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30Y1 -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30Y1
KR200486230Y1 KR2020170002826U KR20170002826U KR200486230Y1 KR 200486230 Y1 KR200486230 Y1 KR 200486230Y1 KR 2020170002826 U KR2020170002826 U KR 2020170002826U KR 20170002826 U KR20170002826 U KR 20170002826U KR 200486230 Y1 KR200486230 Y1 KR 200486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gnition
push button
torch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상
Original Assignee
강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상 filed Critical 강준상
Priority to KR2020170002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65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for tor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토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토치를 사용함에 있어 가스량의 조절과 점화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되, 사용자의 한 손을 이용하여 가스량의 조절과 점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가스량 조절과 점화가 매우 편리하게 하며, 특히 부득이 피점화물 등을 파지하여야 할 필요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한 손을 이용하여 가스량의 조절 및 점화를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스 배출 및 점화를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 가스토치 사용시 가스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Potable Gas Torch}
본 고안은 가스토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토치를 사용함에 있어, 한 손을 이용하여 가스 배출량의 조절 및 점화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치는, 특정부분에 열을 가하는 가열용이나 간단한 용접, 납땜 및 보석의 세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토치가 있으며 화구의 길이와 가스분출구의 구멍크기 및 산소의 혼합비율에 따라 토치 연소구에서 불꽃이 퍼지거나 모아지면서 연소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분리되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토치는 최근 등산, 캠핑, 낚시 등 야외 레저활동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야외 활동시 취사 등 난방을 위해 숯이나 장작 등에 불을 지피기 위해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토치는 가솔린이나 석유를 압축, 무화하고 이를 토치의 연소관으로 분출시켜 점화 연소시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하였으나, 토치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통이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의 어려움과 함께, 연소관에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해 가솔린이나 석유의 기압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펌프로 연료저장통을 압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피가 작은 토치만을 휴대하면서 토치의 하부에 휴대용 가스용기를 연결해 토치의 연소관으로 분출하는 부탄가스를 점화시켜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액화 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토치는, 전방에 화염관이 형성된 본체를 이루되, 그 본체의 하부에는 어댑터가 형성되어 부탄가스통에 착탈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어댑터에는 부탄가스통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관이 연결 및 화염관으로 인출되게 구성되며, 그 가스 배출관에는 외부에서 회전노브의 작동에 의해 개폐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밸브몸체가 구성된다.
이에, 토치를 부탄가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노브의 작동을 통해 밸브몸체를 개방 및 가스 배출관 및 화염관을 통해 분출이 가능하게 되며, 그 분출되는 가스에 불꽃 등을 부여하여 점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가스토치는 그 사용함에 있어 단순히 가스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별도이 점화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분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수단이 구비되며, 그 점화수단은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푸쉬버튼을 통해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회전노브를 이용하여 가스를 배출한 상태에서 푸쉬버튼을 통해 점화수단을 작동 및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가 가능하게 되는 등 가스량의 조절과 점화가 겸용 가능한 토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토치는 가스량의 조절과 점화가 겸용 가능한 편리함은 있었으나, 그 가스량의 조절시 한 손은 본체 또는 부탄가스통을 파지하고 다른 손을 이용하여 회전노브의 회전 작동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인바, 부득이 피점화물 등을 잡고 있어야 하는 등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그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사용자는 먼저 회전노브를 개방하여 가스를 분출시킨 상태에서 피점화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점화수단을 이용하여 점화를 수행하게 되는 것인바, 그 점화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가스가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등 가스량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토치는 그 사용함에 있어 반드시 가스량 조절과 점화시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93832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10-1289701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7681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스토치를 사용함에 있어 가스량의 조절과 점화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되, 사용자의 한 손을 이용하여 가스량의 조절과 점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가스량 조절과 점화가 매우 편리하게 하며, 특히 부득이 피점화물 등을 파지하여야 할 필요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한 손을 이용하여 가스량의 조절 및 점화를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스 배출 및 점화를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 가스토치 사용시 가스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하단에는 부탄가스에 착탈 가능한 어댑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어댑터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며 중간부에는 배출밸브가 형성된 가스 배출관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스 배출관을 감싸며 연장되어 가스의 분출 및 화염을 발생하는 화염관이 형성되고, 후단 하부에는 푸쉬 작동되며 가스 배출관의 선단에서 불꽃을 발생하는 점화코일을 갖는 점화수단이 형성된 본체;
본체의 후단 상부에서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배출밸브의 회전 개폐를 단속하는 회전노브;
