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026B1 - 박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박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026B1
KR101312026B1 KR1020120095867A KR20120095867A KR101312026B1 KR 101312026 B1 KR101312026 B1 KR 101312026B1 KR 1020120095867 A KR1020120095867 A KR 1020120095867A KR 20120095867 A KR20120095867 A KR 20120095867A KR 101312026 B1 KR101312026 B1 KR 10131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hin plate
disposed
frame
conve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유달현
조진형
박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Priority to KR102012009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두께의 박판을 수평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박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이송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송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각 이송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의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롤러모듈과,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을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롤러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의 일측면과 구름접촉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중심축선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의 타측면과 구름접촉하며 상기 박판을 상기 제1롤러측으로 가압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박판 이송장치{Thin plate conve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얇은 두께의 박판을 수평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박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제품용 인쇄회로기판이나 반도체용 리드프레임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는, 상기 기판의 모재가 되는 박판을 수평의 이송경로를 따라 일방향으로 전진이송시키면서, 그 박판의 표면을 세척하거나 약품 처리하거나 건조시키는 등의 표면처리공정, 표면처리된 박판을 절단하여 상기 기판을 완성하는 공정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박판을 수평 이송시키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박판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박판을 이송하는 방식의 장치가 채용된다. 이러한 박판 이송장치의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판 이송장치는, 박판(P)을 일방향(A; 이하, "제1방향"이라 칭함)을 따라 수평으로 전진이송시키기 위하여, 박판(P)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측롤러(10)들과, 박판(P)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상측롤러(10)와 쌍을 이루는 하측롤러(3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측롤러(10)들 및 하측롤러(30)들은, 제1방향(A)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수평의 제2방향(B)의 양측(즉,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렬씩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박판 이송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측롤러(10)들이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측롤러(30)들이 화살표(R2)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박판(P)이 상·하측롤러(10, 30) 사이로 진입하면, 그 박판(P)은 롤러들(10, 30)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1방향(A)을 따라 이송된다. 박판(P)의 이송시에, 좌측열의 상측롤러(10)들은 박판(P)의 좌측 가장자리 상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우측열의 상측롤러(10)들은 박판(P)의 우측 가장자리 상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좌측열의 하측롤러(30)들은 박판(P)의 좌측 가장자리 하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우측열의 하측롤러(30)들은 박판(P)의 우측 가장자리 하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박판 이송장치는 상측롤러(10)들과 하측롤러(30)들이, 박판(P)의 상기 제2방향(B)에 있어서의 중앙부(표면처리가 행해질 부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양측 가장자리부에만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박판(P)의 중앙부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한 표면처리시에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고 박판(P)의 중앙부에 대한 원하는 표면처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박판(P)의 중앙부에 표면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박판(P)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만 접촉하는 롤러들(10, 30)을 구비하는 박판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박판(P)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박판(P)의 중앙부의 자중 등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P)의 중앙부가 처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박판(P) 중앙부의 처짐이 지속되게 되면, 그 박판(P)의 중앙부에 대한 표면처리작업이 확실하게 행해지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박판의 이송경로가 길어서 상기 중앙부의 처짐량이 계속 증가하게 되면, 박판(P)의 가장자리부가 롤러들(10, 30)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버려서 박판(P)의 이송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박판의 중앙부 상면과 접촉하는 롤러들 및 박판의 중앙부 하면과 접촉하는 롤러들을 설치하여 그 롤러들에 의해 박판의 중앙부를 지지함으로써 박판의 처짐(박판 중앙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는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박판의 중앙부에 대한 표면처리시에 그 중앙부 측의 롤러들로 인하여 상기 표면처리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박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된 롤러들만 구비하면서도 이송되는 박판의 중앙부가 지속적으로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박판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이송장치는, 수평의 제1방향을 따라 박판을 이송시키는 박판 이송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송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각 이송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의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롤러모듈과,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을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롤러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의 일측면과 구름접촉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중심축선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의 타측면과 구름접촉하며 상기 박판을 상기 제1롤러측으로 가압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이송장치는, 박판의 이송시에 그 박판의 중앙부의 처짐을 일정 시점에서 해소할 수 있게 되어, 박판의 중앙부가 지속적으로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박판 이송장치의 일례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판 이송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판 이송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박판 이송장치의 주요 부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자석과 제2자석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박판의 중앙부의 처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박판의 중앙부 처짐이 해소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판 이송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박판 이송장치의 주요 부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에서의 Ⅵ-Ⅵ선, 도 6에서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자석과 제2자석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박판 이송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박판 이송장치와 마찬가지로, 박판(P)을 수평의 제1방향(A)을 따라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박판 이송장치는,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에 상기 제1방향(A)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송유닛(200)을 구비하며, 각 이송유닛(200)은 한 쌍의 롤러모듈(201)과, 롤러모듈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이송유닛(200)의 롤러모듈(201)들은, 제1방향(A)에 대해 직각인 수평의 제2방향(B)으로 적정한 간격(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2롤러들이 박판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게 되는 간격)을 두고 박판(P)의 양측(좌, 우측)에 위치한다.
