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922B1 -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922B1
KR101302922B1 KR1020127011887A KR20127011887A KR101302922B1 KR 101302922 B1 KR101302922 B1 KR 101302922B1 KR 1020127011887 A KR1020127011887 A KR 1020127011887A KR 20127011887 A KR20127011887 A KR 20127011887A KR 101302922 B1 KR101302922 B1 KR 10130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ng
car
respec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632A (ko
Inventor
가즈타마 다카하시
가츠지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를 제공한다. 상하 레일(13a, 13b)에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주행면(18a, 18b)이 설치된다. 제1 호차(19, 20)는, 하부 레일(13b)에 접촉하여 주행하며, 도어(11)를 현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호차(24, 25)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22, 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부 레일(13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 연결부(26)는, 개폐 구동 기구(12)에 도어(11)를 유지하여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탄성 연결 기구(27)는, 제2 호차(24, 25)와 구동 연결부(26)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한 탄성부(30a, 30b)를 가지며, 요동 부재(22, 23)와 구동 연결부(26)를 접속한다.

Description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DOOR HANGING APPARATUS AND DOOR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도어를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개폐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도어 행잉 장치, 및 그 도어 행잉 장치를 구비한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조물에 설치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도어를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개폐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도어 행잉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에서는, 구조물로서의 철도 차량에 있어서 적용되는 도어 행잉 장치로서,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갖는 레일 부재와, 레일 부재를 주행하는 호차를 갖는 호차 장치를 구비하는 도어 행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서는, 도어 행잉 장치에 현가된 도어가, 도어 행잉 장치에 연결된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며, 철도 차량의 측벽인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의 호차 장치에는,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지지 부재가 설치되며, 이 지지 부재에, 하부 레일을 주행 가능한 제1 호차와 상부 레일을 주행 가능한 제2 호차가 설치되어고 있다. 그리고, 제2 호차가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도어를 현가 가능한(걸어 매달 수 있는) 현가부가 지지 부재의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현가부에 도어의 자중이 작용하여, 하부 레일을 주행하는 제1 호차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제2 호차가 상부 레일에 접촉함으로써, 도어가 지지된다. 이 때문에, 도어가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脫輪)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나 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도어 행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WO2008/149632호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도어 행잉 장치에 의하면, 하부 레일을 주행하는 제1 호차를 지점으로 하여 제2 호차를 상부 레일에 압착하는 하중을 도어의 자중에 의해 작용시켜 호차의 레일로부터의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도어 행잉 장치에서는, 제2 호차가, 도어의 자중에 의한 제1 호차를 지점으로 하여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항상, 어느 정도의 면압(面壓)으로 상부 레일에 압착된 상태로, 상부 레일을 주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호차가 레일을 주행할 때에,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주행 저항을 발생시키게 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한 도어의 개폐 구동에 있어서의 구동 효율의 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 주행 저항이 발생함으로써, 호차의 마모가 진전되기 쉬워져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 그 도어 행잉 장치를 구비한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도어를 상기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개폐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도어 행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주행면이 각각 설치된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갖는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의 주행면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제1 호차와, 상기 도어를 현가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호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 레일의 주행면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호차와, 상기 개폐 구동 기구에 대해 상기 도어를 유지하여 연결하기 위한 구동 연결부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2 호차와 상기 구동 연결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한 탄성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요동 부재와 상기 구동 연결부를 접속하는 탄성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현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지지된 제1 호차가 하부 레일을 주행하고,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요동 부재에 지지된 제2 호차가 상부 레일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하 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하는 제1 호차 및 제2 호차에 의해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가 구성되게 되어,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구동 기구에 대해 도어를 연결하기 위한 구동 연결부와 요동 부재를 접속하는 탄성 연결 기구가, 탄성부를 갖고 있으며,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호차와 구동 연결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구동 시에 있어서의 가감속 시에서는,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따라 탄성 연결 기구 및 요동 부재가 도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상부 레일에 대해 제2 호차로부터 작용하는 면압이 일시적으로 높아지지만, 등속 시에 곧바로 탄성부의 탄성 변형이 원래대로 되돌아가, 상부 레일과 제2 호차의 거리 관계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 도어의 개폐 방향의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거나 끼이거나 해 버림으로써 도어측으로부터 부하가 작용한 경우여도,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따라 탄성 연결 기구 및 요동 부재가 도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상부 레일에 대한 제2 호차의 위치가 상기의 부하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호차를 상부 레일에 대해, 가볍게 접촉할 정도로 배치하거나, 혹은, 소정 범위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호차가 레일을 주행할 때에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주행 저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가감속 시나 이물 충돌 시에도 부하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호차가 포지셔닝되어,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여기에서, 소정 범위의 간극이란, 상부 레일의 하단부와 제2 호차의 상단부가 수평 방향에서 겹쳐져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레일의 하단부와 제2 호차의 상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폭)인 겹침 폭이 확보되는 범위의 간극이다. 또, 제2 호차를 상부 레일에 대해, 어느 정도 접촉시킨 상태로 배치하거나, 혹은, 소정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는 것과 같은 제2 호차의 위치 조정이, 상술한 탈륜 방지 성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를 설치할 때에, 위치 조정의 수고를 거의 요하지 않으며,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1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차는, 상기 탄성 연결 기구에 대해, 상기 도어의 닫힘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인 도어 앞쪽과 상기 도어의 열림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인 도어 끝쪽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2 호차가, 탄성 연결 기구에 대해 도어 앞쪽 및 도어 끝쪽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의 열림 구동 시 및 닫힘 구동 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가감속 시나 도어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였을 때에,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부 레일에 대한 제2 호차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 구동 시 및 닫힘 구동 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로서,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도어 앞쪽에서 연결되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도어 끝쪽에서 연결되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연결 기구는, 상기 구동 연결부에 대해 상기 탄성부를 통해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접속됨과 