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42A -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42A
KR20200087442A KR1020190003722A KR20190003722A KR20200087442A KR 20200087442 A KR20200087442 A KR 20200087442A KR 1020190003722 A KR1020190003722 A KR 1020190003722A KR 20190003722 A KR20190003722 A KR 20190003722A KR 20200087442 A KR20200087442 A KR 20200087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thin plate
plate material
uppe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381B1 (ko
Inventor
지상근
진근춘
Original Assignee
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근 filed Critical 지상근
Priority to KR102019000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상측이 개방된 납작한 입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거치프레임(111)을 종 또는 횡으로 배치하고 하면에는 흡기구(112)를 마련하는 하부바디(110); 하부바디(110)의 내측 하부에 장착하고 흡기구(112)와 연통하여 흡입한 공기를 상향 송출하는 플로팅팬(120); 하부바디(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평판상으로 형성하여 상측 개방구 상에 결합하고 다수의 플로팅홀(131)을 상, 하로 통공하는 상부바디(130); 및 거치프레임(111) 상에서 상부바디(130)에 평행하도록 장착하고 플로팅팬(120)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상부바디(130) 전반에 분산 공급하는 여과필터(140);로 이루어진 플로팅유닛(102)을 포함하되, 플로팅유닛(102)은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 또는 이종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을 구비하고 프레임(101) 상에 격자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박판소재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이송하고 유지보수성이 탁월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FLOATING DEVICE FOR SHEET MATERIAL}
본 발명은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플로팅) 및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판 글라스 또는 피시비를 공정 간 이송하는 라인에 설치하여 넓은 면적의 박판소재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하고, 분해 및 조립, 유지보수가 간편한 플로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산업분야에는 초박형 제품 트렌드에 따라 두께가 얇은 특수 글라스(유리기판) 또는 피시비를 적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10세대 패널, 즉 가로 및 세로 길이가 2m 이상이고 두께가 0.5mm 이하의 박판소재 제조 기술이 본격적으로 적용되면서 최근에는 박판소재의 크기가 가로×세로 3m 이상이면서 두께는 0.3㎜에 근접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은 박판소재를 제조한 후 가공 또는 후처리 공정으로 이송하는 작업은 이송라인을 통해 기계화, 자동화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정전기가 배제된 클린룸 내에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이송작업이 이루어진다.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박판소재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256651 호에는 수평의 제1방향을 따라 박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박판 이송장치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박판의 상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상측롤러와, 각 상측롤러의 하측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되는 박판의 하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하측롤러와, 상측롤러와 하측롤러 사이에 끼워진 박판을 제1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상측롤러와 하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박판 이송장치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296736 호 역시 박판의 이송경로 상측에 배치되어 박판의 상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상측롤러와, 박판의 이송경로 하측에 배치되어 박판의 하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하측롤러와, 상측롤러와 하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측롤러와 하측롤러 사이의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측롤러를 하측롤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간극조절수단과, 상측롤러들과 하측롤러들 중 어느 한쪽의 롤러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박판 이송장치를 구성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12026 호에는 프레임과, 박판을 이송시키는 제1방향을 따라 프레임에 배치된 복수의 이송유닛을 구비하고, 각 이송유닛은, 제1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의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롤러모듈과, 롤러모듈을 상호 접근 및 이격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박판 이송장치를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256651 호 (2013.04.19) 한국등록특허 제 10 - 1296736 호 (2013.08.20)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12026 호 (2013.09.2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83995 호 (2017.07.3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박판소재 이송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양단을 장착하여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축과, 이송축의 양단에 