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421B1 -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421B1
KR101301421B1 KR1020110047240A KR20110047240A KR101301421B1 KR 101301421 B1 KR101301421 B1 KR 101301421B1 KR 1020110047240 A KR1020110047240 A KR 1020110047240A KR 20110047240 A KR20110047240 A KR 20110047240A KR 101301421 B1 KR101301421 B1 KR 10130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 transfer
superheated steam
steam generato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149A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11004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4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8Combinations of steam boilers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와 연통되고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와 연통하고, 상기 증기발생부와 연통하고, 상기 증기발생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상기 열원에 의해 더욱 가열되어 과열증기로 변화되고, 상기 열원과 연통하는 복수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전열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전열부를 덮는 불꽃보호캡을 구비하며, 불꽃보호캡은 상측면에 복수의 배기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열부는 나선 형상으로 감긴 원뿔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은 각각의 단에서 나선 형상으로 감긴 나선주름관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증기발생부의 구성에 의하여 적은 양의 에너지로도 포화증기를 짧은 시간에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생성된 포화증기를 상기 전열부에 의해 고온의 과열증기로 생성시킬 수 있고 고온의 과열증기에 의해 구이판 등을 가열시킴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불꽃보호캡의 구성에 의해, 가열된 과열증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과열증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맛이나 식감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HEATING APPARATUS USING OVERHEATED STEAM}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과열증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구이판을 가열하여 종래의 숯이나 가스와 같은 열원에 비하여 열효율을 높여 음식물의 맛이나 식감의 변화없이 조리시간을 줄이고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물을 가열하면 물의 온도가 점차 올라서 100℃가 되면 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물을 계속 가열하더라도 물의 전부가 증발할 때까지 100℃의 온도는 변하지 않고 액체와 증기가 공존한다. 이것을 습윤포화증기라 하고, 전부 증기가 되어 버린 것을 건조포화증기라 하며, 상술한 습윤포화증기나 건조포화증기를 통상 포화증기라 통틀어 지칭하기도 하며, 또한, 상기 건조포화증기에 열을 더욱 가열하면 증기의 온도는 상승하면서 열량이 높은 과열증기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고기를 굽거나 야채 등을 볶는 등 요리를 할 때에는 숯이나 가스와 같은 열원으로 구이판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열원에 의해 고기의 육즙이 쉽게 마르거나 구이판에 눌러 붙기 쉽고, 가열을 계속할 시에는 음식물이 타서 먹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도 1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가열장치는 포화증기를 음식물에 직접 노출시켜 조리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경우 음식물이 상기 포화증기에 의해 수분을 많이 포함하게 되어 음식물 자체의 맛이나 식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가열장치에 있어서는, 격벽 등을 형성하여 증기를 간접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할 경우에는 상술한 포화증기의 생성을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여야 하므로 열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은 포화증기에 의해 구이판 등을 가열하므로 가열의 효율이 떨어지고 조리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양의 에너지로도 포화증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화증기를 다시 과열증기로 생성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맛이나 식감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열 효율 및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과열증기를 사용하는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는 증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와 연통되고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와 연통하고, 상기 증기발생부와 연통하고, 상기 증기발생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상기 열원에 의해 더욱 가열되어 과열증기로 변화되고, 상기 열원과 연통하는 복수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전열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전열부를 덮는 불꽃보호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불꽃보호캡은 상측면에 복수의 배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부는, 상기 물공급부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와, 상기 플로트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의 수위에 의해 상기 플로트 밸브를 개폐하는 부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부에 대체하여 상기 물공급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불꽃보호캡의 외주면 하부 끝단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물수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열부는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뿔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열부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은 각각의 단에서 나선 형상으로 감긴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열부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은 각각의 단에서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전열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복수의 증기유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발생부는 상기 전열부의 복수의 단 중 최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는 상기 증기발생부의 구성에 의하여 적은 양의 에너지로도 포화증기를 짧은 시간에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생성된 포화증기를 상기 전열부에 의해 고온의 과열증기로 생성시킬 수 있고 고온의 과열증기에 의해 구이판 등을 가열시킴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꽃보호캡의 구성에 의해, 가열된 과열증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과열증기에 의해 음식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맛이나 식감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종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실시예 1의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전열부를 다단으로 설치하거나 전열부에 굴곡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증기발생부에 플로트밸브를 설치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한 물공급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불꽃보호캡에 물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종단면도 이다.
