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615B1 -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 Google Patents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615B1
KR101161615B1 KR1020110123266A KR20110123266A KR101161615B1 KR 101161615 B1 KR101161615 B1 KR 101161615B1 KR 1020110123266 A KR1020110123266 A KR 1020110123266A KR 20110123266 A KR20110123266 A KR 20110123266A KR 101161615 B1 KR101161615 B1 KR 10116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ion
freezing
evaporator
compresso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11012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4Temperature balanc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에 관한 것으로, 냉동탑의 내부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되어 있고,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냉동용 및 냉장용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시키는 냉동용 및 냉장용 응축기와, 상기 냉동용 및 냉장용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급속 팽창시키는 냉동용 및 냉장용 팽창밸브와, 상기 냉동용 및 냉장용 팽창밸브로부터 급속 팽창되어 공급되는 안개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작용시켜주는 냉동용 및 냉장용 증발기를 구비하여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내부를 설정된 영하 및 영상의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 장설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에 장설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 각각에 액상냉매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2대의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 각각을 냉동탑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1대의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를 순환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상기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냉각팬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Refrigerator car for refrigerating and freezing}
본 발명은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탑차의 냉동탑 내부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한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냉동용 및 냉장용 증발기를 장설하되, 상기 냉동용 및 냉장용 증발기 각각에 대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형성하는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 2대를 1대의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는 수단으로 냉동탑차에 냉동 및 냉장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냉동탑차의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냉동탑의 냉동실 및 냉장실에 적재되어 있는 냉동 및 냉장용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에 관한 것이다.
식품위생법상 냉동식품이라고 표기된 식품의 경우에는 신선도 유지를 위해 생산이나 유통과정 및 운송과정 등에서 영하 18℃ 이하의 온도를 유지해야하며, 냉장식품의 경우에는 영상 0~10℃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냉동 및 냉장 식품을 운송할 때에는 반드시 냉동탑차 또는 냉장탑차를 이용하여 운송하고 있다.
과거에는 냉동식품을 운송할 때에는 냉동탑차를 이용하고, 냉장식품을 운송할 때에는 냉장탑차를 이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운송하고자 하는 식품이 냉동식품이나 냉장식품의 종류에 따라 냉동탑차와 냉장탑차 2대의 운용해야 하므로 식품운송 업체에게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요즈음에는 한 대의 냉동탑차를 이용하여 냉동식품 및 냉장식품을 함께 운송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는 냉동탑차가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847호로 제안된 냉동탑차의 경우는 냉동탑 내부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고, 구획된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에 증발기를 설치한 다음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에 설치된 2대의 증발기 각각의 냉매순환라인을 1대의 응축기에 연결시키되, 1대의 증발기의 냉매순환라인에는 3방변을 장설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는 상기한 3방변의 개폐작동으로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1대의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1대의 증발기로만 순환시키게 될 때에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설치된 1대의 증발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설정된 냉동 또는 냉장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하겠지만 1대의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2대의 증발기에 동시 공급하는 방법으로 냉동 및 냉장 작동을 하게 될 때에는 그 2대의 증발기 중 적어도 어느 1대의 증발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냉동실에 설치된 증발기가 냉동실의 온도를 영하 18℃ 이하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냉매순환용량과, 냉장실에 설치된 증발기가 냉장실의 온도를 영하 0~10℃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냉매순환용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한 3방변의 개폐작동으로는 냉동실에 설치된 증발기 및 냉장실에 설치된 증발기 각각에 액상냉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없기 때문에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41847호의 냉동탑차는 실용화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986920호로 제안된 발명특허는 앞에서 언급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41847호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이는 냉동탑차의 전면 상부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1대의 응축기를 