본체의 후단에서 회전노브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승강 작동에 의해 회전노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레버;
본체의 후단에서 점화수단에 푸쉬력을 부여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회전노브에는,
외둘레에는 피니언을 더 형성하고,
승강레버에는,
회전노브의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크를 더 형성하여,
승강레버의 상,하 승강시 랙크와 피니언의 치합력에 의해 피니언에 회전력이 전달 및 회전노브의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본체의 후단 양측에는 회전노브를 사이에 두고 수직상으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승강레버는,
중앙에 회전노브가 수용되는 노브 수용공간을 이루도록 양측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에 내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승강되는 양측 한 쌍의 승강바로 구성하며, 그 양측 승강바의 상단 및 전방은 회전노브를 구속하는 캡부로 연결되게 구성하되,
일측의 승강바에 회전노브의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크를 형성하고, 타측의 승강바는 피니언과 이격되어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하며,
푸쉬버튼은,
노브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승강레버와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는, 본체의 후방에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회전노브와 연계 작동되는 승강레버가 형성된 것인바,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승강레버의 상,하 승강 작동에 따른 회전노브의 연계 작동으로 가스의 개폐 및 배출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한 손을 이용한 편리한 가스량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후방에는 점화수단을 푸쉬하는 푸쉬버튼이 형성된 것인바, 마찬가지로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그 점화가 가능하게 되는 등 한 손을 이용한 편리한 점화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가스의 개폐 및 조절과 점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신속한 연계 작동에 따른 가스의 낭비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장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가스 배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점화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점화 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스토핑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스토퍼 작동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는, 본체(100)와, 회전노브(200)와, 승강레버(300)와, 푸쉬버튼(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전방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그 하단에는 본체(100)를 통상의 부탄가스통(도면중 미도시함)에 착탈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110)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일단이 어댑터(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1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부탄가스통으로부터 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스 배출관(120)이 구성된다.
이때, 가스 배출관(120)에는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회전 작동하는 배출밸브(121)가 형성된 것으로, 그 배출밸브(121)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전방에는 상기 가스 배출관(120)을 감싸는 한편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통형 관체 형태의 화염관(130)이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부여하여 점화가 가능하게 하는 점화수단(140)이 구성된다.
이때, 점화수단(140)은 본체(100)의 후단 하부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푸쉬 작동되게 구성된 것으로, 점화수단(140)에는 상기 가스 배출관(120)의 선단으로 연결되어 그 가스 배출관(120)으로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코일(141)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노브(200)는, 본체(100)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회전노브(200)는 배출밸브(121)와 연결되어 그 배출밸브(121)의 회전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후단에서 좌,우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한편, 회전노브(200)에는, 그 둘레에 피니언(21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레버(300)는,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하 슬라이딩 승강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승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노브(200)와 간섭되어 그 회전노브(200)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승강레버(300)를 본체(100)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100)의 후단 양측에는 회전노브(200)를 사이에 두고 2열의 수직형 가이드레일(150)(150')이 구성된 것으로, 그 각각의 가이드레일(150)(150')에는 수직상으로 가이드홈(151)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50)(150')은 그 상단이 회전노브(200)의 양측에 위치되게 구성하고, 그 하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승강레버(300)는 양측 한 쌍의 승강바(310)(3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승강바(310)(310')는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50)(150')의 가이드홈(151)에 각각 결합되어 그 가이드레일(150)(15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승강되게 구성되며, 그 양측 승강바(310)(310')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노브(200)가 관통 수용되는 노브 수용공간(301)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승강바(310)(310')는 그 상단 및 전방이 캡부(320)를 통해 마감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캡부(320)를 통해 양측 승강바(310)(310')가 일체되어 동시에 승강되게 구성되며, 그 캡부(320)의 내측에는 회전노브(200)가 캡부(320)와 간섭 없이 구속된 상태를 이루고, 그 하부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승강레버(300)를 이루는 양측 승강바(310)(310') 중 어느 한 측의 승강바(310)에는 상기 회전노브(200)의 피니언(210)과 치합되는 랙크(311)가 더 포함되게 구성되고, 반대 측의 승강바(310')는 상기 피니언(210)과 간섭 없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랙크(311)는 배출밸브(121)가 잠김 상태에서 상단이 피니언(210)과 치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양측 승강바(310)(310') 중 랙크(311)가 형성되는 승강바(310)는 통상 배출밸브(121)는 오른 방향으로 회전시 잠기고,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 개방되는 구조를 이룰 시에는 우측의 승강바(310)가 될 것이고, 반대 방향의 개폐 구조를 이루는 배출밸브(121)가 적용시에는 좌측의 승강바(310')가 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오른 방향 잠금구조를 이루는 배출밸브(121)에 적용하여 우측의 승강바(310)에 랙크(311)가 구성된다.