더불어 양단측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연결 부재를 가지며, 4개의 링크로서 설치된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사각형 링크 기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호차를 지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의 양측에 도어 앞쪽 및 도어 끝쪽의 요동 부재가 각각 연결되며, 또한 2개의 요동 부재를 연결하도록 탄성 연결 기구의 요동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4개의 링크를 갖는 사각형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가감속이나 이물의 충돌에 따라,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부 레일에 대한 제2 호차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할 수 있는 구조를, 사각형 링크 기구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3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는, 상기 제2 호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의 연결 위치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의 연결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호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2 호차를 지지하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대해 제2 호차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따른 도어 앞쪽 요동 부재를 통한 제2 호차의 응답 성능을 보다 빨리 설정할 수 있어, 제2 호차를 보다 빨리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할 수 있다. 한편,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따라 도어 앞쪽 요동 부재를 통해 제2 호차로부터 상부 레일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보다 큰 힘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 있어서,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대한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따른 제2 호차의 응답 성능의 설정이나 제2 호차로부터 상부 레일에 작용하는 힘의 설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4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차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2 호차의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2 호차의 차축과 요동 연결 부재 및 도어 앞쪽 요동 부재의 회전축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재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3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에는, 상기 제2 호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의 연결 위치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의 연결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호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2 호차를 지지하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대해 제2 호차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따른 도어 끝쪽 요동 부재를 통한 제2 호차의 응답 성능을 보다 빨리 설정할 수 있어, 제2 호차를 보다 빨리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할 수 있다. 한편,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따라 도어 끝쪽 요동 부재를 통해 제2 호차로부터 상부 레일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보다 큰 힘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끝쪽 요동 부재에 있어서, 제1 호차 지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에 대한 요동 연결 부재와의 연결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탄성 연결 기구의 작동에 따른 제2 호차의 응답 성능의 설정이나 제2 호차로부터 상부 레일에 작용하는 힘의 설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6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차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2 호차의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2 호차의 차축과 요동 연결 부재 및 도어 끝쪽 요동 부재의 회전축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재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는, 제3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결 부재는, 상기 구동 연결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요동 연결 부재가 상기 구동 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동 연결부를 역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로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 부재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연결부를 탄성 가압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각각 상기 요동 연결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스프링 부재의 단부를 각각 요동 연결 부재에 지지함과 더불어, 그 한 쌍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동 연결부를 역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탄성 연결 기구를 간소한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에 대해서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가 구동 연결부를 통해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또, 한 쌍의 스프링 부재가 구동 연결부를 통해 서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른 관점의 발명으로서, 상술한 어느 하나의 도어 행잉 장치를 구비한 도어 장치의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9 발명에 따른 도어 장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도어 행잉 장치와,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행잉 장치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된 상태로 지지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 행잉 장치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개폐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의 탈륜 및 도어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그 도어 행잉 장치를 구비한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도어 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레일의 C-C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도어 장치의 도어 행잉 장치에 있어서의 호차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D-D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호차 기구의 제1 및 제2 호차와 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제2 호차 및 레일의 배치 관계와 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호차 기구를 레일 및 도어의 일부와 함께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요동 연결 부재와 요동 부재의 연결 위치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도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도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도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도어를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개폐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도어 행잉 장치 및 그 도어 행잉 장치를 구비한 도어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철도 차량에 있어서 적용되는 도어 행잉 장치 및 도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되는 도어 행잉 장치 및 도어 장치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장치(2)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도어 장치(2)는, 예를 들면, 철도 차량의 측벽이 구조물로서 적용된다. 또한, 도 1은, 철도 차량의 내측에서 본 도어 장치(2)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철도 차량의 측벽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며, 도어 장치(2)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어 장치(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행잉 장치(1), 도어(11)(도 1에서는, 일부를 도시), 개폐 구동 기구(1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어(11)는, 철도 차량의 측벽(이하, 「구조물」이라고 한다)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철도 차량에 있어서 승객이 승강하기 위해 설치된 사이드 도어를 구성하고 있다. 도어 장치(2)에서는, 도어(11)로서 2장의 도어(11a) 및 도어(1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1)(11a, 11b)는, 후술하는 도어 행잉 장치(1)에 의해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구조물에는, 도어 행잉 장치(1)에 있어서의 레일(13)이, 수평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1a) 및 도어(11b)는, 각각 상단부에서 도어 행잉 장치(1)에 있어서의 후술의 호차 기구(14)에 의해 지지되며, 레일(13)을 따라 서로 접근하여 접촉함으로써 닫히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 구동 기구(12)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도어 행잉 장치(1)에 연결됨과 더불어 도어(11)(11a, 11b)를 개폐 구동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개폐 구동 기구(12)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 구동 풀리(15), 종동 풀리(16), 벨트(1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트(17)는, 구동 풀리(15) 및 종동 풀리(16)에 대해 주회 가능하게 감겨진 무단형상의 벨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풀리(15)가 회전함으로써, 구동 풀리(15)에 감겨진 벨트(17)가 주회하며, 이 벨트(17)와 함께 종동 풀리(16)도 회전하게 된다.