설치하고, 냉통탑의 내부에 냉장실과 구분되도록 구획된 냉동실에 1대의 증발기를 내설하는 구조로서, 상기한 1대의 응축기와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1대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내부를 영하 18℃ 이하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냉동실 내부에 유지되고 있는 영화 18℃ 이하의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실 내부를 0~10℃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내부에 블로워팬을 설치하여 냉동실의 냉기를 냉장실로 송풍하는 구조로서, 냉장실의 온도를 0~10℃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명특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986920호의 발명특허는 냉동실의 온도를 영하 18℃ 이하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는 있겠으나 냉장실의 온도는 설정된 0~10℃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냉동실에 냉동식품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한 냉동실 내부를 영하 18℃ 이하의 온도를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야 하는데, 이때 냉동실의 냉기가 냉장실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경우에는 냉장실이 냉동실과 같은 영하의 온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냉장식품이 얼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형 할인마트에서는 식품위생법상 냉동식품 및 냉장식품으로서 요구되고 있는 냉동 및 냉장 온도조건을 위반하는 업체는 납품 거래를 중지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므로, 식품납품 업체에서는 식품위생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냉동 및 냉장 온도범위를 정확하게 준수하기 위하여 냉동탑차에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 형성하여 냉동식품과 냉장식품을 동시 운송하고자 할 때에는 냉동탑차에 냉동실의 냉동싸이클과 냉장실의 냉장싸이클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바, 이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냉동탑차(100)의 냉동탑(200) 전면 상부에 냉동용 응축기(300) 및 냉장용 응축기(400)가 각각 내재된 등 2대의 실외기 케이스를 장착하고, 상기 냉동탑(200)의 내부에 형성된 칸막이(210)에 의해 구획된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내부에는 냉동용 증발기(310) 및 냉장용 증발기(410)를 각각 내설하는 구조로 냉동탑차(10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냉동탑차(100)는 냉동탑(200)의 전면 상부 좌,우측 각각에 냉장용 응축기(300) 및 냉장용 응축기(400)가 따로따로 내설된 2대의 실외기 케이스를 장착하여야 하는 관계로 냉동탑의 설치비가 비싸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냉동탑차의 엔진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가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에 저장되어 있는 냉동식품 및 냉장식품을 설정된 온도로 냉동 및 냉장 보관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847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9869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동탑차에 장착되는 하나의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2대의 응축기를 내설하여 냉동탑의 내부에 구획 형성된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및 냉장용 증발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에 탑재되어 있는 냉동식품 및 냉장식품을 식품위생법상 설정된 저장온도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냉동탑차에 설치된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냉동싸이클 및 냉장싸이클을 가동시킬 수 있는 외부전기용 냉동 및 냉장 압축기를 장설하여 냉동탑차 엔진의 장시간 정지시에도 냉동탑에 설치된 냉동싸이클 및 냉장싸이클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냉동탑차가 장시간 동안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게 될 경우에도 냉동탑의 냉동실 및 냉장실에 탑재되어 있는 냉동식품 및 냉장식품을 식품위생법상 설정된 온도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동탑의 내부는 칸막이에 의해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엔진용 냉동압축기 및 엔진용 냉장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시키는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와, 상기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냉동용 팽창밸브 및 냉장용 팽창밸브와, 상기 냉동용 팽창밸브 및 냉장용 팽창밸브로부터 급속 팽창되어 공급되는 안개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작용시켜주는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를 구비하여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내부를 설정된 영하 및 영상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 장설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에 장설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 각각에 액상냉매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2대의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 각각을 냉동탑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1대의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를 순환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상기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냉각팬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는 외부전기용 냉동 압축기 및 외부전기용 냉장 압축기가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전기용 냉동 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은 엔진용 냉동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전기용 냉장 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은 엔진용 냉장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실 실내기 케이스 및 냉장실 실내기 케이스 각각의 내부에는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에서 공급되는 액상냉매를 급속히 팽창시켜서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동용 팽창밸브 