도 10는 본 실시예 2중에서 증기유도플레이트의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종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실시예 1의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전열부를 다단으로 설치하거나 전열부에 굴곡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증기발생부에 플로트밸브를 설치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의한 물공급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불꽃보호캡에 물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한 가열장치(100)는 물공급부(10)와, 증기발생부(120)와, 전열부(130)와, 불꽃보호캡(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부(1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凹"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물공급부(10)의 일측 하단부에는 관통구(19)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증기발생부(120)와 연통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물공급부(10)는 증기발생으로 인해 후술하는 증기발생부(120)내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증기발생부(120)와 연통되어 있는 상기 물공급부(10)의 수위는 서로 수평을 이루기 위하여 물공급부(10)에서 후술하는 증기발생부(120)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물공급부(10)에서 낮아진 수위만큼 상기 용기(B)에서 물이 공급된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공급부(10)에 설치된 상기 관통구(19)에 연결되도록 플로트밸브(12)와 부력공(13)을 상기 증기발생부 내에 설치하여 포화증기의 발생으로 증기발생부(120)의 수위가 내려가면 부력공이 낙하 하면서 플로트 밸브가 열려서 지속적인 물 공급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공급부(10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에 인접한 곳에 초음파진동자를(14) 설치하여 상기 초음파진동자(14)에 의해 물 입자 상태로 물을 공급되어 후술하는 증기발생부(120) 없이도 열원(5)에 의해 증기발생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불꽃보호캡(140)의 외측면을 상측으로 절곡하여 물수용부(10c)를 마련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의 수위 조절에 따라 상기 물수용부로부터 상기 증기발생부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부(120)는 일측면은 상기 물공급부(10)와 연통되어 상기 물공급부(10)에서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되 열원(5)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증기발생부의 크기는 포화증기의 발생에 필요한 적절한 양의 물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되 최소한의 부피를 적절히 형성하여, 상기 열원에 의해 가열될 때 짧은 시간내에 증기가 생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 발생부의 체적과 표면적을 상기 전열부의 체적과 표면적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 비율로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불꽃의 세기와 물의 수위조절로 포화증기 생성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부(120)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120a)은 후술하는 전열부의 주름관의 직경과 같거나 주름관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배출공(120a)과 주름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증기가 상기 주름관을 따라 유동시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 전열부(130)는 상기 증기발생부(120)에서 생성된 증기가 통과하면서 열원(5)에 의해 더 가열되어, 상기 전열부(130) 내부를 통과하는 포화증기는 과열증기로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주름관의 형태로 원뿔형상으로 감겨 형성되어 있으며, 주름관의 일측은 상술한 상기 배출공(120a)과 연통되게 형성하고, 타측은 증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증기배출구(139)가 구이판(4)이나 음식물에 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120)에서 배출된 증기는 상기 전열부(130) 즉, 주름관을 지나면서 고온의 과열증기로 변화되고, 상기 고온의 과열증기는 구이판(4)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4a)을 통해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구이판(4)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열부는 상기 열원에 의해 발생한 열과의 접촉면적을 동일한 공간에서 가능한 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열부는 복수의 단(S1, S2, S3, S1', S2', S3')으로 형성된 주름관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단에서 상기 주름관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감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단(S1)에서의 전열부는 일측은 상기 증기발생부에 연결되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나선형태로 감기거나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감긴 후에 내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중간 단(S2)에서의 전열부는 일측끝단은 상기 하단 끝단에 연결된 후,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감기거나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감긴 후에 외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단(S3)에서의 전열부는 일측끝단은 상기 중간단 끝단에 연결된 후,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감긴후에 내측끝단에서 상기 증기배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동일체적에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공기와 최대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꽃보호캡(140)은 하부가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원과 상기 전열부(130)를 수용하여 열원(5)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꽃보호캡(140)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열부(130)를 수용하여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상기 불꽃보호캡(140) 상측면에는 불꽃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홀(1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숯이나 가스에 의한 열원(5)이 상기 전열부(130)를 가열하면서 상기 배기홀(141)로 배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하부측으로부터 