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285B1 - 폴리머 부재 및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부재 및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85B1
KR101302285B1 KR1020087031707A KR20087031707A KR101302285B1 KR 101302285 B1 KR101302285 B1 KR 101302285B1 KR 1020087031707 A KR1020087031707 A KR 1020087031707A KR 20087031707 A KR20087031707 A KR 20087031707A KR 101302285 B1 KR101302285 B1 KR 10130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nomer
particle
polym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400A (ko
Inventor
구니오 나가사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05Polymer or resin [e.g., natural or synthetic rubb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머층과, 그 폴리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모노머 성분을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이며, 폴리머층이,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포함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 부재는, 폴리머층의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커버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근방은,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50 % 이내의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흡수층, 계면, 폴리머 부재, 폴리머층, 적층 구조

Description

폴리머 부재 및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POLYMER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갖는 폴리머 부재 및 상기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테이프 또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재가 되는 시트나 필름 등의 표면에, 예를 들어 미립자를 갖는 층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폴리머 성분을 바인더로 하여 유기 용제에 녹인 용액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키고, 이것을 기재에 코팅하여 다시 용제를 열 건조로 휘발시킴으로써, 기재 표면에 미립자층(미립자를 포함하는 층)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기재가 용제 등에 의해 녹아 버리는 경우나, 혹은 기재의 내열성이 낮아 열 건조로 용융, 변형하기 쉬운 경우에는 곤란하며, 또한 표면이 점착제층과 같이 점착성이 풍부한 경우도, 기재 표면에 코팅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한, 용제나 물 등의 용매를 건조해야만 해, 환경이나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덧붙여서, 이형 처리한 필름에 미립자층을 형성하여, 이것을 모재 시트에 전 사하는 것으로도 기재 시트 표면에 미립자층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미립자층 표면은 이형 시트 표면과 접촉하고 있었던 면이 노출되게 되므로, 평활해지기 쉬워 입자를 이용해서 표면을 요철화하는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기재와 미립자층과의 친화성, 상용성이 낮은 경우에는, 기재층과 미립자층과의 접착성이 부족하여, 층 사이에서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기재와 미립자층의 양쪽에 접착성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양자를 접합하는 것이 곤란해, 어느 한쪽, 혹은 양쪽에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 접착할 필요가 생긴다.
한편, 표면이 평활하지 않고, 표면에 요철을 갖는 테이프 또는 시트(「표면 요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예를 들어 방현성 필름의 용도(특허 문헌 1, 2, 3 참조)와 같이,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표면 요철 시트가 갖는 의장성, 광 산란성, 안티 블록킹성 등의 성질에 의한 것이다.
종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테이프 또는 시트(이들을「시트」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의 표면을, 엠보스 롤 등에 의해 상기 시트 표면을 거칠게 하는 등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 표면을 요철로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이 방법에 의해 탄성율이 낮은 것을 사용해서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한 경우, 제조 후의 표면 요철 시트는 롤 형상으로 감는 등 하여 보관하고 있는 사이에 표면이 평활하게 복귀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입자를 배합한 조성물(「 입자 배합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서의 용제계 도막 형성물을 시트 표면에 도포하고, 휘발성 성분(예를 들어, 용제나 유기 화합물 등)을 열 건조 등으로 증발 제거하고, 도막의 두께를 얇게 하여, 입자의 헤드를 내어, 시트 표면을 요철로 함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5 참조). 또한, 이 방법에 따르면,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열 건조 등으로 증발 제거할 필요가 있었지만, 플라스틱 시트나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등), 하드 코드층 등의 비교적 단단하고 탄성율이 높은 것으로부터, 점착제층 등의 탄성율이 낮은 것까지, 표면에 요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래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표면에 요철을 실시하는 시트가 탄성율이 높은 것에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나, 휘발성 성분의 증발 제거가 필요한 것에 따른 수고의 문제 및 휘발성 성분의 증기에 의한 인체나 환경에 대한 악영향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9170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7540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4810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공표 평9-504325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13768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시에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중합성 모노머 및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하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이 이동하여,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얻을 수 있는 것 및 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에 대한 반대면 표면에 있어서, 입자에 의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폴리머층과, 그 폴리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모노머 성분을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이며, 폴리머층이,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포함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 부재는, 폴리머층의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커버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근방은,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50 % 이내의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흡수층은,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흡수 폴리머 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적어도 하나와 공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 상용성 물질은, 입자나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는, 테이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머 부재는 비 상용성 물질이 입자이며, 표면에 상기 입자에 기인하는 요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은 후,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 위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 적층되고,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은 후,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커버 필름은 박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층은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적어도 하나와 공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의 중합 시에 광 조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은 입자나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는 동시에, 표면에 상기 입자에 기인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에 따르면, 상기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작 시에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부분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는 제2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은 제3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4는 제4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5는 제5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6은 제6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7은 제7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8은 제8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9는 제9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0은 제1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1은 제1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2는 제1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3은 제1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4는 제1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5는 제15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6은 제1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7은 제17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8은 제18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19는 제19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0은 제20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1은 제21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2는 제22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3은 제23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4는 제24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5는 제25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6은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7은 제27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8은 제28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29는 제29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0은 제3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1은 제3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2는 제3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3은 제3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4는 제3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5는 제35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6은 제1 비교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7은 제2 비교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8은 제3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39는 제4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40은 제5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41은 제6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42는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및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43은 제8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44는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IR 차트이다.
도45는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IR 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a : 제1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2a : 제2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3a : 제3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4a : 제4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5a : 제5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6a : 제6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7a : 제7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8a : 제8 실시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9a : 제9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9b : 제9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9c : 제9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0b : 제1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0c : 제1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1b : 제1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1c : 제1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2b : 제1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2c : 제1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3b : 제1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3c : 제1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4b : 제1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4c : 제1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5a : 제15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15b : 제15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5c : 제15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6a : 제1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16b : 제16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6c : 제16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7b : 제17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7c : 제17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8a : 제18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18b : 제18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8c : 제18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19a : 제19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19b : 제19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19c : 제19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0a : 제20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0b : 제2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0c : 제2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0d : 제2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1a : 제21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1b : 제2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1c : 제2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2a : 제22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2b : 제2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2c : 제2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3a : 제23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3b : 제2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3c : 제2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4a : 제24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4b : 제2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4c : 제2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5a : 제25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5b : 제25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5c : 제25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6a :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26b :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26c :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
27c : 제27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8c : 제28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29c : 제29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0c : 제30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1c : 제31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2c : 제32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3c : 제33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4c : 제34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5c : 제35 실시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
36a : 제1 비교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37a : 제2 비교예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
38a : 제3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38b : 제3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38c : 제3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38d : 제3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39a : 제4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39b : 제4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39c : 제4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40a : 제5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40b : 제5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40c : 제5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41a : 제6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41b : 제6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41c : 제6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42a :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
42b :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
42c :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43c : 제8 비교예의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는, 폴리머층과, 그 폴리머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모노머 성분을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이며, 폴리머층이,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포함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인 폴리머 부재이다.
또한, 계면은 2개의 다른 물질끼리가,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촉하는 경우 의 경계면을 말하며, 예를 들어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이 대기 중에서 존재할 경우, 당연히 공기와 접하고 있으므로,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은 계면이다. 또한, 폴리머 부재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을,「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이나「표면 또는 표면 근방」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이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모노머 성분을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머 부재는, 모노머 흡수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은 후,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얻음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으로서, 모노머 흡수층을 갖는 시트인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층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폴리머 부재는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층 표면)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 적층되고,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 커버 필름측의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은 후, 광 조사나 가열 등 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커버 필름측의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음으로써 제작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제작할 수 있다.
폴리머 부재의 형상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보통 테이프 형상이나 시트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나 모노머 흡수층의 표면은,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커버 필름은 박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혹은 박리성을 갖지 않아도 좋다.
폴리머 부재를 사용할 때, 커버 필름은 벗겨져도 좋고, 혹은 벗겨지는 일 없이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여, 폴리머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위의 커버 필름을 벗기는 등에 의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층 표면)을 노출시켜서 폴리머 부재를 사용할 경우,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층 표면)이 보통 이용면으로서 사용된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은, 빛이나 열에 의해 중합 가능한 중합성 모노머, 비 상용성 물질을 적어도 함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나 열 중합 개시제 등)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특히,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로서 미립자(입자)를 사용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인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은,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에 의한 층(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으로서의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경화시킨 입자 배합 중합 경화층이며, 입자를 층 중에 편재하는 형태로 갖는다.