및 냉장용 팽창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진용 냉동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상기 냉동용 증발기의 입구라인에는 냉동용 증발기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엔진용 냉동압축기의 출구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냉동용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제3 전자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제1 제상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용 냉장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상기 냉장용 증발기의 입구라인에는 냉장용 증발기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엔진용 냉장압축기의 출구라인으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냉장용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제4 전자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제2 제상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탑차에 탑재되어 있는 냉동탑의 전면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1대의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2대의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외기 케이스의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냉동탑차의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로 장시간 주차 또는 정차하게 될 때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외부전기용 냉동 및 냉장 응축기를 구동시켜서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를 가동시킬 수 있으므로써 냉동탑의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냉동식품과 냉장식품을 식품위생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영하 18℃ 이하의 냉동온도 및 영상 0~10℃의 냉장온도로 냉장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 각각에 서리가 많이 생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냉동용 압축기 및 냉장용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상기한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 각각으로 순환시켜서 서리를 제거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냉동탑의 냉동실 및 냉장실 내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들이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냉동탑차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동탑차의 엔진룸과 냉동탑의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에 장착되는 냉동장치 및 냉장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동탑차의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설치상태 확대도
도 5는 종래 기술
본 발명에 의한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냉동탑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냉동탑차(1)의 화물적재함에는 냉동탑(2)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냉동탑(2)의 내부는 칸막이(21)에 의해 구획되어 냉동실(2a)과 냉장실(2b)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2a) 및 냉장실(2b) 각각에는 냉동실도어(22) 및 냉장실도어(23)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탑차(1)의 엔진룸에는 엔진용 냉동압축기(3a)와 엔진용 냉장압축기(3b)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탑(2)의 냉동실(2a) 내부에는 냉동용 증발기(4a)가 내설되어 있는 냉동용 실내기 케이스(5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동탑(2)의 냉장실(2b) 내부에는 냉장용 증발기(4b)가 내설되어 있는 냉장용 실내기 케이스(5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용 실내기 케이스(5a)의 내부에는 냉동실(2a) 내부의 공기를 냉동용 증발기(4a)를 향해 송풍시켜서 상기 냉동용 증발기(4a)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상기 냉동실(2a)의 내부 온도가 영하 18℃ 이하의 온도로 냉각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동용 송풍팬(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용 실내기 케이스(5b)의 내부에는 냉장실(2b) 내부의 공기를 냉장용 증발기(4b)를 향해 송풍시켜서 상기 냉장용 증발기(4b)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상기 냉장실(2b)의 내부 온도가 영상 0~10℃의 온도로 냉각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장용 송풍팬(52)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냉동탑차(1)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용 냉동압축기(3a) 및 엔진용 냉장압축기(3b) 각각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되는 기체냉매를 개별적으로 응축시켜서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에 공급하기 위한 냉동용 응축기(6a) 및 냉장용 응축기(6b) 2대를 냉동탑(2)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1대의 실외기 케이스(6) 내부에 함께 설치한 것에 있으며, 또한 상기한 1대의 실외기 케이스(6)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에서 공급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냉동용 응축기(6a) 및 냉장용 응축기(6b) 각각에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 및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7b)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1대의 실외기 케이스(6) 내부에는 냉동용 응축기(6a)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와 냉동용 증발기(4a)에서 열교환작용으로 증발된 기체냉매를 수액기(81a) 및 액분리기(82b) 각각에 일시 저장하는 동안 액상냉매와 기체냉매의 열교환작용으로 액분리기(82a)에 저장되는 기체냉매 중에서 증발되지 아니한 안개상태의 액상냉매를 증발시켜서 엔진용 냉동압축기(3a) 내지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에 기체냉매만 공급되게 하는 냉동용 액열기(8a)와, 냉장용 응축기(6b)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와 냉장용 증발기(4b)에서 열교환작용으로 증발된 기체냉매를 수액기(81b) 및 액분리기(82b) 각각에 일시 저장하는 동안 