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888B1 -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888B1
KR101303888B1 KR1020120085790A KR20120085790A KR101303888B1 KR 101303888 B1 KR101303888 B1 KR 101303888B1 KR 1020120085790 A KR1020120085790 A KR 1020120085790A KR 20120085790 A KR20120085790 A KR 20120085790A KR 101303888 B1 KR101303888 B1 KR 10130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onitrile
precursor fiber
producing
itaconic acid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2008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1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6Feeding liquid to the spinning hea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3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during polymeris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1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9/2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acrylonitr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AN: acylonitrile)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 methyl acrylate)와 아이타코닉 에시드(ITA:itaconic acid)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할 때, 상기 성분들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하여 반응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서, 반응시간을 현저히 줄임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을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서로 연결된 관 상의 형태로 펼쳐져 공급하고, 상기 관상으로 펼쳐져 공급되는 아크릴로니트릴 용액에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분무하여 중합시키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진동에너지를 공급하여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도록 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METHOD OF PREPARING POLYACRYLONITRILE-BASED PRECURSORS FOR CARBON FIBERS AND THE DEVICE}
본 발명은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AN: acylonitrile)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 methyl acrylate)와 아이타코닉 에시드(ITA:itaconic acid)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할 때, 상기 성분들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하여 반응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서, 반응시간을 현저히 줄임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계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탄소섬유, 소위 PAN(Polyacrylonitrile)계 탄소섬유는 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탄소섬유의 원료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체 탄소섬유의 90%이상이 PAN계 탄소섬유이다.
또한, PAN계 탄소섬유는 2차전지용 탄소 전극 재료 및 탄소 필름 등에도 적용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로부터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를 방사하여 얻어진 아크릴 섬유, 즉 탄소섬유용 전구체를 산화 분위기에서 200~400℃로 내염화 처리하는데, 이렇게 제조된 섬유를 내염화섬유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얻어진 내염화섬유를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800~2000℃로 탄화처리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탄소섬유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도프원액(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도프원액의 특성인 중합체 농도, 점도, 분자량, 분자구조 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크게 도프원액의 제조 단계에서 기인하는 것과 제조 후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에서 도프원액의 제조 단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는 원료, 첨가물, 용매의 주입량, 주입시간, 용해조 온도, 압력, 교반속도, 반응 시간 등의 기본 조건의 변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프원액의 제조 후에 기인하는 것으로는 중합체 용액의 저장 시간(체류시간), 열 이력의 변동 및 수반 잔존 단량체의 후중합에 의한 중합체의 농도 변화, 분자량 분포의 변동, 중합체의 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소섬유용 전구체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의 조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의 주성분은 아크릴로니트릴 단위로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단위의 함량은 전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에 대하여, 9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4중량% 이상이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단위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소성 공정으로 얻어지는 탄소섬유의 강도가 저하되는 등, 탄소섬유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로니트릴은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Propylene)과 암모니아(Ammonia) 및 공기를 반응시키는 암모산화(Ammoxidation)반응을 통해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공중합 성분(아크릴로니트릴 이외의 다른 보조성분)으로, 방사 공정에서의 치밀화 촉진성분 및 연신 촉진성분과, 내염화 공정에서의 내염화 촉진성분과, 산소 투과 촉진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전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90중량%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94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에 적용하는 보조성분으로는, 메틸아크릴에이트(MA: methyl acrylate)와 아이타코닉 에시드(ITA:itaconic aci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시제(initiator)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azobis-isobutyronitril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중압온도는 60~65℃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dimethyl sulfoxide)를 용제로 하여 6시간 동안 중압조에서 혼합하여 중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시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 에시드(ITA)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할 때, 중합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 에시드(ITA)를 중합할 때, 상기 성분들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하여 반응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서, 반응시간을 현저히 줄임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은,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을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펼쳐져 공급하고, 상기 관상으로 펼쳐져 공급되는 아크릴로니트릴 용액에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분무하여 