결합하고 박판소재의 양측 저면 또는 상면에 당접하여 박판소재를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의 박판소재의 경우 두께는 극히 얇으면서 넓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제조되므로 박판소재의 양측에서 이송롤러가 상, 하면을 지지하더라도 이송롤러 간의 거리가 수미터에 이르게 되어 박판소재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박판소재의 일부가 아래로 처진 상태에서 후속 공정으로 이송할 경우 처진 부위 및 주변부에 균열 또는 미세 절곡이 발생하거나, 이송축 등에 접촉하게 되어 스크레치가 유발되는 등의 손상을 야기하므로 박판소재 자체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이송롤러와 함께 보조롤러를 추가로 배치하여 박판소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비록 클린룸 내에 설치된 장치라 할지라도 박판소재에 접촉하는 롤러의 수 및 접촉시간이 증대될 수록 미세 오염물질이 박판소재에 부착되거나 롤러와의 접촉 자국이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발생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다수의 롤러에 의해 표면에 자국이 발생한 박판소재는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며, 자국이 없는 부분을 재단하더라도 고가의 제조원가로 인해 소재 및 비용 손실율이 상당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박판소재(1)를 처리하는 복수의 공정라인 사이에 일정 높이로 설치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의 상측에 장착하고 공급된 박판소재(1)를 플로팅하여 이송하는 플로팅유닛(102)으로 이루어진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상측이 개방된 납작한 입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거치프레임(111)을 종 또는 횡으로 배치하고 하면에는 흡기구(112)를 마련하는 하부바디(110);
상기 하부바디(110)의 내측 하부에 장착하고 흡기구(112)와 연통하여 흡입한 공기를 상향 송출하는 플로팅팬(120);
상기 하부바디(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평판상으로 형성하여 상측 개방구 상에 결합하고 다수의 플로팅홀(131)을 상, 하로 통공하는 상부바디(130); 및
상기 거치프레임(111) 상에서 상부바디(130)에 평행하도록 장착하고 플로팅팬(120)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상부바디(130) 전반에 분산 공급하는 여과필터(140);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 또는 이종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을 구비하고 프레임(101) 상에 격자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플로팅홀(131)은,
상부바디(130)의 상면 외측부에는 각 측 모서리에 평행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열의 플로팅홀(131a)을 소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상부바디(130)의 상면 중심부에는 복수열의 플로팅홀(131b)을 대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박판소재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이송하고, 더불어 유지보수성이 탁월한 플로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대형 박판소재를 공정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박판소재의 저면에 바람을 분사하여 부상한 상태로 이송하는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박판소재의 처짐 현상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해소하고 안전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송할 수 있으므로 박판소재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소재의 낭비 역시 방지하여 생산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완성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이종 형상의 복수의 플로팅유닛을 구비하여 박판소재의 종류에 따라 프레임 상에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사용성, 유지보수성이 탁월한 등의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플로팅유닛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플로팅유닛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는 박판 글라스 또는 피시비를 공정 간 이송하는 라인에 설치하여 넓은 면적의 박판소재(1)가 이송 과정에서 처지는 현상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방지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플로팅 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는 박판소재(1)를 처리하는 복수의 공정라인 사이에 일정 높이로 설치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의 상측에 장착하고 공급된 박판소재(1)를 부상하여 이송하는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으로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프레임(101)은 통상의 강재나 합금 빔을 격자로 배치하여 구축하며 공정라인 상에 구축된 피더의 높이를 고려하여 플로팅유닛(102)이 장착된 상태에서 박판소재(1)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상측은 이송롤러구역과 플로팅구역으로 구분한다. 이송롤러구역에는 통상의 이송롤러를 설치하여 박판소재(1)의 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구비하며, 플로팅구역에는 이송롤러를 배제하고 후술하게 될 플로팅유닛(102)을 장착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이송롤러구역과 플로팅구역은 이송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구획한다. 