또, 구동 모터는, 도시 생략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개폐 구동 기구(12)의 벨트(17)에 연결된 도어 행잉 장치(1)를 통해 현가한 상태로 지지된 도어(11)(11a, 11b)가,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또한, 도 1은, 2장의 도어(11)(11a, 11b)가 닫혀진 전폐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2장의 도어(11)가 개방된 전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벨트(17)가 주회하도록 개폐 구동 기구(12)가 작동함으로써, 도어 행잉 장치(1)에 있어서의 후술의 각 호차 기구(14a, 14b)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2장의 도어(11)(11a, 11b)가 도 2에 나타낸 전개 위치의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벨트(17)가 주회하도록 개폐 구동 기구(12)가 작동함으로써, 각 호차 기구(14a, 14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2장의 도어(11)(11a, 11b)가 도 1에 나타낸 전폐 위치의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행잉 장치(1)는, 레일(13)과, 호차 기구(14)(14a, 1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C-C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레일(13)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레일(13)은, 구조물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주행면(18a, 18b)이 각각 설치된 상부 레일(13a) 및 하부 레일(13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레일(13a) 및 하부 레일(13b)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레일(13)에 있어서의 가교부(13c)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레일(13a)의 주행면(18a)의 단면은, 아래쪽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레일(13b)의 주행면(18b)의 단면은, 주행면(18a)에 대향하여 위쪽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레일(13)의 형태는 예시이며, 예를 들면, 원호형상으로 오목해지도록 형성되는 등, 레일(13)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상부 레일(13a) 및 하부 레일(13b)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상부 레일(13a) 및 하부 레일(13b)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또, 별체로 형성되어 다른 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호차 기구(14)(14a, 14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어(11a, 11b)에 대응하여 1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개폐 구동 기구(12)의 벨트(1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호차 기구(14a)는, 도어(11a)를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으며, 호차 기구(14b)는, 도어(11b)를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호차 기구(14a)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일부를 절결 상태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호차 기구(14a)는, 복수의 제1 호차(19, 20), 제1 호차 지지 부재(21), 복수의 요동 부재(22, 23), 복수의 제2 호차(24, 25), 구동 연결부(26), 탄성 연결 기구(27), 행거(2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 1에 나타낸 2개의 호차 기구(14) 중, 종동 풀리(16)측에 배치되어 도어(11a)에 연결된 호차 기구(14a)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 풀리(15)측에 배치되어 도어(11b)에 연결된 호차 기구(14b)에 대해서는, 호차 기구(14a)에 대해, 2장의 도어(11)의 중간 위치를 통해 기기가 선대칭인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과 구동 연결부(26)의 길이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 호차 기구(14a)만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D-D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레일(13)의 단면도이며, 제1 호차(19) 및 제2 호차(24)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레일(13), 제1 호차(19) 및 제2 호차(24) 이외의 요소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호차(19, 20)는, 하부 레일(13b)의 주행면(18b)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호차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호차(19, 20)는, 레일(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호차 기구(14a)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이하,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이라고 한다)에 대해 거의 선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호차(19, 20)로서는, 도어 끝쪽 제1 호차(19)와 도어 앞쪽 제1 호차(20)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끝쪽 제1 호차(19)(19a, 19b)는,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에 대해, 도어의 열림 방향(도 4 중의 화살표 E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인 도어 끝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 끝쪽 제1 호차(19)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으며,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으로부터 도어 끝쪽을 향해 도어 끝쪽 제1 호차(19b)와 도어 끝쪽 제1 호차(19a)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 앞쪽 제1 호차(20)(20a, 20b)는,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에 대해, 도어의 닫힘 방향(도 4 중의 화살표 F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인 도어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 앞쪽 제1 호차(20)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으며,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으로부터 도어 앞쪽을 향해 도어 앞쪽 제1 호차(20a)와 도어 앞쪽 제1 호차(20b)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 끝쪽 제1 호차(19) 및 도어 앞쪽 제1 호차(20)가 각각 복수 설치됨으로써, 제1 호차(19, 20)로부터 하부 레일(13b)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제1 호차(19, 20)와 하부 레일(13b)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면압을 저감하여, 제1 호차(19, 20)에 있어서의 주행 저항의 저감이나 마모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제1 호차(19a, 19b, 20a, 20b)에 있어서, 하부 레일(13b)을 주행할 때에 그 하부 레일(13b)의 주행면(18b)을 전동(轉動)하는 전동면의 호차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주행면(18b)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끝쪽 제1 호차(19) 및 도어 앞쪽 제1 호차(20)가,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있는 호차 기구(14a)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며, 도어 끝쪽 제1 호차(19) 및 도어 앞쪽 제1 호차(20)가, 1개씩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4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호차 지지 부재(21)는, 행거(28)를 통해 도어(11a)를 현가함과 더불어, 제1 호차(19, 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로서, 도어 끝쪽 제1 호차(19a, 19b)를 지지하는 부재와, 도어 앞쪽 제1 호차(20a, 20b)를 지지하는 부재와, 이들 양 부재를 양단부에 각각 고정하여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부재를 가지며, 1개의 축형상으로 결합된 부재로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제1 호차 지지 부재(21)는, 레일(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도어 끝쪽에서는, 도어 끝쪽 제1 호차(19a)가 차축(31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 끝쪽 제1 호차(19b)가 차축(31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도어 앞쪽에서는, 도어 앞쪽 제1 호차(20b)가 차축(32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 앞쪽 제1 호차(20a)가 차축(32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행거(28)는, 도어(11a)를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현가하기 위한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행거(28)에는, 도어(11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도어 결합 부재(28a)와, 도어 결합 부재(28a)의 위쪽에 고정됨과 더불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28b, 28c)가 구비되어 있다. 부착 부재(28b, 28c)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을 사이에 둔 양측의 위치에서 부착되어 있다. 또, 각 부착 부재(28b, 28c)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레일(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힌지 부분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행거(28)는, 개폐 구동 기구(12)의 작동에 의해 호차 기구(14a)가 레일(13)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때에,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도어(11a)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 함께 도어(11a)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부재(22, 23)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축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부재(22, 23)로서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도어 끝쪽에서 연결되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도어 앞쪽에서 연결되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는, 그 한쪽의 단부에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도어 끝쪽의 단부에 대해, 차축(31a)과 동축 상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는, 그 한쪽의 단부에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도어 앞쪽의 단부에 대해, 차축(32b)과 동축 상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요동 부재(22, 23)가, 제1 호차(19a, 20b)의 차축(31a, 32b)과 동축 상에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호차 기구(14a)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며, 각 요동 부재(22, 23)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연결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가, 복수의 도어 끝쪽 제1 호차(19a, 19b)의 사이에서 차축(31a, 31b)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통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복수의 도어 앞쪽 제1 호차(20a, 20b)의 사이에서 차축(32a, 32b)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통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호차(24, 25)는, 요동 부재(22, 2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부 레일(13a)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호차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호차(24, 25)는,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에 대해 거의 선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의 