즉, 승강레버(300)는 상,하 승강 작동시 회전노브(200)의 회전이 가능하되, 승강레버(300)를 상승시키게 되면 랙크(311)와 피니언(210)의 치합력에 의해 회전노브(200)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되고, 하강시키게 되면 회전노브(20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되어 폐쇄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레버(300)의 상,하 승강 작동에 의해 회전노브(200)의 회전량 조절 및 배출밸브(121)의 개폐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가스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푸쉬버튼(400)은,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점화수단(140)에 결합되어 그 점화수단(140)에 푸쉬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때, 푸쉬버튼(400)은 상기 회전노브(200)의 하부에서 승강레버(300)의 노브 수용공간(301)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고, 승강레버(300)와는 간섭이 방지되게 소정 이격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레버(300)의 캡부(320) 하부를 통해 손가락을 진입 및 푸쉬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자동 점화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승강레버(300)의 내측 하부에는 푸쉬버튼(400)의 푸쉬력을 부여하는 푸쉬돌부(330)이 더 포함된다.
이때, 푸쉬돌부(330)은 먼저, 상부의 경사부(331)가 구성된 것으로, 경사부(331)는 승강레버(300)의 전면 내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폭을 이루는 하방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경사부(331)은 승강레버(30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푸쉬버튼(400)의 하단이 접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경사부(331)의 하단에는 수직을 이루어 푸쉬버튼(400)의 완전한 푸쉬가 가능한 수직부(332)가 연장되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스토핑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승강레버(300)의 어느 한 측, 바람직하게는 랙크(311)가 형성된 반대측 승강바(310')에는, 외측이 막히고 푸쉬버튼(400) 측으로 개방되는 스토핑홈(312)(312')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스토핑홈(312)(312')은,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400)에는, 일측이 막히고 상기 스토핑홈(312)(312') 측으로 개방되는 수평형 스토퍼 가이드홈(410)을 형성하고, 그 스토퍼 가이드홈(410)에는 스토퍼 가이드홈(410)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출몰하며 스토핑홈(312)(312')과 결합되는 스토퍼(42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즉, 스토퍼(420)는, 스토퍼 가이드홈(410)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출몰하되, 그 인출되시에는 어느 한 단의 스토핑홈(312)(312')에 삽입되어 승강레버(300)의 승강 작동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토핑 구조를 이룸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스토퍼(420)의 출몰 작동을 제한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스토퍼 가이드홈(4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전,후방 고정홈(411)(411')이 더 구성된 것으로, 전,후방 고정홈(411)(411')은 반원홈 형태를 이루며 스토퍼 가이드홈(4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곳에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420)에는 상기 전,후방 고정홈(411)(411') 중 어느 한 곳에 탄력 고정되는 볼플렌져(421)가 더 구성된 것으로, 볼플렌져(421)는 스토퍼(420)가 인출시에는 전방 고정홈(411)에 탄력 고정되고, 인입시에는 후방 고정홈(411')에 탄력 고정되도록 그 후단 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볼플렌져(421)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스프링(421b) 탄력 작동하는 볼(421a) 구성이면 가능할 것으로, 이때 상기 볼(421a)이 스프링(421b) 탄력에 의해 전,후방 고정홈(411)(411')에 탄력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는, 그 사용 과정에서 양손의 사용이 필요없이 한 손으로 사용이 가능하되, 특히 한 손의 엄지 손가락만으로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먼저, 가스토치(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가스토치와 같이 어댑터(110)를 통해 부탄가스통(10)에 본체(100)를 결합하면 된다.