이는 박판소재(1)를 플로팅유닛(102)에 최초 투입시 선단 일측의 좁은 범위에서 부상을 시작하여 넓은 범위로 확대하면서 부상을 유도하여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크게 하부바디(110)와 상부바디(130)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플로팅팬(120) 및 여과필터(140)를 탑재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바디(110)는 상측이 개방된 납작한 입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거치프레임(111)을 종 또는 횡으로 배치하고 하면에는 흡기구(112)를 마련하여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바디(110)를 도 4에서와 같은 직육면체 혹은 도 7에서와 같은 평행사변형 단면을 가지는 입면체 형상으로 구비하였으나 작업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10)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1)에 하부바디(110)를 탈착하도록 하는 소정의 조립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플로팅팬(120)은 상기 하부바디(110)의 내측 하부에 장착하고 흡기구(112)와 연통하여 흡입한 공기를 상향 송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플로팅팬(120)은 일정 높이로 구축되는 프레임(101)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바디(110)의 내부로 유입하고 상부바디(130)를 향해 송출한다. 플로팅팬(120)의 상단부와 하부바디(110)의 상부 거치프레임(111) 사이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하여 하부바디(110)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필터(140)는 거치프레임(111) 상에서 상부바디(130)의 상면에 평행하도록 장착하고 플로팅팬(120)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상부바디(130) 전반에 분산 공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여과필터(140)는 1차필터와 2차필터를 2중겹으로 구성한다. 상기 1차필터는 플로팅팬(120)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혼입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부바디(130)를 향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풍량과 풍압을 균등하게 공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2차필터 역시 이물질을 여과하고 풍량 및 풍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되 플로팅유닛(102)의 상측 외부로부터 상부바디(130)를 통과해 낙하하는 이물질이 1차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1차필터는 울파필터(Ulpa Filter)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한다. 울파필터는 트윈메쉬로 이루어지고 종이재질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여 0.1㎛ 크기의 이물질을 99.999%이상 포집함은 물론 내산성과 내식성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2차필터는 난연성부직포를 사용하여 1차필터를 통과한 이물질을 재차 포집하여 제거하면서 상부바디(130)를 통과해 낙하하는 이물질이 1차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바디(130)는 하부바디(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평판상으로 형성하여 하부바디(110)의 상측 개방구 상에 결합하고 다수의 플로팅홀(131)을 상, 하로 통공하여 구비한다.
상기 상부바디(130)는 상기 프레임(101)의 이송롤러구역으로부터 플로팅구역으로 이송되는 박판소재(1)의 저면에 대향하도록 구비하며 플로팅홀(131)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부바디(130)로부터 박판소재(1)를 균등한 높이로 부상한다.
상기 상부바디(130)에 형성하는 다수의 플로팅홀(13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바디(130)의 상면 외측부에는 각 측 모서리에 평행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열의 플로팅홀(131a)을 소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상부바디(130)의 상면 중심부에는 복수열의 플로팅홀(131b)을 대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 플로팅홀(131)의 이와 같은 배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바디(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플로팅홀(131b)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상측 박판소재(1)에 의해 해당 부위 주변에서 분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반면, 상부바디(130)의 외측부에 형성된 플로팅홀(131b)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상부바디(130) 및 하부바디(110)의 외측을 통해 옆으로 새어나가게 되므로, 풍량의 차이로 인해 박판소재(1)의 전반에 걸쳐 균등한 플로팅을 저해할 수 있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상기 플로팅홀(131)의 간격 및 열의 수는 상부바디(130)의 형상 및 크기에 비례하여 증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 또는 이종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을 구비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1) 상에 격자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박판소재(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을 좌, 우 및 전, 후측에서 프레임(101) 상에 조립하여 배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가로 세로의 크기가 2 ~ 3m에 이르는 박판소재(1)를 부상 시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박판소재(1)의 선단 일측의 좁은 범위에서부터 부상 범위를 점차 확대하는 방향으로 부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이송방향에 대해 선측에 배치되는 플로팅유닛(102)은 도 7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선단을 사선 형태로 마련하는 다각형 형상의 상부바디(130) 및 하부바디(110)로 구비하고 후측에 배치되는 플로팅유닛(102)은 도 4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하여 상호 조립 배치한다.
따라서, 박판소재(1)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서 상기 플로팅유닛(102)을 프레임(101) 상에 분해, 조립하여 배치하고 유지보수 시에도 해당 위치의 플로팅유닛(102)만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제조된 박판소재(1)를 피더부로부터 공급받은 다음 예컨대 세정공정을 거쳐 후처리공정에 투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를 이용한다. 세정장치와 후처리장치 사이의 공정라인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장치를 설치한다.
