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832Y1 - 휴대가스통용 토치 - Google Patents

휴대가스통용 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832Y1
KR200193832Y1 KR2020000009416U KR20000009416U KR200193832Y1 KR 200193832 Y1 KR200193832 Y1 KR 200193832Y1 KR 2020000009416 U KR2020000009416 U KR 2020000009416U KR 20000009416 U KR20000009416 U KR 20000009416U KR 200193832 Y1 KR200193832 Y1 KR 200193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in body
fixed
insulating member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동
Original Assignee
김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동 filed Critical 김재동
Priority to KR2020000009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스통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토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치의 연소관을 용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는 휴대가스통의 출구와 연결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한 가스유입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가스분사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가스유입관이 출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휴대가스통에 부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구와, 상기한 본체 일측 단부로 점화스위치가 돌출 설치되고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와, 상기한 점화장치가 고정되는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분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량 조절밸브와, 상기한 가스량 조절밸브와 점화장치가 고정되는 본체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며 점화장치의 압전소자와 연결선의 끝부분이 단부로 돌출되게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재와, 상기한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끝부분에서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는 점화전극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제1 절연부재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소관과, 상기한 연소관과 제1 절연부재가 고정되는 사이에 설치되는 전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가스통용 토치{Torch For Portable Gas Can}
본 고안은 휴대가스통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토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치의 연소관을 용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에 관한 것이다.
토치는 특정부분에 열을 가하는 가열용이나 간단한 용접, 납땜 및 조리용과 보석의 세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의 토치가 있으며, 이것은 화구의 길이와 가스분출구의 구멍크기 및 산소의 혼합비율에 의하여 토치의 연소구에서 불꽃이 퍼지거나 모아지면서 연소되기 때문에 용도가 분리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토치는 가솔린이나 석유를 압축, 무화하고, 이를 토치의 연소관으로 분출시켜 이에 점화연소 시킴으로써 그 열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곳에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은 토치와 연료을 저장하는 연료저장통이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가 어려웠으며, 연소관에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솔린이나 석유의 기압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펌프로 연료저장통을 압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연료의 온도를 상승시켜 액체를 기체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소관 주위에 알코올을 연소시켜 연소관의 온도를 상승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피가 작은 토치만을 휴대하면서 토치의 하부에 휴대가스통을 연결하여 토치의 연소관으로 분출되는 부탄가스에 라이타의 불꽃이나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도체 주위에 강한 불평등 전계를 발생시켜 전계의 강한 부분에만 방전이 생기는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부탄가스를 점화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가스통에 토치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방법은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하지만, 용도에 따라 토치를 구입해서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토치를 구입하여 토치의 구입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여러개의 토치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보관장소를 많이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치의 일측에서 불꽃이 퍼지거나 모아지는 것을 조절하는 연소관를 교체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은 한 개의 토치에 연소관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토치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소관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소관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소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이 적용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는 휴대가스통의 출구와 연결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한 가스유입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가스분사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가스유입관이 출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휴대가스통에 부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구와,
상기한 본체 일측 단부로 점화스위치가 돌출 설치되고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와,
상기한 점화장치가 고정되는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분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량 조절밸브와,
상기한 가스량 조절밸브와 점화장치가 고정되는 본체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며 점화장치의 압전소자와 연결선의 끝부분이 단부로 돌출되게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재와,
상기한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끝부분에서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는 점화전극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제1 절연부재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소관과,
상기한 연소관과 제1 절연부재가 고정되는 사이에 설치되는 전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관은, 제1 절연부재에 고정되는 쪽으로 제1 절연부재와 대응되며 상기 점화전극의 끝부분이 돌출되록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절연부재와,
상기한 제2 절연부재의 내부에 고정되어 휴대용가스통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구와,
상기한 제2 절연부재를 감싸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화구를 포함하며, 상기한 점화전극의 끝부분은 상기한 연소구까지 연장되어 돌출된다.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절연부재쪽에 고정되는 연소관을 교체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스통용 토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치램프(1)는 소정의 형상으로 본체(11)가 형성되며, 상기한 본체(11)의 내부에는 가스유입관(12)이 본체(11)의 하부에서 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스분사구(14)까지 형성된다.
상기한 가스유입관(12)이 형성된 본체(11)의 하부에는 휴대가스통을 착.탈시키는 결합구(13)가 형성되어 휴대가스통을 본체(11)의 하부에 고정한다.
상기한 결합구(13)와 가스유입관(12)이 형성된 본체(11)의 일측에는 가스유입관(12)과 연결된 가스분사구(14)의 반대쪽에 점화스위치(21)가 돌출되게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2)를 본체(11)내부에 고정한다.
상기한 점화장치(2)의 점화스위치(21)가 돌출되게 고정된 본체(11)의 일측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스위치(21)와 밀착되게 가스량 조절밸브(1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가스량 조절밸브(15)는 본체(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3)에 고정되는 휴대가스통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가스유입관(12)을 통해 가스분사구(14)쪽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불꽃의 세기를 조절한다.