각 롤러모듈(201)은, 이동체(210)와, 제1롤러(221)와, 제2롤러(222)와, 롤러 회전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체(210)의 하면에는 레일결합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레일결합부(211)는, 제2방향(B)으로 길게 연장되어 프레임(100) 상에 고정된 가이드레일(111)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이동체(210)는 프레임(100)에 대해 제2방향(B)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각 이송유닛(200)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모듈(210)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 한 쌍의 롤러모듈(201)은, 제2방향(B)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221)는 각 이동체(210)에 복수개씩 구비되어 있으며, 박판(P)의 일측면(본 실시예에서는 하면)에 구름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제1롤러(221)는 제1롤러지지축(221a)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롤러지지축(221a)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어 베어링(223)에 의해 이동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롤러지지축(221a)의 회전시에, 제1롤러(221)는 제2방향(B)으로 연장된 제1롤러지지축(221a)의 중심선을 회전중심축선으로 하여 이동체(210)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제2롤러(222)는 각 이동체(210)에 복수개씩 마련되어 있으며, 박판(P)의 타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상면)에 구름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롤러(222)는 제2롤러지지축(222a)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롤러지지축(222a)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어 베어링(224)에 의해 이동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롤러지지축(222a)의 회전시에, 제2롤러(222)는 제2방향(B)으로 연장된 제2롤러지지축(222a)의 중심선을 회전중심축선으로 하여, 이동체(210)에 대해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들(221, 222)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롤러들(221, 222) 사이의 간격은 박판(P)의 두께보다 약간 작아서, 제1롤러(221)와 제2롤러(222) 사이에 박판(P)이 끼워지게 되면 그 박판(P)이 제2롤러(222)에 의해 제1롤러(221)측으로 가압되게 되며, 그 결과, 제1롤러(221)와 박판(P) 사이 및 제2롤러(222)와 박판(P) 사이에는, 그 박판(P)의 이송을 위한 마찰력이 확보된다.
상기 롤러 회전수단은, 상기 제1롤러(2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축(240)과, 제1자석(241)과, 제2자석(242)과, 구동축 회전용 모터(245)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축(240)은, 제1방향(A)으로 연장되며, 베어링(215)에 의해 이동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자석(241)과 제2자석(242)은 각각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이동체(210)마다 복수개씩 마련되어 있다. 각 제1자석(241)은, 각 제1롤러지지축(221a)에 고정됨으로써, 각 제1롤러(221)와 동축상에 그 제1롤러(22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제1자석(241)의 외주면에는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양 자극(S극, N극)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2자석(242)은, 구동축(240)에, 각 제1자석(241)과 대응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2자석(242)은, 구동축(240)의 회전시에 제1자석(241)과의 자기력에 의해 그 제1자석(241)을 회전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양 자극(S극, N극)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 회전용 모터(245)는 구동축(24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구동축(240)과 구동축 회전용 모터(245)의 출력축에는 각각 풀리(246, 247)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풀리들(246, 247)에는 벨트(248)가 감아걸려져 있어서, 구동축 회전용 모터(24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풀리(246, 247)와 벨트(148) 기구에 의해 구동축(240)으로 전달되어 구동축(2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롤러모듈 이동수단은, 각 이송유닛(200)의 한 쌍의 롤러모듈(201)을 제2방향(B)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너트부재(250)와, 이송나사(251)와, 나사 회전용 모터(25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재(250)는 이동체(2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너트부재(250)의 내면에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나사(251)는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방향(B)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송나사(251)의 수나사부가 상기 너트부재(250)의 암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이송나사(251)와 너트부재(250)가 나사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나사 회전용 모터(255)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회전용 모터(255)의 출력축에 이송나사(251)가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00)에는 박판(P)의 위치(제1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260)가 제1방향(A)을 따라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260)들은 박판의 이송방향 즉, 제1방향(A)상 상기 이송유닛(200)들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260)로서는 공지된 형태의 것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박판(P)의 하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박판(P)으로부터의 광반사 여부에 기초하여 박판(P)의 유무를 감지하는 형태의 광센서나, 근접센서 등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박판 이송장치에 있어서, 각 이송유닛(200)의 구동축 회전용 모터(245)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풀리(246, 247)와 벨트(248)를 통해 구동축(240)에 전달되어 그 각 이송유닛(200)의 