이러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으로서의 입자 배합 중합 경화층을 갖는 폴리머 부재에서는, 비 상용성 물질로서의 입자는, 입자 배합 중합 경화층 중에서는 층 표면 또는 그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에 존재하므로, 입자 배합 중합 경화층 표면(입자 배합 중합 경화 층의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에서 입자에 의한 요철을 갖는다. 이로 인해, 비 상용성 물질로서의 입자를 사용하면,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고,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가지고, 또한 테이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폴리머 부재는, 그대로 표면에 요철을 갖는 테이프 또는 시트(단순히,「표면 요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나, 표면 요철 시트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요철 시트는, 예를 들어 모노머 흡수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입자 및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함으로써,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이동시키고, 표면 또는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는 형태로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고나서, 상기 입자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입자 편재 중합 경화층을 형성하고, 입자 배합 중합 경화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얻음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요철 시트는,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에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이 형성되고, 또한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박리성을 갖는 커버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 특정한 적층체를, 광 조사나 가열 등 함으로써,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커버 필름측의 표면에 요철(요철 구조)을 갖는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적층체를 사용해서 제작되는 표면 요철 시트는, 통상, 이용될 때에 커버 필름이 벗겨져,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의 요철면(요철 구조를 갖는 면)이 이용면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자 배합 조성물로서,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은, 빛이나 열에 의해 중합 가능한 중합성 모노머, 비 상용성 물질을 적어도 포함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은,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한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인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이라도 좋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은,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고, 또한 중합 개시제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라도 좋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은, (i) 활성 에너지 광선의 조사나 열에 의해 중합이 발생하여, 경화하고, 폴리머층(경화층)을 형성한다. 또한, (ⅱ)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은, 모노머 흡수층과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되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의 중합성 모노머가 모노머 흡수층으로 흡수되고, 또한 (ⅲ) 비 상용성 물질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중으로 이동하여,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 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이 된다. 이것으로부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은, 중합성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미립자 등의 입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여기서, (i)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은, 활성 에너지 광선의 조사에 의해, 광중합이 발생해서 경화한다. 또한, (ⅱ)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중합성 모노머는, 상기 특정 적층체(커버 필름,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및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체) 중의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을 제공하는 모노머 흡수층으로 흡수된다. 또한, (ⅲ)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은, 입자가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중으로 이동함으로써, 입자가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입자 편재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된다. 이것들에 의해, 표면에 요철을 갖는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입자 배합 중합성 조성물층은, 상기 특정 적층체(커버 필름,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및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층이며, 또한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한 폴리머 부재의 이용면 표면이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요철 구조를 제공하는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광경화에 의해 형성하는 층이다.
중합성 모노머는, 래디컬 중합이나 양이온 중합 등의 반응 기구를 막론하고, 광 에너지나 열 에너지를 이용해서 중합 가능한 화합물인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중합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등의 래디컬 중합성 모노머 ; 에폭시계 수지를 형성하는 에폭시계 모노머, 옥세탄계 수지를 형성하는 옥세탄계 모노머, 비닐 에테르계 수지를 형성하는 비닐 에테르계 모노머 등의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 ; 우레탄계 수지를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과의 조합 ;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형성하는 폴리카르본산, 폴리올과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모노머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에폭시 수지, 옥세탄계 수지, 비닐 에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각각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에폭시계 감압 접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옥세탄계 감압 접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비닐 에테르계 감압 접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우레탄계 감압 접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감압 접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등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은, 점착제 조성물(「비 상용성 물질 함유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라도 좋다. 따라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 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은,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점착제 조성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점착제층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계 모노머가 적절하게 사용되므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 부재를 구성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의 폴 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은, 중합성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입자를 배합한 것(「입자 배합 광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라도 좋다. 따라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광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은, 입자 배합 점착제 조성층이 광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입자 배합 점착제층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계 모노머가 적절하게 사용되므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1종류만이 사용되고 있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s-부틸, (메타)아크릴산t-부틸, (메타)아크릴산 펜틸, (메타)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헵틸,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 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운데실,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타)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타)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타)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타)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타)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타)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메타)아크릴산C1-20 알킬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C2-14 알킬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C2-10 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이외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 수소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나,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주성분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경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특히,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이것들의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60 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극성기 함유 모노머나 다관능성 모노머 등의 각종 공중합성 모노머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모노머 성분으로서 공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거나,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프말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또는 그 무수물(무수 말레인산 등) ;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 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 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 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 (메타)아크릴 아미드, N-메티롤 (메타)아크릴 아미드, N-메톡시 메틸 (메타)아크릴 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 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메타)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메틸 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 N-비닐-2-피롤리돈, (메타)아크릴로일몰포린 외, N-비닐 필리딘, N-비닐 피페리돈, N-비닐 필리미진, N-비닐 피페라진, N-비닐 피라진, N-비닐 피롤, N-비닐 이미다졸, N-비닐 옥사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또는 그 무수물이 적합하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으로서는, 얻어지는 폴리머 부재의 목적,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폴리머 부재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서의 점착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하(예를 들어, 1 내지 3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이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30 중량%를 넘으면,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감압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조제하기 위한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이면),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높은 전단력을 얻을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머 부재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서의 단단한 물성이 요구되는 용도(예를 들어, 필름 용도나 하드 코트 용도 등)로 사용하는 경우,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으로서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95 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9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중량%이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95 중량%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내수성 등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폴리머 부재로서 사용 환경(습기, 수분 등)에 대한 품질 변화가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0.01 중 량% 이하), 단단한 물성을 얻기 위해서 글래스 전이 온도(Tg)가 높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예를 들어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등)나 다관능성 모노머의 첨가량이 많아져, 얻어진 폴리머 부재가 지나치게 물러질 우려가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클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티롤메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텔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부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으로서는, 얻어지는 폴리머 부재의 목적,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폴리머 부재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서의 점착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2 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2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 중량%이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이,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2 중량%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감압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조제하기 위한 모노 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이면),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아크릴계 점착제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머 부재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서의 단단한 물성이 요구되는 용도(예를 들어, 필름 용도나 하드 코트 용도 등)로 사용할 경우,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으로서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95 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9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중량%이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이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95 중량%를 초과하면, 중합 시의 경화 수축이 커져 균일한 필름 형상 혹은 시트 형상의 폴리머 부재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나, 얻어진 폴리머 부재가 지나치게 물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0.01 중량% 이하이면), 충분한 내 용매성이나 내열성을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모노머나 다관능성 모노머 이외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 스틸렌, 비닐 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 비닐 알킬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 염화 비닐 ; (메타)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콕시 알킬계 모노머 ; 비닐 술폰산 나트륨 등의 슬폰산기 함유 모노머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 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 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 불소 원자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 규소 원자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열 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 개시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형성 시에, 열 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이나 활성 에너지 광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비 상용성 물질이 층 중에서 편재하는 구조를 유지하여 경화시킬 수 있어,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트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토르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설포닐 클로리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2, 2-디메톡시-1, 2-디페닐에탄-1-온[예를 들어, 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셔리티케미컬즈샤제) 등] 등이 포함된다. 아세트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 클로헥실페닐케톤[예를 들어, 상품명「일가큐어 184」(치바스페셔리티케미컬즈샤제) 등], 2, 2-디에톡시아세트페논, 2, 2-디메톡시-2-페닐아세트페논,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호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루시린 TPO」(BASF샤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α-케토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트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 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설포닐 클로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슬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 1-프로판디온-2-(o-에톡시 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이 포함된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 벤조산, 3, 3'-디메틸-4-메톡시 벤조페논, 폴리비닐 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티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 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 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도데실티옥산톤 등이 포함된다.
광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전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부)의 범 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할 때(예를 들어 입자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할 때 등), 활성 에너지 광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 광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 광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할 수(예를 들어 입자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하는 것)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열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 2'-아조비스(2-메틸 프로피온산)디메틸, 4, 4'-아조비스-4-시아노바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바레로니트릴,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 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조린-2-일)프로판]디히드로 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 2'-아조비스(N, 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 클로라이드 등],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펠옥시드, tert-부틸펠말레에이트 등,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바나듐 화합물 ; 유기 과산화물/디메틸 어닐린 ; 나프텐산 금속염/부틸 알데히드, 어닐린 혹은 아세틸 부틸올락톤 등의 조합 등) 등을 들 수 있다. 열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열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또한,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를 열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하면, 상온에서 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예를 들어, 이온성 계면 활성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등), 가교제(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등), 점착 부여제(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 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온에서 고체, 반고체 혹은 액상인 것),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나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착색시키기 위해, 광중합 반응 등의 중합 반응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안료(착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나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의 착색으로서, 흑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착색 안료로서,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사용량으로서는, 착색 정도나 상기 광중합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전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001 내지 0.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 상용성 물질로서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구성하는 폴리머 성분에 대하여 상용하지 않는(용해하지 않는) 물질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물(무기 물질)이라도 유기물(유기 물질)이라도 좋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은 고체라도 좋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비 상용성 물질로서의 무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에서 예시하는 입자(미립자, 미립자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로서의 유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 고무[특히,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고무(SIS),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고무(SBS) 또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고무(SEBS) 등 스틸렌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 고무] 등의 폴리머류나 그 올리고머류 ;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 수지,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 폴리아미드계 점착 부여 수지, 에폭시계 점착 부여 수지, 엘라스토머계 점착 부여 수지 등 태키파이어류(점착 부여 수지류) ;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유기 안료, 가소제, 용제(유기 용제) 등의 액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이나 수용액(예를 들어, 염수 용액, 산 수용액 등)도 비 상용성 물질로서 사용된다.
