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750B1 -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750B1
KR101301750B1 KR1020060126668A KR20060126668A KR101301750B1 KR 101301750 B1 KR101301750 B1 KR 101301750B1 KR 1020060126668 A KR1020060126668 A KR 1020060126668A KR 20060126668 A KR20060126668 A KR 20060126668A KR 101301750 B1 KR101301750 B1 KR 10130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ase
locking
ge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309A (ko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7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 버튼 방식으로 댐퍼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여 부품 공용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모듈화로 인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 벤트, 댐퍼, 누름버튼

Description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damper in air-v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벤트의 개폐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요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 내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에어 벤트 52: 하우징
56: 댐퍼 500: 케이스
510: 걸림돌기 600: 조작부재
700: 작동부재 800: 걸림부
810: 걸림노브 820: 걸림핀
830: 가이드홈 840: 탄성부재
900: 기어부
본 발명은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 버튼 방식으로 댐퍼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여 부품 공용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모듈화로 인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으로는 실내로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해 다수의 에어 벤트(air vent)가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 벤트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위치된 덕트(duct)에 결합되는 하우징(housing)과, 이 하우징 상에 다수 배열 설치되어 에어의 토출 방향을 변환시키는 윙(wing) 그리고 이 윙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knob)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로부터의 에어(air)가 안내되는 덕트(duct;2)의 외측 전면에는 하우징(housing;100)이 결합되며, 이 하우징(100) 상에는 에어의 송풍 방향을 변환시키는 윙(wing;110)의 조절하기 위한 윙 노브(wing konb)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 내면에는 송풍기로부터 덕트(2)를 통해 안내된 에어가 토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댐퍼(damper;200)가 위치되는 바, 특히 이 댐퍼(200)는 좌,우 댐퍼(210,220)로 분리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단이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좌,우 댐퍼(210,220)의 중심면에는 반원형 기어(211,221)가 형성되는 바, 이 반원형 기어(211,221)들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윙 노브(120)와 인접된 하우징(100) 상에는 좌,우 댐퍼(210,22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푸쉬 노브(push konb;300)가 위치된다.
이 푸쉬 노브(300)는 하우징(100)에 덕트(2)의 내,외측으로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특히 좌,우 댐퍼(210,220)의 반원형 기어(211,221)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 푸쉬 노브(300)의 좌,우 양측면에는 좌,우 댐퍼(210,220)의 반원형 기어(211,221)와 이 맞물림 되도록 랙(rack;310)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에어 벤트는 기어를 활용하여 댐퍼를 개폐시 댐퍼의 작동 궤적이 커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푸쉬 노브의 외부 노출 부위가 많아 미감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버튼의 연속 누름 동작으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작동부재를 전·후진 시킴과 아울러 이 작동부재의 후진시 캠 방식을 통해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반복 누름시 후진 가능하도록 하고, 이 작동부재의 왕복 이동을 통해 기어부의 설정된 기어비로서 댐퍼를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댐퍼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부품 공용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연통된 내부에 댐퍼를 왕복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조작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동작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전진된 상태 또는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댐퍼를 연결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을 통해 상기 댐퍼를 왕복 회전시키며 열거나 닫도록 안내하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부 내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걸림노브와, 상기 걸림노브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핀과, 상기 작동부재 상에 폐곡선으로 함몰되어 상기 걸림핀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시 상기 걸림핀을 수용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용홈을 형성한 가이드홈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 어 상기 작동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시 압축됨과 아울러 반복 누름으로 인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핀을 이탈시키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노브는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를 분리한 상태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게 돌출 되며 외력 작용시 중심 방향으로 모여지는 조임편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노즈는 상기 조임편 전체의 원 궤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걸림홀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편 각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편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 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걸림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 내측면에 지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측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면에 탄성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전동치차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동치차와 치합됨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시 왕복 회전되는 주동치차와, 상기 주동치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주동치차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치차와, 상기 댐퍼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종동치차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치차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에 전달하여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피동치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 내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벤트(50)는 외형을 이루며 양측으로 연통되는 하우징(52)과, 이 하우징(52)의 전면에 형성되어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전환 가능한 윙(58) 및 이 하우징(5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댐퍼(56)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56)는 하우징(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댐퍼(56)는 댐퍼 개폐장치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왕복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52)을 개폐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댐퍼 개폐장치는 조작부재(600), 작동부재(700), 걸림부(800) 및 기어부(900)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600)와 작동부재(700) 및 걸림부(800)는 하우징(52)에서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나, 조립상의 간편성을 위해 모듈화한다.