구동축(24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축(240)의 회전력은, 상기 제1자석(241)과 제2자석(242)간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롤러지지축(221a)에 전달되어, 그 제1롤러지지축(221a) 및 제1롤러지지축(221a)에 고정된 제1롤러(221)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박판의 이송방향상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이송유닛(200)의 한 쌍의 롤러모듈(201)의 제1롤러(221)와 제2롤러(222) 사이로 박판(P)이 끼워지면, 그 박판(P)은, 회전되는 제1롤러(221)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제1방향(A)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 전진되는 박판(P)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2롤러(222)가 피동 회전되면서 제1롤러(221)와 협동하여 박판(P)을 제1방향(A)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박판(P)의 이송과정에서 박판의 선단부(박판의 이송방향상 하류측 단부)는, 박판 이송방향(A)상 상류측의 롤러들(221, 222)로부터 빠져나와서 하류측의 롤러들(221, 222) 사이로 진입하고 또한 상기 하류측의 롤러들(221, 222)로부터 빠져나와서 더 하류측의 롤러들(221, 222) 사이로 진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상류측의 롤러들(221, 222)로부터 빠져나온 박판의 선단부가 하류측의 롤러들(221, 222) 사이로 진입되기 전에 박판(P)의 자중으로 인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P)의 중앙부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며, 박판의 이송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상술한 박판 중앙부의 처짐량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 때, 각 이송유닛(200) 중, 현재 박판(P)이 끼워져 있는 롤러들(221, 222)을 가지는 이송유닛의 한 쌍의 롤러모듈(201)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이송유닛의 확장이동)시키면, 그 롤러모듈(201)의 제1롤러(221)와 제2롤러(222) 사이에 끼워진 박판(P)의 가장자리부도 함께 이동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P) 중앙부의 처짐이 해소되면서 그 박판(P)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유지되는데, 상기와 같이 한 쌍의 롤러모듈(201)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먼저,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201)의 각 나사회전용 모터(255)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나사회전용 모터(255)의 출력축에 고정된 이송나사(251)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이송나사(251)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250)와, 너트부재(250)에 고정된 이동체(210)와, 이동체(210)에 설치된 제1,2롤러(221, 222)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P)을 펼치는 방향으로 제2방향(B)을 따라 이동된다. 그 결과, 제1롤러(221)와 제2롤러(222) 사이에 끼워진 박판(P)의 양 가장자리부가 서로 멀어지고 처져 있던 중앙부가 상승하면서, 박판(P)이 전체적으로 평탄해지게 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들(221, 222)의 회전에 의해 박판(P)의 이송이 계속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의 처짐이 해소된 상태로 계속 이송되는 박판에는 다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원인으로 서서히 중앙부 처짐이 발생되는데, 적정한 시점에서 다시, 각 이송유닛들 중 현재 박판을 지지하고 있는 이송유닛(현재 박판이 끼워져 있는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가지는 이송유닛)을 확장이동시켜서 박판의 중앙부의 처짐을 해소하는 과정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박판의 중앙부의 처짐이 일정 시점마다 해소되므로, 박판의 중앙부가 지속적으로 처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그 결과, 박판의 중앙부에 대한 소정의 처리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판이 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더라도, 박판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박판이, 상기 확장이동되어 있던 이송유닛(200)으로부터 그 하류측의 다른 이송유닛으로 이송되면, 상기 확장이동되어 있던 이송유닛의 나사회전용 모터(255)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롤러모듈(201)들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예컨대 프레임(100)에 제2방향(B)을 따라 복수의 광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이동체(210)에 센서도그를 설치하여, 상기 광센서들에 의한 센서도그의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각 롤러모듈(201)의 제2방향(B)의 확장이동이나 복귀이동시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이송유닛(200)을 확장이동시키는 시점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박판(P)의 제1방향(A)의 길이가 각 이송유닛(200)의 제1방향(A)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이송유닛으로부터 그 이송유닛의 하류측의 다른 이송유닛으로의 박판의 이송이 완료되었음이, 그 이송유닛들(상기 어느 하나의 이송유닛과 상기 다른 이송유닛) 사이의 센서(260)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다른 이송유닛이 확장이동되어 그 다른 이송유닛상의 박판의 처짐을 해소하도록 하고, 상기 다른 이송유닛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이송유닛으로의 박판(P)의 이송이 완료되었음이, 상기 다른 이송유닛과 상기 또다른 이송유닛 사이의 센서(260)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 상기 확장이동되어 있던 다른 이송유닛은 뒤이어 이송될 다른 박판을 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또다른 이송유닛은 현재의 박판의 중앙부 처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확장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박판(P)의 상기 제1방향(A)으로의 길이가 상기 각 이송유닛(200)의 상기 제1방향(A)으로의 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제1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이송유닛(이 복수의 이송유닛의 길이의 합은 상기 박판의 길이보다 길다)을 단위화하여 그 복수의 이송유닛을 동시에 확장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송유닛들 사이사이에 센서를 마련하는 대신에, 센서를 최상류측의 적정 위치에 하나만 설치하고, 그 센서에 의해 박판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각 이송유닛을 확장이동 및 복귀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가 박판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롤러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가 박판의 상면에 접촉하고 그 제1롤러의 회전에 의한 박판이 전진에 피동하여 회전하는 제2롤러가 박판의 하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0...프레임 200...이송유닛
