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66B1 -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66B1
KR101306866B1 KR1020120014552A KR20120014552A KR101306866B1 KR 101306866 B1 KR101306866 B1 KR 101306866B1 KR 1020120014552 A KR1020120014552 A KR 1020120014552A KR 20120014552 A KR20120014552 A KR 20120014552A KR 101306866 B1 KR101306866 B1 KR 10130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current
detection signal
current detection
current detector
preven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184A (ko
Inventor
김민성
장기석
Original Assignee
(주)태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기술 filed Critical (주)태진기술
Priority to KR102012001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66B1/ko
Priority to PCT/KR2012/009632 priority patent/WO2013122309A1/ko
Publication of KR2013009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comprising at least one synchronous rectifier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역전류 검출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역전류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역전류 검출신호를 하나의 주기에 한번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와,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의 출력이 정확한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 및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역전류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Circuit for Preventing a Miss-operating by Reverse Current Detector}
본 발명은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우수한 전력 효율 및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기식 스위칭 레귤에이터에서는 인덕터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푸시풀 형식으로 접속된 2개의 스위치 소자, 즉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경부하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로 역류하는 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지 않으면 큰 전력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보통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는 역전류 검출기를 설치하여, 역 전류가 흐르는 경우 검출기의 신호를 통해 NMOS 트랜지스터를 OFF 시켜 전력손실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의 전위차를 비교하여, 드레인 단자의 전위가 소스 단자의 전위보다 높아지면, NMOS 트랜지스터를 OFF 하여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가 OFF 되는 순간 인덕터 연결 단자가 플로팅이 되기 때문에 링잉(Ringing)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링잉에 의해 인덕터 연결 단자의 전위가 접지 전위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에 의해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이 발생하여 NMOS 트랜지스터가 다시 ON이 되고, 이 오동작에 의해 링잉의 진폭이 줄어들지 않아 도 4와 같이 스위칭 한주기 내에서 NMOS가 여러 번 ON, OFF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역전류가 발생하여 전력 손실이 증가되고, 또한 접지 바운싱이 발생하여 내부 회로가 영향을 받아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역전류 검출기가 링잉에 의해 오동작을 하더라도 내부 회로에는 오동작에 의한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역전류 검출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역전류 검출신호를 하나의 주기에 한번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의 출력이 정확한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 및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역전류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는 플립플롭와 논리 소자로 구성된 회로에 하이 싸이드(High side) 스위치 제어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는 논리 소자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논리소자는 NAND와 NOT 게이트가 직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는 역전류 검출기가 링잉에 의해 오동작을 하더라도 내부 회로에는 오동작에 의한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는 전력 손실 및 접지 바운싱 현상을 제거되므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우수한 전력 효율 및 매우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의 출력 신호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역전류 검출기만을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불량을 보여주는 신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역전류 검출기(100)로부터 역전류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플립플롭 등으로 구성된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200)로 전송하고, 상기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200)는 스위칭 주기에서 가장 먼저 전송된 신호만을 제어회로(300)로 전송하여 NMOS 트랜지스터를 OFF 되도록 하고, 다음 스위칭 주기까지 역전류 검출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역전류 검출기(100)가 링잉에 의해 오동작을 하더라도 내부 회로에는 오동작에 의한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200)는 역전류 검출기(100)가 NMOS 트랜지스터로부터 역전류를 검출하여 신호를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210)와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2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210)는 플립플롭과 NOT 게이트 등의 논리소자로 구성된 회로에 하이 싸이드(High side) 스위치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오류신호를 제거하여 하나의 주기에 한번의 신호만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플립플롭을 사용하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220)를 통해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210)의 출력이 정확한 정보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210)와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220)의 두 신호는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230)로 전송되어 역전류 검출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이 신호가 제어회로부(300)로 전송되면, NMOS 트랜지스터는 OFF 되어 역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220)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230)는 논리소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NAND와 NOT 게이트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의 출력신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역전류 검출기(100)의 출력(3)에서 발생한 링잉에 의한 오류신호는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200)를 통해 출력(7)에서 차단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부하 상태에서 발생하는 링잉에 의해 발생한 역전류 검출기의 오류신호를 역전류 검출기의 오동작 방지회로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출력되는 역전류 검출신호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주기에서 여러번 온(on) 또는 오프(off) 되지 않고 한번만 on 또는 off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200)를 사용할 경우 NMOS 트랜지스터에서 역전류 검출기(100)에 의해 역전류가 검출되어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200)로 전송되면, 스위칭 한 주기 내에서 처음으로 전송되어진 신호만을 제어회로로 전송하고, 그 외의 신호는 모두 제거하여, 도 4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던 링잉 문제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손실 및 접지 바운싱 현상을 제거되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를 사용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우수한 전력 효율 및 매우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역전류 검출기 200 : 역전류 검출기 방지회로
210 :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 220 :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
230 :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 300 : 제어회로

