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47Y1 - 증기 취사기 - Google Patents

증기 취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47Y1
KR200467947Y1 KR2020130003008U KR20130003008U KR200467947Y1 KR 200467947 Y1 KR200467947 Y1 KR 200467947Y1 KR 2020130003008 U KR2020130003008 U KR 2020130003008U KR 20130003008 U KR20130003008 U KR 20130003008U KR 200467947 Y1 KR200467947 Y1 KR 200467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er
water
tank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진
Original Assignee
황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진 filed Critical 황기진
Priority to KR2020130003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을 가열매체로 하여 동시에 대량취사가 가능하여 단체급식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기를 취사실로 공급하여 취사를 하는 도중에 취사실 내부압력이 허용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되 배출된 증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취사가 가능하게 이루어진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가열원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져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탱크와,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하부 연소실에 설치되는 외부가열원으로서 버너와, 상기 증기발생탱크와 인접하여 증기급송관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과 연결하여 마련되는 연도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증기가열기와, 상기 증기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증기가 증기공급관을 거쳐 내부로 공급되어 취사를 하게 되는 취반기와, 상기 취반기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드레인과, 그리고 상기 취반기의 일측에 별도로 연결 설치되고 취반기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증기배출로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기 취사기{Steam cooker}
본 고안은 스팀을 가열매체로 하여 동시에 대량취사가 가능하여 단체급식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기를 취사실로 공급하여 취사를 하는 도중에 취사실 내부압력이 허용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되 배출된 증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취사가 가능하게 이루어진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증기 취사기로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으로서 선등록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0498호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0499호가 있다.
이들 선행기술의 경우, 습증기, 습증기가 일부 함유된 건증기, 또는 건증기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정교하고도 확실한 조리가 가능하고, 습증기의 가열 내지 재가열을 위한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개선하여 건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을 보완하면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취사실에서 증기를 활용하여 조리를 행한 다음에 드레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 증기는 자연적으로 응축되면서 응축수 형태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배출응축수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냄새나 기타 환경저해요인을 가지고 있어 이를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사전에 제거 내지 완화시켜 주변 환경 위생을 개선하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대량의 취사를 요하는 단체급식의 경우, 대량으로 동시에 많은 량의 밥을 짓는 데에는 습증기, 습증기가 일부 함유된 건증기, 또는 건증기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정교하고도 확실한 조리가 요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온도 이상을 유지하는 건증기 형태로 일정하게 공급하면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게 되면 충분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취사실에서 조리한 후에 드레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증기가 배출응축수 형태로 변화하여 배출시키게 된다고 하나, 실제로 드레인 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열지 않고 그대로 닫아 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응축수는 밸브의 전단에 위치한 드레인 라인의 내부에 모아져 있게 되고, 취사가 이루어진 후 배출응축수를 나중에 배출시키는 경우 연소실 내부의 버너도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기가 추운 경우엔 드레인 라인의 관리소홀로 인하여 드레인 내부에 남아 있던 배출응축수가 팽창하면서 드레인 라인이 동파되어 물적인 손실과 함께 이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취사중에 취사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가 과도하게 공급되어 취사실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취사실 내부압력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드레인을 이용하여 제때마다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데, 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야 하므로, 제작비용의 상승과 함께 경제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0년 10월 07일자 공고, 등록번호 20-0450498호 2.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0년 10월 07일자 공고, 등록번호 20-0450499호
본 고안의 목적은 대용량의 밥을 취사하는데 필요로 하는 건증기 형태의 증기를 외부 가열원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만들어 직접 취사실로 공급하여 능률적인 취사가 가능하고, 취사실 내부의 압력이 적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출된 여유증기는 연소시켜 조리냄새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취사실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드레인은 취사실을 청소하거나 아니면 내부에 남아 있게 되는 수분이나 물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목적으로 활용하여 동파사고나 다른 바람직하지 아니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가열원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져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탱크와,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하부 연소실에 설치되는 외부가열원으로서 버너와, 상기 증기발생탱크와 인접하여 증기급송관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과 연결하여 마련되는 연도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증기가열기와, 상기 증기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증기가 증기공급관을 거쳐 내부로 공급되어 취사를 하게 되는 취반기와, 상기 취반기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드레인과, 그리고 상기 취반기의 일측에 별도로 연결 설치되고 취반기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증기배출로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직수입관으로부터 감압밸브 및 솔밸브를 경유하여 보충수탱크에 이르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충수탱크와 상기 증기발생탱크가 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탱크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로는 상기 취반기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끝부분이 상기 연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연도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하여 상기 취반기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연소된 상태로 배출되어 탈취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대용량의 밥을 취사하는데 필요로 하는 건증기 형태의 증기를 외부 가열원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만들어 직접 취반기로 공급하여 능률적인 취사가 가능하고, 취반기 내부의 압력이 적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출된 여유증기는 연소시켜 조리냄새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취반기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드레인은 취반기를 청소하거나 아니면 내부에 남아 있게 되는 수분이나 물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목적으로 활용하여 동파사고나 다른 바람직하지 아니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하부구조를 중심으로 일부를 생략하고 나타낸 계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고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1)와, 상기 물공급부(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가열원(2)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져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탱크(3)와, 상기 증기발생탱크(3)의 하부 연소실(4)에 설치되는 외부가열원(2)으로서 버너와, 상기 증기발생탱크(3)와 인접하여 증기급송관(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4)과 연결하여 마련되는 연도(6)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증기가열기(7)와, 상기 증기가열기(7)로부터 가열된 증기가 증기공급관(8)을 거쳐 내부로 공급되어 취사를 하게 되는 취반기(9)와, 상기 취반기(9)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드레인(10)과, 그리고 상기 취반기(9)의 일측에 별도로 연결 설치되고 취반기(9)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증기배출로(11)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1)는 직수입관(12)으로부터 감압밸브(14) 및 솔밸브(16)를 경유하여 보충수탱크(18)에 이르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충수탱크(18)와 상기 증기발생탱크(3)가 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탱크(3)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로(11)는 상기 취반기(9)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끝부분이 상기 연도(6)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연도(6)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하여 상기 취반기(9)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연소된 상태로 배출되어 탈취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증기 취사기를 제공한다.
미설명부호로서 20은 가스공급관을 나타내고, 22는 증기발생탱크(3)에 설치되는 탱크드레인을 나타내며, 24는 취반기(9)의 문을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고안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취반하는 과정은 우선 취반기(9)의 문(24)을 열고 취반하기 위한 재료를 취반기(9) 내부에 거치시킨 다음, 다시 문(24)을 닫게 되며, 물공급부(1)의 직수입관(12), 감압밸브(14), 솔밸브(16) 및 보충수탱크(18)를 거쳐 증기발생탱크(3)엔 충분하게 물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취반을 위한 준비를 행한다.
다음, 연소실(4)에 위치한 외부가열원(2)인 버너를 점화하여 증기발생탱크(3)를 가열하게 되면, 증기발생탱크(3)로부터 증기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증기는 습증기 형태로서 증기공급관(5)을 거쳐 증기가열기(7)로 급송되고, 연도(6)에 위치한 증기가열기(7)는 연소실(4)에서 외부가열원(2)에 의하여 발생된 열기가 증기발생탱크(3)를 가열하고 나서 연도(6)로 이동하여 상기 증기가열기(7)를 가열하여 건증기 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건증기 형태로 변환된 증기는 증기공급관(8)을 거쳐 취반기(9) 내부로 공급되어 취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취반기(9) 내부로 급송된 건증기가 과다하게 급송이 이루어져 취반기(9)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압력에 따라 증기배출로(11)를 거쳐 연도(6)로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연도를 통과하게 되는 열기에 의하여 연소된 후에 탈취가 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취반과정을 거쳐 취반이 완료되면, 문(240을 열고 취반된 음식을 외부로 꺼내서 활용하게 된다.
물론, 상기 드레인(10)은 취반 후에 취반기(9) 내부를 세척 또는 청소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하여 취반기(9)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탱크드레인(22)은 증기발생탱크(3) 내부에 과도하게 물이 채워지는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시킬 목적으로 활용하고 또한 증기발생탱크(3)의 내부 세척 또는 청소시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대용량의 밥을 취사하는데 필요로 하는 건증기 형태의 증기를 외부 가열원(2)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만들어 직접 취반기(9)로 공급하여 능률적인 취사가 가능하고, 취반기(9) 내부의 압력이 적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출된 여유 증기는 연소시켜 조리냄새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취반기(9)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드레인(10)은 취반기(9)를 청소하거나 아니면 내부에 남아 있게 되는 수분이나 물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목적으로 활용하여 동파사고나 다른 바람직하지 아니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물공급부, 2: 외부가열원,
3: 증기발생탱크, 4: 연소실,
5: 증기공급관, 6: 연도,
7: 증기가열기, 8: 증기공급관,
9: 취반기, 10: 드레인,
11: 증기배출로, 12: 직수입관,
14: 감압밸브, 16: 솔밸브,
18: 보충수탱크, 20: 가스공급관,
22: 탱크드레인, 24: 문

