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82Y1 - 모드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드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82Y1
KR0129782Y1 KR2019930014486U KR930014486U KR0129782Y1 KR 0129782 Y1 KR0129782 Y1 KR 0129782Y1 KR 2019930014486 U KR2019930014486 U KR 2019930014486U KR 930014486 U KR930014486 U KR 930014486U KR 0129782 Y1 KR0129782 Y1 KR 0129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switch assembly
mode switch
groov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721U (ko
Inventor
한영운
Original Assignee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30014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82Y1/ko
Publication of KR950004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01H15/18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소정의 몸체를 가지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인접부위에 마련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보스부의 관통공에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피니언이 고정된 지지축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요홈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볼스톱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요홈을 탄력적으로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종래와는 달리 슬라이딩 부재를 볼스톱장치에 의해 정밀하게 위치조정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연동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혼합도어 및 개폐도어의 개폐정도를 확실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드 스위치 조립체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가 채용된 자동차 내부의 부분발췌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슬라이딩 부재와 판스프링의 조립 상태에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 및 피니언이 비조립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a)는 슬라이딩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측면도,
(b)는 제6도(a)의 A-A선에 따른 절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a)는 제4도의 슬라이딩 부재와 볼 스톱퍼의 조립상태에서의 단면도,
(b)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부재와 볼 스톱퍼의 조립상태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드 스위치 조립체 2, 2' : 브라켓
3, 3' : 지지보스부 4 : 손잡이
5 : 지지축 5a, 5a' : 피니언
7 : 판스프링 8, 8' : 슬라이딩 부재
8b, 8b' : 랙(rack) 8c, 8c' : 요홈
11 : 요홈 볼 스톱퍼 11a : 돌출부재
11b : 압축스프링 11c : 몸체
12 : 지지부 13 : 피니언 볼 스톱퍼
본 고안은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자동차 공기 정화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각 도어를 선택 모드에 따라 원활히 조절할 수 있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송풍유니트, 히이터 유니트에 마련된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를 각각 선택된 모드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모드 스위치 조립체가 마련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중의 제1도 및 제2도는 그와 같은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장치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자동차 내부의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제1도 내지 제2도를 참조하면, 그 일측면이 크래쉬 패드(20)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2)의 중심부에는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3a)이 형성된 지지보스부(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보스부(3)의 관통공(3a)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는 손잡이(4)가 고정 설치된 지지축(5)이 삽입되어 있으며, 축단부가 관통공 밖으로 돌출되어 그곳에 피니언(5a)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2)의 타측에는 예컨대, 공기조화장치의 송풍유니트(미도시) 또는 히이터 유니트(미도시)의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에 그 일측이 결합된 케이블(1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삽입홈(6a)을 가지는 돌출부(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의 타측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10)의 삽입 방향으로 가이드 홈(2a)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2a)의 바닥면에는 그 중심부위에 돌기(7a)가 마련된 판스프링(7)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홈(2a)에는 이 홈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8a)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8)가 결합된다. 이 슬라이딩 부재(8)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5)의 돌출단부에 결합된 피니언(5a)과 맞물림되는 랙(8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에는 상기 돌출부(6)이 삽입홈(6a)에 삽입된 케이블(10)의 타측이 결합 고정되도록 고정홈(9a)이 형성된 고정턱(9)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8)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2)의 가이드 홈(2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판스프링(7)의 돌기(7a)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폭방향으로 다수의 요홈(8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1)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를 통해 차실내로 온풍 또는 냉풍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4)를 소정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4)에 그 일단이 고정된 지지축(5)이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축(5)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5a)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5a)과 