멍(27)이 형성된 'ㄱ'자 형상의 고정브래킷(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압축기용 브래킷(10)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브래킷본체(11);
    상기 압축기(31, 32)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도록 상기 브래킷본체(1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고정브래킷(12);
    상기 압축기(31, 32)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도록 상기 브래킷본체(1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고정브래킷(14);
    상기 브래킷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브래킷(16);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2)에 설치된 압축기(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장력조절풀리(19)가 설치되게 형성되는 상부장공(17);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4)에 설치된 압축기(32)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장력조절풀리(20)가 설치되게 형성되는 하부장공(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1020200090257A 2020-07-21 2020-07-21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10240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57A KR102405515B1 (ko) 2020-07-21 2020-07-21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57A KR102405515B1 (ko) 2020-07-21 2020-07-21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400A KR20220011400A (ko) 2022-01-28
KR102405515B1 true KR102405515B1 (ko) 2022-06-03

Family

ID=8005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57A KR102405515B1 (ko) 2020-07-21 2020-07-21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815B1 (ko) * 2023-04-12 2024-01-23 (주)동인써모 엘피디아이 엔진이 탑재된 화물차량용 듀얼 컴프레서 체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559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레프텍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742A (ja) * 2000-03-15 2001-09-26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コンプレッサ搭載構造
KR101161615B1 (ko) * 2011-11-24 2012-07-03 김봉석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04A (ko) * 2004-02-24 2005-08-31 이봉수 이중 냉동싸이클을 갖는 냉동탑차의 압축기 결합구조
KR101317284B1 (ko) 2012-06-12 2013-10-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742A (ja) * 2000-03-15 2001-09-26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コンプレッサ搭載構造
KR101161615B1 (ko) * 2011-11-24 2012-07-03 김봉석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815B1 (ko) * 2023-04-12 2024-01-23 (주)동인써모 엘피디아이 엔진이 탑재된 화물차량용 듀얼 컴프레서 체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400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689B1 (ko) 하이브리드 서브타입 차량용 냉동기 시스템
KR101317284B1 (ko)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JP5428551B2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KR102405515B1 (ko)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101861508B1 (ko)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JP2008202910A (ja) 輸送用冷凍装置
KR101015951B1 (ko) 이중 냉각장치가 설치된 냉동탑차
KR200456849Y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101140208B1 (ko) 냉동차량의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KR20140120646A (ko) 냉동 및 냉장화물 운송차량용 냉각장치
JP2013108633A (ja) 保冷車
KR101236505B1 (ko) 냉동차량용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KR101038671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101595629B1 (ko) 냉장고용 팬 모터 및 팬 모터 조립체
KR20050087005A (ko) 이중 냉동싸이클에 의한 구분냉각이 가능한 냉동탑차용공조시스템
KR101359932B1 (ko) 이젝터를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KR100959854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전용 컴프레서 어셈블리
KR20080000753U (ko) 냉각실을 갖는 쇼케이스
JP7274950B2 (ja) 冷凍システム
KR101838151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장착구조
KR102300780B1 (ko) 냉동차량용 압축기
KR20050087004A (ko) 이중 냉동싸이클을 갖는 냉동탑차의 압축기 결합구조
JP5404138B2 (ja) エンジン駆動式冷凍装置
JP4745567B2 (ja) 陸上輸送用冷凍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2439937B1 (ko) 냉동탑차용 샌드위치 축냉 패널 냉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