탄성 연결 기구(27)에 대해 도어 끝쪽과 도어 앞쪽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호차(24, 25)로서는,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에 대해 도어 끝쪽에 배치되는 도어 끝쪽 제2 호차(24)와, 호차 기구(14a)의 중심선에 대해 도어 앞쪽에 배치되는 도어 앞쪽 제2 호차(25)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끝쪽 제2 호차(24)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대해, 이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있어서의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연결되는 한쪽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다른 쪽의 단부에 있어서, 차축(33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어 앞쪽 제2 호차(25)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대해, 이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있어서의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연결되는 한쪽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다른 쪽의 단부에 있어서, 차축(33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끝쪽 제2 호차(24)는, 호차 기구(14a)에 있어서 가장 도어 끝쪽에 배치된 제1 호차인 도어 끝쪽 제1 호차(19a)보다 더 도어 끝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앞쪽 제2 호차(25)는, 호차 기구(14a)에 있어서 가장 도어 앞쪽에 배치된 제1 호차인 도어 앞쪽 제1 호차(20b)보다 더 도어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제2 호차(24, 25)는, 제1 호차(19, 20)가 하부 레일(13b) 상을 주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즉, 제1 호차 기구(14a)가 구조물에 대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상단측에서 상부 레일(13a)의 주행면(18a)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통해 혹은 가볍게 접하는 정도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2 호차(24, 25)에 있어서, 호차 기구(14a)가 레일(1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부 레일(13a)의 주행면(18a)을 전동 가능한 전동면의 호차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주행면(18a)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호차(24, 25)가 상부 레일(13a)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통해 혹은 가볍게 접하는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제2 호차(24, 25)가 상부 레일(13a)에 대해 소정 범위의 간극을 통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도 6은, 제2 호차(24)의 측면과 레일(13)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a)는, 제2 호차(24)가 상부 레일(13a)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통해 혹은 가볍게 접하는 정도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본 실시 형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제2 호차(24)가 상부 레일(13a)에 대해 소정 범위의 간극을 통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부 레일(13a)의 주행면(18a)과 제2 호차(24)의 전동면(24a)이 약간 떨어진 혹은 가볍게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레일(13a)의 하단부와 제2 호차(24)의 상단부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레일(13a)의 하단부와 제2 호차(24)의 상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폭)인 겹침 폭의 치수는, 도면 중 양단 화살표 G1로 나타낸 폭 치수가 된다. 즉, 주행면(18a)의 하단부와, 제2 호차(24)에서 전동면(24a)의 양 가장자리 부분(24b)에 있어서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 사이의 폭 치수가 된다.
한편, 도 6(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부 레일(13a)의 주행면(18a)과 제2 호차(24)의 전동면(24a)은, 도면 중 양단 화살표 H로 치수를 나타낸 간극을 통해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전동면(24a)의 중앙부에 대해 소정 크기의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주행면(18a)의 하단부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위치)에 대해, 제2 호차(24)의 양 가장자리 부분(24b)에 있어서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높이 위치가 위쪽에 위치하도록, 제2 호차(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레일(13a)과 제2 호차(24)의 겹침 폭으로서, 도면 중 양단 화살표 G2로 나타낸 폭 치수를 갖는 겹침 폭이 확보되게 된다. 이 도 6(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호차(24, 25)는, 상부 레일(13a)에 대해, 겹침 폭이 확보되는 범위의 간극인 소정 범위의 간극을 통해 배치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연결부(26)는, 개폐 구동 기구(12)에 대해 도어(11a)를 유지하여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연결부(26)는, 상단측의 단부가 벨트(17)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하단측에 있어서 후술의 탄성 연결 기구(27)에 대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연결부(26)는, 탄성 연결 기구(27), 요동 부재(22, 23), 제1 호차 지지 부재(21) 및 행거(28)를 통해, 도어(11a)를 벨트(17)에 대해 유지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구동 연결부(26)의 하단측의 단부에는 레일(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에 대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중앙 부분이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호차 지지 부재(21)가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상대 변위될 때에,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상대 변위 방향을 구동 연결부(26)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행거(28)를 통해 연결된 도어(11a)의 이동이, 상하 레일(13a, 13b)이 배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이 되도록, 더욱 규제되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연결 기구(27)는, 요동 부재(22, 23)와 구동 연결부(26)를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기구로서 설치되며,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와, 요동 연결 부재(2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는,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2 호차(24, 25)와 구동 연결부(26)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성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는, 각각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레일(13)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30a)는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도어 끝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 부재(30b)가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도어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요동 연결 부재(29)는,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를 통해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접속되는 축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연결 부재(29)는, 그 양단측에 있어서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단부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의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요동 연결 부재(29)는, 구동 연결부(26)에 있어서 레일(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치된 각 스프링 부재(30a, 30b)의 내측을 구동 연결부(26)의 양측에서 각각 관통하고 있다. 또한, 요동 연결 부재(29)는, 구동 연결부(26)의 관통구멍에 대해, 소정의 기울어짐이 허용되도록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는, 요동 연결 부재(29)가 구동 연결부(26)를 관통하는 관통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구동 연결부(26)를 역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각각에 있어서의 구동 연결부(26)를 탄성 가압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각각 요동 연결 부재(29)에 형성되어 구동 연결부(26)의 양측에 배치된 플랜지부(29a, 29b)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스프링 부재(30a, 30b)는, 구동 연결부(26)를 통해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또, 구동 연결부(26)를 통해 서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스프링 부재(30a, 30b)가 인장 스프링으로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스프링 부재(30a, 30b)의 양단부는, 구동 연결부(26) 및 플랜지부(29a, 29b)에 대해 고정될 필요가 있다. 한편, 스프링 부재(30a, 30b)가 압축 스프링으로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스프링 부재(30a, 30b)의 양단부는, 구동 연결부(26) 및 플랜지부(29a, 29b)에 대해,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어도 되며, 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연결 위치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연결 위치에 대해,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지지된 제2 호차(24)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호차(24)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33a)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의 연결 위치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연결 위치에 대해,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지지된 제2 호차(25)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호차(25)가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33b)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요동 연결 부재(29)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요동 연결 부재(29)에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제1 호차 지지 부재(2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호차 기구(14a)에서는, 4개의 링크로서 설치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와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링크에 의해, 사각형 링크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도어 장치(2) 및 도어 행잉 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장치(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 개폐 구동 기구(12)가 작동함으로써, 각 호차 기구(14a, 14b)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호차 기구(14a, 14b)에 각각 현가된 각 도어(11a, 11b)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되게 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개폐 구동 기구(12)의 구동 모터가 상기의 개방 동작의 경우와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호차 기구(14a 14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도어(11a, 11b)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혀지게 된다.
