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90B1 - 증기 오븐 - Google Patents

증기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90B1
KR101173390B1 KR20100119634A KR20100119634A KR101173390B1 KR 101173390 B1 KR101173390 B1 KR 101173390B1 KR 20100119634 A KR20100119634 A KR 20100119634A KR 20100119634 A KR20100119634 A KR 20100119634A KR 101173390 B1 KR101173390 B1 KR 10117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
unit
heating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030A (ko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2010011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9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증기 오븐에 관한것으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에서 공급된 증기를 가열하여 습증기화 하는 습증기가열부와, 상기 습증기가열부에서 가열된 증기를 취사부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분사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증기분사관은 취사부 바닥면에 구성된 건증기축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건증기축열부의 열기에 의해 분사된 증기가 가열되며 건증기가 되어 취사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열효율이 증대된 증기 오븐이다.

Description

증기 오븐{Steam Ovens}
본 발명은 증기 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발생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예비가열부, 습증기가열부, 건증기가열부로 구성하고, 각 단계를 통과하며 발생한 건증기를 취사부로 공급하되, 공급된 증기를 가열된 취사부의 바닥면에 분사하여 높은 열량을 포함한 건증기가 되도록 한 증기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 오븐은 버너와 같은 가열수단으로 물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가열된 증기로 음식물을 조리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증기 오븐은 단순히 물을 가열하며 물이 끓는 온도에서 발생되는 습증기를 취사실 내부로 공급하여 가열된 증기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발생된 증기는 수분 함유량이 많고 각 증기의 함유된 열량이 높지않아 전체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버너의 가동시간이 길어져 연료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증기 오븐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기가스의 원할 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완전한 건증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이 높은 증기 오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물이 채워져 가열되는 예비가열부와, 상기 예비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을 습증기화 하는 습증기가열부와, 상기 습증기가열부에서 발생한 습증기를 건증기화 하는 건증기축열부를 구성하되, 상기 건증기축열부는 취사부 바닥면을 가열수단에서 직접 열기를 전달받도록 구성하여 취사부로 공급되는 증기를 건증기화 시키는 증기 오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여 물이 끓는점에서 발생되는 습증기를 더욱 가열하며 건증기화시켜 보다 많은 열량을 함유한 건증기를 취사실로 공급하므로서, 빠른시간안에 조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또한 과도한 수분이 취사부에 공급되지 않아 제빵과 같은 음식물을 가열시 보다 좋은 식감을 얻을 수 있는 조리가 가능하고, 취사부에 공급되는 증기는 높은 열량을 갖는 건증기여서 열효율이 향상된 증기 오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기 오븐의 구조를 투시하여 표현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 증기 오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증기 오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투시도와, 단면도로서 가열수단(300)과, 증기발생부(100)와, 증기가열부(150)와, 건증기가열부(160)와, 증기분사관(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증기발생부(100)는 가열수단(300)을 중심에 두고 감싸는 중공의 연소실(110)을 갖도록 형성되며, 연소실(110)에서 연소되며 발생되는 열기와 연소가스가 상측으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열기공급공(101)이 형성되고, 연소실(110)을 형성한 벽체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관체로 형성하되, 하부에 위치하며 충진되는 물을 예열하여 상부 끓임가열부(130)에 공급하는 예비가열부(120)와, 상기 예비가열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며 격리판(112)으로 격리 형성된 예비가열부(120)에서 예열 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끓임가열부(130)와, 상기 끓임가열부(130)에서 가열된 증기를 가열하는 증기가열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예비가열부(120)와 끓임가열부(130)를 격리한 격리판(112)의 일측에는 예비가열부(120)에서 예열 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가열공급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끓임가열부(130)는 중앙 연소실(110)에서 발화 중인 가열수단(300)에서 직접 열기를 전달받도록 복수의 끓임관(132)이 중앙 연소실(110)의 상부 공간을 통과하여 연결된다.