액상냉매와 기체냉매의 열교환작용으로 액분리기(82b)에 저장되는 기체냉매 중 안개상태의 액상냉매가 증발되게 하여 엔진용 냉장압축기(3b) 또는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7b)에 기체냉매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용 액열기(8b)를 설치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냉동용 실내기 케이스(5a)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실내기 케이스(5b)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에서 생성되어 얼어붙어 있는 서리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엔진용 냉동압축기(3a) 또는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냉동용 증발기(4a)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제상라인(90a)과, 엔진용 냉장압축기(3b) 또는 외부전기용 냉장동압축기(7b)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냉장용 증발기(4b)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제상라인(90b)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동탑차(1)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있는 엔진용 냉동압축기(3a)의 출구라인(31)은 실외기 케이스(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응축기(6a)의 입구라인(6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용 응축기(6a)의 출구라인(62)은 냉동용 액열기(8a)의 수액기(81a)의 입구라인(83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액기(81a)의 출구라인(84b)은 냉동용 실내기 케이스(5a)에 장착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4a)의 입구라인(4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동용 증발기(4a)의 출구라인(42)은 냉동용 액열기(8a)의 액분리기(82a)의 입구라인(85a)에 연결되어 있으며,상기 액분리기(82a)의 출구라인(86a)은 엔진용 냉동압축기(3a)의 입구라인(3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용 액열기(8a)의 수액기(81a)의 출구라인(84a)이 연결되는 냉동용 증발기(4a)의 입구라인(41)상에는 제1 전자밸브(91)와 냉동용 팽창밸브(9a)가 장설되어 있는데, 상기한 제1 전자밸브(91)는 수액기(81a)의 출구라인(84a)측에 장설되어 있고, 상기한 냉동용 팽창밸브(9a)는 냉동용 실내기 케이스(5a)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4a)의 입구라인(41)측에 장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탑차(1)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있는 엔진용 냉장압축기(3b)의 출구라인(33)은 실외기 케이스(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용 응축기(6b)의 입구라인(6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용 응축기(6b)의 출구라인(64)은 냉장용 액열기(8b)의 수액기(81b)의 입구라인(83b)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액기(81b)의 출구라인(84b)은 냉장용 실내기 케이스(5b)에 장착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4b)의 입구라인(4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장용 증발기(4b)의 출구라인(44)은 냉장용 액열기(8b)의 액분리기(82b)의 입구라인(85b)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액분리기(82b)의 출구라인(86b)은 엔진용 냉장압축기(3b)의 입구라인(3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장용 액열기(8b)의 수액기(81b)의 출구라인(84b)과 이에 연결되는 냉장용 증발기(4b)의 입구라인(41)상에는 제2 전자밸브(92)와 냉장용 팽창밸브(9b)가 장설되어 있는데, 상기한 제2 전자밸브(92)는 수액기(81b)의 출구라인(84b)측에 장설되어 있고, 상기한 냉장용 팽창밸브(9b)는 냉장용 실내기 케이스(5b)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4b)의 입구라인(43)측에 장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 케이스(6) 내부에는 2대의 냉동용 응축기(6a) 및 냉장용 응축기(6b)에 바람을 송풍하기 위한 복수의 송풍팬(6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상라인(90a)의 일단은 상기 엔진용 냉동압축기(3a)의 출구라인(3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냉동용 실내기 케이스(5a)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팽창밸브(9a)에 연결되는 냉동용 증발기(4a)의 입구라인(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상라인(90a)에는 제3 전자밸브(93)가 장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상라인(90b)의 일단은 엔진용 냉장압축기(3b)의 출구라인(33)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냉장용 실내기 케이스(5b)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용 팽창밸브(9b)가 연결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4b)의 입구라인(4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제상라인(90b)에는 제4 전자밸브(94)가 장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 케이스(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 및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7b)는 냉동탑차(1)의 주차 내지 정차시 엔진시동이 정지되었을 경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한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의 출구라인(71)과 입구라인(72) 각각은 엔진용 냉동압축기(3a)의 출구라인(31)과 입구라입(32)에 각각 연결되고 있고, 상기한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7b)의 출구라인(73)과 입구라인(74) 각각은 엔진용 냉장압축기(3b)의 출구라인(33)과 입구라인(3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실 실내기 케이스(5a)과 냉장실 실내기 케이스(5b) 및 실외기 케이스(6)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송풍팬(51)(52)(65)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AC전류가 DC전류로 변환되어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에 공급되는 DC전류는 냉동탑차(1)에서 공급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냉동탑차(1)를 운행하는 동안에는 엔진동력으로 냉동압축기(3a) 및 냉장압축기(3b)를 구동시키는 한편, 배터리의 전원으로 복수의 송풍팬(51)(52)(65)을 작동시켜서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운용하게 된다.