이가 맞물림되도록 랙(8b)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8)는 그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8a)에 의해 상기 브라켓(2)의 가이드 홈(2a)을 따라 왕복 이송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2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판 스프링(7)의 돌기(7a)는 제3도에 도시되 바와 같이, 각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8)의 요홈(8c)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8)가 왕복 이송되면 슬라이딩 부재(8)의 고정턱(9)에 형성된 고정홈(9a)에 그 타측이 결합된 케이블(10)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8)와 함께 왕복 이송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의 일측에 결합된 각 유니트의 전환도어 또는 혼합도어는 소정 모드에 맞게 개폐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의 타측이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8)의 고정턱(9)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8)의 이송도중 비틀림 응력을 받아 유동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계속되는 슬라이딩 부재(8)의 왕복동작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7)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판스프링(7)의 돌기(7a)가 슬라이딩 부재(8)의 요홈(8c)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고정턱(9)의 고정홈(9a)에 그 타측이 고정된 케이블(10)이 정확하게 이동되지 못하여 결국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를 확실히히개폐시킬 수 없어 공기 조화 기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정확하게 손잡이가 조절되어 공기조화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모든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인접부위에 마련되며 가이드 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보스부의 관통공에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피니언이 고정된 지지축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 홈의 하부 소정 부위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요홈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볼 스톱퍼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요홈을 탄력적으로 구속하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선택 모드에 따라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볼 스톱퍼가 각 모드에 맞게 정확히 슬라이딩 부재의 요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전환도어 혹은 혼합도어의 개폐를 확실히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a)(b)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4도는 슬라이딩 부재 조립시의 정면도, 제5도는 슬라이딩 부재 및 피니언 분리시의 평면도, 제6도(a)는 슬라이딩 부재 조립시의 측면도, 그리고 제6도(b)는 제6도(a)의 A-A선에 따른 절단면도이다.
제4도, 제5도 내지 제6도(a)(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그 일측면이 크래쉬 패드(20; 제2도참조)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2')의 중심부에는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3a')이 형성된 보스부(3')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보스부(3')의 관통공(3a')으로는 그 일단부에 상기 크래쉬 패드(20)의 전면에 노출되는 손잡이(손잡이 지지턱(4a) 앞쪽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미도시됨)가 고정설치된 지지축 (미도시)이 보스부(3')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이 돌출된 지지축의 단부에는 피니언(5a')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의 연장 평면부에는 상기 관통공(3a')의 연장 중심축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가이드 홈(2a')이 마련된다. 이 가이드 홈(2a')에는,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피니언(5a')과 이가 맞물림되는 랙(8b')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가이드 홈(2a')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2a')에 삽입되어 보이지 않음)이 마련되며, 가이드레일의 외측으로 공기조화 장치의 송풍유니트(미도시) 또는 히이터 유니트(미도시)의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에 그 일측이 결합된 케이블의 타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9a')을 갖는 고정턱(9')이 마련된 슬라이딩 부재(8' : 제7도(a)참조)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2a')의 일측단부에는 내부의 주변 장치들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소정 형태의 지지부(12)가 연접되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피니언(5a')이 설치된 동일 지지축에는 상기 피니언(5a')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齒)수가 작은 소형 피니언(SP)이 또한 설치되고, 그 소형 피니언(SP)의 하부, 즉 보스부(3')와 가이드 홈(2a') 사이에는 상기 소형 피니언(SP)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피니언 볼스톱퍼(13)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홈(2a')의 바닥면 중심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8')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8c' : 제7도(a)참조)을 하부에서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요홈 볼스톱퍼(11)가 고정 설치된다. 여기에서, 이 요홈 볼스톱퍼(11)는 돌출부재(11a)와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b)과 상기 돌출부재(11a)와 스프링(11b)을 감싸며 그 상부에 상기 돌출부재(11a)가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11c)로 구성된다. 