어떤 폴리머에 대해 어떤 물질이 비 상용성 물질인지 여부의 판단은, 육안으로 확인, 광학 현미경,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X선 회절 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일반적인 방법(예를 들어, 어떤 물질을 중합성 모노머에 용해시켜,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폴리머화하여 판단하는 방법 ; 폴리머를 그 폴리머를 용해하는 용매에 용해하고, 거기에 물질을 첨가하고, 교반 후 용매를 제거해서 판단하는 방법 ; 폴리머가 열 가소성 폴리머이면 폴리머를 가열 용해하여, 거기에 물질을 배합하고, 냉각 후 판단하는 방법 등)에 있어서, 그 폴리머 중의 물질 또는 그 집합체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분산되어 있는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그 판단 기준은, 물질 또는 그 집합체가, 구(球)나 정육면체, 부정 형상 등의 구 형상에 근사할 수 있는 경우에는 5 ㎚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 또한 막대 형상이나 박층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의 기둥 형상에 근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0 ㎚ 이상인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폴리머 중에 물질 또는 그 집합체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머를 구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 100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 0.5 중량부, 물질 또는 그 집합체 : 50 중량부를 첨가 혹은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PET 필름 위에 10 내지 500 ㎛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여,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중 혹은 커버 필름으로 산소의 영향을 배제해서 블랙 라이트에 의한 자외선 조사로 중합시키는 방법 ; 미리 폴리머를 용액 중합이나 자외선 중합 등 임의의 방법으로 제작해 두고, 상기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매계에,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에 상당하는 양의 물질 또는 그 집합체를 첨가, 교반 등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하여, PET 위에 도포해서 건조에 의한 용제 제거 후의 두께를 10 내지 500 ㎛ 정도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물질을 폴리머 중에 분산하였을 때에 있어서, 그 폴리머 중의 물질 또는 그 집합체가, 구나 정육면체, 부정 형상 등의 구 형상에 근사할 수 있고, 상기 구 형상의 물질 또는 그 집합체가 5 ㎚ 이상의 직경을 가질 경우에는 그 폴리머에 대한 비 상용성 물질이라고 간주할 수 있고, 또한 그 폴리머 중의 물질 또는 그 집합체가, 막대 형상이나 박층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의 기둥 형상에 근사할 수 있고, 상기 기둥 형상의 물질 또는 그 집합체의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0 ㎚ 이상인 것에는 그 폴리머에 대한 비 상용성 물질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로서의 무기물인 입자는,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한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의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거나, 표면 요철 시트 이용면 표면에서의 요철 구조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실리콘(실리콘 파우더), 탄산 칼슘, 클레이, 산화티탄, 타르크, 층 형상 규산염, 점토광물, 금속분, 글래스, 글래스 비즈, 글래스 벌룬, 알루미나 벌룬, 세라믹 벌룬, 티탄 백색,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입자 ; 폴리에스테르 비즈, 나일론 비즈, 실리콘 비즈, 우레탄 비즈, 염화 비닐리덴 비즈, 아크릴 벌룬 등의 유기 입자 ; 가교 아크릴 입자, 가교 스틸렌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벤조그아나민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수지 입자 ;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자는 중실체, 중공체(벌룬)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또한, 입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입자의 입경(평균 입자 직경)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5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 ㎛)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자는 입경이 다른 입자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입자의 형상은, 진구 형상이나 타원구 형상 등의 구 형상, 부정 형상, 침 형상, 막대 형상, 평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입자는, 그 표면에, 구멍이나 돌기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입자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의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의 요철 구조나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요철 구조의 형상이 일치하기 쉬운 진구 형상이나 진구 형상에 가까운 고구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는, 1종류의 형상만을 선택해서 사용해도 되고, 형상이 다른 입자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입자의 표면에는, 각종 표면 처리(예를 들어, 실리콘계 화합물이나 불소계 화합물 등에 의한 저 표면 장력화 처리 등)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부가 되는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사용량이면, 폴리머 부재의 제작이 곤란해지는 경우나 제작 후의 폴리머 부재에서 강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0.001 중량부 미만이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에 평균적으로 분산되어서 비 상용성 물질을 분포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할 때의 입자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부가 되는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사용량이,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이 되는 사용량이면,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전체적으로 평균하여 요철 구조를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사용량이면,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중에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거나, 표면 요철 시트의 강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표면 또는 그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다. 즉, 비 상용성 물질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표면(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으로 치우쳐서 층상 분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층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부분(상기 층상 분포 부분)의 두께(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으로부터의 두께 방향의 높이)는, 비 상용성 물질의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분산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은, 통상, 기재 위에 도포하는 등 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므로, 도포 작업에 적합한 적당한 점도를 갖게 해 두는 것이 좋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는, 예를 들어 아크릴 고무, 증점성 첨가제 등의 각종 폴리머를 배합하는 것이나,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모노머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모노머를 광의 조사나 가열 등에 의해 일부 중합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점도는 BH 점도계를 사용하여, 로터 : N0.5 로터, 회전수 10 rpm, 측정 온도 : 30 ℃의 조건으로 설정된 점도로서, 5 내지 50 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Pa·s이다. 점도가 5 Pa·s 미만이면, 기재 위에 도포했을 때에 액이 흘러 버리고, 50 Pa·s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도포가 곤란해진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도포 시에는, 예를 들어 관용의 코터(예를 들어, 콘마롤 코터, 다이롤 코터, 그라비어롤 코터, 리바스롤 코터, 키스롤 코터, 딥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은, 예를 들어 모노머 흡수층에 의해 제공되는 면,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 등의 적당한 지지체의 소정의 면 위에, 상기 관용의 코터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모노머 흡수성 시트]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는, 모노머 흡수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에 의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에 존재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고나서,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얻음으로써 제작한다.
예를 들어, 중합 시에는 광 조사를 이용하고, 다시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고,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갖는 폴리머 부재로서의 표면 요철 시트는,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로 구성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형성되고, 또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박리성을 갖는 커버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적층체를, 광 조사함으로써, 커버 필름 측에 입자가 편재하는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즉, 상기 특정의 적층체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층이 모노머 흡수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으로부터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하는 것,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으로 입자가 층내를 이동함으로써 입자 편재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형성되는 것 및 광 조사에 의해 입자 편재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경화함으로써, 상기 특정 적층체 내의 커버 필름측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이 형성됨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가 제조된다. 또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는, 상기 특정 적 층체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모노머 흡수성 시트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모노머 흡수면을 제공하는 모노머 흡수층을 적어도 갖는 한, 그 형태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머 흡수층만으로 구성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무 기재 모노머 흡수성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기재 위에 모노머 흡수층을 설치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가 무 기재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경우, 모노머 흡수면으로서는 어느 쪽의 면을 이용해도 좋고, 한편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경우,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모노머 흡수면이 된다.
(모노머 흡수층)
모노머 흡수층은, 모노머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면을 제공하는 층이며, 모노머 흡수면 위에 설치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으로부터 적어도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할 수 있으면 좋다. 이러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종이로 만든 시트(예를 들어, 크래프트지나 크레이프지, 일본 종이 등) ; 섬유계 시트(예를 들어, 천, 부직포, 네트 등 ; 다공질 필름 ; 폴리머(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 천연고무 ;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은, 이것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 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는 폴리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노머 흡수층은,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서는, 폴리머층을 갖는 시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모노머 성분으로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모노머를 적어도 한 종류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서 광중합성 아크릴계 폴리머 조성물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하는 폴리머로서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인 광중합성 아크릴계 폴리머 조성물의 중합성 모노머인 아크릴계 모노머와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구성 단위가 공통되므로, 중합성 모노머인 아크릴계 모노머가 이행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은,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비 상용성 물질을 제외한 이외는 같은 조성을 갖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모노머 흡수층은,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입자를 제외한 이외는 같은 조성을 갖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해서 얻어지는 광중합 경화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모노머 흡수층의 체적은, 중합성 모노머의 흡수전과 후를 비교하여, 일정해도 좋고, 변화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모노머 흡수층이 고분자 물질[예를 들어, 상기 폴리머(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나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비 상용성 물질을 제외한 이외는 같은 조성을 갖는 중합성 조성물(예를 들어 광중합성 점착제 조성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입자를 제외한 이외는 같은 조성을 갖는 광중합성 조성물 등)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폴리머 등]에 의해 형성되는 층인 경우, 모노머 흡수층인 고분자 물질의 층의 체적은,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으로부터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함으로써(예를 들어,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으로부터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하는 것), 보통 증가한다. 즉,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하는 상기 고분자 물질은,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함으로써 팽윤한다. 따라서, 모노머 흡수층은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함으로써 체적이 증가하는 모노머 팽윤층이라도 좋다.