상기 냉동탑차(1)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싸이클 및 냉장싸이클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동실(2a)의 내부 온도를 영하 18℃ 이하로 유지하기에 적합한 량의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냉장실(2b)의 내부 온도를 영상 0~10℃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엔진용 냉동압축기(3a)의 출구라인(31)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와 엔진용 냉장압축기(3b)의 출구라인(33)으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 각각은 실외기 케이스(6)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응축기(6a) 및 냉장용 응축기(6b) 각각에 개별적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실외기 케이스(6)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병렬로 설치된 냉동용 응축기(6a) 및 냉장용 응축기(6b)은 복수의 송풍팬(65)에서 송풍되는 바람과의 열교환작용으로 응축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냉동용 응축기(6a)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는 냉동실(2a)에 장착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4a)으로 공급되며, 상기 냉장용 응축기(6b)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는 냉장실(2b)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4b)에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2a) 및 냉장실(2b) 각각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은 개별적으로 냉동실(2a) 및 냉장실(2b)을 냉각시키게 되므로써 상기 냉동실(2a)은 식품위생법에 규정되어 있는 영하 18℃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냉장실(2b)은 식품위생법에 규정되어 잇는 영상 0~10℃의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동탑차(1)를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로 장시간 동안 정차 또는 주차하게 될 때에는 엔진의 동력으로 냉동압축기(3a) 및 냉장압축기(3b)를 구동시킬 수 없게 되는데, 이때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구동하는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 및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7b)를 구동시킴과 동시 복수의 송풍기(51)(52)(65)에 DC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운용할 수 있게 되므로써 냉동실(2a) 및 냉장실(2b)에 저장되어 있는 냉동식품 및 냉장식품을 식품위생법에서 규정한 영하 18℃ 이하 및 영상 0~10℃의 온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a)의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실(2b)의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에서 생성되는 서리가 얼어붙어 있게 되어 냉동 및 냉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서리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제1 제상라인(90a) 및 제2 제상라인(90b) 각각에 장설되어 있는 제3 및 제4 전자밸브(93)(94)를 개방시키게 되면 엔진용 냉동압축기(3a) 또는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7a) 및 엔진용 냉장압축기(3b) 또는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7b) 각각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의 입구라인(41)(43)을 통해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증발기(4b)로 공급되므로 그들 각각에 얼음 상태로 붙어있는 서리를 고온으로 탈락시켜서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써 냉동용 증발기(4a) 및 냉장용 증발기(4b) 각각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냉동실(2a) 및 냉장실(2b) 내부를 규정된 영하 18℃ 이하 및 영상 0~10℃의 온도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1 : 냉동탑차 2 : 냉동탑
2a : 냉동실 2b : 냉장실
21 : 칸막이 22 : 냉동실도어
23 : 냉장실도어 3a : 엔진용 냉동압축기
3b : 엔진용 냉장압축기 31,33 : 출구라인
32,34 : 입구라인 4a : 냉동용 증발기
4b : 냉장용 증발기 41,43 : 입구라인
42,44 : 출구라인 5a : 냉동실 실내기 케이스
5b : 냉장실 실내기 케이스 51,52 : 송풍팬
6 : 실외기 케이스 6a : 냉동용 응축기
6b : 냉장용 응축기 61,63 : 입구라인
62,64 : 출구라인 7a :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
7b :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 8a : 냉동용 액열기
8b : 냉장용 액열기 81a,81b : 수액기
82a,82b : 액분리기 83a,83b,85a,85b : 입구라인
84a,84b,86a,86b : 출구라인 9a : 냉동용 팽창밸브
9b : 냉장용 팽창밸브 90a,90b : 제1 및 제2 제상라인
91 내지 94 : 제1 내지 제4 전자밸브

Claims (5)

  1. 냉동탑의 내부는 칸막이에 의해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엔진용 냉동압축기 및 엔진용 냉장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시키는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와, 상기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냉동용 팽창밸브 및 냉장용 팽창밸브와, 상기 냉동용 팽창밸브 및 냉장용 팽창밸브로부터 급속 팽창되어 공급되는 안개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작용시켜주는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를 구비하여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내부를 설정된 영하 및 영상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에 장설되어 있는 냉동용 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에 장설되어 있는 냉장용 증발기 각각에 액상냉매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2대의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 각각을 냉동탑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1대의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병렬로 설치하며, 상기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를 