또, 도어 행잉 장치(1)에서는, 개폐 구동 기구(12)의 작동에 따라, 레일(13)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개폐 방향으로, 호차 기구(14a)가 도어(11a)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호차 기구(14b)가 도어(11b)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또한, 호차 기구(14a) 및 호차 기구(14b)에 대해서는, 2장의 도어(11)의 중간 위치를 통해 선대칭 상태로 동일하게 작동하게 되므로, 이하, 호차 기구(14a)의 작동만을 설명한다.
도 7은, 호차 기구(14a)를 상하 레일(13a, 13b) 및 도어(11a)의 일부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며, 제1 호차 지지 부재(21),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 요동 연결 부재(29) 및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대해, 파선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개폐 구동 기구(12)가 작동하고 있지 않으며 도어(11a)가 구조물에 대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가압력이 평형된 상태로, 제2 호차(24, 25)와 구동 연결부(26)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위치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의 상태로부터, 개폐 구동 기구(12)의 작동에 따른 호차 기구(14a)의 가감속 운전(등속 운전의 전후에서 이루어지는 운전이며, 등속 운전하는 시간에 비해 짧은 시간이다)이 행해지면,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에 따라 요동 연결 부재(29) 및 요동 부재(22, 23)의 도어(11a)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상태가 약간 변화하여, 상부 레일(13a)에 대해 제2 호차(24, 25)로부터 작용하는 면압이 변화하게 된다. 또, 도어(11a)의 개폐 방향의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거나 끼이거나 해 버림으로써 도어(11a)측으로부터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에 따라 요동 연결 부재(29) 및 요동 부재(22, 23)의 도어(11a)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호차 기구(14a)가 가속 운전으로부터 등속 운전으로 전환되면,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변형이 없어져, 요동 연결 부재(29) 및 요동 부재(22, 23)의 도어(11a)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상태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고, 상부 레일(13a)에 대해 제2 호차(24, 25)로부터 작용하는 면압이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주행 저항은 거의 없어진다.
도 7에서는, 도어(11a)의 닫힘 동작 중에 도어(11a)의 도어 앞쪽의 단부에 이물이 충돌한 경우에 있어서 호차 기구(14a)에 작용하는 몇 가지의 힘의 방향을 각 화살표(K1~6)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속 운전 중인 호차 기구(14a)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각 화살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감속 운전 중인 호차 기구(14a)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각 화살표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힘이 작용하여, 가속 운전 중인 호차 기구(14a)와 선대칭인 상태로 힘이 작용할 뿐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1a)의 닫힘 동작 중에서는, 개폐 구동 기구(12)의 벨트(17)로부터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화살표 K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앞쪽의 방향을 향해 구동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어(11a)의 도어 앞쪽의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면, 도어(11a)에는 화살표 K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끝쪽의 방향을 향해 부하가 작용한다. 이와 같이 도어(11a)에 부하가 작용하면, 호차 기구(14a)에서는, 이 부하가, 행거(28) 및 제1 호차 지지 부재(21)를 통해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 및 도어 끝쪽 제2 호차(24)에 작용한다. 이에 의해,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가, 도어 끝쪽 제1 호차(19a)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을 향해 요동하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K3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변위된다. 또한, 도어 끝쪽 제2 호차(24)가 위쪽으로(도면 중 화살표 K4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부 레일(13a)에 접촉하여, 상부 레일(13a)과 제2 호차(24)의 면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어 끝쪽 제2 호차(24)가 변위됨과 더불어,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에 따라 요동 연결 부재(29)가 구동 연결부(26)에 대해 도어 앞쪽을 향해 상대 변위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도어 앞쪽 제1 호차(20b)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을 향해 요동하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K5로 나타낸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변위된다. 또한, 도어 앞쪽 제2 호차(25)가 아래쪽으로(도면 중 화살표 K6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부 레일(13b)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또한, 이 때,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는, 서로 역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탄성 변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닫힘 동작 중인 도어(11a)의 도어 앞쪽의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여 도어(11a)측으로부터 부하가 작용한 경우여도,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에 따라 4개의 링크(21, 22, 29, 23)가 도어(11a)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부 레일(13a)에 대한 제2 호차(24, 25)의 위치가 상기의 부하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4개의 링크(21, 22, 29, 23)나 제1 및 제2 호차(19, 20)의 변위량은, 상하 레일(13a, 13b) 사이의 공간에서 허용되는 범위의 변위량이 된다.