모노머 흡수층이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물질의 층일 경우, 모노머 흡수층은, 예를 들어 하기의 기재나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 등의 적당한 지지체의 소정의 면 위에, 상기 관용의 코터로 상기 고분자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지지체 위에 설치된 모노머 흡수층으로서의 상기 고분자 물질의 층은, 필요에 따라서 건조 및/또는 경화(예를 들어, 광에 의한 경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당한 지지체의 소정의 면 위에 도포될 때, 아크릴고무, 증점성 첨가제 등의 각종 폴리머를 배합하는 것이나, 중합성 모노머를 가열이나 광 조사 등에 의해 일부 중합시킴으로써 도포에 적합한 점도로 조정되어 있어도 된다.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하기 전의 모노머 흡수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 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내지 300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은, 단일층, 적층 중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재)
모노머 흡수성 시트가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일 경우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종이 등의 종이계 기재 ; 천, 부직포, 네트 등의 섬유계 기재 ;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기재 ; 플라스틱의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 고무 시트 등의 고무계 기재 ; 발포 시트 등의 발포체나, 이것들의 적층체[예를 들어, 플라스틱계 기재와 다른 기재와의 적층체나, 플라스틱 필름(또는 시트)끼리의 적층체 등] 등의 적당한 박엽체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로서는, 플라스틱의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의 필름이나 시트에 있어서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α-올레핀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피드(PPS) ; 폴리아미드(나일론), 전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 폴리이미드계 수지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소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로서, 플라스틱계 기재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연신 처리 등 에 의해 연신율 등의 변형성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기재로서는, 모노머 흡수층이 활성 에너지 광선에 의한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 광선의 투과를 저해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표면은, 모노머 흡수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관용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산화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애벌칠제나 박리제 등에 의한 코팅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강도나 유연성,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는 1000 ㎛ 이하(예를 들어, 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0 ㎛ 정도이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재는 단일층, 적층 중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커버 필름]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 흡수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해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고나서,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지만,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할 때, 공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반응이 저해되므로, 커버 필름으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 표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폴리머 부재를 이용할 때는, 커버 필름을 벗겨서 사용해도 되고, 커버 필름을 벗기지 않고 사용해도 된다. 또한, 폴리머 부재를 이용할 때에 커버 필름을 벗기지 않고 사용할 경우, 커버 필름은 폴리머 부재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시트는, 박리성을 갖는 커버 필름(커버용 필름),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 구성되고, 또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 위에 설치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표면이 박리성을 갖는 커버 필름에 의해 보호된 형태를 갖는 특정한 적층체를 광 조사함으로써 상기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커버 필름측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즉,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은, 중합성 모노머를 갖는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에,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 광선을 조사하고, 중합성 모노머를 광중합시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중합 반응은 공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반응이 저해되므로,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의 형성은, 산소가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커버 필름으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표면을 피복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해서 광중합에 부여하고 있다. 또한, 표면 요철 시트를 이용할 때는, 커버 필름은 벗겨진다.
커버 필름으로서는, 산소를 투과하기 어려운 박엽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중합 반응을 사용하는 경우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필 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형 처리제(박리 처리제)에 의한 이형 처리층(박리 처리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기재 외에, 불소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 불화 비닐, 폴리 불화 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 플루오로에틸렌·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등)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 접착성 기재에서는, 양면을 이형면으로 이용할 수 있고, 한편, 이형 처리층을 갖는 기재에서는, 이형 처리층 표면을 이형면(이형 처리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커버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커버 필름용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이형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필름(이형 처리층을 갖는 기재)을 사용해도 되고, 커버 필름용 기재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커버 필름용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올레핀계 수지 필름(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나일론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합성 수지 필름)이나, 종이류(상질지, 일본 종이, 크래프트지, 글래신지, 합성지, 톱코트지 등) 외에, 이것들을, 라미네이트나 공압출 등에 의해, 복층화한 것(2 내지 3층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커버 필름용 기재로서는, 투명성이 높은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사용된 커버 필름용 기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형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계 이형 처리제, 불소계 이형 처리제, 장쇄 알킬계 이형 처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형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이형 처리제에 의해 이형 처리가 실시된 커버 필름은, 예를 들어 공지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취급의 용이성과 경제성의 점에서, 예를 들어 12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필름은 단일층, 적층 중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폴리머 부재(표면 요철 시트)]
폴리머 부재는,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키고, 비 상용성 물질이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은 후,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이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 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얻음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 위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 적층되고, 다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키고, 비 상용성 물질이 커버 필름측의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얻은 후,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커버 필름측의 층 표면 또는 층 표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에 의해 제작되어도 좋다. 또한, 폴리머 부재나 표면 요철 시트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예를 들어, 중간층, 애벌칠층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의 중합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이 중합·경화되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얻을 수 있는 한, 광원이나 열원, 조사 에너지나 열 에너지, 조사 방법이나 가열 방법, 조사 시간이나 가열 시간, 조사나 가열의 개시 시기, 조사나 가열의 종료 시기 등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시트는,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고, 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한 상기 특정의 적층체(박리성을 갖는 커버 필름,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 구성되고, 또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 위에 설치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표면이 박리성을 갖는 커버 필름에 의해 보호된 형태를 갖는 특정한 적층체)에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 광선을 사용해서 광 조사를 행함으로써 제조되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요철 시트는, 예를 들어 (i) 특정의 적층체를 제작하고, (ⅱ) 그 후, 상기 특정의 적층체를 광 조사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특정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한쪽 면이 이형 처리된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 위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모노머 흡수층을 갖는 모노머 흡수성 시트에, 입자 배합 광중합 조성물층과 모노머 흡수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특정의 적층체에 대한 광 조사는, 상기 특정의 적층체에 있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경화되고, 경화 후의 광중합 경화층의 커버 필름측 표면에서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한, 광원, 조사 에너지, 조사 방법, 조사 시간, 조사의 개시 시기, 조사의 종료 시기 등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특정의 적층체에 대한 광 조사는, 상기 특정의 적층체를 제작한 후 바로 행해도 좋고, 일정 시간을 두고 행해도 된다.
광 조사로서는, 예를 들어 블랙 라이트 램프, 케미컬 램프, 고압수은 램프, 메탈 핼라이드 램프 등에 의한 자외선의 조사를 들 수 있다. 또한, 가열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가열 방법(예를 들어, 전열 히터를 이용한 가열 방법, 적외선 등의 전자파를 이용한 가열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에 있어서의 중합성 모노머의 흡수는, 모노머 흡수면에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 조성물층이 형성된 시점에서 발생한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 조성물층을 형성한 후 중합하기 까지의 사이(예를 들어 특정의 적층체를 제작한 후 광 조사하기 까지의 사이)에 발생하고 있어도 좋고,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나 입자 배합 광중합 조성물층이 중합하고 있는 사이(예를 들어 광 조사에 의해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경화하고 있는 사이)에 발생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은, 표면 또는 표면 근방(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에 분포된다. 즉, 비 상용성 물질은 표면(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층 표면(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50 % 이내의 영역(바람직하게는 40 % 이내의 영역,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내의 영역)에 분포된다. 이것은,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모노머 흡수층과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하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중 적어도 1 개의 모노머 성분이 모노머 흡수층에 흡수되어, 비 상용성 물질이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중을 이동하는 것에 따른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 모노머 흡수층과 접촉한 후 중합을 끝낼 때까지의 시간은 길수록 바람직하다. 특히, 광 조사에 의해 중합 개시를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접촉 후 1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보통 24 시간 이내) 경과 후에 광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부분(「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두께(층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전체 두께에 대한,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내부 영역의 층 표면으로부터의 두께 방향에의 높이 ;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전체 두께에 대한,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내부 영역의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으로부터의 두께 방향에의 높이)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에 포함시키는 비 상용성 물질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부분에서는, 비 상용성 물질과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 성분이 혼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모노머 흡수층과의 계면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서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 성분을 기초로 하는 특성, 비 상용성 물질이 원래 갖는 특성, 비 상용성 물질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내 에서 편재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 성분을 기초로 하는 특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머 성분으로서 점착제 성분을 사용했을 때의 점착성(감압 접착성) 등을 들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이 원래 갖는 특성으로서는, 특정한 기능(예를 들어, 팽창성, 수축성, 흡수성, 발산성, 도전성 등)을 갖는 비 상용성 물질을 사용했을 때의 상기 특정 기능을 들 수 있다. 비 상용성 물질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내에서 편재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특성이란, 예를 들어 폴리머 성분으로서 점착제 성분을 사용했을 때의 비 상용성 물질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점착성(감압 접착성)의 제어, 착색 등의 의장성,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했을 때의 표면 요철의 부여나 상기 표면 요철을 기초로 하는 특성(예를 들어, 재 박리성, 안티 블록킹성, 안티 글레어 특성, 의장성, 광 산란성 등)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 성분으로서 점착제 성분을 사용하고,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에서 입자에 의한 요철을 가지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표면에서 점착성(tackiness성) 및 박리성(안티 블록킹성)을 발휘하는 폴리머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부재에서는, 함유시키는 입자량을 조정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의 점착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점착성을 매우 약하게 하거나, 점착성을 생기지 않게 할 수도 있다.