순환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상기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송풍팬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는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 및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가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은 냉동용 응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은 엔진용 냉장 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입구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실 실내기 케이스 및 냉장실 실내기 케이스 각각의 내부에는 냉동용 응축기 및 냉장용 응축기에서 공급되는 액상냉매를 급속히 팽창시켜서 냉동용 증발기 및 냉장용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동용 팽창밸브 및 냉장용 팽창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용 냉동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상기 냉동용 증발기의 입구라인에는 냉동용 증발기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엔진용 냉동압축기의 출구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냉동용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제3 전자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제1 제상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용 냉장압축기의 출구라인과 상기 냉장용 증발기의 입구라인에는 냉장용 증발기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엔진용 냉장압축기의 출구라인으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냉장용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제4 전자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제2 제상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케이스 내부에는 냉동용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와 냉동용 증발기에서 열교환작용으로 증발된 기체냉매를 수액기 및 액분리기 각각에 일시 저장하는 동안 액상냉매와 기체냉매의 열교환작용으로 상기한 액분리기에 저장되는 기체냉매 중에서 증발되지 아니한 안개상태의 액상냉매를 증발시켜서 엔진용 냉동압축기 내지 외부전기용 냉동압축기에 기체냉매만 공급되게 하는 냉동용 액열기와, 냉장용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의 액상냉매와 냉장용 증발기에서 열교환작용으로 증발된 기체냉매를 수액기 및 액분리기 각각에 일시 저장하는 동안 액상냉매와 기체냉매의 열교환작용으로 상기한 액분리기에 저장되는 기체냉매 중 안개상태의 액상냉매가 증발되게 하여 엔진용 냉장압축기 또는 외부전기용 냉장압축기에 기체냉매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용 액열기가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KR1020110123266A 2011-11-24 2011-11-24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KR10116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66A KR101161615B1 (ko) 2011-11-24 2011-11-24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66A KR101161615B1 (ko) 2011-11-24 2011-11-24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615B1 true KR101161615B1 (ko) 2012-07-03

Family

ID=4671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66A KR101161615B1 (ko) 2011-11-24 2011-11-24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400A (ko) * 2020-07-21 2022-01-28 조병재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834A (ja) * 1999-02-15 2000-08-29 Zexel Corp 車両用冷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834A (ja) * 1999-02-15 2000-08-29 Zexel Corp 車両用冷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400A (ko) * 2020-07-21 2022-01-28 조병재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102405515B1 (ko) * 2020-07-21 2022-06-03 조병재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9340B2 (en) Multi-compartment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evaporator isolation valve
CN107923665B (zh) 具有节能器的多隔室运输制冷系统
US2013004264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55689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CN109059395B (zh)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KR100907338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CN106457973A (zh) 双回路运输制冷系统
KR20190142185A (ko) 차량 엔진과 분리 구성된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JP3847499B2 (ja) 二段圧縮冷凍冷蔵装置
KR101176536B1 (ko) 냉장 및 냉동실을 분리한 냉동차
KR101161615B1 (ko)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CN109780776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200458146Y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200341847Y1 (ko)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KR0182726B1 (ko) 독립냉각방식 냉장고의 제상장치
CN112524862A (zh) 冷冻柜及冷冻柜运行方法
JP4745567B2 (ja) 陸上輸送用冷凍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H11344278A (ja) 複数温度帯軽冷凍車
KR101385173B1 (ko) 냉동탑차의 냉각장치
CN217672352U (zh) 一种冷藏冷冻车及其车厢
CN215892864U (zh) 一种水产品冷藏车制冷机组及水产品冷藏车
JPH1191433A (ja) 冷凍バン型車
KR20120070840A (ko) 냉동차량용 냉각기의 교환기
KR20100083401A (ko) 냉동차량용 냉각기
KR20220104337A (ko) 냉장/냉동 탑차용 pcm모듈부와 냉동기가 분리 구성된 리모트 축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