중합시키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진동에너지를 공급하여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아크릴로니트릴은 94중량%,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은 4.7중량%, 상기 아이타코닉에시드는 1.3중량%가 공급되어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진동에너지는 초음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어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는,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하는 중합조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조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이 공급되는 AN공급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AN공급구를 통해 투입된 아크릴로니트릴이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각각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펼쳐져 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용액이 관상으로 펼쳐지도록 테두리면을 가지는 유도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합조에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용액으로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분무하여 공급하는 MA/ITA분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중합조에는 중합조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에너지를 투사하도록 된 진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중합조에는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는 솔벤트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중합조에서 상기 AN공급구가 배출구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중합액이 자연낙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진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A/ITA분무수단은 상기 중합조의 내부에서 자 유낙하하는 아크릴로니트릴의 내부 및 외부에서 아클리로니트릴 측방향으로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중합조에는 하부에 위치된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액을 상부로 펌핑하여 재낙하시키도록 된 펌프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중합조에는 상기 AN공급구를 통해 투입된 아크릴로니트릴이 고르게 관상으로 펼쳐져 이동하도록 면 접촉하는 관상의 가이드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는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 에시드(ITA)를 중합할 때, 상기 성분들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하여 반응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서, 반응시간을 현저히 줄임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은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는 것으로, 도프원액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은,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을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펼쳐져 공급하고, 상기 관상으로 펼쳐져 공급되는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에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분무하여 중합시키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진동에너지를 공급하여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가 관 상의 형태로 펼쳐짐에 따라 표면적이 현저히 넓어지게 되어, 분사되는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와의 접촉면적이 효율적으로 증대되어 중합반응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의 교반수단들이 불필요하여 점유면적이 줄어들어 공간적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상기한 아크릴로니트릴(AN)은 94중량%,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MA)은 4.7중량%, 상기 아이타코닉에시드(ITA)는 1.3중량%가 공급되어 중합된다.
상기에서 개시제(initiator)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azobis-isobutyronitril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중압온도는 60~65℃로 하여 중합된다.
상기에서 진동에너지는 초음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아크릴로니트릴(AN)이 중합조에서 관 상으로 넓게 펼쳐지면서 이동되는 중에 메틸아크릴에이트(MA)과 아이타코닉에시드(ITA)가 분무형태로 혼합되어 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조성물들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에 따라 중합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별도의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중합반응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중합반응이 기존보다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한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어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여 방사공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반응시에 진동에너지를 부가하여 각각의 조성물들이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활성상태를 가짐에 따라 중합반응이 촉진되고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을 유지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장치는,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는 중합조(1)를 가지어 도프원액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도프원액이 방사된 후 수세, 열수연신, 오일코팅, 건조, 스팀연신, 건조, 권취 등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통과하여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가 제조된다.
즉, 본 발명은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가 제조하는 다수의 공정에서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는 중합고정에 적용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장치에서, 상기한 중합조(1)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이 공급되는 AN공급구(2)와 배출되는 배출구(3)와 상기 AN공급구(2)를 통해 투입된 아크릴로니트릴(AN)이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각각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펼쳐져 배출구(3)로 이동하도록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이 관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유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중합조(1)에는 상기 아크릴ㄹ로니트릴(AN) 용액으로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분무하여 공급하는 MA/ITA분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중합조(1)에는 상기 중합조(1)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에너지를 투사하도록 된 진동수단(5)이 구비된다.
즉, 상기 AN공급구(2)와 유도부재를 통해 관 상으로 펼쳐져 이동되는 아크릴로니트릴(AN)의 표면에 상기 MA/ITA분무수단을 통해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분무하여 중합반응을 일으켜 중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아크릴로니트릴(AN)의 표면이 넓게 펼쳐진 관 상의 형태를 가지어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에 따라, 별도의 교반동작이 없어도 중합반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증대된다.