폴리머 부재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의 요철의 크기나 형상은, 예를 들어 입자의 입경,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두께, 중합 방법, 중합의 개시 시기나 종료 시기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예를 들어, 표면 요철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요철의 크기나 형상은, 예를 들어 입자의 입경, 광중합 경화층의 두께, 상기 특정 적층체에 대한 광 조사의 방법, 광 조사의 개시 시기나 종료 시기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층 중의 입자(예를 들어 입자 편재 광중합 경화층에 포함되는 입자)는, 층내에 입자 전체가 포함되는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입자의 일부분이 층 밖으로 노출되는 형태(예를 들어 입자의 헤드가 층 밖으로 나타나는 형태 등)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즉, 입자는, 폴리머 부재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 표면이나 표면 요철 시트에 있어서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 입자 자체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폴리머 부재나 표면 요철 시트는, 롤 형상으로 권취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또한 시트가 적층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폴리머 부재나 표면 요철 시트는, 테이프 형상, 시트 형상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나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때,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조성물로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해도,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이나 입자 배합 조성물에 포함되는 휘발성 성분(예를 들어, 용제나 유기 화합물 등)의 증발 제거를 하지 않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갖는 폴리머 부재나 이용면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 흡수층으로서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흡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므로, 모노머 흡수층의 탄성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흡수할 수 있는 한, 점착제층, 폴리머층 등의 탄성율이 낮은 것이나, 플라스틱 시트, 하드 코트층, 착색 도포막층 등의 탄성율이 높지만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면, 시트의 탄성율에 제한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점착제층, 폴리머층 등의 탄성율이 낮은 것이나, 플라스틱 시트, 하드 코트층, 착색 도포막층 등의 탄성율이 높지만 표면에 요철 구조를 부여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 흡수층으로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을 사용할 경우,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흡수할 수 있는 한, 그 겔분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에 있어서, 겔분률을 98 % 정도까지 가교하고 있어도, 혹은 거의 가교하고 있지 않아도(겔분률 : 10 % 이하), 폴리머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고, 다시 모노머 흡수층으로서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을 사용할 경우나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서 폴리머층을 갖는 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머층의 겔분률을 98 % 정도까지 가교하고 있어도, 혹은 거의 가교하고 있지 않아도(겔분률 : 10 % 이하), 폴리머 부 재나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폴리머층에 높은 가교도(예를 들어, 겔분률이 90 % 이상)를 갖게 함으로써,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층으로서의 폴리머층에 내열성이나 내 용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층에 낮은 가교도(예를 들어, 겔분률이 10 % 이하)를 갖게 함으로써,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에 있어서 표면의 요철 상태를 변화(예를 들어,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표면의 요철 크기를 작게 하는 것)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 흡수층이, 단단한 층이든, 연한 층이든, 폴리머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이용한 경우, 모노머 흡수층이, 단단한 층이든, 연한 층이든, 폴리머 부재나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모노머 흡수층의 역학물성(경도)에 관계 없이,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노머 흡수층으로서 단단한 층(예를 들어, 100 %모듈러스가 100 N/㎠ 이상인 층)을 사용하면,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의 모노머 흡수층을 지지체(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으로서 연한 층(예를 들어, 100 % 모듈러스가 30 N/㎠ 이하인 층)을 사용하면,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의 모노머 흡수층을 점착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 부재는, 비 상용성 물질의 종류나 그 양,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의 종류나 그 두께 등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을 발휘하므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시트는, 의장성이 요구되는 용도, 광산란성이 요구되는 용도, 안티 블록성이 요구되는 용도 등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광 중합성 시럽의 조제예 1)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 90 중량부, 및 아크릴산 : 10 중량부가 혼합된 모노머 혼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1 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4구의 세파러불 플라스코 안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질소 가스에 의해 버블링을 1시간 행하여 용존 산소를 제거했다. 그 후, 블랙 라이트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플라스코 외측에서 조사하여 중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된 시점에서 램프를 소등, 질소 불어 넣기를 정지하여, 중합율 7 %의 일부가 중합된 조성물(시럽)(「광 중합성 시럽(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광 중합성 시럽의 조제예 2)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 68 중량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 22 중량부, 아크릴산 : 10 중량부가 혼합된 모노머 혼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1 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4구(four necked)의 세파러블 플라스코 중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질소 가스에 의해 버블링을 1시간 행하여 용존 산소를 제거했다. 그 후, 블랙 라이트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플라스코 외측에서 조사해서 중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된 시점에서 램프를 소등, 질소 불어 넣 기를 정지하여, 중합율 7 %의 일부가 중합된 조성물(시럽)(「광 중합성 시럽(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광 중합성 시럽의 조제예 3)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 45 중량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 45 중량부, 아크릴산 : 10 중량부가 혼합된 모노머 혼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1 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4구의 세파러블 플라스코 안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질소 가스에 의해 버블링을 1시간 행하고 용존 산소를 제거했다. 그 후, 블랙 라이트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플라스코 외측에서 조사해서 중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된 시점에서 램프를 소등, 질소 불어 넣기를 정지하여, 중합율 7 %의 일부가 중합된 조성물(시럽)(「광 중합성 시럽(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광 중합성 시럽의 조제예 4)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 100 중량부에, 비 상용성 물질로서의 말레인산 변성한 SEBS(상품명「FG-1901X」클레이톤폴리머재팬샤제) : 21 중량부, SEBS(상품명「G1726」클레이톤폴리머재팬샤제) : 12 중량부를 용해시키고, 또한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24 중량부, 상품명「일가큐어 184」(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24 중량부를 용해시키고, 균일한 상태로 백탁한 점조액(시럽)(「광 중합성 시럽(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광 중합성 시럽의 조제예 5)
모노머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 95 중량부, 아크릴산 : 5 중량부가 혼합된 모노머 혼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35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상품명「일가큐어 184」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35 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4구의 세파러블 플라스코 안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질소 가스에 의해 버블링을 1시간 행하고 용존 산소를 제거했다. 그 후, 블랙 라이트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플라스코 외측에서 조사해서 중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된 시점에서 램프를 소등, 질소 불어 넣기를 정지하여, 중합율 7 %의 일부가 중합된 조성물(시럽)(「광 중합성 시럽(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2)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20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20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3)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4)
광 중합성 시럽(B)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5)
광 중합성 시럽(B)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6)
광 중합성 시럽(B)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7)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G)」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8)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H)」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9)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I)」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0)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3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J)」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1)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실리콘 파우더(상품명「KNP-600」신에쯔 실리콘샤제) : 1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K)」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2)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2 ㎛의 실리콘 파우더(상품명「KNP-590」신에쯔 실리콘샤제) : 1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L)」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3)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소수성 흄드실리카(상품명「아엘로질R8200」 일본 아엘로질샤제) : 5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M)」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4)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미크론 사이즈의 미세 분말 실리카(상품명「사이로호빅 4004」후지 시리시어 가가꾸샤제) : 5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5)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가교 아크릴 단일 분산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1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O)」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6)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가교 아크릴 단일 분산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5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P)」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7)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가교 아크릴 단일 분산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1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8)
광 중합성 시럽(E) :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가교 아크릴 단일 분산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10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R)」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1)
광 중합성 시럽(D) : 100 중량부에, 아크릴산 : 8.3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08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예)
광 중합성 시럽(A)를, 얼음 식염수로 냉각한 과잉 헥산 중에 소량 적하하여, 아크릴 폴리머를 침전시켰다. 침전한 아크릴 폴리머를 취출하고, 다시 헥산으로 몇 차례 세정해서 진공 건조했다. 이렇게 하여 얻게 된 아크릴 폴리머를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이 9/1 비율의 모노머 용액에, 폴리머 농도(고형분 농도) 7 %가 되도록 용해하여,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지 않는 시럽을 얻었다.
상기 시럽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 5 ㎛의 가교 아크릴 입자(가교 아크릴 단일 분산 입자)(상품명「MX-500」소켄가가꾸샤제) : 10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다시 크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상품명「파크밀 H-80」니뽄유지샤제)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했다. 다음에, 바나딜아세틸아세트네이트 용액(아크릴산에 바나딜아세틸아세트네이트를 2 %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것) : 2 중량부(고형분 농도)를, 교반하면서 소량씩 첨가하여, 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조제했다.
