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519A -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519A
KR20050070519A KR1020030100149A KR20030100149A KR20050070519A KR 20050070519 A KR20050070519 A KR 20050070519A KR 1020030100149 A KR1020030100149 A KR 1020030100149A KR 20030100149 A KR20030100149 A KR 20030100149A KR 20050070519 A KR20050070519 A KR 2005007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er
door checker
base plate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384B1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8Lubr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체커부의 상부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를 설치하고, 도어 체커부의 측면에 윤활제 수용박스를 설치하여, 체커 이음 발생시 상기 압착부재를 조절하여 체커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이음 발생시는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를 하향시켜 베이스 플레이트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함으로써, 체커 이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여 도어 체커 시스템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도어 체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Door checker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체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로에서 차량 도어를 여닫을 시 도어의 순간적인 닫힘 및 열림을 억제하는 도어 체커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 체커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이 구비되는 상태를 도 1a 와 도 1b 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체커 시스템(100)은 도어(10)와 도어 차체(20)측 도어 결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도어 개폐용 힌지(미도시)가 결착되는 부위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도 2a 는 종래의 도어 체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 는 상기 도 2b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체커 시스템(100)은 도어(10)와 차체측(20) 도어 결합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차체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를 내부에 수용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 체커부(4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단부 부근에 부착되어 도어(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스토퍼(7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측 단부에는 차체(20)측과 연결되어 있는 차체측 힌지 결합부재(50)가 위치해 있으며, 상기 차체측 힌지 결합부재(50)상에 상기 도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측 단부가 고정힌지(5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 체커부(40)는 내측에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브래킷(41)과, 상기 베이스 브래킷(41)의 내측에 수용된 슬라이더(43,43′) 및 상기 슬라이더(43.43′)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쿠션러버(45,45′) 및 상기 베이스 브래킷(41)의 일측면에 결착되는 베이스 커버(46)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체커부(40)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0)가 도어 체커부(40)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47)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내측 공간부(47)를 통과할 때 도어 체커부(40) 내부에 수용된 슬라이더(43,43′)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오목홈(31a,31b)접촉하여 도어(10)의 개방힘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도어 체커 기능을 수행한다.
도 2c 는 종래의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의 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어의 상부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상에서, 최 저부에 위치해 있는 도어(10)는 닫혀 있는 상태이고, 그 상측에 위치해 있는 도어(10′)는 반 정도 열린 상태이며, 최 상측에 위치해 있는 도어(1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각 위치의 도어(10,10′,10′)는 개방상태에 따라 도어 체커부(40)가 베이스 플레이트(30)상에서 도어의 이동과 함께 움직인다. 예컨데, 최상측의 위치에 있는 도어(1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 경우 도어 체커부(40)는 도어(10′)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최 후단부까지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체커부(40)의 내측 공간부(47)를 통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는 그 표면에 부품의 부재간의 접촉면이 과도하게 맞닿아 원활한 이동이 어렵게 되는 이음현상 억제와, 습동성 향상을 위해 통상 윤활제인 그리이스를 도포하였으며, 상기 그리이스 도포에는 붓과 유사한 도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도포된 윤활제는 차량 양산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증발되거나 도어 체커부(40)의 빈번한 왕복 이동에 의해 체커부(40) 내의 슬라이더(43)에 쏠려 소실되며, 먼지나 이물질 등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 표면에 끼어듦으로 체커 이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어 체커부의 상부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를 설치하여 작동력의 크기조절에 의한 이음발생을 억제하고, 윤활제 수용박스를 도어 체커부 측면에 설치하여, 체커 이음 발생시 윤활제 도포량을 조절함으로써 , 도어 체커부에서의 이음 발생을 억제하여 도어 체커 시스템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은 차체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의 내측패널에 삽착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내측 공간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 체커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도어측 단부 부근에 부착되어 도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 체커부의 상부와 하부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를 설치하여 도어 체커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도어 체커부의 측면에 윤활제 수용박스를 설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윤활제가 도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의 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윤활제 수용박스가 결착되는 도어 체커부 베이스 브래킷상에 상기 걸림턱 수용홈을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는 상부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리본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나선이 형성된 볼트로 형성하여 슬라이더에 압착력을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도어 체커부 내부에 위치하며 베이스 플레이트 표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절곡홈을 형성하여 체커력 증가시에는 윤활제가 상기 절곡홈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체커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장치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체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상기 도면에서, 종래의 도어 체커 시스템을 이루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장치에 부여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시스템(200)은 내측 공간부(47)로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이동하는 도어 체커부(40)의 상부와 하부면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210)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 체커부(40)의 측면에는 윤활제 수용박스(230)를 부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c 와 도 3d 는 상기 도어 체커부(40)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210)와 윤활제 수용박스(230)가 결착된 상태 하에서의 도어 체커부(4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체커장치(200)에 있어서 새로이 설치된 상기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210)는 상부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리본형상의 손잡이(211)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나선이 형성된 볼트(213)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213)의 하부에는 상부로부터 인가되는 압착력이 분산되어 균등한 힘을 하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보조받침부재(215)와 평판형의 보조 플레이트(217)가 차례로 위치해 있다.
또한,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접촉되는 상,하측 슬라이더(243,243′)의 내측면(중앙을 향하는 면)에는 굴곡홈(243a, 243a′)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슬라이더 압착부재(210)의 작동에 의해 체커력이 증가할 경우 윤활제인 그리이스가 상기 굴곡홈(243a,243a′)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여 체커 이음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도어 체커부(40)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210)와 윤활제 수용박스(230)가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의 결착구조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는 박스 케이스(231)의 외측에 걸림턱(2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233)은 측면에 인접해 있는 도어 체커부(40)의 베이스 브래킷(41)상에 형성된 고정홈(220,220′)에 삽입되어 윤활제 수용박스(230)가 도어 체커부(40)에 결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의 상하 방향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 고정홈(220,220′)을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면에서는 두개의 걸림홈(220,220′)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의 하측단부에는 붓 타입의 브러쉬(2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럿쉬(237)는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30) 이동시 그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할 때 사용된다.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의 높이 조절은 상기 도 4b 와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제 수용박스(230)를 일측의 고정홈(22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하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다른 고정홈(220′)에 걸림턱(233)을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는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때가 도어 체커부(4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이며, 도어 체커 이음 발생시에는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230)를 하부로 한칸을 내려 걸림홈(220′)에 끼움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0) 표면에 붓 타입의 브러쉬(237)가 접촉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윤활제가 자연스럽게 도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동하는 윤활제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을 타고 전술한 것과 같이 도어 체커부(40)의 슬라이드(243,243′) 내측면의 절곡홈(243a,243a′)까지 유도되어 원활한 윤활작용이 수행된다.
이후에는 윤활제 수용박스(230)를 상측 걸림홈(220)으로 이동시켜 정상작동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체커부의 상부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를 설치하고, 윤활제인 그리이스가 수용된 윤활제 수용박스를 도어 체커부 측면에 설치하여, 체커 이음 발생시 압착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체커력 및 이음 발생의 조절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도어 체커 시스템과 관련한 문제 발생시 A/S 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윤활제 수용박스의 설치로 체커 이음 발생시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 체커부에서의 이음 발생을 억제하여 도어 체커 시스템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a 와 도 1b 는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 는 종래의 도어 체커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 는 상기 도 2a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c 는 종래의 도어 체커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 와 도 3d 는 도어 체커부에 본 발명의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와 윤활제 수용박스가 결착된 상태하에서 도어 체커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 는 도어 체커부에 결착된 윤활제 수용박스의 결착구조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20 : 차체
30 : 베이스 플레이트 40 : 도어 체커부
50 : 차체측 힌지결합부재 100,200 : 도어 체커 시스템
70 : 도어 스토퍼 210 : 슬라이더 압착부재
230 : 윤활제 수용박스 243 : 절곡홈

