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591A -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 Google Patents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591A
KR20220085591A KR1020200175776A KR20200175776A KR20220085591A KR 20220085591 A KR20220085591 A KR 20220085591A KR 1020200175776 A KR1020200175776 A KR 1020200175776A KR 20200175776 A KR20200175776 A KR 20200175776A KR 20220085591 A KR20220085591 A KR 20220085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gine
mounting
refrigeration compress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974B1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20017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9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ressor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측방에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엔진의 측면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측면에 결합되되, 전단부 상부 일측에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후단부 상부 일측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엔진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저감홀이 형성된 수평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되, 후면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엔진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전면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 외면 일측에 상기 냉동 컴프레셔가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차량 엔진 측방의 협소한 공간에 냉동 컴프레셔의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그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구동벨트의 장력 변화로 인해 냉동 컴프레셔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구동력을 냉동 컴프레셔로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Jig frame for mounting of refrigerated compressor}
본 발명은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엔진 측방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한 지그 프레임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아울러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고를 갖춘 냉동차량(일명 '탑차' 라 함)은 냉동 또는 냉장 식품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단열처리된 차량의 적재부에 냉동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운반 또는 보관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냉동차량은 통상 적재부가 구비되는 화물차량을 개조하여 제작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적재부에 냉동고를 설치하고, 냉동고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해야 한다.
한편, 위와 같은 화물차량은 일반적으로 엔진의 일측방에 기존 에어컨 컴프레셔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 컴프레셔가 설치되는 엔진의 일측방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할 수 없으며, 에어컨 컴프레셔가 설치되는 엔진의 타측방에 냉동 컴프레셔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화물차량의 엔진 타측방은 통상 공간이 협소하여 냉동 컴프레셔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등록실용 제20-025507호는 일면에 엔진에 대응되는 엔진 접촉면과 이면에 압축기의 외면 일부가 안착되는 압축기 안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압축기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냉동 컴프레셔를 엔진의 타측방에 설치하고 있다.
위와 같은 한국등록실용 제20-025507호의 압축기 고정용 브라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타측방의 협소한 공간에 냉동 컴프레셔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압축기 고정용 브라켓은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와 냉동 컴프레셔 풀리에 연결되는 구동풀리의 장력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되어 쉽게 변형됨에 따라 구동풀리의 장력이 냉동 컴프레셔 풀리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압축기 고정용 브라켓은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필요에 따라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255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엔진 측방의 협소한 공간에 냉동 컴프레셔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엔진의 크랭크 풀리와 냉동 컴프레셔 풀리에 연결되는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엔진 측방에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측면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측면에 결합되되, 전단 상부 일측에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후단 상부 일측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엔진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저감홀이 형성된 수평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후면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엔진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면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 외면 일측에 상기 냉동 컴프레셔가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엔진의 전면 일측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후면 일측에는 제 1 간섭 방지돌기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단부 타측에 상기 엔진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간섭 방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전단부 외면 일측에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냉동 컴프레셔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와 나란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면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 및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장공이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공과 대응되는 후단부 일측에 전방으로 절개된 제 2 장공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풀리 장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면 일측에 제 1 장공을 관통하여 전면 플레이트의 전방에 노출되는 축이 형성된 이동블록 및 상기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풀리 및 상단부가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 2 장공을 관통하여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로 노출되는 스크류 부재 및 상기 스크류 부재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보조 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상의 부재로서 하단부가 상기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엔진의 전방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엔진의 전면 타측에 결합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바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엔진의 전면 타측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후면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제 2 간섭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바는 상단부 일측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하 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차량 엔진 측방의 협소한 공간에 냉동 컴프레셔의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그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구동벨트의 장력 변화로 인해 냉동 컴프레셔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구동력을 냉동 컴프레셔로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풀리 장착부에 설치되는 보조 풀리수단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풀리 장착부에 설치되는 보조 풀리수단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지그 프레임(1)은 차량의 운전석 하부에 위치한 엔진의 측면쪽에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 수평 보강 플레이트(20),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40), 장착 플레이트(50),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60), 보조 풀리 장착부(70), 보조 풀리수단(80) 및 보강바(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엔진(100)의 전면에는 엔진(100)의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101)가 형성되고, 냉동 컴프레셔(200)의 전면에는 냉동 컴프레셔(20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컴프레셔 풀리(201)가 형성된다.