이후, 배출밸브(121)를 개방하여 부탄가스통(10)으로부터 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는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승강레버(300)를 작동하면 된다.
즉, 도 9의 도시와 같이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승강레버(300)를 상부로 밀어 상승시키게 되면, 그 승강레버(300)의 승강바(310)에 형성된 랙크(311)가 상승 및 그 상승 과정에서 랙크(311)에 치합된 회전노브(200)의 피니언(21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회전노브(200)의 회전에 따른 배출밸브(121)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레버(300)의 상승 정도에 따라 회전노브(200)의 회전량 또한 조절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승강 정도에 따라 배출밸브(121)의 개방량 조절 및 가스 배출량이 조절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개방과 동시에 신속히 점화가 가능하되, 이 또한 본체(100)를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0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배출밸브(121)의 개방과 동시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푸쉬버튼(400)을 눌러 점화수단(140)의 작동하되, 푸쉬버튼(400)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엄지 손가락을 노브 수용공간(301)으로 삽입 및 푸쉬버튼(400)을 눌러주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점화코일(141)을 통해 가스 배출관(120)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부여 및 점화하여 화염관(130)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가스토치(1)를 사용 후에는 상기 승강레버(300)의 상승에 따른 배출밸브(121)의 개방과 반대로 승강레버(300)를 하강시키게 되면 랙크(311)와 피니언(210)의 역방향 작동에 의해 회전노브(200)의 잠금에 따른 배출밸브(121)가 폐쇄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를 사용함에 있어, 그 점화가 보다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승강레버(300)의 내측에 경사부(331)와 수직부(332)를 이루는 푸쉬돌부(330)을 더 구성하여 가능하게 된다.
즉, 푸쉬돌부(330)는 승강레버(30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경사부(331)이 푸쉬버튼(400)의 단부에 접한 상태를 이루고, 배출밸브(121)를 개방하기 위해 승강레버(300)을 상승시 경사부(331)의 돌출 정도에 의해 푸쉬버튼(400)을 누르게 되며, 이에 정점인 수직부(332)에 도달시 푸쉬버튼(400)을 완전히 눌러 점화수단(140)을 작동하게 된다.
한편, 푸쉬돌부(330)의 작동은 승강레버(300)의 상승과 함께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회전노브(200)의 개방과 함께 작동하여 보다 신속한 점화가 가능하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는, 가스토치(1)를 사용함에 있어 그 가스의 배출 및 점화를 본체(100)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 만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가스의 배출 및 점화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가스토치(1)를 파지한 다른 손을 피점화물의 파지 등에 사용시 매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또한, 승강레버(300)와 푸쉬버튼(400)의 연속 작동으로, 가스의 배출과 점화의 신속한 연계 작동이 가능한 것인바, 미사용 배출되는 가스량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는, 그 가스토치(1)를 사용함에 있어, 승강레버(300) 및 푸쉬버튼(4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어느 한 측의 승강바(310')에는 다수단의 스토핑홈(312)(312')이 구성되고, 푸쉬버튼(400)에는 스토핑홈(312)(312')과 반응하는 스토퍼(420)가 구성된 것인바, 가스토치(1)를 미 사용시에는 그 스토퍼(420)를 이동시켜 승강바(310')의 최 상단에 형성되는 스토핑홈(312)에 삽입 고정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승강레버(300)는 푸쉬버튼(400)과의 고정에 의해 상,하 승강이 불가능하게 되고, 푸쉬버튼(400) 또한 승강레버(300)와의 고정에 의해 그 푸쉬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가스토치(1)의 오작동이 방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오작동의 방지는 가스토치(1)를 미사용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가스토치(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승강레버(300)의 상승으로 일정량의 가스 배출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스토퍼(420)를 작동시켜 어느 한 단의 스토핑홈(312')에 삽입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승강레버(300)의 오작동이 방지되어 원하는 화염의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1)는 상기 스토퍼(420)의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도 13의 도시와 같이 푸쉬버튼(400)의 스토퍼 가이드홈(410)에는 전,후방 고정홈(411)(411')이 형성되고 스토퍼(420)에는 볼플렌져(421)가 구성되어 가능하게 된다.