(커버 필름)
커버 필름은, 한쪽 면이 실리콘계 이형 처리된,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MRN38」미쯔비시가가꾸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품)을 사용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30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2)
광 중합성 시럽 (B)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 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3)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4)
광 중합성 시럽(B)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 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5)
광 중합성 시럽(C)를,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6)
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A)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 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7)
광 중합성 시럽(B)를,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G)」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8)
광 중합성 시럽(A)를,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56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H)」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9)
광 중합성 시럽(B)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I)」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0)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3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J)」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1)
광 중합성 시럽(B)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D)」라고 칭하 는 경우가 있음)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6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K)」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2)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를,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1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L)」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3)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58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 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M)」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4)
광 중합성 시럽(C)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5)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5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 합성 시럽 조성물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O)」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6)
광 중합성 시럽(B)를,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7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P)」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7)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3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 ㎠)을 3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8)
광 중합성 시럽(A)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85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V/㎠)을 5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R)」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19)
모노머 성분으로서,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상품명「S-1800A」신나까무라가가꾸고교샤제) : 100 중량부, 비 상용성 물질로서, 말레인산 변성한 SEBS(상품명「FG-1901X」클레이톤폴리머재팬샤제) : 21 중량부, SEBS(상품명「G1726」클레이톤폴리머재팬샤제) : 12 중량부, 다시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24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일가 큐어 184」(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24 중량부를 배합해서 혼합하고, 균일한 상태로 백탁한 점조액(시럽)을 얻었다.
이 시럽 : 100 중량부에,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08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해서 얻어지는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의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8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상기 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S)」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20)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 100 중량부, 비 상용성 물질로서, 말레인산 변성한 SEBS(상품명「FG-1901X」클레이톤폴리머재팬샤제) : 21 중량부, SEBS(상품명「G1726」클레이톤폴리머재팬샤제) : 12 중량부, 또한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일가큐어 651」(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24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일가큐어 184」(치바·스페셜티·케미컬샤제) : 0.24 중량부를 배합해서 혼합하고, 균일한 상태로 백탁한 점조액(시럽)을 얻었다.
이 시럽 : 100 중량부에, 아크릴산 : 8.3 중량부,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 0.08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해서 얻어지는 광중합성 시럽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의 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광중합성 시럽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블랙 라이트를 이용해서 자외선(조도 : 5 mW/㎠)을 8분간 조사하고, 상기 광중합성 시럽층을 경화시켜서 모노머 흡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T)」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21)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의 면에, 두께 30 ㎛가 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고, 두께 100 ㎛의 에테르계 우레탄엘라스토머시트(상품명「시다무(70)A」시다무샤제)을 접합함으로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U)」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22)
아크릴산n-부틸 : 95 중량부, 아크릴산 : 5 중량부, 과산화물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상품명「나이퍼 BW」니뽄유지샤제) : 0.2 중량부(고형분), 톨루엔 : 6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중합 용기에 투입하고, 용기 내를 교반하면서 질소를 용기 내에 1시간 주입하고, 시스템 내부에서 산소를 제거했다. 계속해서 질소를 주입하면서, 조성물의 온도를 62 ℃로 일정해지도록, 온도를 컨트롤하면서, 중합 반응을 6시간 행하였다. 온도의 컨트롤은, 용기의 가열이나 냉각, 새로운 톨루 엔을 소량씩 용기 내에 투입하는 것에 의한 냉각에 의해 행하였다.
6 시간 경과 후, 온도의 컨트롤에 사용한 톨루엔과의 합계량이 82.7 중량부가 되도록, 다시 톨루엔을 추가한 후, 조성물의 온도를 90도로 상승시키고, 다시 4 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중합 반응 종료 후, 중합 용기를 냉각하면서, 용기 안에 톨루엔 83.3 중량부를 투입하여, 실온(23 ℃)이 되도록 조성물을 냉각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50 만인 아크릴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 폴리머 용액 : 100 중량부(고형분)에, 가교제(상품명「코로네이트 L」니뽄폴리우레탄고교샤제) : 3 중량부(고형분) 및 가교제(상품명「슈퍼벳커민」)다이니뽄잉크 가가꾸고교샤제 : 1.5 중량부(고형분)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아크릴계 조성물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의 면에, 아크릴계 폴리머층 형성 후의 두께가 25 ㎛가 되도록 도포하여, 열풍 건조기를 사용해서 130 ℃에서 5분간 건조시킴으로써, 아크릴계 폴리머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40 ℃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5일간 정치함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V)」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 23)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 부틸 : 88 중량부, 아크릴산 : 5 중량부,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 5 중량부, 인산에스테르 유도체 모노머(상품명「PAM200」로디어닛가샤제) : 2 중량부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상품명「KBM-503」신에쯔가가꾸샤제) : 0.03 중량부를 첨가해서 혼합하고, 모노머 혼합물을 조제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 : 627 g에, 반응성 유화제(상품명「아쿠아론 HS-10」다이이찌고교세이야꾸샤제) : 13 g 및 이온 교환수 : 360 g을 첨가하고, 호모지나이저(플라이믹스샤제)를 이용하여, 5분간, 5000(1/분)으로 교반해 강제 유화하여, 모노머프레에멀션을 조제했다.
다음에,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조제한 모노머프레에멀션 중 200 g, 이온 교환수 : 330 g을 넣고, 계속해서, 반응 용기를 질소 치환하고, 2, 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진] 수화물(상품명「VA-057」와코쥰야꾸고교샤제) 0.2 g을 첨가하여, 60 ℃에서 1시간 중합했다. 계속해서, 조제한 모노머프레에멀션 중 800 g을, 반응 용기에 3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 다시 3시간 중합했다. 그 후, 질소 치환하면서, 60 ℃에서 3시간 중합하고, 고형분 48 %의 물 분산형 아크릴폴리머에멀션 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이것을 실온(23 ℃)까지 냉각하고, 10 %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함으로써, 물 분산형 아크릴 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이 물 분산형 아크릴 폴리머 조성물을,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아크릴계 폴리머층 형성 후의 두께가 27 ㎛가 되도록 도포하여, 열풍 건조기를 이용해서 130 ℃에서 5분간 건조시킴으로써, 아크릴 계 폴리머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층 위에, 이형 처리된 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모노머 흡수층 표면이 상기 커버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X)」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했다.
(제1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을 경화 후의 두께가 10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A)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2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B)를 경화 후의 두께가 5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A)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3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을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B)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4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C)을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C)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5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D)를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D)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6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E)를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E)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7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F)를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F)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8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G)를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G)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9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H)을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H)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10 ㎛였다.
(제10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을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I)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25 ㎛였다.
(제11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C)을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J)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30 ㎛였다.
(제12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D)를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K)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25 ㎛였다.
(제13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E)를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L)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 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30 ㎛였다.
(제14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F)를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M)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18 ㎛였다.
(제15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I)를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N)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30 ㎛였다.
(제16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J)를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0)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15 ㎛였다.
(제17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G)를 도포해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P)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커버 필름면측에서,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3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30 ㎛였다.
(제18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K)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68 ㎛였다.
(제19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L)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65 ㎛였다.
(제20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M)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 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70 ㎛였다.
(제21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N)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70 ㎛였다.
(제22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0)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65 ㎛였다.
(제23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P)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66 ㎛였다.
(제24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76 ㎛였다.
(제25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80 ㎛였다.
(제26 실시예)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A)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코트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과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과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74 ㎛였다.
(제27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 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R)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75 ㎛였다.
(제28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S)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70 ㎛였다.
(제29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T)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50 ㎛였다.
(제30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U)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 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75 ㎛였다.
(제31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Q)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V)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25 ㎛였다.
(제32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R)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 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10 ㎛였다.
(제33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R)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V)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00 ㎛였다.
(제34 실시예)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R)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X)의 모노머 흡수층 위에 도포하여, 커버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적층체 형성 후 1분 후에, 상기 적층체의 커버 필름면측 및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면측의 양측으로부터, 광원으로서 블랙라이트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 5 mW/㎠)을 10분간 조사하고,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광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10 ㎛였다.
(제35 실시예)
상기 커버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A)을 도포해서 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시킨 것을, 커버 필름을 벗겨서 모노머 흡수층을 노출시킨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에,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접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빛을 차광한 상태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입자 배합층, 미립자 배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20 ㎛였다.
또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한 관찰에는, 빛을 차광한 상태에서 7일간 방치해서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을 형성시킨 시트를 사용했다.
(제1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A)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2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A)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했다.
(제3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및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경화 후의 두께가 45 ㎛가 되도록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는, 제2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를 제조했다.