이상 설명한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도어(11)(11a, 11b)를 현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지지된 제1 호차(19, 20)가 하부 레일(13b)을 주행하여, 제1 호차 지지 부재(21)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요동 부재(22, 23)에 지지된 제2 호차(24, 25)가 상부 레일(13a)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하 레일(13a, 1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하는 제1 호차(19, 20) 및 제2 호차(24, 25)에 의해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가 구성되게 되어, 도어(11)(11a, 11b)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19, 20, 24, 25)의 탈륜 및 도어(11)(11a, 11b)의 기울어짐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또한,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개폐 구동 기구(12)에 대해 도어(11)(11a, 11b)를 연결하기 위한 구동 연결부(26)와 요동 부재(22, 23)를 접속하는 탄성 연결 기구(27)가, 탄성부인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를 갖고 있으며,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호차(24, 25)와 구동 연결부(26)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11)(11a, 11b)의 개폐 구동 시에 있어서의 가감속 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에 따라 요동 연결 부재(29) 및 요동 부재(22, 23)가 도어(11)(11a, 11b)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상부 레일(13a)에 대해 제2 호차(24, 25)로부터 작용하는 면압이 일시적으로 높아지지만, 등속 시에 곧바로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이 원래대로 되돌아가, 상부 레일(13a)과 제2 호차(24, 25)의 거리 관계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 도어(11)(11a, 11b)의 개폐 방향의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거나 끼이거나 해 버림으로써 도어(11)(11a, 11b)측으로부터 부하가 작용한 경우여도,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탄성 변형에 따라 요동 연결 부재(29) 및 요동 부재(22, 23)가 도어(11)(11a, 11b)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상부 레일(13a)에 대한 제2 호차(24, 25)의 위치가 상기의 부하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제2 호차(24, 25)를 상부 레일(13a)에 대해, 가볍게 접하는 정도로 배치하거나, 혹은, 상부 레일(13a)과 제2 호차(24, 25)의 겹침 폭이 확보되는 소정 범위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호차(19, 20, 24, 25)가 레일(13)을 주행할 때에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주행 저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1)(11a, 11b)의 가감속 시나 이물 충돌 시에도 부하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호차(19, 20, 24, 25)가 포지셔닝되어, 호차(19, 20, 24, 25)의 탈륜 및 도어(11)(11a, 11b)의 기울어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제2 호차(24, 25)를 상부 레일(13a)에 대해, 어느 정도 접촉시킨 상태로 배치하거나, 혹은, 소정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는 것과 같은 제2 호차(24, 25)의 위치 조정이, 상술한 탈륜 방지 성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어 행잉 장치(1)를 설치할 때에, 위치 조정의 수고를 거의 요하지 않으며,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어(11)(11a, 11b)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호차(19, 20, 24, 25)의 탈륜 및 도어(11)(11a, 11b)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제2 호차(24, 25)가, 탄성 연결 기구(27)에 대해 도어 앞쪽 및 도어 끝쪽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11)(11a, 11b)의 열림 구동 시 및 닫힘 구동 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가감속 시나 도어 단부에 이물이 충돌하였을 때에,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의해, 상부 레일(13a)에 대한 제2 호차(24, 25)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된다. 따라서, 도어(11)(11a, 11b)의 열림 구동 시 및 닫힘 구동 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호차(19, 20, 24, 25)의 탈륜 및 도어(11)(11a, 11b)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탈륜을 방지하는 기구에 의한 주행 저항이 거의 없는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제1 호차(19, 20)를 지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양측에 도어 앞쪽 및 도어 끝쪽의 요동 부재(22, 23)가 각각 연결되며, 또한 2개의 요동 부재(22, 23)를 연결하도록 탄성 연결 기구(27)의 요동 연결 부재(29)가 연결되어, 4개의 링크를 갖는 사각형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도어(11)(11a, 11b)의 가감속이나 이물의 충돌에 따라,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의해, 상부 레일(13a)에 대한 제2 호차(24, 25)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할 수 있는 구조를, 사각형 링크 기구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도어 끝쪽 제2 호차(24)를 지지하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에 대해 도어 끝쪽 제2 호차(24)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따른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를 통한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응답 성능을 보다 빨리 설정할 수 있어, 도어 끝쪽 제2 호차(24)를 보다 빨리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할 수 있다. 한편,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따라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를 통해 도어 끝쪽 제2 호차(24)로부터 상부 레일(13a)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보다 큰 힘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에 있어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에 대한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따른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응답 성능의 설정이나 도어 끝쪽 제2 호차(24)로부터 상부 레일(13a)에 작용하는 힘의 설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차축(33a)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차축(33a)과 요동 연결 부재(29) 및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회전축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재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도어 앞쪽 제2 호차(25)를 지지하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에 대해 도어 앞쪽 제2 호차(25)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따른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를 통한 도어 앞쪽 제2 호차(25)의 응답 성능을 보다 빨리 설정할 수 있어, 도어 앞쪽 제2 호차(25)를 보다 빨리 적절한 위치에 포지셔닝할 수 있다. 한편,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가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따라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를 통해 도어 앞쪽 제2 호차(25)로부터 상부 레일(13a)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보다 큰 힘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에 있어서, 제1 호차 지지 부재(21)와의 연결 위치에 대한 요동 연결 부재(29)와의 연결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탄성 연결 기구(27)의 작동에 따른 도어 앞쪽 제2 호차(25)의 응답 성능의 설정이나 도어 앞쪽 제2 호차(25)로부터 상부 레일(13a)에 작용하는 힘의 설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도어 앞쪽 제2 호차(25)의 차축(33b)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도어 앞쪽 제2 호차(25)의 차축(33b)과 요동 연결 부재(29) 및 도어 앞쪽 요동 부재(23)의 회전축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재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행잉 장치(1) 및 도어 장치(2)에 의하면,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의 단부를 각각 요동 연결 부재(29)에 지지함과 더불어, 그 한 쌍의 스프링 부재(30a, 30b)에 의해 구동 연결부(26)를 역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탄성 연결 기구(27)를 간소한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11)는 1장이어도 되고, 그 외,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호차 지지 부재, 요동 부재 및 요동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링크 기구가 4개의 링크로 구성된 사각형 링크 기구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즉, 제1 호차 지지 부재, 요동 부재 및 요동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링크 기구가 5개 이상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 기구여도 된다.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호차 지지 부재가 구동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호차 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며, 제1 호차 지지 부재가 구동 연결부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연결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3) 호차 기구에 설치되는 제1 호차 및 제2 호차의 개수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요동 부재에 각각 제2 호차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즉, 복수의 요동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호차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로서 코일 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며, 탄성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스펀지 고무 등의 다양한 형태의 탄성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5)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끝쪽 제2 호차의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며, 도어 앞쪽 제2 호차의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요동 연결 부재와 도어 앞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도 8은, 도어 끝쪽 제2 호차의 차축과 어긋난 위치에서 요동 연결 부재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는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제1 호차 지지 부재(21) 및 요동 연결 부재(29)의 일부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와, 도어 끝쪽 제1 호차(19a, 19b)와, 도어 끝쪽 제2 호차(24)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의거하여, 요동 연결 부재 및 도어 끝쪽 요동 부재의 연결 위치의 변형예만을 설명하지만, 요동 연결 부재 및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 대해서도 도어 앞쪽 제2 호차의 차축과 어긋난 위치에서 동일하게 연결되게 된다.