Claims (4)

  1. 일단은 차체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의 내측패널에 삽착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내측 공간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 체커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도어측 단부 부근에 부착되어 도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 체커부의 상부와 하부에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를 설치하여 도어 체커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도어 체커부의 측면에 윤활제 수용박스를 설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윤활제가 도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의 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윤활제 수용박스가 결착되는 도어 체커부 베이스 브래킷상에 상기 걸림턱 수용홈을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윤활제 수용박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식 슬라이더 압착부재는 상부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나선이 형성된 볼트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체커부 내부에 위치하며 베이스 플레이트 표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절곡홈을 형성하여 체커력 증가시 윤활제가 상기 절곡홈으로 이동하여 체커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시스템.
KR1020030100149A 2003-12-30 2003-12-30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KR10057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149A KR100570384B1 (ko) 2003-12-30 2003-12-30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149A KR100570384B1 (ko) 2003-12-30 2003-12-30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519A true KR20050070519A (ko) 2005-07-07
KR100570384B1 KR100570384B1 (ko) 2006-04-11

Family

ID=3726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149A KR100570384B1 (ko) 2003-12-30 2003-12-30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6297A (zh) * 2016-09-09 2018-03-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车门开度限位器单元
CN109538039A (zh) * 2018-11-20 2019-03-29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的限位器壳体结构
KR20230014960A (ko) * 2021-07-22 2023-01-31 정찬희 자석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42B1 (ko) * 2008-02-11 2009-12-17 주식회사 일진 차량의 도어체커
KR102403644B1 (ko) * 2017-07-05 202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체커 장치
CN110306890A (zh) * 2018-11-16 2019-10-08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限位器壳体储油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6297A (zh) * 2016-09-09 2018-03-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车门开度限位器单元
CN107806297B (zh) * 2016-09-09 2020-0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车门开度限位器单元
CN109538039A (zh) * 2018-11-20 2019-03-29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的限位器壳体结构
KR20230014960A (ko) * 2021-07-22 2023-01-31 정찬희 자석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384B1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KR101412839B1 (ko) 문 개폐용 스테이
US7451888B2 (en) Li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with mechanism for assisting opening and closing of lid
CN103228855B (zh) 车辆用开关门的开关操作装置
US20160230438A1 (en) Appliance hinge counterbalance assembly with snubber
US20060099007A1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original cover closer
US20040093799A1 (en) Cam mechanism and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CN101000476A (zh) 铰链
US20030037411A1 (en) Vehicular door checker structure
KR100570384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시스템
US6890025B2 (en) Guide arrangement for a roof element on an opening vehicle roof
JP2008308883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CN104929488A (zh) 门窗扇及门窗
JP4420656B2 (ja) 開閉体のヒンジ
JP5941392B2 (ja) 窓用ステー及び辷り出し窓
CN104929501A (zh) 门窗
KR20050047734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0398469Y1 (ko) 케이블의 변형을 방지하는 링크레버가 구비된 주유구 리드안전장치
JPS6328288Y2 (ko)
JP2001214658A (ja) 開閉体のヒンジ
JP4336441B2 (ja) ボックス体の開閉装置
KR0134399Y1 (ko) 자동차 콘솔박스의 구조
JPH07144328A (ja) スライドコアの案内具
KR100558732B1 (ko) 미세조절 가능한 선바이저
JP6471008B2 (ja) 引戸連動装置、受け部材および引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