박판소재(1)의 규격에 따른 면적의 작업공간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프레임(101)을 설치한다. 이송방향의 선측에 해당하는 세정장치 측에는 이송롤러구역을 배치하여 세정장치로부터 취출되는 박판소재(1)를 이송롤러를 통해 공급받고, 이송방향의 후측에 해당하는 후처리장치 측에는 플로팅구역을 배치하여 플로팅유닛(102)을 통해 박판소재(1)를 부상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플로팅구역에는 선단이 사선으로 이루어진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로 이루어진 플로팅유닛(102)과 사각형상의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로 이루어진 플로팅유닛(102)을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로 배치하여 프레임(101)에 조립한다.
각각의 플로팅유닛(102)의 내부에는 하부바디(110)의 흡기구(112) 상에 설치된 플로팅팬(120)과 거치프레임(111) 상에 설치되는 여과필터(140)를 구비한다. 하부바디(110)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바디(130)의 외측부에는 플로팅홀(131a)을 각 모서리를 따라 소간격으로 복수열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플로팅홀(131b)을 대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플로팅 장치의 세팅이 완료되면 플로팅유닛(102)을 가동한다. 플로팅팬(120)이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바디(110)의 흡기구(112)를 통해 상향 송출한다. 흡입된 공기는 1차필터 및 2차필터로 이루어진 여과필터(140)를 통과하여 상부바디(130)의 플로팅홀(131)을 통해 분사되어 플로팅팬(120)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박판소재(1)에 직접적으로 흡착되거나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량, 정압의 바람이 균일하게 박판소재(1)의 저면 전반에 걸쳐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사되는 바람의 압력(세기)는 일츨에 마련된 콘트롤러를 이용해 박판소재(1)의 종류에 따라 가감하여 플로팅팬(120)의 회전을 제어하여 조절하며, 필요에 따라 하부바디(110)에 별도 형성된 내압체크홀(VH)에 압력게이지를 연결하여 여과필터(140)의 엘리먼트에 작용하는 압력을 확인하여 교체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세정장치로부터 취출되는 박판소재(1)를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롤러구역을 경유하여 플로팅구역으로 진입한다. 플로팅구역의 선측에 배치된 플로팅유닛(102)은 선단이 사선 형태로 구비되어 박판소재(1)의 일측 모서리에서부터 플로팅홀(131)을 통해 분사되는 바람이 작용함으로써 최초 부상시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점차 넓은 범위로 부상을 시작한다.
세정장치에서 후처리장치를 향하는 이송방향을 따라 박판소재(1)가 플로팅유닛(102)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판소재(1)의 저면 전반에 걸쳐 부상이 이루어진다. 상술하였듯이 상부바디(130)에 형성되는 플로팅홀(131)은 중심부와 외측부에서 그 밀도가 상이하므로 프레임(101) 상에 격자로 배치된 플로팅유닛(102)들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바람이 새어나가더라도 박판소재(1) 전반에 균등한 풍량 및 풍압을 유지하여 중심부가 처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는 대형 박판소재(1)를 공정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박판소재(1)의 저면 전반에 걸쳐 바람을 분사하여 부상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이송과정에서 박판소재(1)의 처짐 현상을 해소하고 안전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송함으로써 박판소재(1)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도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종 형상의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을 구비하여 프레임(101) 상에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박판소재의 종류에 따른 설치 및 사용상의 용이성이 탁월하며 개별 플로팅유닛(102) 단위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가지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 박판소재
101: 프레임
102: 플로팅유닛
110: 하부바디
111: 거치프레임
112: 흡기구
120: 플로팅팬
130: 상부바디
131: 플로팅홀
131a: 상면 외측부
131b: 상면 중심부
140: 여과필터

Claims (2)

  1. 박판소재(1)를 처리하는 복수의 공정라인 사이에 일정 높이로 설치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의 상측에 장착하고 공급된 박판소재(1)를 플로팅하여 이송하는 플로팅유닛(102)으로 이루어진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상측이 개방된 납작한 입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거치프레임(111)을 종 또는 횡으로 배치하고 하면에는 흡기구(112)를 마련하는 하부바디(110);
    상기 하부바디(110)의 내측 하부에 장착하고 흡기구(112)와 연통하여 흡입한 공기를 상향 송출하는 플로팅팬(120);
    상기 하부바디(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평판상으로 형성하여 상측 개방구 상에 결합하고 다수의 플로팅홀(131)을 상, 하로 통공하는 상부바디(130); 및