즉, 상기 하우징(52)은 내부에 케이스(50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52)은 내부와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설치홀(54)을 통공하고, 이 설치홀(54)에 케이스(5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홀(54)은 하우징(52)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홀(54)에는 케이스(50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500)는 설치홀(54)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억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500)는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0)는 상부에 조작부재(600)를 형성하는데, 이 조작부재(600)는 하우징(52)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0)는 작동부재(700)를 삽입하고, 이 작동부재(700)의 상단부는 조작부재(600)에 연결됨과 아울러 이 작동부재(700)의 하단부는 기어부(900)와 연결된다.
상기 조작부재(600)는 하우징(52)의 전면에 일부 삽입되게 형성되어 외부 노출부위를 최소화하며,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700)는 조작부재(6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조작부재(600)의 누름시 하우징(52)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고, 반복 누름시 하우징(52)의 전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작동부재(700)는 걸림부(800)에 의해 전진상태 및 후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600)는 작동부재(700)의 후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우징(52)의 전면에 대부분 삽입된 상태가 되고, 작동부재(700)의 전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우징(52)의 전면에서 상단부를 노출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500)는 상단부 내측에 걸림돌기(510)를 돌출 형성함과 아울러 작동부재(700)는 둘레면에 단턱(710)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단턱(710)이 걸림돌기(510)에 걸림으로써 작동부재(700)는 케이스(500)의 상부측 외부로 일정 이상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걸림부(800)는 걸림노브(810), 걸림핀(820), 가이드홈(830) 및 탄성부재(8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노브(810)는 케이스(500)의 내측에 고정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노브(810)는 케이스(50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스(500)는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를 분리한 상태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게 돌출 되며 외력 작용시 중심 방향으로 모여지게 조임편(5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노브(810)는 형성된 조임편(530) 및 상기 조임편(530) 전체의 원 궤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걸림홀(5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조임편(530)이 중앙 방향으로 모인 상태로 걸림홀(540)에 삽입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걸림홀(540)의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노브(810)는 케이스(500)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조임편(530)은 적어도 하나의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기(532)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돌기(532)는 걸림홀(540)의 하부에 걸림으로써 조임편(530)의 탄성력이 약화될 경우라도 조임편(530)이 걸림홀(540)의 외부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걸림노브(810)는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걸림핀(820)을 연장 형성한다.
상기 걸림핀(820)은 작동부재(700)가 전진 또는 후진시 이와 함께 전·후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830)은 작동부재(700) 상에 함몰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전·후진하는 걸림핀(820)을 안내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홈(830)은 작동부재(700)의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서 그 반대 방향인 조작부재(600) 방향의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수용홈(832)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700)가 후진하게 되면, 걸림핀(820)이 함께 후진하면서 수용홈(832)에 수용되어 걸림으로써 반복된 누름 동작 전달 전에 작동부재(700)의 임의적 전진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0) 내부에 해당되는 작동부재(700)의 둘레에는 탄성부재(84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840)는 케이스(500) 내부에 형성되어 작동부재(7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조작부재(600)의 누름시 압축됨과 아울러 반복 누름으로 인해 수용홈(832)으로부터 이탈된 걸림핀(820)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700)와 함께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500)는 탄성부재(84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 내측면에 지지턱(520)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재(700)는 탄성부재(840)의 상측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면에 탄성턱(720)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탄성부재(840)는 양측이 각각 지지됨에 따라 탄성력을 발휘하며 작동부재(700)를 조작부재(600)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어부(900)는 하우징(52)의 내부에서 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된 작동부재(700)와 댐퍼(56)를 연결하여 작동부재(700)의 전·후진시 이를 기어비의 변환으로 댐퍼(56)를 왕복 회전시키며 열거나 닫도록 안내한다.