공급받아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열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배기홀의 전체 면적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전열부(특히 바깥쪽)와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종단면도이고, 도 10는 본 실시예 2중에서 증기유도플레이트의 평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열장치(200)는 증기발생부(220)와 전열부(23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증기발생부(220)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 1의 증기발생부(120)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증기발생부(220)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배출공(220a)을 크게 하여 실시예 1에 비해 생성된 포화증기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235)이 일체로 형성되어 되어 있고,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통하여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23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중공(235)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열원(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중공(235)내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성된 포화증기가 상기 중공(235)과 후술하는 증기유도플레이트(250)를 지나면서 상기 열원(5)에 의해 더욱 가열되어 증기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전열부(230)내의 증기는 과열증기로 변화된다.
한편, 상기 전열부(230)의 상측면에는 증기배출구(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139)는 상기 전열부(230) 상측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과열증기가 배출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유도플레이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유도플레이트(250)는 상기 중공(235)의 직경과 같게 삽입공(255)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중공(235)에 삽입되고 용접과 같은 체결방식으로 상기 내부공간내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기유도플레이트(250)의 형상을 보면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증기의 전열면적을 높여 상기 증기가 과열증기가 되도록 제1 증기유도플레이트(251)와 제2 증기유도플레이트(252)를 번갈아 복수개의 층을 이루어 형성하고, 상기 제1 증기유도플레이트(251)의 직경은 상기 제2 증기유도플레이트(252)의 직경에 비해 "D"만큼 길이가 짧아 증기가 관통할수 있는 증기관통로(25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증기관통공(25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증기유도플레이트(252)의 직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와 같고 중앙에 증기관통공(25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증기가 상기 증기관통공(252a)로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증기유도플레이트(251)와 상기 제2 증기유도플레이트(251)를 번갈아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개로 설치하면 내부공간에서 발생한 증기는 바로 증기배출구(139)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증기플레이트(250)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관통로(251a)나 증기관통공(252a)를 통과하면서 전열면적이 커져 과열증기로 변화되기 쉬워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유도플레이트(250)가 제1 증기유도플레이트(251)와 제2 증기유도플레이트(252)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포화증기가 과열증기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증기유도플레이트(250)의 갯수를 증감하거나 약간의 형태를 변경하여 과열증기의 전열면적을 넓힐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실시예 3>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본 실시예 3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가열장치(30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구성을 응용하여 사용되었으며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열부(330)는 도 11에 보는 바와 같이 제1 전열부(230a)와 제2 전열부(130a)로 구성된다.
제1 전열부(230a)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2의 전열부(230)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지만 상기 제1 전열부(230a)의 내부에는 증기발생부(220)와 증기유도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10)에서 연통되게 물이 상기 제1 전열부(230a)에 공급되며 열원(5)에 의해 상기 제1 전열부(230a)가 가열되면 상기 제1 전열부(230a) 내부공간에 포화증기가 발생하여 증기배출구(139)를 통해 배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포화증기로 음식물의 보온 등 저열로도 조리가 가능한 음식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열부(230a)의 외측면에는 포화증기가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209)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209)에 플렉시블관(F)과 같이 굴곡의 변화가 용이한 재질의 관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제2 전열부(130a)에 연통되게 설치하여 상기 포화증기가 후술하는 제2 전열부(130a)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전열부(130a)의 구성은 실시예 1의 전열부(130)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지만 증기발생부(120)는 설치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전열부(230a)에서 발생한 포화증기가 관통홀(209)을 지나 상기 제2 전열부(100a)에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별도로 증기를 발생하는 요소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전열부(100a)에 유입된 포화증기는 열원(5)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증기가 되서 상기 증기배출구(139)로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고열이 필요한 음식물의 조리를 할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숯이나 가스렌지 상측에 본 발명에 의한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술한 물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면 상기 물공급부의 물은 상기 증기발생부에 유입된다. 그런다음, 상기 가열장치 상측에 구이판를 놓고 상기 숯이나 가스렌지를 점화한다.