상기 끓임가열부(130)의 상부에 구성된 증기가열부(140)는 판상으로 상측 열기공급공(101)를 향해 소정 간격 진입되어 형성되어 연소 열기를 직접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증기발생부(100)의 상부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200)가 구비되되, 상면은 취사부(400)의 바닥면에 구비된 건증기가열부(160)에 밀착되고, 하면은 증기발생부(100)와 밀착되어 하부 접촉면에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공(210)이 증기발생부(100)의 열기공급공(10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연소실(110)에서 발생되는 연소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입되며 연소가스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배기구(200)의 내부에는 습증기가열부(150)가 구비되며, 배기구(200) 내부에서 지그재그로 수회 왕복되게 형성되고, 배기구(200)의 배기공(210)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기와 연소 열기를 직접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습증기가열부(150)와 배기구(300)의 상면은 연소실(11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기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기가 전달되며, 배기구(300)의 상면과 접촉되어 있는 취사부(400) 바닥면에 구비된 건증기축열부(160)에 열기를 전달하여 건증기축열부(160)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습증기가열부(160)에서 가열된 증기는 취사부(400) 바닥면에 근접하여 구비된 증기분사관(170)에 공급되며, 증기분사공(172)이 취사부의 바닥면에 구성된 건증기축열부(160)을 향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공급된 증기를 가열된 취사부 바닥면으로 분사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많은 열량이 함유된 건증기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증기가열부(140)에서 발생된 습증기가 발생됨과 동시에 관을 타고 습증기가열부(150)로 공급되지 않도록 습증기가열부(150)로 습증기를 공급하는 관의 일단에 압력제어밸브(V)를 구비하여,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증기가 습증기가열부(15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습증기가열부(150)에서 가열되어 건증기화된 증기를 증기분사관(170)에 공급하는 관의 일단에 선단의 구경이 좁아지는 노즐관(N)이 결합되어, 공급되는 증기를 막는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습증기가열부(150)에서 보다 많은 열기를 흡수하여 건증기축열부(160)에 공급되며, 건증기화 된 증기가 노즐관(N)을 통과할 때 압력차로 인해 수분을 포함한 증기가 분무되어 공급되므로 수분입자가 작게 변하여 증기분사관(170)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증기발생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연소실(110)에 위치되어 발화되는 가열수단(300)이 발화하며 하부에 구성된 예비가열부(120)에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격리판(112)에 형성된 가열수단(114)을 통해 상부 끓임가열부(120)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되어 끓임가열부(120)에 공급된 물은 가열수단(300)의 연소열기로 직접 가열되어 끓어 오르며 증기를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연소실(110) 상부를 가로지르는 끓임관(132)에 의해 끓임 가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끓임관(132)이 복수의 관체로 형성되어 있어 연소 열기와 연소가스는 끓임관(132)의 사이를 통해 상부에 구성된 증기가열부(140)와 습증기가열부(150)에 직접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끓임가열부(120)에서 발생된 증기는 가열수단(300)에서 발생된 열기를 직접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며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증기가열부(140)에서 가열되어 관로를 따라 상부 배기구(300)의 내부에 구비된 습증기가열부(150)에 공급된다.
상기 습증기가열부(150)로 이동된 습증기는 증기발생부(100)의 연소실(110)에서 연소중인 열기가 직접 접촉으로 가열됨은 물론 배기구(200)를 통해 빠져나가는 열기가 포함된 배기가스에서 열기를 흡수하여 공급된 습증기가 건증기화 되며, 취사부(400) 하부에 구비된 증기분사관(170)의 증기분사관(172)을 통해 취사부 바닥에 구성된 건증기축열부(160)에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건증기축열부(160)에 분사된 건증기화된 증기는 가열된 건증기축열부(160)와 접촉되며 열기를 전달받아 건증기로 되며 취사부(400)에 공급된다.
한편 증기발생부(100)에서 습증기가열부(150)로 증기롤 공급하는 관에 결합된 압력제어밸브(V)는 증기발생부(100)의 압력이 일정 기압에 오르지 않으면 잠겨있는 상태가 되어 증기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증기는 습증기 상태이나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증기로 인해 증기발생부(100)에서 기압이 올라가며 일정시간동안 가열되어 충분한 열량이 포함되도록 가열된 상태로 습증기가열부(15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습증기가열부(150)에서 증기분사관(170)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관에 결합된 노즐관(N)은 증기분사관(170) 방향의 선단의 직경이 좁아 증기가 통과하는데 있어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되고, 관체내의 압력이 상승되며, 노즐관(N)을 통과한 증기는 기압차로 인해 분무되는 효과가 생겨 건증기화 된 증기의 수분이 보다 작은 입자로 분무되어 취사부 바닥면에 형성된 건증기축열부(160)으로 분사되며 열기를 흡수하여 공급된 증기는 건증기가 되어 취사부(400)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치며 발생되어 공급되는 증기는 공급되는 차가운 물을 예열하는 예비가열부(120)를 두어 끓임가열부(120)에 공급하므로서 증기 발생이 원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증기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습증기를 가열하는 습증기가열부(150) 및 건증기축열부(160)는 가열수단(300)의 열기가 직접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다 많은 열량을 함유하는 건증기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100 : 증기발생부 101 : 열기공급공 110 : 연소실
112 : 격리판 114 : 가열공급공 120 : 예비가열부
130 : 끓임가열부 132 : 끓임관 140 : 증기가열부
150 : 습건증기가열부 160 : 건증기축열부 170 : 증기분사관
172 : 증기분사공 200 : 배기구 210 : 배기공
300 : 가열수단 400 : 취사부 V :밸브
N : 노즐관