도 8(a)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4)의 위치, 즉,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연결 위치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 및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연결 위치와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차축(33a)의 위치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요동 연결 부재(29) 및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연결 위치가 차축(33a)과 동축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응답 성능을 보다 빨리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8(b)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5)의 위치, 즉, 요동 연결 부재(29)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연결 위치가,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 및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연결 위치에 대해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차축(33a)으로부터 더 도어 끝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 및 제1 호차 지지 부재(21)의 연결 위치와, 요동 연결 부재(29) 및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연결 위치 사이의 위치에, 도어 끝쪽 제2 호차(24)의 차축(3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요동 연결 부재(29) 및 도어 끝쪽 요동 부재(22)의 연결 위치가 차축(33a)과 동축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도어 끝쪽 제2 호차(24)로부터 상부 레일(13a)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보다 큰 힘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의 도어 장치에서는, 개폐 구동 기구가, 구동 모터, 구동 풀리, 종동 풀리, 벨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며, 구조물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 구동 가능한 기구이면,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 형태와는 다른 개폐 구동 기구가 설치된 변형예에 따른 도어 장치(3), 도어 장치(4) 및 도어 장치(5)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이며, 본 실시 형태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도어 장치(3, 4, 5)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도어 장치(2)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도어 장치(3)에서는, 개폐 구동 기구(40)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 피니언(41), 상부 랙(42), 하부 랙(4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41)은,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의 회전과 함께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피니언(41)은, 위쪽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부 랙(42)과, 아래쪽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하부 랙(43)에 대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랙(42) 및 하부 랙(43)은, 구조물에 대해, 레일(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41)이 회전함으로써, 서로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랙(42)은, 도어(11b)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는 호차 기구(14b)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랙(43)은, 도어(11a)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는 호차 기구(14a)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의 정회전 운전 및 역회전 운전에 따른 피니언(41)의 회전에 의해, 도어(11)(11a, 11b)가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도어 장치(4)에서는, 개폐 구동 기구(50)는, 구동 모터(51), 스크류축(52), 회전 받침부(53), 너트 부재(54a, 54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축(52)은, 한쪽의 단부가 구동 모터(51)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단부가 회전 받침부(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크류축(52)은, 구동 모터(51)의 회전과 함께 회전 구동된다. 또, 스크류축(52)에는, 중앙 부분으로부터 한쪽의 단부측에 걸쳐 형성된 수나사 부분(52a)과, 중앙 부분으로부터 다른 쪽의 단부측에 걸쳐 형성된 수나사 부분(52b)이, 역방향의 나사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54a, 54b)는, 스크류축(52)에 나사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도어 행잉 장치(1)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54a)는, 스크류축(52)에 있어서의 한쪽의 수나사 부분(52a)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도어(11a)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는 호차 기구(14a)에 연결되어 있다. 또, 너트 부재(54b)는, 스크류축(52)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수나사 부분(52b)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도어(11b)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는 호차 기구(14b)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51)의 정회전 운전 및 역회전 운전에 따른 스크류축(52)의 회전에 의해, 도어(11)(11a, 11b)가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낸 도어 장치(5)에서는, 개폐 구동 기구(60)는, 구동 모터(61), 스크류축(62a, 62b), 회전 받침부(63a, 63b, 63c), 기어부(64a, 64b), 너트 부재(65a, 65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축(62a)은, 한쪽의 단부가 구동 모터(61)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단부가 회전 받침부(6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크류축(62a)은, 구동 모터(61)의 회전과 함께 회전 구동된다. 한편, 스크류축(62b)은, 스크류축(62a)과 동일 방향의 나사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의 단부 모두 회전 받침부(63b, 63c)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축(62a)에는, 외주에 평기어의 톱니가 형성된 기어부(64a)가 동축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 스크류축(62b)에는, 외주에 평기어의 톱니가 형성됨과 더불어 기어부(64a)에 맞물리는 기어부(64b)가 동축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61)의 운전에 의해 스크류축(62a)이 회전하면, 기어부(64a) 및 기어부(64b)의 맞물림을 통해 스크류축(62b)이 스크류축(62a)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너트 부재(65a)는, 스크류축(62b)에 나사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도어(11a)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는 호차 기구(14a)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너트 부재(65b)는, 스크류축(62a)에 나사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도어(11b)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는 호차 기구(14b)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61)의 정회전 운전 및 역회전 운전에 따른 스크류축(62a) 및 스크류축(62b)의 회전에 의해, 도어(11)(11a, 11b)가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도어를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개폐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도어 행잉 장치, 및 그 도어 행잉 장치를 구비한 도어 장치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도어 행잉 장치
11, 11a, 11b : 도어
12 : 개폐 구동 기구
13 : 레일
13a : 상부 레일
13b : 하부 레일
18a, 18b : 주행면
19, 19a, 19b : 도어 끝쪽 제1 호차(제1 호차)
20, 20a, 20b : 도어 앞쪽 제1 호차(제1 호차)
21 : 제1 호차 지지 부재
22 : 도어 끝쪽 요동 부재(요동 부재)
23 : 도어 앞쪽 요동 부재(요동 부재)
24 : 도어 끝쪽 제2 호차(제2 호차)
25 : 도어 앞쪽 제2 호차(제2 호차)
26 : 구동 연결부
27 : 탄성 연결 기구
30a, 30b : 한 쌍의 스프링 부재(탄성부)

Claims (9)

  1. 구조물에 설치되어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도어를 상기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한 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개폐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도어 행잉 장치로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주행면이 각각 설치된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갖는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의 주행면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제1 호차와,
    상기 도어를 현가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호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호차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 레일의 주행면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호차와,
    상기 개폐 구동 기구에 대해 상기 도어를 유지하여 연결하기 위한 구동 연결부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2 호차와 상기 구동 연결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한 탄성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요동 부재와 상기 구동 연결부를 접속하는 탄성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차는, 상기 탄성 연결 기구에 대해, 상기 도어의 닫힘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인 도어 앞쪽과 상기 도어의 열림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인 도어 끝쪽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로서,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도어 앞쪽에서 연결되는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도어 끝쪽에서 연결되는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연결 기구는, 상기 구동 연결부에 대해 상기 탄성부를 통해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접속됨과 더불어 양단측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연결 부재를 가지며,
    4개의 링크로서 설치된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사각형 링크 기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는, 상기 제2 호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의 연결 위치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의 연결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호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차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앞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에는, 상기 제2 호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의 연결 위치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호차 지지 부재의 연결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호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차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동축 상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결 부재와 상기 도어 끝쪽 요동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결 부재는, 상기 구동 연결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요동 연결 부재가 상기 구동 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동 연결부를 역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 부재로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 부재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연결부를 탄성 가압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각각 상기 요동 연결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행잉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도어 행잉 장치와,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행잉 장치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현가된 상태로 지지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 행잉 장치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개폐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치.