Claims (5)

  1.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역전류 검출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역전류 검출신호를 하나의 주기에 한번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의 출력이 정확한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 및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역전류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전달부는 플립플롭와 논리 소자로 구성된 회로에 하이 싸이드(High side) 스위치 제어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검증부와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는 논리 소자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소자는 NAND와 NOT 게이트가 직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검출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류 검출기 오동작 방지회로.
KR1020120014552A 2012-02-14 2012-02-14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KR10130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52A KR101306866B1 (ko) 2012-02-14 2012-02-14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PCT/KR2012/009632 WO2013122309A1 (ko) 2012-02-14 2012-11-15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52A KR101306866B1 (ko) 2012-02-14 2012-02-14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84A KR20130093184A (ko) 2013-08-22
KR101306866B1 true KR101306866B1 (ko) 2013-09-10

Family

ID=4898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552A KR101306866B1 (ko) 2012-02-14 2012-02-14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6866B1 (ko)
WO (1) WO2013122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8038A (zh) * 2018-11-12 2019-02-05 国核自仪系统工程有限公司 防误驱动的逻辑处理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132A (ko) * 2006-09-07 2008-03-12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KR20080024095A (ko) * 2006-09-12 2008-03-1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제어 회로, 및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제어 동작 방법
KR20080024984A (ko) * 2006-09-14 2008-03-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반도체 장치
KR20110139319A (ko) * 2009-04-27 2011-12-2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132A (ko) * 2006-09-07 2008-03-12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KR20080024095A (ko) * 2006-09-12 2008-03-1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제어 회로, 및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제어 동작 방법
KR20080024984A (ko) * 2006-09-14 2008-03-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반도체 장치
KR20110139319A (ko) * 2009-04-27 2011-12-2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309A1 (ko) 2013-08-22
KR20130093184A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966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방법
RU2017115549A (ru) Отказоустойчивая приводная система магнитного подшипника
JP2014160981A (ja) レベルシフト回路
GB2528717A (en) Receiver circuitry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input signal from a source voltage domain into an output signal for a destination voltage domain
KR101064489B1 (ko) 넓은 입출력 범위를 갖는 버스 홀더 및 톨러런트 입출력 버퍼
KR101306866B1 (ko) 역전류 검출기 오작동 방지회로
US8896362B2 (e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 push-pull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8258829B2 (en) Power swi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2089488B1 (ko) 반도체 장치
JP5166578B2 (ja) 接点入力回路
CN108137070B (zh) 接点输入控制装置
JP5825957B2 (ja) スイッチング回路
KR102034903B1 (ko) Cmos 인버터 회로장치
US9490808B2 (en) Sensing circuit
JP5936564B2 (ja) 駆動回路
JP5963647B2 (ja) 半導体記憶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TWI644515B (zh) 電壓切換裝置及方法
JP2010262378A (ja) サイリスタ式交流電力調整装置
JP2011147316A (ja) 3レベル電力変換装置
JP2016050893A (ja) 検出回路及び半導体装置
JP2014230134A (ja) 遅延調整回路
US20200327007A1 (en) Electronic circuit
Hurez et al. Message Recovered: A Robust Fault Detection and Reporting Method for Galvanically Isolated IGBT Gate Drivers
JP2010021712A (ja) レベルシフト回路
KR100619474B1 (ko) 프로그래머블 클럭 제너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