즉, 스토퍼(420)를 미사용시에는 그 스토퍼(420)를 후방으로 인입시키게 되면 볼플렌져(421)의 볼(421a)이 스프링(421b) 탄력에 의해 후방 고정홈(411')에 탄력 고정되고, 스토퍼(420)를 사용시에는 그 스토퍼(42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볼플렌져(421)의 볼(421a)이 스프링(421b) 탄력에 의해 전방 고정홈(411)에 탄력 고정되는 것인바, 그 스토퍼(420)의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는, 한 손 작동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그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고, 가스토치의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어댑터
120 : 가스 배출관 121 : 배출밸브
130 : 화염관 140 : 점화수단
141 : 점화코일 150,150' : 가이드레일
151 : 가이드홈
200 : 회전노브 210 : 피니언
300 : 승강레버 301 : 노브 수용공간
310, 310' : 승강바 311 : 랙크
312,312' : 스토핑홈 320 : 캡부
330 : 푸쉬돌부 331 : 경사부
332 : 수직부
400 : 푸쉬버튼 410 : 스토퍼 가이드홈
411,411' : 전,후방 고정홈 420 : 스토퍼
421 : 볼플렌져

Claims (5)

  1. 하단에는 부탄가스에 착탈 가능한 어댑터(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어댑터(1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며 중간부에는 배출밸브(121)가 형성된 가스 배출관(120)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스 배출관(120)을 감싸며 연장되어 가스의 분출 및 화염을 발생하는 화염관(130)이 형성되고, 후단 하부에는 푸쉬 작동되며 가스 배출관(120)의 선단에서 불꽃을 발생하는 점화코일(141)을 갖는 점화수단(140)이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의 후단 상부에서 배출밸브(121)와 연결되어 배출밸브(121)의 회전 개폐를 단속하는 회전노브(200);
    본체(100)의 후단에서 회전노브(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승강 작동에 의해 회전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레버(300);
    본체(100)의 후단에서 점화수단(140)에 푸쉬력을 부여하는 푸쉬버튼(4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회전노브(200)에는,
    외둘레에는 피니언(210)을 더 형성하고,
    승강레버(300)에는,
    회전노브(200)의 피니언(210)과 치합되는 랙크(311)를 더 형성하여,
    승강레버(300)의 상,하 승강시 랙크(311)와 피니언(210)의 치합력에 의해 피니언(210)에 회전력이 전달 및 회전노브(200)의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본체(100)의 후단 양측에는 회전노브(200)를 사이에 두고 수직상으로 가이드홈(151)을 갖는 가이드레일(150)(15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승강레버(300)는,
    중앙에 회전노브(200)가 수용되는 노브 수용공간(301)을 이루도록 양측 가이드레일(150)(150')의 가이드홈(151)에 내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승강되는 양측 한 쌍의 승강바(310)(310')로 구성하며, 그 양측 승강바(310)(310')의 상단 및 전방은 회전노브(200)를 구속하는 캡부(320)로 연결되게 구성하되,
    일측의 승강바(310)에 회전노브(200)의 피니언(210)과 치합되는 랙크(311)를 형성하고, 타측의 승강바(310')는 피니언(210)과 이격되어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하며,
    푸쉬버튼(400)은,
    노브 수용공간(301)에 수용되게 구성하는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에 있어서,
    승강레버(300)의 내측 하부에는 푸쉬버튼(400)의 푸쉬력을 부여하는 푸쉬돌부(33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푸쉬돌부(330)는,
    승강레버(30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푸쉬버튼(400)와 간섭되어 푸쉬버튼(400)의 푸쉬가 가능하게 하는 경사부(331); 및
    경사부(33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푸쉬버튼(400)의 완전한 푸쉬에 따른 점화수단(140)을 작동하는 수직부(33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승강레버(300)의 어느 한 측의 승강바(310')에는,
    외측이 막히고 푸쉬버튼(400) 측으로 개방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수평형 스토핑홈(312)(31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푸쉬버튼(400)에는,