상기 기어부(900)는 작동부재(70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작동부재(700)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전동치차(910)와, 상기 하우징(5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치차(910)와 치합됨에 따라 작동부재(700)의 전·후진시 왕복 회전되는 주동치차(920)와, 상기 주동치차(9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주동치차(92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치차(930)와, 상기 댐퍼(56)에 일체로 형성되며 종동치차(930)와 치합되어 종동치차(930)의 회전력을 댐퍼(56)에 전달하여 하우징(52)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피동치차(94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기어부(900)는 정확한 기어비에 의해 전·후진되는 전동치차(910)에 순서대로 주동치차(920), 종동치차(930) 및 피동치차(940)를 연결함으로써 댐퍼(56)를 정해진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원호 궤적을 그리며 하우징(52)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조작부재(600)를 누르게 되면, 조작부재(600)에 연결된 작동부재(700)는 하우징(52) 내부에서 후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작동부재(700)에는 수용홈(832)을 갖는 가이드홈(83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52)에는 케이스(500)가 삽입된다.
이 케이스(500) 내측에는 걸림노브(810)가 형성되고, 이 걸림노브(810)에는 걸림핀(820)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작동부재(700)가 후진하게 되면, 걸림핀(820)은 가이드홈(830)을 따라 후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용홈(832)에 걸리게 된다.
특히, 상기 작동부재(700)가 후진하게 되면, 탄성부재(840)는 케이스(500) 내부에서 일측을 케이스(500)에 지지하면서 타측을 작동부재(700)에 지지한 상태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4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700)를 전진시키려는 힘을 작용하기 때문에 걸림핀(820)은 임의적으로 수용홈(83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재(700)는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작동부재(700)가 후진하게 되면, 이의 둘레면에 형성된 전동치차(910)가 전진하게 되고, 이 전동치차(910)에 치합된 주동치차(92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전동치차(910)와 주동치차(920)는 통상적인 래크와 피니언이다.
또한, 상기 주동치차(920)에는 종동치차(9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치차(930)는 주동치차(9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치차(930)는 피동치차(940)와 치합되는데, 이 피동치차(940)는 댐퍼(56)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치차(930)는 주동치차(920)와 함께 회전되고, 이 회전력을 피동치차(940)에 전달한다.
그래서, 상기 댐퍼(56)는 피동치차(940)와 함께 회전되면서 하우징(52) 내부를 닫는다.
이때, 상기 종동치차(930)와 피동치차(940)는 일반적인 스퍼기어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재(600)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조작부재(600)에 연결된 작동부재(700)는 하우징(52)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조작부재(600)를 누르면, 걸림핀(820)은 수용홈(832)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작동부재(700)는 탄성부재(8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우징(52)의 외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핀(820)은 가이드홈(830)을 따라 전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700)가 전진하게 되면, 이의 둘레면에 형성된 전동치차(910)가 후진하게 되고, 이 전동치차(910)에 치합된 주동치차(9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동치차(930)는 주동치차(9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치차(930)는 피동치차(940)와 치합되는데, 이 피동치차(940)는 댐퍼(56)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치차(930)는 주동치차(92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력을 피동치차(940)에 전달한다.