Claims (4)

  1. 증기 오븐에 있어서,
    증기 오븐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수단을 중심으로 감싸는 중공의 연소실이 형성되고, 연소실을 구성하는 외벽체는 물을 충진할 수 있는 관체 형상으로 연소 열기와 배기가스가 상측으로 전달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열기공급공이 형성된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의 상면과 상면과 접촉되어 구비되며, 상부면은 취사부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구비되되 개구부와 연통되게 흡입구가 형성된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내부에 구비되되 흡입구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소실의 연소열기와 연소가스의 열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다수 왕복하며 구성된 증기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공급된 후 가열되는 습증기가열부와;
    상기 습증기가열부에서 가열된 증기를 취사부 내부로 공급하되, 바닥면에 근접하게 구비되며 다수의 증기분사공이 아랫 방향으로 형성된 증기분사관과;
    상기 증기분사관에서 분사되는 증기를 가열하는 취사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배기구와 접촉되어 연소 열기와 연소가스의 열기를 직접흡수 하도록 구성된 건증기축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오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는
    하부에 충진된 물을 예열하여 상부 끓임가열부에 공급하는 예비가열부와, 상기 예비가열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격리판으로 격리되어 형성되되 가열공급공을 통해 예비가열부에서 예열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연소실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끓임관이 구비되어 증기를 발생하는 끓임가열부와, 상기 끓임가열부에서 가열된 증기를 습증기화 되도록 가열하는 중공 판상으로 형성되되 연소열기를 직접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열기공급공 중심부를 향해 소정 길이 진입된 증기가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오븐.
  3. 제 1항에 있어서,
    습증기발생부에서 발생된 습증기가 발생됨과 동시에 관을 타고 건증기가열부로 공급되지 않고 많은 열량을 함유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건증기가열부로 습증기를 공급하는 관에는 압력제어밸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오븐.
  4. 제 1항에 있어서,
    건증기열부에서 증기분사관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관에는 건증기의 수분이 보다 작은 입자가 되어 증기분사관을 통과한 증기가 취사부 바닥에서 열기의 흡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선단의 구경이 좁은 노즐관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오븐.
KR20100119634A 2010-11-29 2010-11-29 증기 오븐 KR10117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9634A KR101173390B1 (ko) 2010-11-29 2010-11-29 증기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9634A KR101173390B1 (ko) 2010-11-29 2010-11-29 증기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30A KR20120058030A (ko) 2012-06-07
KR101173390B1 true KR101173390B1 (ko) 2012-08-10

Family

ID=4660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9634A KR101173390B1 (ko) 2010-11-29 2010-11-29 증기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590B1 (ko) * 2019-09-17 2020-01-22 화신주방산업(주) 증기 취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520B1 (ko) * 2013-07-29 2014-02-27 화신주방산업(주) 증기 취사기
KR101653202B1 (ko) 2015-04-07 2016-09-01 (주)금성주방 증기 취사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590B1 (ko) * 2019-09-17 2020-01-22 화신주방산업(주) 증기 취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30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993B1 (ko) 전열 증기 취사기
CN105637291B (zh) 再热蒸汽发生装置
KR101173390B1 (ko) 증기 오븐
CN104746321B (zh) 挂烫机的控制方法
CN104515121B (zh) 蒸汽加热器的控制方法
CN208435274U (zh) 一种节能型超高温蒸汽炒锅
CN109261709A (zh) 用于土壤修复的热脱附热源系统及其方法
CN201462768U (zh) 瞬间雾化蒸汽炉
CN205655357U (zh) 一种利用余热产生蒸汽的炉灶
KR200441946Y1 (ko) 주방 조리용 스팀장치
CN102379319B (zh) 红外线燃气烧烤炉
CN108895439B (zh) 一种冒泡式混合燃料锅炉及其方法
CN201571461U (zh) 海鲜蒸柜
KR101367520B1 (ko) 증기 취사기
KR101548084B1 (ko) 오븐
KR101301421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KR101066786B1 (ko) 증기 취사기
CN101161167B (zh) 高温蒸汽热风对流式电蒸炉
CN205535718U (zh) 一种蒸汽发生装置及蒸柜
RU2472071C1 (ru) Печь
CN108917176A (zh) 一种基于气液双燃料的热油循环加热系统及其方法
KR200461144Y1 (ko) 복합식 난방장치
CN108534358A (zh) 一种导热油循环燃烧炉及其方法
CN201743473U (zh) 食物蒸锅
KR200367139Y1 (ko) 열풍 기능을 가지는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