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341Y1 -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341Y1
KR0115341Y1 KR2019930018500U KR930018500U KR0115341Y1 KR 0115341 Y1 KR0115341 Y1 KR 0115341Y1 KR 2019930018500 U KR2019930018500 U KR 2019930018500U KR 930018500 U KR930018500 U KR 930018500U KR 0115341 Y1 KR0115341 Y1 KR 0115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ss
fixing structure
control device
heat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515U (ko
Inventor
김무용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8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341Y1/ko
Publication of KR950008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이드 핀과 레버받침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노브와 연동하는 레버를 상기 레버받침 상면과 접하도록 가이드핀에 끼워 스프링와셔로 고정한 것으로서, 장기 사용시 레버에 유격이 생겨 노브가 좌우상하로 흔들렸다.
본 고안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와 레버받침이 동일면을 이루며 베이스부에서 돌출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보스와 레버받침 상면에서 축설치되는 레버를 보지할 수 있는 원판머리를 갖고 상기 보스내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베이스부측에서 스프링 와셔로 체결될 수 있는 가이드핀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히터조절부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레버고정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2,2' : 가이드 핀
3,3' : 레버 6,6' : 보스
7,7': 레버받침 2,12': 스프링 와셔
본 고안은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히터 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에 가이드 핀(22)과 레버받침(23)을 일체로 형성하여 노브와 연동하는 레버(24)를 상기 레버받침(23) 상면과 접하도록 가이드 핀(22)에 끼워 플라스틱 와셔(25)와 스프링 와셔(26)로 고정한 것으로서, 노브 조작에 의하여 축회전되는 레버(24)는 장시간 사용시 유격이 발생하여 커버 외부로 돌출하는 노브가 좌우상하로 흔들리게 되어 모드 선택시 조작감이 양호하지 못하고 조작력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시 레버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스와 레버받침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베이스부에 돌출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보스와 레버받침 상면에 축설치되는 레버를 보지할 수 있는 원판머리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베이스부측에서 스프링 와셔로 체결될 수 있는 가이드 핀을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부호 1은 베이스 플레이트이고, 2,2'는 가이드 핀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레버(3,3') 및 보조레버(4)의 조작에 의하여 히터캠(미도시)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부(5)에 상하로 보스(6,6')와 원통상의 레버받침(7,7')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스(6,6')와 레버받침(7,7') 상면에는 레버(3') 또는 레버(3)와 보조레버(4)가 가이드 핀(2,2')에 의하여 축설치된다.
가이드 핀(2,2')은 넓은 원판머리(9,9')가 형성되고 단부에 와셔체결홈(10,10')이 형성된 것으로, 레버(3,3') 또는 보조레버(4)를 끼운 후 보스(6,6')에 끼워져 베이스부(5) 외부로 돌출된 와셔체결홈(10,10')에 와셔(11,11')와 함께 스프링 와셔(12,12')가 각각 체결된다.
미설명부호 13은 커버이고, 14,14'는 노브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커버(13)에 돌출된 노부(14,14')를 좌우로 수평회전시키면 상기 노브(14,14')의 조작에 의하여 레버(3,3')와 보조레버(4)가 베이스 플레이트(1)와 가이드 핀(2,2')을 축으로 회전하는 바, 이때 레버(3,3') 및 보조레버(4)는 원판머리(9,9')에 의하여 보스(6,6')와 레버받침(7,7') 상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3,3') 및 보조레버(4)를 장시간 사용하더라고 가이드 핀(2,2')과의 결합부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노브(14,14') 조작시 좌우상하로 흔들리는 일이 없게 되기 때문에 조작감이 양호하고, 조작력이 적게들어서 편의성이 증대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보스와 레버받침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베이스부에 돌출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보스와 레버받침 상면에 축설치되는 레버를 보지 할 수 있는 원판머리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베이스부측에서 스프링 와셔로 체결될 수 있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히터 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KR2019930018500U 1993-09-15 1993-09-15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KR0115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500U KR0115341Y1 (ko) 1993-09-15 1993-09-15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500U KR0115341Y1 (ko) 1993-09-15 1993-09-15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515U KR950008515U (ko) 1995-04-17
KR0115341Y1 true KR0115341Y1 (ko) 1998-04-18

Family

ID=1936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500U KR0115341Y1 (ko) 1993-09-15 1993-09-15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3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160A (ko) * 2000-06-08 2001-12-17 신영주 공조케이스의 부품 체결구조
KR100475299B1 (ko) * 2000-06-27 2005-03-1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 공조기의 밸브구동 레버고정용 보스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515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325A (en) Keyswitch assembly for a multiple-width key
JPS6326893Y2 (ko)
KR0115341Y1 (ko)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US6675670B2 (en) Automatic transmission operating lever
KR100662292B1 (ko) 세탁기용 조작부의 버튼장치
KR920008778Y1 (ko) 조작레버의 지지장치
KR0136629Y1 (ko) 캠코더의 카세트하우징 록킹장치
KR910006180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녹화스위치 보호 및 모드전환 스위치 작동장치
KR0115267Y1 (ko) 전자제품의 기능스위치작동노브 체결구조
JPS595910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ニ−レバ−式スイツチ操作装置
KR0132266Y1 (ko) 회전 및 상하작동 버튼장치
JP3114173B2 (ja) 操作装置
JP2967921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200141894Y1 (ko) 스티어링컬럼 스위치용 스위치커버
JP2000195375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KR0155649B1 (ko) 중립 복귀 로타리 놉구조
JPH0579229A (ja) 回転操作用ノブの組付構造
JP3805915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S6145527Y2 (ko)
KR200171897Y1 (ko) 직선운동 방식의 다기능스위치
JPH1122268A (ja) 車両用ロック装置の切替レバー
KR970003499Y1 (ko) 카세트 하우징의 록킹장치
JP2597872Y2 (ja) コントローラの操作レバー取付構造
JP2572929Y2 (ja) レバースイッチの組付構造
KR101043694B1 (ko) 유격 흡수형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