    상기 거치프레임(111) 상에서 상부바디(130)에 평행하도록 장착하고 플로팅팬(120)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상부바디(130) 전반에 분산 공급하는 여과필터(140);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유닛(102)은,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 또는 이종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로팅유닛(102)을 구비하고 프레임(101) 상에 격자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홀(131)은,
    상부바디(130)의 상면 외측부에는 각 측 모서리에 평행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열의 플로팅홀(131a)을 소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상부바디(130)의 상면 중심부에는 복수열의 플로팅홀(131b)을 대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KR1020190003722A 2019-01-11 2019-01-11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KR10217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22A KR102171381B1 (ko) 2019-01-11 2019-01-11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22A KR102171381B1 (ko) 2019-01-11 2019-01-11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42A true KR20200087442A (ko) 2020-07-21
KR102171381B1 KR102171381B1 (ko) 2020-10-28

Family

ID=7183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722A KR102171381B1 (ko) 2019-01-11 2019-01-11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36Y1 (ko) *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평판자재의 공기부상 이송장치
JP2004352375A (ja) * 2003-04-02 2004-12-16 Daiichi Shisetsu Kogyo Kk 非接触浮上ユニット
KR101256651B1 (ko) 2011-11-24 2013-04-19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101296736B1 (ko) 2011-11-24 2013-08-20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101312026B1 (ko) 2012-08-30 2013-09-27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20150142442A (ko) * 2014-06-12 2015-12-22 이성 주식회사 에어 플로팅 스테이지
KR200483995Y1 (ko) 2015-05-08 2017-07-31 노바테크 (주) 초박판 유리 이송용 지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375A (ja) * 2003-04-02 2004-12-16 Daiichi Shisetsu Kogyo Kk 非接触浮上ユニット
KR200339636Y1 (ko) *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평판자재의 공기부상 이송장치
KR101256651B1 (ko) 2011-11-24 2013-04-19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101296736B1 (ko) 2011-11-24 2013-08-20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101312026B1 (ko) 2012-08-30 2013-09-27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20150142442A (ko) * 2014-06-12 2015-12-22 이성 주식회사 에어 플로팅 스테이지
KR200483995Y1 (ko) 2015-05-08 2017-07-31 노바테크 (주) 초박판 유리 이송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381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09B1 (ko)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TWI565643B (zh) 上浮用空氣板
KR101142959B1 (ko) 평판 정밀 플로팅 시스템
CN102161026A (zh) 基板输送装置
KR200339636Y1 (ko) 평판자재의 공기부상 이송장치
KR101064893B1 (ko) 평판 플로팅 시스템
KR20200087442A (ko) 대형박판소재 비접촉부상 및 이송장치
CN101121466B (zh) 薄板状材料输送用气动工作台以及薄板状材料输送装置
KR101051416B1 (ko) 판유리 이송장치
CN116512741A (zh) 一种触摸屏高精度自动印刷装置
CN211870749U (zh) 玻璃面板输送装置
JP4376641B2 (ja) エア浮上式コンベア
KR101172726B1 (ko) 박판소재 플로팅장치
EP3362388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elements
KR20110131011A (ko) 스크린 프린터의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프린터
JP4171293B2 (ja) 薄板状材の搬送方法及び装置
KR1005803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20080105606A (ko) 기판 부상패드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기판 부상장치
KR101179819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0815521B1 (ko) 기판건조장치
KR20080109124A (ko) 에어 크린룸용 에어 크리닝 유니트
CN220431377U (zh) 一种锂辉石精矿带式给料机
CN210064302U (zh) 一种物料提升设备
KR101330820B1 (ko) 판유리 이송장치
JP4498725B2 (ja) 浮上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