상기한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량 조절밸브(15)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2)의 점화스위치(21)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량 조절밸브(15)를 누르면 점화스위치(21)가 눌리면서 압전소자에서 전류를 발생시킨다.
결합구(13)가 고정되는 본체(11)의 하부에서 본체(11)의 상부 일측까지 형성되는 가스유입관(12)의 단부에 형성된 가스분사구(14)에는 산소공급구(16)가 관통되어 결합구(13)에 결합된 휴대가스통의 가스가 가스유입관(12)을 통해 가스분사구(14)에서 분출될때 산소를 공급한다.
상기한 가스분사구(14)에서 분출되는 가스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구(16)의 일측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는 가스유도관(17)이 형성되어 가스유입관(12)을 통해 가스분사구(14)로 분출되는 가스가 산소공급구(16)에서 산소와 혼합되어 가스유도관(17)으로 분출된다.
상기한 가스유도관(17)이 고정되는 본체(11)의 일측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가스유도관(17)을 감싸면서 제1 절연부재(18)가 본체(11)에 고정된다.
상기한 제1 절연부재(18)는 고압선이나 전선에 주로 사용되는 절연부재인 애자와 같은 자기(磁器)나 합성수지와 같은 부도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절연부재(18)의 단부에는 본체(11)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는 압전소자인 점화장치(2)에서 연장되는 연결선(22)이 본체(11)를 관통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부재(18)에 돌출되게 고정한다.
상기한 압전소자인 점화장치(2)의 연결선(22)이 제1 절연부재(18)의 단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면 제1 절연부재(18)에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부재(3)를 제1 절연부재(18)의 단부로 돌출된 점화장치(2)의 연결선(22)과 접속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점화장치(2)의 연결선(22)이 본체(11)의 일측에 고정된 제1 절연부재(18)의 단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면서 전도부재(3)와 접속되게 고정되면 제1 절연부재(18)가 고정된 본체(11)쪽에 연소관(4)을 고정한다.
상기한 연소관(4)은 일측에 자기(磁器)나 합성수지재인 부도체로 형성된 제2 절연부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2 절연부재(41)의 내측에 가스분출구(42)가 형성된 연소구(43)를 고정한다.
상기한 연소구(43)가 고정된 제2 절연부재(41)의 외측에는 제2 절연부재(41)를 감싸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화구(44)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화구(44)와 연소구(43)가 고정된 제2 절연부재(41)의 일측에는 제1 절연부재(18)와 같이 점화전극(23)이 제2 절연부재(41)의 일측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연소구(43)까지 연장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2 절연부재(41)에서 상기한 제2 절연부재(41)의 내부에 고정된 연소구(43)까지 점화전극(23)이 연장된 연소관(4)을 토치램프(1)의 본체(11) 일측에 고정된 제1 절연부재(18)에 연소관(4)의 제2 절연부재(41)를 밀착시키면서 고정한다.
상기한 연소관(4)을 토치램프(1)의 본체(11) 일측에 고정할때 제2 절연부재(41)의 단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점화전극(23)을 제1 절연부재(18)의 단부에서 돌출되며 형성되는 점화장치(2)의 연결선(22)과 접속되어 있는 전도부재(3)에 점화전극(23)이 연결되게 고정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소관(4)의 화구(44)와 연소구(43)의 가스분출구(42)의 크기를 조절하여 불꽃이 모아지거나 퍼지게 하여 한개의 토치에 용도에 따라 여러개의 연소관(4)을 구성시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연소관(4)을 선택하여 용도에 따라 사용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토치램프(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13)에 휴대가스통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의 결합구(13)에 휴대가스통을 결합하면 휴대가스통에 내장된 가스가 가스유입관(12)을 통해 가스분사구(14) 쪽으로 유입된다.
이때 가스유입관(12)과 가스분사구(14) 사이에는 가스량 조절배브(15)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가 가스유입관(12)에서 가스분사구(14) 쪽으로 더이상 유입되지 못하게 막는다.
본체(1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13)에 고정된 휴대가스통에서 가스가 가스유입관(12)으로 유입될때 토치램프(1)의 본체(11) 일측에 형성된 가스량 조절밸브(15)를 회전시키면 가스가 가스유입관(12)을 통해 가스분사구(14)로 분출된다.
상기한 가스분사구(14)로 분출된 가스는 본체(11)에 관통되게 형성된 산소공급구(16)에서 산소와 혼합되어 가스유도관(17)으로 유입되며, 상기한 가스유도관(17)으로 유입된 가스는 연소관(4)에 고정된 연소구(43)를 통해 가스분출구(42)로 분출된다.
상기한 본체(1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13)에 고정되는 휴대가스통에서 분출된 가스가 가스유입관(12)를 통해 가스분사구(14)로 분출되고, 분출된 가스는 산소공급구(16)에서 산소와 혼합되어 가스유도관(17)과 연소구(43)를 통해 가스분출구(42)로 분출될때 본체(11) 일측에 형성된 가스량 조절밸브(15)를 누른다.
상기한 가스량 조절밸브(15)는 본체(11)에 형성된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점화장치(2)의 점화스위치(21)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량 조절밸브(15)를 누르면 점화장치(2)의 점화스위치(21)도 함께 눌린다.