상기에서 유도부재는 양단이 각각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이 펼쳐지면서 상기 배출구(3)로 이동하도록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며 외곽에 테두리면을 가지는 유도판(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MA/ITA분무수단은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가 공급되는 공급관(6)과 상기 공급관(6)에 구비되어 상기 중합조(1)의 내부로 분무하는 분사노즐(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5)을 통해 상기 중합조(1)의 내부로 진동에너지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중합조(1)의 내부로 투입되어 중합반응을 하는 각각의 조성물에 진동에너지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조성물들은 진동에너지를 인가받아 활성상태를 가지어 중합반응이 촉진됨에 따라, 중합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진동수단(5)은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음파진동자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루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중합조(1)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는 솔벤트공급관(8)이 구비되어 상기 중합조(1)의 내부로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어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게 된다.
즉,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여 방사공정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에서 상기한 중합조(1)는 상기 AN공급구(2)가 배출구(3)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중합액이 자연낙하하여 배출구(3)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AN공급구(2)를 통해 공급되는 아크릴로니트릴(AN)이 배출구(3)측으로 자유 낙하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아크릴로니트릴(AN)이 배출구(3)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에서 상기한 중합조(1)는 관 상으로 자유 낙하하는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의 외측에 상기 MA/ITA분무수단이 위치하여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합조(1)에는 상기 진동수단(5)이 구비되어 내부로 진동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중합조(1)의 내부에서 이동중인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으로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가 분무 접촉되어 중합반응을 일으킴과 아울러, 진동에너지가 인가되어 아크릴로니크릴(AN) 용액의 전 면적을 관통하면서 통과하는 중에 진동에너지를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 및 메틸아크릴에이트(MA) 용액과 아이타코닉에시드(ITA) 용액이 흡수하여 활성화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성물이 중합반응을 최적화하는 상태에서 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합효율이 극대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된다.
상기에서 MA/ITA분무수단은 상기 중합조(1)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의 면들에 각각 마련되어 이동로(4)를 이동하는 아크릴로니트릴의 양측방에서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공급하도록 되어, 상기 아클리로니트릴의 양측면에서 각각 중합반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중합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장치는 상기한 중합조(1)에서 하부에 위치된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액을 상부로 펌핑하여 재낙하시키도록 된 펌프수단(9)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펌프수단(9)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중에 중합된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액이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펌프수단(9)을 통해 상부로 재이동하여 재낙하하면서 재중합된다.
따라서, 아크릴로니트릴(AN)와 메틸아크릴에이트(MA) 및 아이타코닉에시드(ITA)의 중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중합효율을 증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장치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중합조(1)에는 상기 AN공급구(2)를 통해 투입된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이 고르게 관상으로 펼쳐져 이동하도록 면 접촉하는 관상의 가이드판(10)이 마련된다.
즉, 상기 가이드판(10)에 의해 아크릴로니트릴(AN) 용액이 고른 두께로 관 상으로 펼쳐지면서 이동된다.