201...롤러모듈 210...이동체
221...제1롤러 222...제2롤러
P...박판

Claims (4)

  1. 수평의 제1방향을 따라 박판을 이송시키는 박판 이송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송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각 이송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의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롤러모듈과,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을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롤러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의 일측면과 구름접촉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중심축선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의 타측면과 구름접촉하며 상기 박판을 상기 제1롤러측으로 가압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박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송되는 박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모듈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체에 고정된 너트부재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나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나사를 회전시키는 나사 회전용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회전수단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제1롤러와 동축상에 그 제1롤러에 대해 고정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양 자극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원통형의 제1자석;
    상기 각 제1자석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시에 제1자석과의 자기력에 의해 그 제1자석을 회전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양 자극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2자석;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축 회전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이송장치.
KR1020120095867A 2012-08-30 2012-08-30 박판 이송장치 KR10131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67A KR101312026B1 (ko) 2012-08-30 2012-08-30 박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67A KR101312026B1 (ko) 2012-08-30 2012-08-30 박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026B1 true KR101312026B1 (ko) 2013-09-27

Family

ID=4945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867A KR101312026B1 (ko) 2012-08-30 2012-08-30 박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88B1 (ko) * 2018-02-01 2019-07-17 주식회사 태성 박막필름 이송장치
KR20200087442A (ko) 2019-01-11 2020-07-21 지상근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533A (ko) * 2002-12-18 2004-06-25 마루야스 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롤러 컨베이어
JP2006312539A (ja) 2005-05-09 2006-11-16 Hamada Printing Press Co Ltd シート送り装置
KR20080056574A (ko) * 2006-12-18 2008-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20120065719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533A (ko) * 2002-12-18 2004-06-25 마루야스 키카이 카부시키가이샤 롤러 컨베이어
JP2006312539A (ja) 2005-05-09 2006-11-16 Hamada Printing Press Co Ltd シート送り装置
KR20080056574A (ko) * 2006-12-18 2008-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20120065719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88B1 (ko) * 2018-02-01 2019-07-17 주식회사 태성 박막필름 이송장치
KR20200087442A (ko) 2019-01-11 2020-07-21 지상근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2965B2 (ja) 分岐合流装置
KR20190087998A (ko) 기판치수를 전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 기판검출라인 및 이의 검출방법
KR101823996B1 (ko) 듀얼 컨베어 시스템
KR101510771B1 (ko) 기판 이송 가이드 장치
KR101265085B1 (ko) 반전부를 구비한 이송장치 및 반전부를 이용한 글래스패널의 반전방법
KR101312026B1 (ko) 박판 이송장치
JP2006327758A (ja) 方向転換装置
JP6764367B2 (ja) 紙葉類斜行補正装置
JP2017091700A (ja) 電池材料用移送装置
KR101296736B1 (ko) 박판 이송장치
KR101256651B1 (ko) 박판 이송장치
TWI623479B (zh) 晶片輸送機系統和裝配晶片輸送機系統的方法
JPH10181839A (ja) 板状物品搬送装置と板状物品搬送方法並びに板状物品
KR100890952B1 (ko) 이송장치
US20150083551A1 (en) Web processing with semi-rotary accumulator
US11130162B2 (en) Work reversing apparatus, press transporting line and work reversing method
CN110862226A (zh) 玻璃掰分机构及玻璃掰分装置
JP2012111600A (ja) 回動搬送装置
KR101860509B1 (ko) 플렉시블 피시비 기판 패턴 형성장치
KR101899387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101641280B1 (ko) 웹가이드 장치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JP5731173B2 (ja) シート挿着装置
KR101904892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101196399B1 (ko) 벨트의 사행감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