상기한 점화장치(2)의 점화스위치(21)를 누르면 점화장치(2)의 압전소자에서 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전류는 연결선(22)를 통하여 점화전극(23)으로 전달되고, 점화전극(23)의 끝부분에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이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한 불꽃이 상기한 가스유도관(17)을 거쳐 가스분출구((42)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에 고정된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2)에 의해서 연소관(4)의 연소구(43)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때 본체(11)에 형성된 제1 절연부재(18)와 연소관(4)에 형성된 제2 절연부재(41)에 의해서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류가 다른곳으로 누전되지 않고 점화전극(23)으로 전달되므로, 연소관(4)을 다른것으로 교체해도 코로나 방전은 점화전극(23)을 통하여 연소관(4)의 연소구(43)에서 발생한다.
상기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관(4)은 화구(44)의 길이와 가스분출구(42)의 크기를 다르게한 여러개의 연소관(4)으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가열용이나 납땜 및 용접과 세공, 요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스통용 토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토치램프의 연소관을 용도에 따라 교체하면서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의 토치램프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토치램프의 구입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체와 연소관에 절연부재를 사용하여 코로나 방전이 일정한 곳에서 발생한다.
본 고안은 본체와 연소관 사이에 전도부재를 사용하여 본체의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점화장치에서 발생한 전류가 연소관의 연소구에 설치된 점화전극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연소관을 교체해도 코로나 방전이 연소구에서 발생하며, 연소관을 교체해도 원터치식으로 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휴대가스통의 출구와 연결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한 가스유입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가스분사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가스유입관이 출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휴대가스통에 부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구와,
    상기한 본체 일측 단부로 점화스위치가 돌출 설치되고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와,
    상기한 점화장치가 고정되는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분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량 조절밸브와,
    상기한 가스량 조절밸브와 점화장치가 고정되는 본체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며 점화장치의 압전소자와 연결선의 끝부분이 단부로 돌출되게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재와,
    상기한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끝부분에서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는 점화전극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제1 절연부재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소관과,
    상기한 연소관과 제1 절연부재가 고정되는 사이에 설치되는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은, 제1 절연부재에 고정되는 쪽으로 제1 절연부재와 대응되며 상기 점화전극의 끝부분이 돌출되록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절연부재와,
    상기한 제2 절연부재의 내부에 고정되어 휴대용가스통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구와,
    상기한 제2 절연부재를 감싸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화구를 포함하며, 상기한 점화전극의 끝부분은 상기한 연소구까지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절연부재쪽에 고정되는 연소관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스통용 토치.
KR2020000009416U 2000-04-03 2000-04-03 휴대가스통용 토치 KR200193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416U KR200193832Y1 (ko) 2000-04-03 2000-04-03 휴대가스통용 토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416U KR200193832Y1 (ko) 2000-04-03 2000-04-03 휴대가스통용 토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832Y1 true KR200193832Y1 (ko) 2000-08-16

Family

ID=1965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416U KR200193832Y1 (ko) 2000-04-03 2000-04-03 휴대가스통용 토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8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62B1 (ko) 2010-09-28 2012-08-16 공상식 토치램프 가스분출구의 구조
KR200486230Y1 (ko) 2017-06-05 2018-04-19 강준상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KR20210000150U (ko) *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휴브텍 과열 방지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가스 토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62B1 (ko) 2010-09-28 2012-08-16 공상식 토치램프 가스분출구의 구조
KR200486230Y1 (ko) 2017-06-05 2018-04-19 강준상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KR20210000150U (ko) *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휴브텍 과열 방지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가스 토치
KR200493382Y1 (ko) * 2019-07-10 2021-03-19 (주)휴브텍 과열 방지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가스 토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875B1 (en) Ignitor plug
US5466149A (en) Heating torch
US4881894A (en) Self-igniting portable torch assembly
EP0167981A2 (en) Burner device
CA2645561C (en) Improved pilot assembly and control system
US5752817A (en) Fuel gas supply and ignition system with single valve
KR200193832Y1 (ko) 휴대가스통용 토치
IES970251A2 (en) A gas burner and a gas powered heating device
AU2010212464B2 (en) Torch
US5647738A (en) Jet type gas burner
EP3384148B1 (en) Gaseous fuel injectors
US4716885A (en) Dual input to single burner solder iron
US2307007A (en) Ignition apparatus
GB2073397A (en) Gas fuelled heating appliance
KR101927800B1 (ko) 부탄가스 토치
KR200241211Y1 (ko) 토치의 원터치 점화장치
KR200249581Y1 (ko) 토치용 화구
JP3916110B2 (ja) 圧電式着火用トーチ
JPH0622754U (ja) ガスライター
KR900009540Y1 (ko) 산소 절단기의 점화장치
CN205505069U (zh) 一种明火机与点烟器结合的打火机
KR200249582Y1 (ko) 수성 혼합가스 연소용 버너
KR920004035Y1 (ko) 자동점화 가스토치
KR810000731B1 (ko) 액화가스를 사용하는 납땜인두
KR200445078Y1 (ko) 토치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