상기에서 가이드판(10)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소섬유를 재질로 하여 그물망형태로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중합조 2 : AN공급구
3 : 배출구 4 : 유도판
5 : 진동수단 6 : 공급관
7 : 분사노즐 8 : 솔벤트공급관
9 : 펌프수단 10 : 가이드판

Claims (12)

  1.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을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서로 연결된 관 상의 형태로 펼쳐져 공급하고,
    상기 관상으로 펼쳐져 공급되는 아크릴로니트릴 용액에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분무하여 중합시키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진동에너지를 공급하여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크릴로니트릴은 94중량%,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은 4.7중량%, 상기 아이타코닉에시드는 1.3중량%가 공급되어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동에너지는 초음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가 중합되는 공간으로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어 중합액이 연성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5. 아크릴로니트릴(AN)과 메틸아크릴에이트(MA)와 아이타코닉에시드(ITA)를 중합하여 도프원액을 제조하는 중합조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조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이 공급되는 AN공급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AN공급구를 통해 투입된 아크릴로니트릴이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양단이 각각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유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중합조에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용액으로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분무하여 공급하는 MA/ITA분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중합조에는 중합조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에너지를 투사하도록 된 진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조에는 솔벤트(Solvent)가 공급되는 솔벤트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조에서 상기 AN공급구가 배출구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중합액이 자연낙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MA/ITA분무수단은 상기 중합조의 내부에서 자 유낙하하는 아크릴로니트릴의 내부 및 외부에서 아클리로니트릴 측방향으로 상기 메틸아크릴에이트와 아이타코닉에시드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조에는 하부에 위치된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액을 상부로 펌핑하여 재낙하시키도록 된 펌프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조에는 상기 AN공급구를 통해 투입된 아크릴로니트릴 용액이 고르게 관상으로 펼쳐져 이동하도록 면 접촉하는 관상의 가이드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도부재는 양단이 각각 서로 연결된 관상의 형태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AN)이 펼쳐지면서 상기 배출구(3)로 이동하도록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며 외곽에 테두리면을 가지는 유도판(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KR1020120085790A 2012-08-06 2012-08-06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0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90A KR101303888B1 (ko) 2012-08-06 2012-08-06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90A KR101303888B1 (ko) 2012-08-06 2012-08-06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888B1 true KR101303888B1 (ko) 2013-09-10

Family

ID=4945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90A KR101303888B1 (ko) 2012-08-06 2012-08-06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552A (ko) * 2006-12-28 2008-07-03 주식회사 효성 중합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중합방법
KR20100061519A (ko) * 2007-09-03 2010-06-07 우데 인벤타-피셔 게엠바하 중합 반응기, 중합 장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0007376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효성 탄소섬유 전구체의 제조방법
JP2010168723A (ja) * 2008-12-26 2010-08-05 Toyobo Co Ltd 高強度かつ高弾性率の炭素繊維を得るための前駆体繊維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552A (ko) * 2006-12-28 2008-07-03 주식회사 효성 중합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중합방법
KR20100061519A (ko) * 2007-09-03 2010-06-07 우데 인벤타-피셔 게엠바하 중합 반응기, 중합 장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0007376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효성 탄소섬유 전구체의 제조방법
JP2010168723A (ja) * 2008-12-26 2010-08-05 Toyobo Co Ltd 高強度かつ高弾性率の炭素繊維を得るための前駆体繊維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305B1 (ko) 낮은 다분산도 지수(pdi)를 갖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머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CN104246032B (zh) 碳纤维束以及碳纤维的制造方法
CN106637521A (zh) 一种48k聚丙烯腈基碳纤维的制造方法
CN104246033A (zh) 碳纤维束以及碳纤维束的制造方法
CN107208324A (zh) 聚丙烯腈纤维的致密化
CN105264129A (zh) 碳化方法及碳纤维的制造方法
CN104372431A (zh) 一种共聚序列分布均匀的聚丙烯腈原丝的制备方法
CN105671670B (zh) 聚丙烯腈碳纤维原丝的制备方法
CN107429431A (zh) 中间模量碳纤维的制造
KR101336792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KR101303888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03884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03878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장치
JP7178489B2 (ja) 炭素繊維用アクリロニトリル系共重合体
KR102102984B1 (ko)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WO2017078120A1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セパレーター
KR20210016432A (ko) 탄소 섬유 제조용 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KR102161029B1 (ko) 탄소섬유 제조용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00073760A (ko) 탄소섬유 전구체의 제조방법
KR101021881B1 (ko) 수직 방사를 이용한 탄소섬유 전구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22505385A (ja) 炭素繊維用アクリロニトリル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364788B1 (ko) 탄소섬유 제조를 위한 전구체 섬유의 유제 처리방법
JPWO2019003914A1 (ja) 炭素繊維前駆体繊維の製造方法ならびに炭素繊維の製造方法
CN108752521A (zh) 利用混合溶剂制备聚丙烯腈基碳纤维聚合物的方法
KR20110079369A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의 도프원액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