그리고, 냉동 컴프레셔(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외면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냉동 컴프레셔(200)를 장착 플레이트(5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B)가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관체(202)가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엔진(100)의 우 측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엔진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단 상부 일측에 하방으로 절개된 제 1 절개부(11)가 형성되고, 후단 상부 일측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12)가 형성되며, 후단 상부 타측에 제 1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체결볼트(B)가 엔진(100)의 우측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제 1 절개부의(11)의 하부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개된 제 2 절개부(14)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절개부(11) 및 제 2 절개부(14)는 차량 엔진(100)의 측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엔진(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량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경사부(12)는 차량 엔진(100)과 결합되는 차량 내 타부품과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 보강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엔진(100)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중량 저감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 보강 플레이트(20)는 보조 풀리 장착부(70)에 장착되는 보조 풀리장치(90)에 구동벨트(BT)의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구동벨트(BT)의 장력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가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후면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수평 보강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단부 일측이 엔진(100)의 전면 상단 우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는 중량 저감 및 차량 내 타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절개된 '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에 엔진(100)의 전면 상단 우측에 결합되는 체결볼트(B)가 체결되는 2개의 제 1 체결홀(31)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체결홀(31)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의 후면 일측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간섭 방지돌기(32)가 형성되고, 상단부 중 제 1 체결홀(31)의 하부에는 엔진(100)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간섭 방지홈(33)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간섭 방지돌기(32) 및 간섭 방지홈(33)은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가 엔진(100)의 외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수평 보강 플레이트(20)가 구동벨트(BT)의 장력에 의해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면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수평 보강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40)는 중량 저감 및 차량 내 타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대략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수평 보강 플레이트(20)가 구동벨트(BT)의 장력에 의해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 및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40)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평 보강 플레이트(20)을 연결하는 보강리브(45)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리브(45)는 구동벨트(BT)의 장력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수평 보강 플레이트(20)가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장착 플레이트(50)는 수평 보강 플레이트(20)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나란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 외면 일측에 냉동 컴프레셔(2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플레이트(50)는 중량 저감 및 차량 내 타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단부 일측이 전방으로 절개된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냉동 컴프레셔(200)의 체결관체(202)와 대응되는 외면 일측에 장착 플레이트(5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측에 냉동 컴프레셔(200)의 체결관체(202)에 결합되는 체결볼트(B)가 체결되는 체결홈(51a)이 형성된 4개의 체결돌부(5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돌부(51)는 냉동 컴프레셔(200)와 장착 플레이트(50)의 외면 간을 이격시켜 냉동 컴프레셔(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장착 플레이트(5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착 플레이트(50)가 냉동 컴프레셔(200)의 진동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60)는 장착 플레이트(50)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30)와 나란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 일측에 한 쌍의 제 2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체결수단(미도시)이 제 2 체결공(61)을 통해 보강바(80)의 하단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60)는 중량 저감 및 차량 내 타 부품과의 간섭 방지를 위해 상부 일측이 하방으로 절개된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벨트(BT)의 장력에 의해 수평 보강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풀리 장착부(70)는 일면이 장착 플레이트(50)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71)와, 부착 플레이트(71)의 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장공(72a)이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72)와, 전면 플레이트(72)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 1 장공(72a)과 대응되는 후단부 일측에 전방으로 절개된 제 2 장공(73a)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7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풀리 장착부(70)는 구동벨트(BT)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 풀리 수단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보조 풀리수단(80)은 전면 일측에 제 1 장공(72a)을 관통하여 전면 플레이트(72)의 전방에 노출되는 축(81a)이 형성된 이동블록(81), 축(8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풀리(82), 상단부가 이동블록(81)의 하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제 2 장공(73a)을 관통하여 하부 플레이트(73)의 하부로 노출되는 스크류 부재(83)와, 스크류 부재(8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73)의 저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8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풀리수단(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너트(84)를 통해 스크류 부재(83)를 상하 이동시켜 이동블록(81)의 축(81a)에 결합된 보조 풀리(82)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풀리와 컴프레셔 풀리에 연결된 구동벨트(BT)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보강바(90)는 판상의 부재로서 하단부 일측에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60)의 제 2 체결공(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3 체결공(91)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에 엔진(100)의 전면 상단 좌측과의 결합을 위한 제 4 체결홀(9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바(90)는 제 2 체결홀(92)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후면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간섭 방지돌기(93)가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하 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간섭 방지돌기(93) 및 상하 단부의 단차 구조는 엔진(100)의 외면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강바(90)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1)이 엔진(100)의 측면 방향에 보다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1)은 각 구성의 차량 엔진(100) 및 차량 내 타 부품과의 간섭 방지구조를 통해 차량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차량 엔진(100) 측면 방향의 협소한 공간에 냉동 컴프레셔(200)의 추가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200)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수평 보강 플레이트 및 수직 보강 플레이트의 보강 구조를 통해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그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구동벨트의 장력 변화로 인해 냉동 컴프레셔(200)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차량 엔진 측방의 협소한 공간에 냉동 컴프레셔의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차량의 내부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냉동 컴프레셔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구동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그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구동벨트의 장력 변화로 인해 냉동 컴프레셔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풀리수단을 통해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구동력을 냉동 컴프레셔로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제 1 절개부 12 : 경사부