(제4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및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경화 후의 두께가 45 ㎛가 되도록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는, 제2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를 제조했다.
(제5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및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경화 후의 두께가 50 ㎛가 되도록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는, 제2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를 제조했다.
(제6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및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경화 후의 두께가 50 ㎛가 되도록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는, 제2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를 제조했다.
(제7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및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경화 후의 두께가 60 ㎛가 되도록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는, 제2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를 제조했다.
(제8 비교예)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Q)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및 경화 후의 두께가 80 ㎛가 되도록 입자 배합 상온 중합성 조성물(A)을 도포한 것 이외는, 제3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를 제조했다.
(평가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하기의 (택키네스의 평가 방법)에 의해, 택키네스(점착성)를 평가하고, 또한 하기의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의해, 헤이즈 값을 측정했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각각의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층의 겔분률 및 모노머 흡수층의 100 % 모듈러스를, 하기의(겔분률의 측정 방법) 및(100 % 모듈러스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것들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택키네스의 평가 방법)
각각의 시트의 커버 필름을 벗기고, 각각의 시트의 이용면을 노출시켰다. 각각의 시트의 이용면의 택키네스를 손가락 택키네스에 의해 평가했다. 시트의 이용면에서 택키네스를 발생하는 경우를「있음」, 한편, 택키네스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없음」이라고 평가했다.
(헤이즈의 측정 방법)
각각의 시트의 커버 필름을 벗겨, 각각의 시트의 이용면을 노출시켰다. 다음에, JIS-K7105에 준하여, 헤이즈미터(가부시끼가이샤 무라카미 시끼사이 기쥬쯔 겐큐쇼샤제「HM-150」)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트의 헤이즈 값을 측정했다.
(겔분률의 측정 방법)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한쪽 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된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MRF 38 : 미쯔비시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품)을 사용한 것 이외는, 각각의 실시예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별도로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를 제작했다.
그 후, 별도로 제작한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부터 모노머 흡수층을 (약 500 mg)을 채취하여, 건조 중량 W1(g)을 측정했다. 다음에, 상기 모노머 흡수층을 아세트산에틸 중에 약 23 ℃ 하에서 7일간 침지하고, 그 후 상기 모노머 흡수층을 취출하여, 130 ℃에서 2 시간 건조하여, 얻게 된 상기 모노머 흡수층의 건조 중량 W2(g)를 측정했다. 그리고, 하기의 식에 의해 겔분률을 산출했다.
겔분률(중량 %) = (W2/W1) × 100(중량 %)
(100 % 모듈러스의 측정 방법)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한쪽 면이 실리콘계 박리 처리된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MRF 38 : 미쯔비시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품)을 사용한 것 이외는, 각각의 실시예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제작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별도로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를 제작했다.
그 후, 별도로 제작한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로부터, 폭 50 ㎜, 길이 50 ㎜의 정사각 형상으로 모노머 흡수층을 잘라내어, 폭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둥글게 했다.
폭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둥글게 한 모노머 흡수층에 대해서, 인장 시험 장치(미네베아 가부시끼가이샤 제품「TG-1KN」)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50 ㎜/분, 척 간격 10 ㎜의 조건으로, 23 ℃에 있어서의 응력-왜곡선을 구하여, 그 100 % 모듈러스를 판독했다.
Figure 112012012842756-pct00050
또한, 제1 비교예 및 제2 비교예에서는,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 대신에, 두께 38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였으므로, 모노머 흡수층의 겔분률 및 모노머 흡수층의 100 % 모듈러스는, 측정하지 않았다. 또한, 제18 실시예 내지 제26 실시예에서는, 헤이즈를 측정하지 않았다.
(평가 2)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각각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형상이나 시트 단면을 관찰했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 및 제1 비교예 내지 제2 비교예에서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서, 가부시끼가이샤 히타치 하이 테크놀러지즈제S-3200을 사용하고, 또한 그 밖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서, 가부시끼가이샤 히타치 하이 테크놀러지즈제 S-4800을 사용했다. 각각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이나 시트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SEM상)을, 도1 내지 도43에 도시했다.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의 모노머 흡수층의 두께는, 1/1000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두께(기재, 모노머 흡수층 및 커버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두께로부터 기재 및 커버 필름의 두께를 뺌으로써 구했다. 그 결과를, 표 2의 모노머 흡수층의 두께(B)의 란에 나타냈다.
모노머 흡수층과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적층 구조의 두께(전체 두께)는, 1/1000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시트의 두께[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 및 커버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제작한 시트의 두께로부터, 기재가 부착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기재의 두께 및 커버 필름의 두께를 뺌으로써 구했다. 그 결과를, 표 2의 전체의 두께 (A + B)의 란에 나타냈다.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두께는, 상기 전체 두께로부터, 상기 모노머 흡수층의 두께를 뺌으로써 구했다. 또한,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두께는, 측정치가 아닌 이론값이다. 그 결과를, 표 2의 입자(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두께 (A)의 란에 나타냈다.
시트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이나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 중의 입자가 분포되는 부분(「입자 편재부」나「편석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층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의 높이(두께)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중의 비 상용성 물질이 분포되는 부분(「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나「코트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층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의 높이(두께)를 구하고, 표 2의 입자(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의 두께의 란에 나타냈다. 또한, 입자 편재부나 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의 두께는, 시트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측정한 평균의 값이다.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에 있어서, 시트의 이용면 표면(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표면이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각 도면에 있어서의 a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의 배율 및 각 도면에 있어서의 b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에 상당하는 시트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의 배율은, 500배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c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에 상당하는 시트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편석층)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코트층) 부근을 확대한 것]의 배율은, 도9 내지 도26에 있어서는 2000배, 도27 내지 도35에 있어서는 500배이다. 또한, 도20 및 도38에 있어서의 d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에 상당하는 시트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입자 편재부(편석층) 부근을 더 확대한 것]의 배율은, 10000배이다.
Figure 112008089632482-pct00002
평가 1 및 평가 2로부터, 제1 실시예 내지 제17 실시예의 시트는, 이용면에 택키네스가 없고, 제18 실시예 내지 제24 실시예의 시트는, 입자의 첨가량이 적어, 택키네스가 있었다. 또한, 헤이즈 값의 측정 결과로부터, 광산란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 실시예 내지 제25, 제27 내지 제35 실시예의 시트는, 각 도면에 있어서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각 도면에 있어서의 a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각 도면에 있어서의 b, c, d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이용면 표면에 입자에 의한 요철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표면 요철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자 배합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의 증발 제거를 하지 않고,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탄성율이 낮은 것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부여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노머 흡수층의 겔분률이나 100 % 모듈러스(경도)에 의하지 않고,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트의 시트 단면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실시예에서는,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이나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 중의 입자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중의 비 상용성 물질은, 층 표면이나 그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이나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 중의 입자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중의 비 상용성 물질은, 치우쳐서 분포되는 일은 없으며, 층 중에 분산되어서 분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로부터, 실시예에서는,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 입자 배합 상온 중합 경화층의 두께에 대하여, 입자 편재부나 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으므로, 입자나 비 상용성 물질은, 층 중에서 치우쳐서 분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입자 배합 광중합 경화층이나 비 상용성 물질 배합 광중합 경화층의 두께는, 입자 편재부나 비 상용성 물질 편재부의 두께와 동일하며, 층 중에 분산되어서 분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 3)
제26 실시예 및 제7 비교예의 시트에 대해서, 습윤성, 외관, 전광선 투과율, 접착 강도, 유지력, 이용면 표면의 IR 분석에 의해 평가했다.
습윤성은, 물과 옥화 메틸렌의 액적을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 접촉시키고나서 의 접촉각의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접촉각의 경시 변화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냈다.
외관은,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육안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는, 표 4의 외관의 란에 나타냈다.
전광선 투과율은, 헤이즈미터(가부시끼가이샤 무라카미 시끼사이 기쥬쯔겐큐쇼샤제「HM-150」)를 이용하여, JIS K 7361에 준해서 측정했다. 그 결과는, 표 4의 전광선 투과율의 란에 나타냈다.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접착 강도는, 피착체(글래스판이나 스테인리스판)에, 20 ㎜폭으로 절단한 시트를, 2 ㎏ 하중의 고무 롤러의 조건으로 접합하여, JIS Z 0237의 접착 강도 시험 방법에 준하여, 인장 측정기에 의해, 박리 속도 300 ㎜/분, 180°박리(peeling) 측정에 의해 구했다. 인장 측정기는 미네베어샤제 TG-1KN을 사용했다. 그 결과는, 표 4의 접착 강도의 란에 나타냈다.