    일측이 막히고 스토핑홈(312)(312') 측으로 개방되는 수평형 스토퍼 가이드홈(410)을 형성하고, 그 스토퍼 가이드홈(410)에는 좌,우 슬라이딩 되어 승강레버(300)의 어느 하나의 스토핑홈(312)(312')에 삽탈되는 스토퍼(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스토퍼 가이드홈(4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전,후방 고정홈(411)(41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스토퍼(420)에는,
    전방으로 인출시 전방 고정홈(411)에 탄력 고정되고, 인입시 후방 고정홈(411')에 탄력 고정되는 볼플렌져(4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5. 삭제
KR2020170002826U 2017-06-05 2017-06-05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KR200486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26U KR200486230Y1 (ko) 2017-06-05 2017-06-05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26U KR200486230Y1 (ko) 2017-06-05 2017-06-05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30Y1 true KR200486230Y1 (ko) 2018-04-19

Family

ID=6207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826U KR200486230Y1 (ko) 2017-06-05 2017-06-05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84B1 (ko) * 2021-06-24 2021-09-29 박노수 불꽃 길이조정과 소화 조작이 한 손으로 이루어지는 부탄가스 토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82Y1 (ko) * 1993-07-30 1998-12-15 정몽원 모드스위치 조립체
KR200193832Y1 (ko) 2000-04-03 2000-08-16 김재동 휴대가스통용 토치
KR20040076819A (ko) 2003-02-26 2004-09-03 히다치 글로벌 스토리지 테크놀로지스 네덜란드 비.브이. 쓰기 지원층이 있는 자기 기록 매체
KR101289701B1 (ko) 2011-10-19 2013-07-26 주식회사 코베아 휴대용 가스 토치
KR101301750B1 (ko) * 2006-12-12 2013-08-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82Y1 (ko) * 1993-07-30 1998-12-15 정몽원 모드스위치 조립체
KR200193832Y1 (ko) 2000-04-03 2000-08-16 김재동 휴대가스통용 토치
KR20040076819A (ko) 2003-02-26 2004-09-03 히다치 글로벌 스토리지 테크놀로지스 네덜란드 비.브이. 쓰기 지원층이 있는 자기 기록 매체
KR101301750B1 (ko) * 2006-12-12 2013-08-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장치
KR101289701B1 (ko) 2011-10-19 2013-07-26 주식회사 코베아 휴대용 가스 토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84B1 (ko) * 2021-06-24 2021-09-29 박노수 불꽃 길이조정과 소화 조작이 한 손으로 이루어지는 부탄가스 토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592A (en) Handy gas torch
US7708554B2 (en) Safety structure of a gas burner
US10480785B2 (en) Torch having a rotatable safety cap
JP2009511857A (ja) 液体燃料携帯コンロ
US5505614A (en) Handy gas torch
KR200486230Y1 (ko)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US5460520A (en) Trigger-controlled palm-top gas torch
US20030049576A1 (en) Utility lighter with a safeguard
US6050811A (en) Igniter
KR101289701B1 (ko) 휴대용 가스 토치
US10302303B2 (en) Cigarette lighter for safely moving through dangerous areas and method of use
US7914281B2 (en) Gas combustion apparatus and combustion gas setting device thereof
US20060121401A1 (en) Lighting apparatus
KR200440429Y1 (ko) 토치램프
US6296475B1 (en) Gas burner having synchronous ignition and gas supply functions
CN208804675U (zh) 一种手持式安全喷火枪
CN108826293A (zh) 一种手持式安全喷火枪
CA2995692A1 (en) Cigarette lighter for safely moving through dangerous areas and method of use
CN216143722U (zh) 一种手持喷火枪
CN219414867U (zh) 一种握把式点火枪
CN220136165U (zh) 一种微烟喷射烟花的烟花筒
KR101404470B1 (ko) 가스 토치
CN107860003B (zh) 燃气点火装置
CN208952101U (zh) 一种电子喷火枪的限位结构
KR20150033138A (ko) 뷰테인토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