그러면, 상기 증기발생부의 물이 끓으면서 상기 배출공으로 포화증기가 배출된다. 상기 포화증기는 상기 증기발생부와 연통되어 있는 전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열원에 의해 과열증기로 점차 바뀌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과열증기는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거나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지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이판은 열전도현상에 의해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열이 전달되면서 가열되고, 상기 배기홀을 통과하는 열원 또한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게 되고, 그런다음, 사용자는 종래의 가열장치에 비해 열효율이 높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과열증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아울러 음식맛이나 식감을 살린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에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3 : 음식물
4 : 구이판
5 : 열원
10 : 물공급부
120 : 증기발생부
130 : 전열부
140 : 불꽃보호캡

Claims (11)

  1.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와 연통되고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와 연통하고, 상기 증기발생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상기 열원에 의해 더욱 가열되어 과열증기로 변화되고, 상기 열원과 연통하는 복수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전열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전열부를 덮는 불꽃보호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보호캡은 상측면에 복수의 배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는, 상기 물공급부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와, 상기 플로트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의 수위에 의해 상기 플로트 밸브를 개폐하는 부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에 대체하여 상기 물공급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불꽃보호캡의 외주면 하부 끝단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물수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6. 제1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뿔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감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7. 제1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은 각각의 단에서 나선 형상으로 감긴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8. 제1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은 각각의 단에서 복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복수의 증기유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는 상기 전열부의 복수의 단 중 최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KR1020110047240A 2011-05-19 2011-05-19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KR10130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40A KR101301421B1 (ko) 2011-05-19 2011-05-19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40A KR101301421B1 (ko) 2011-05-19 2011-05-19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149A KR20120129149A (ko) 2012-11-28
KR101301421B1 true KR101301421B1 (ko) 2013-08-28

Family

ID=4751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240A KR101301421B1 (ko) 2011-05-19 2011-05-19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61B1 (ko) * 2013-01-30 2015-02-17 김남주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CN109869762B (zh) * 2019-04-04 2024-03-15 江苏神工节能科技有限公司 便于更换波纹管的节能炉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19Y1 (ko) * 2005-10-12 2006-01-11 (주)물사랑 절수형 양변기 시스템
KR20110019757A (ko) * 2008-06-26 2011-02-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19Y1 (ko) * 2005-10-12 2006-01-11 (주)물사랑 절수형 양변기 시스템
KR20110019757A (ko) * 2008-06-26 2011-02-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열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149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931Y1 (ko) 다층 에너지 절약 히터
JP2012239671A (ja) 炊飯器
KR20100011478U (ko) 스팀 튀김오븐
JP4639873B2 (ja) 加熱調理装置
KR101301421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1173390B1 (ko) 증기 오븐
KR200427377Y1 (ko) 구이기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CN213371348U (zh) 一种蒸烤箱结构
KR100675917B1 (ko) 스팀을 이용한 조리기구
JP2006247041A (ja) 餃子焼き器
KR200467947Y1 (ko) 증기 취사기
CN102100493A (zh) 节能环保烧烤炉
JP4669556B2 (ja) 調理器具
US20100236421A1 (en) Fuel saving food cooker and water heater arrangement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CN107028481A (zh) 高效换热式液体加热容器
KR20070019526A (ko) 고 효율 조리용 팬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JP2013106812A (ja) 蒸し焼き調理器
KR20180137374A (ko)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CN214414687U (zh) 改进的空气炸锅
JP2013127342A (ja) 熱供給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