제6도(b)에서 참조부호 13a는 돌출부재, 13b는 스프링, 13c는 몸체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면,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동작관계를 제4도, 제5도, 제6도(a)(b) 및 제7도(a)(b)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7도(a)는 제4도의 슬라이딩 부재와 볼 스톱퍼의 조립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제7도(b)는 본 고안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슬라이딩 부재와 볼 스톱퍼의 조립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제7도(a)와 제7도(b)의 큰 차이점은 제7도(b)의 경우 요홈(8c')이 제7도(a)의 경우보다 좁은 폭으로 조밀하게 되어 있다는 것과, 그에 따라 볼 스톱퍼 돌출부재(11a)의 홈삽입부위가 상대적으로 좀더 뾰족하게 되어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7도(a)에 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테면, 공기 조화 장치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온풍 또는 냉풍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크래쉬 패드(20 : 제2도참조)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4 : 제1도 참조)를 소정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4)에 그 일단이 고정된 지지축(5 : 제1도참조)이 회전하고 동시에 이 지지축(5)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이 (5a')이 회전된다. 그러면 이 피니언(5a')과 이가 맞물림되도록 랙(8b')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8')가 그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 홈(2a')을 따라 왕복 이송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8')는 그 상면에 맞물림된 피니언(5a')의 이(齒)가 비교적 많기 때문에 부드럽게 이송된다. 그리고, 어느 정도 상기 슬라이딩 부재(8')가 이송되어 소정의 모드에 이르면 보스부(3')와 가이드 홈(2a')사이에 위치한 상기 피니언 볼스톱퍼(13)에 의해 상기 피니언(5a')과 동일축에 결합되어 피니언(5a')의 뒷편에 마련되어 있는 이가 몇 안되는 소형의 피니언(SP)이 1차적으로 구속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상기 요홈 볼스톱퍼(11)의 돌출부재(11a)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8')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8c')이 탄력적으로 구속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8')는 각 모드에 맞게 정확히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종래와는 달리 슬라이딩 부재를 볼스톱퍼에 의해 정밀하게 위치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동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혼합도어 및 개폐도어의 개폐정도를 확실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인접부위에 마련되며 가이드 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보스부의 관통공에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그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피니언이 고정된 지지축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어 그 저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의 가이드 홈(2a')의 하부 소정 부위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8')의 요홈(8c')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볼스톱퍼(11)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8')의 요홈(8c')을 탄력적으로 구속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톱퍼(11)는 돌출부재(11a)와,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b)과, 상기 돌출부재(11a)와 스프링(11b)을 감싸며 그 상부에 상기 돌출부재(11a)가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11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2019930014486U 1993-07-30 1993-07-30 모드스위치 조립체 KR0129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486U KR0129782Y1 (ko) 1993-07-30 1993-07-30 모드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486U KR0129782Y1 (ko) 1993-07-30 1993-07-30 모드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721U KR950004721U (ko) 1995-02-18
KR0129782Y1 true KR0129782Y1 (ko) 1998-12-15

Family

ID=1936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486U KR0129782Y1 (ko) 1993-07-30 1993-07-30 모드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0Y1 (ko) * 2017-06-05 2018-04-19 강준상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0Y1 (ko) * 2017-06-05 2018-04-19 강준상 개선된 가스량 조절 및 점화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스토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721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782Y1 (ko) 모드스위치 조립체
US6784387B2 (en) Interlock device
KR19980063536A (ko) 레버스위치 장치
KR19990082203A (ko)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US4541025A (en) Control rod for clutch actuator for floppy disk drive
US5016236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a vertical type compact disc player
US6100479A (en) Actuator for a safety switch
GB2308156A (en) Microwave oven door:opening mechanism
KR100200655B1 (ko) 모드 스위치
KR10059724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JPH112055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405055B1 (ko) 힌지장치
KR20050070519A (ko)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940000823A (ko) 난방기기의 풍향조절장치
SU113218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механизмов закрывани дверей
KR102172998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0115341Y1 (ko)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KR20030097214A (ko) 도어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장치
KR970006437B1 (ko) 스위치
KR900004350Y1 (ko) 전자렌지용 타이머 벨 구동장치
KR100230995B1 (ko) 냉장고 도어의 좌우개폐 장치
SU17367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крышки лю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KR930003549Y1 (ko) 포터블 퍼스널 컴퓨터의 fdd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