또한, 시트 박리 후의 피착체를 관찰하여, 피착체에의 오염을 발생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도 확인했다. 오염을 발생시키고 있는 경우, 표 4의 접착 강도의 측정치 밑에「오염」이라고 표기했다.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유지력은, 시트를 베이크 라이트판에 대하여, 폭 10 ㎜× 길이 20 ㎜의 접촉 면적으로 접합하여, 24 시간 방치하고, 다시 40 ℃ 하에서 30분 방치한 후, 베이크 라이트판을 늘어뜨리고, 시트의 자유단부에 500 g의 균일 하중을 부하하여, 40 ℃에 있어서의 1시간 후의 시트의 차이 거리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의 유지력의 란에 나타냈다. 또한, 베이크 라이트판으로부터 시트가 낙하했을 경우를「낙하」라고 평가했다.
Figure 112008089632482-pct00003
표 3에 있어서, 각각의 값은 접촉각[°(degree)]이다. 또한, 경시 시간은, 액적을 접촉시키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의미한다.
표 3으로부터, 제26 실시예의 시트는 액체가 접촉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체를 더욱 묻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시트는 액적에 대한 습윤성이나 밀착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수성 혹은 유성의 도료 등에 피도장체로서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Figure 112008089632482-pct00004
제26 실시예의 시트는, 비 상용성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투명한 외관을 가지므로,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특히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피착체에 부착한 후 박리해도 오염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었다. 또한, 유지력이 우수했다.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IR 차트(도44) 및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의 IR 차트(도45)로부터, 제26 실시예는, 제7 비교예에 비해, 비 상용성 물질인 SEBS 유래의 성분(2900 ㎝-1 부근의 탄화수소 성분, 700 ㎝-1 부근의 스틸렌 성분)의 피크가 크게 되어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제26 실시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에서는, 제7 비교예의 시트의 이용면 표면과 비교하여, 비 상용성 물질의 농도가 높아져 있다고 생각된다.
폴리머 부재는, 비 상용성 물질의 종류나 그 양,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의 종류나 그 두께 등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을 발휘하므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머 부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요철 시트는, 의장성이 요구되 는 용도, 광산란성이 요구되는 용도, 안티 블록성이 요구되는 용도 등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폴리머층과, 그 폴리머를 구성하는 적어도 1종류의 모노머 성분을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이며,
    상기 폴리머층은,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모노머 흡수층과 반대측 계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50% 이내에 분포되는 형태로 포함하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층의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커버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폴리머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층이,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인 폴리머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적어도 하나와 공통되는 폴리머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입자인 폴리머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폴리머인 폴리머 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가, 아크릴계 폴리머인 폴리머 부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점착제층인 폴리머 부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테이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폴리머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입자이며, 표면에 상기 입자에 기인하는 요철을 갖는 폴리머 부재.
  11.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을 설치함으로써,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2. 중합성 모노머를 흡수 가능한 모노머 흡수성 시트의 모노머 흡수면 위에,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비 상용인 비 상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이 적층되고, 또한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위에 커버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비 상용성 물질 함유 중합성 조성물층 내에서 비 상용성 물질을 이동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을 중합시켜서, 비 상용성 물질이 모노머 흡수층과는 반대측의 계면 또는 상기 계면 근방으로 치우쳐서 분포되어 있는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과 모노머 흡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이, 박리성을 갖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층이,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인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모노머 흡수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적어도 하나와 공통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중합성 조성물층의 중합 시에 광조사를 이용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입자인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이, 폴리머인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 편재 폴리머층이, 비 상용성 물질 편재 점착제층인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폴리머 부재를 얻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22.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 상용성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는 동시에, 표면에 상기 입자에 기인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23. 삭제
KR1020087031707A 2006-06-02 2007-06-01 폴리머 부재 및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302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55035 2006-06-02
JP2006155035 2006-06-02
PCT/JP2007/061594 WO2007142321A1 (ja) 2006-06-02 2007-06-01 非相溶性物質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ポリマー部材、及び該ポリマー部材からなる表面凹凸テープ又は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00A KR20090014400A (ko) 2009-02-10
KR101302285B1 true KR101302285B1 (ko) 2013-09-03

Family

ID=3880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707A KR101302285B1 (ko) 2006-06-02 2007-06-01 폴리머 부재 및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69817A1 (ko)
EP (1) EP2022628A4 (ko)
KR (1) KR101302285B1 (ko)
CN (1) CN101466540A (ko)
WO (1) WO2007142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849B2 (en) * 2009-05-20 2013-10-29 Ming Kun Shi Surface treated film and/or laminate
KR101242237B1 (ko) * 2009-08-25 2013-03-12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아크릴 필름
JP5683801B2 (ja) * 2009-10-29 2015-03-11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に3次元模様を有するポリマ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2030506A (ja) * 2010-07-30 2012-02-16 Nitto Denko Corp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部材
JP2012143961A (ja) * 2011-01-12 2012-08-02 Nitto Denko Corp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
JP5843534B2 (ja) * 2011-09-09 2016-01-13 日東電工株式会社 熱伝導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43533B2 (ja) * 2011-09-09 2016-01-13 日東電工株式会社 熱伝導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26715B2 (ja) * 2011-09-30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5019657B1 (ja) * 2011-10-27 2012-09-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加工用粘着テー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837A (en) * 1985-04-08 1988-04-05 Nichiban Company Limited Removable adhesive sheet
US5527368A (en) * 1983-03-11 1996-06-18 Norton Company Coated abrasives with rapidly curable adhesives
US5626955A (en) * 1994-04-04 1997-05-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particle-contain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2001290009A (ja) * 2000-01-31 2001-10-19 Nitto Denko Corp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067A (en) * 1978-03-27 1980-09-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oam-lik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0314563B1 (ko) 1993-10-29 2002-04-24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세구조표면을갖는압감접착제
JP3585962B2 (ja) 1994-10-06 2004-11-10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気泡抜け性能を有するフィルム
US5874143A (en) * 1996-02-26 1999-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use on low energy surfaces
JP2000275404A (ja) 1999-03-24 2000-10-06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を有する反射防止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6368B2 (ja) 1999-09-24 2009-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DE20000130U1 (de) * 2000-01-05 2001-05-10 Coroplast Fritz Mueller Gmbh Textiles Klebeband
TW525195B (en) * 2000-03-28 2003-03-21 Toyo Boseki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JP3526048B2 (ja) 2000-03-28 2004-05-10 東洋紡績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透明導電性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
TW557371B (en) * 2001-07-02 2003-10-11 Sumitomo Chemical Co Semi-transparent-semi-reflectivity film, semi- transparent-semi-reflectivity polarized film, polarized light device using these fil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se films
JP2003248101A (ja) 2002-02-25 2003-09-05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137036A (ja) 2004-11-10 2006-06-01 Nitto Denko Corp 光重合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7368A (en) * 1983-03-11 1996-06-18 Norton Company Coated abrasives with rapidly curable adhesives
US5527368C1 (en) * 1983-03-11 2001-05-08 Norton Co Coated abrasives with rapidly curable adhesives
US4735837A (en) * 1985-04-08 1988-04-05 Nichiban Company Limited Removable adhesive sheet
US5626955A (en) * 1994-04-04 1997-05-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particle-contain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2001290009A (ja) * 2000-01-31 2001-10-19 Nitto Denko Corp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2628A1 (en) 2009-02-11
US20090169817A1 (en) 2009-07-02
CN101466540A (zh) 2009-06-24
WO2007142321A1 (ja) 2007-12-13
KR20090014400A (ko) 2009-02-10
EP2022628A4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285B1 (ko) 폴리머 부재 및 폴리머 부재의 제조 방법
JP4916423B2 (ja) ガスバリア性物質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ガスバリア部材
KR20100089863A (ko) 엘라스토머 편재 중합체층을 갖는 점탄성 부재
JP2009132803A (ja) リワーク性粘着部材
JP2008120903A (ja)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060834B2 (ja) 非相溶性物質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ポリマー部材、及び該ポリマー部材からなる表面凹凸テープ又はシート
TW201708463A (zh) 轉移膠帶及相關方法
JP2002241709A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13063605A (ja)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マー部材
JP5749052B2 (ja) 硬化多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硬化多層シート
JP5443028B2 (ja)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部材
JP2009132033A (ja) 導電性物質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導電部材
WO2012014995A1 (ja)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部材
JP5105655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用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683801B2 (ja) 表面に3次元模様を有するポリマ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4815425B2 (ja) 光拡散粒子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光拡散部材、及び光学素子
WO2011093251A1 (ja)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
JP2012066407A (ja)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部材
TWI753853B (zh) 包括多孔聚合粒子之組成物及黏著劑物品以及塗佈基材之方法
TW201923001A (zh) 經塡充的壓敏黏著劑
JP2010247482A (ja) 光学部材成形用型の製造方法
JP4726999B2 (ja) ガスバリア性物質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ガスバリア部材の製造方法
WO2012096206A1 (ja)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
JP2011235648A (ja) ガスバリア性物質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ガスバリア部材
JP2011132279A (ja) 含水物質含有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