그래서, 상기 댐퍼(56)는 피동치차(940)와 함께 회전되면서 하우징(52) 내부를 열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52)의 전측에 형성된 윙(58)은 동작상태를 미설명하며, 이에 대한 도면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에 의하면, 누름 버튼 방식과 정확한 기어비를 통해 댐퍼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어 댐퍼의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댐퍼 개폐장치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양측으로 연통된 내부에 댐퍼를 왕복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조작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동작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전진된 상태 또는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댐퍼를 연결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을 통해 상기 댐퍼를 왕복 회전시키며 열거나 닫도록 안내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를 분리한 상태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게 돌출 되어 외력 작용시 중심 방향으로 모여지는 조임편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노브는 상기 조임편 전체의 원 궤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걸림홀을 통공하여 상기 조임편 각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내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노브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핀;
    상기 작동부재 상에 폐곡선으로 함몰되어 상기 걸림핀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시 상기 걸림핀을 수용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용홈을 형성한 가이드홈;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시 압축됨과 아울러 반복 누름으로 인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걸림핀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편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 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걸림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 내측면에 지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측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면에 탄성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전동치차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동치차와 치합됨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시 왕복 회전되는 주동치차와;
    상기 주동치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주동치차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치차와;
    상기 댐퍼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종동치차와 치합되어 상기 종동치차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에 전달하여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피동치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KR1020060126668A 2006-12-12 2006-12-12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KR10130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668A KR101301750B1 (ko) 2006-12-12 2006-12-12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668A KR101301750B1 (ko) 2006-12-12 2006-12-12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309A KR20080054309A (ko) 2008-06-17
KR101301750B1 true KR101301750B1 (ko) 2013-08-29

Family

ID=3980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668A KR101301750B1 (ko) 2006-12-12 2006-12-12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0Y1 (ko) * 2017-06-05 2018-04-19 강준상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WO2018157759A1 (en) * 2017-03-01 2018-09-07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user-actuated air nozzle control mechanis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53B1 (ko) * 2008-09-24 2011-01-14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벤트의 개폐장치
KR101123775B1 (ko) * 2010-02-23 2012-03-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버튼타입의 자동차용 벤트 시스템
KR20110011080U (ko) * 2010-05-24 2011-11-3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의 댐퍼 조작장치
KR101526809B1 (ko) *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KR102205970B1 (ko) 2014-09-02 2021-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댐퍼 노브 및 이를 구비한 에어벤트
CN107471967B (zh) * 2017-09-11 2023-09-0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一种按压式控制风门的汽车空调出风口
CN111141016B (zh) * 2020-01-06 2023-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挡风机构及具有其的送风系统、空调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327A (ja) * 1994-04-20 1995-10-31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開閉機構
JPH08291936A (ja) * 1995-04-24 1996-11-05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バルブシャッター開閉操作ユニット及び同吹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327A (ja) * 1994-04-20 1995-10-31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開閉機構
JPH08291936A (ja) * 1995-04-24 1996-11-05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バルブシャッター開閉操作ユニット及び同吹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7759A1 (en) * 2017-03-01 2018-09-07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user-actuated air nozzle control mechanis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US11207942B2 (en) * 2017-03-01 2021-12-28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User-actuated air nozzle control mechanis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flow
KR200486230Y1 (ko) * 2017-06-05 2018-04-19 강준상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309A (ko)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750B1 (ko)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CN100518562C (zh) 开关头盔颌保护罩的装置
CA2363892C (en) Operation switch unit for vehicle
KR20210075094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0382597Y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JP3887228B2 (ja) 腕装着型電子機器の位置調整機能付き装着機構および腕装着型電子機器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CN104369145B (zh) 螺钉夹持装置
KR200270291Y1 (ko)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JP6989847B2 (ja) 換気装置
KR101123775B1 (ko) 버튼타입의 자동차용 벤트 시스템
KR101876343B1 (ko)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CN106766586B (zh) 左右开门机构及冰箱
KR100675347B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CN217842904U (zh) 一种按键结构和淋浴装置
JP3777370B2 (ja) 車両用空気吹出口装置
JP4351018B2 (ja) 内外気切替え用ダンパの操作装置
CN211910535U (zh) 低温烘烤烟具
JP4597405B2 (ja) スライド窓の固定解除、開閉装置
KR100507535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
KR102474828B1 (ko) 회전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JP7304832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20230016912A (ko) 루버 손잡이
KR100818849B1 (ko)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