13 : 제 1 체결공 14 : 제 2 절개부
20 : 수평 보강 플레이트 21 : 중량 저감홀
30 :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 31 : 제 1 체결홀
32 : 제 1 간섭 방지돌기 40 :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
45 : 보강리브 50 : 장착 플레이트
51 : 체결돌부 51a : 체결홈
60 :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 61 : 제 2 체결공
70 : 보조 풀리 장착부 71 : 부착 플레이트
72 : 전면 플레이트 72a : 제 1 장공
73 : 하부 플레이트 73a : 제 2 장공
80 : 보조 풀리수단 81 : 이동블록
81a : 축 82 : 보조 풀리
83 : 스크류부재 84 : 조절너트
90 : 보강바 91 : 제 3 체결공
92 : 제 2 체결홀 93 : 제 2 간섭 방지돌기
100 : 엔진 101 : 구동풀리
200 : 냉동 컴프레셔 201 : 컴프레셔 풀리
202 : 체결관체 BT : 구동벨트

Claims (9)

  1. 차량의 엔진 측방에 냉동 컴프레셔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측면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측면에 결합되되, 전단 상부 일측에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후단 상부 일측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엔진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저감홀이 형성된 수평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후면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엔진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면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 외면 일측에 상기 냉동 컴프레셔가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엔진의 전면 일측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후면 일측에는 제 1 간섭 방지돌기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단부 타측에 상기 엔진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간섭 방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전단부 외면 일측에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냉동 컴프레셔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와 나란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장공이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공과 대응되는 후단부 일측에 전방으로 절개된 제 2 장공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풀리 장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전면 일측에 제 1 장공을 관통하여 전면 플레이트의 전방에 노출되는 축이 형성된 이동블록과;
    상기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풀리와;
    상단부가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 2 장공을 관통하여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로 노출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지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보조 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7. 제 1 항에 있어서,
    판상의 부재로서 하단부가 상기 제 3 수직 보강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엔진의 전방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엔진의 전면 타측에 결합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바는
    상단부 일측에 상기 엔진의 전면 타측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후면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제 2 간섭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는 상단부 일측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하 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수직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보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20200175776A 2020-12-15 2020-12-15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242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76A KR102421974B1 (ko) 2020-12-15 2020-12-15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76A KR102421974B1 (ko) 2020-12-15 2020-12-15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91A true KR20220085591A (ko) 2022-06-22
KR102421974B1 KR102421974B1 (ko) 2022-07-15

Family

ID=8221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76A KR102421974B1 (ko) 2020-12-15 2020-12-15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559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레프텍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14Y1 (ko) * 2005-06-30 2005-09-23 조경윤 냉동탑차용 엔진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트의 개량구조
KR101317284B1 (ko) * 2012-06-12 2013-10-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CN204296440U (zh) * 2014-11-07 2015-04-2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多功能前悬置支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14Y1 (ko) * 2005-06-30 2005-09-23 조경윤 냉동탑차용 엔진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트의 개량구조
KR101317284B1 (ko) * 2012-06-12 2013-10-14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CN204296440U (zh) * 2014-11-07 2015-04-2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多功能前悬置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559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레프텍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974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320B2 (en) One piece running board bracket
US6595311B2 (en) Snowmobile engine mount
US6386309B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US20080073479A1 (en) Engine bracket
KR102421974B1 (ko)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EP1762437A2 (en) Automotive front body structure
US6155633A (en) Bumper-mounting structure for frame-mounted-body vehicle
KR102319340B1 (ko) 알터네이터와 냉동 컴프레셔의 동시 장착이 가능한 지그 프레임
KR101968359B1 (ko) 농업용 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 조립체
JP2017036032A (ja) 作業車
US20020043421A1 (en) Structure for mouting engine on front side member of vehicle
JP3789280B2 (ja) 車両のコンプレッサ搭載構造
KR102003040B1 (ko) 냉동 탑차용 듀얼 압축기
JPH09309344A (ja) 自動車のエンジンマウント取付構造
KR102599559B1 (ko) 냉동 컴프레셔 장착용 지그 프레임
KR102235337B1 (ko) 차량의 듀얼 컴프레서 고정 및 장력 조절 텐셔너가 구비된 브라켓트
KR101838151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장착구조
US7458594B2 (en) Lower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CN108928227B (zh) 动力传动系的安装装置
KR102454190B1 (ko) 냉동 탑차용 압축 시스템
KR101600941B1 (ko) 차량용 쿨링모듈
KR20230169746A (ko) 이종 컴프레셔 동시 장착용 브라켓
US20230311614A1 (en) Vehicle
JPH085312Y2 (ja) 作業車の原動部構造
KR100397932B1 (ko) 승용자동차의 쿨 박스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