KR1020127011887A 2009-11-17 2010-10-21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 KR101302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2000 2009-11-17
JPJP-P-2009-262000 2009-11-17
PCT/JP2010/068608 WO2011062027A1 (ja) 2009-11-17 2010-10-21 戸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632A KR20120080632A (ko) 2012-07-17
KR101302922B1 true KR101302922B1 (ko) 2013-09-06

Family

ID=4405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887A KR101302922B1 (ko) 2009-11-17 2010-10-21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503087B1 (ko)
JP (1) JP5283760B2 (ko)
KR (1) KR101302922B1 (ko)
CN (1) CN102667042B (ko)
HK (1) HK1172074A1 (ko)
TW (1) TWI411722B (ko)
WO (1) WO2011062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0096B2 (ja) * 2011-05-16 2016-02-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ドア装置
US20130286317A1 (en) * 2012-04-28 2013-10-3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Medium Composition,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T514881B1 (de) * 2013-09-23 2016-01-15 Knorr Bremse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iebetürmodul/Schwenkschiebetürmodul für ein Schienenfahrzeug mit elastischer Tragkonstruktion
JP6542540B2 (ja) * 2015-02-10 2019-07-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
JP6530612B2 (ja) * 2015-02-10 2019-06-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
TWI571559B (zh) * 2015-03-03 2017-02-21 Sliding door and its door system
JP6399490B2 (ja) * 2015-03-13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走行補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引戸装置
JP6035495B1 (ja) * 2015-12-25 2016-11-30 Amyドアテック株式会社 自動ドア装置
CN106152679B (zh) * 2016-08-15 2019-03-19 深圳市爱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血液冷库温度隔离装置
CN107605303B (zh) * 2017-09-30 2019-03-19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可调式锁紧滑轮装置及滑轨门
CN110116957B (zh) * 2019-05-31 2021-06-18 奥帝亚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门机
JP7412749B2 (ja) * 2020-02-10 2024-01-15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移動ローラーの案内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引戸装置
CN111411850B (zh) * 2020-04-28 2022-07-29 佛山市磁家有导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弹簧配重的超重型玻璃门窗提拉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177A (ja) * 1981-08-10 1983-02-16 株式会社ナブコ 車両用引戸開閉装置
JPH08291669A (ja) * 1995-04-20 1996-11-05 Yasumoto Kengu Seisakusho:Kk 自動引き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4812A (en) * 1963-06-06 1967-09-27 Deans And Lightalloys Ltd Suspension for sliding door
JPS474623Y1 (ko) * 1968-07-13 1972-02-17
JPS5841341Y2 (ja) * 1981-07-18 1983-09-19 株式会社 ヨシダ てこ式カ−テン吊下げ具
JPH08159119A (ja) * 1994-12-07 1996-06-18 N I Shi Auto Tec Kk 連結材
CN2541582Y (zh) * 2002-04-04 2003-03-26 张宝楼 电动悬吊门皮带调整组合装置
US20050081737A1 (en) * 2003-08-27 2005-04-21 Smallwood John C. Sectional overhead door roller assembly
DE10343717A1 (de) * 2003-09-20 2005-04-21 Edscha Ag Schiebetürsystem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in einer Schiene laufenden Rollenelement
JP4533675B2 (ja) * 2004-06-16 2010-09-0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JP4913145B2 (ja) * 2006-08-25 2012-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134622B2 (ja) * 2007-06-07 2013-01-3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扉装置及び鉄道車両用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177A (ja) * 1981-08-10 1983-02-16 株式会社ナブコ 車両用引戸開閉装置
JPH08291669A (ja) * 1995-04-20 1996-11-05 Yasumoto Kengu Seisakusho:Kk 自動引き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1722B (zh) 2013-10-11
HK1172074A1 (en) 2013-04-12
EP2503087B1 (en) 2019-12-04
KR20120080632A (ko) 2012-07-17
WO2011062027A1 (ja) 2011-05-26
EP2503087A1 (en) 2012-09-26
TW201135043A (en) 2011-10-16
CN102667042A (zh) 2012-09-12
CN102667042B (zh) 2015-06-10
EP2503087A4 (en) 2017-03-22
JPWO2011062027A1 (ja) 2013-04-04
JP5283760B2 (ja)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922B1 (ko)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
US20120298453A1 (en) Vibration damp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WO2012157492A1 (ja) 戸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ドア装置
TW200904683A (en) Railway vehicle door device and railway vehicle door system
EA035691B1 (ru) Перемещаемые по вертикали ворота с полотном ворот
JP2005280854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EP3056642B1 (en) Sliding door suspension device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2067703B1 (ko)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CN111749556B (zh) 一种锁闭解锁机构以及具有该机构的塞拉门系统
CN1076005C (zh) 自动电梯门的开闭装置和门联接器
JP280067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US7810280B2 (en)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1929133B (zh) 自动检票机剪式门机
KR10086351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JP561199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13135198A (zh) 一种列车站台门系统
RU243782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WO2008023435A1 (fr) Dispositif de porte pour ascenseur
JP2006199389A (ja) 輸送機用扉装置
JP2012218897A (ja) エレベータ
JP483959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122016B2 (ja) 引戸装置
KR101303408B1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JP2012111296A (ja) 可動ホーム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