Claims (3)

  1.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1)와,
    상기 물공급부(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가열원(2)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져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탱크(3)와,
    상기 증기발생탱크(3)의 하부 연소실(4)에 설치되는 외부가열원(2)으로서 버너와,
    상기 증기발생탱크(3)와 인접하여 증기급송관(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4)과 연결하여 마련되는 연도(6)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증기가열기(7)와,
    상기 증기가열기(7)로부터 가열된 증기가 증기공급관(8)을 거쳐 내부로 공급되어 취사를 하게 되는 취반기(9)와,
    상기 취반기(9)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드레인(10)과, 그리고
    상기 취반기(9)의 일측에 별도로 연결 설치되고 취반기(9)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증기배출로(11)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취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1)는 직수입관(12)으로부터 감압밸브(14) 및 솔밸브(16)를 경유하여 보충수탱크(18)에 이르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충수탱크(18)와 상기 증기발생탱크(3)가 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탱크(3)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취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로(11)는 상기 취반기(9)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끝부분이 상기 연도(6)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연도(6)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하여 상기 취반기(9)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연소된 상태로 배출되어 탈취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취사기.
KR2020130003008U 2013-04-18 2013-04-18 증기 취사기 KR200467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08U KR200467947Y1 (ko) 2013-04-18 2013-04-18 증기 취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08U KR200467947Y1 (ko) 2013-04-18 2013-04-18 증기 취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947Y1 true KR200467947Y1 (ko) 2013-07-17

Family

ID=5139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008U KR200467947Y1 (ko) 2013-04-18 2013-04-18 증기 취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202B1 (ko) 2015-04-07 2016-09-01 (주)금성주방 증기 취사장치 및 방법
KR101662447B1 (ko) 2015-05-19 2016-10-04 황기진 증기 취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562A (ja) * 1994-05-13 1995-11-21 Goka Chiyouriki:Kk 多段状蒸し器
KR200450498Y1 (ko) 2009-10-30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0450499Y1 (ko) 2009-11-13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110075062A (ko) * 2009-12-28 2011-07-06 화신주방산업(주) 증기 취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562A (ja) * 1994-05-13 1995-11-21 Goka Chiyouriki:Kk 多段状蒸し器
KR200450498Y1 (ko) 2009-10-30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0450499Y1 (ko) 2009-11-13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110075062A (ko) * 2009-12-28 2011-07-06 화신주방산업(주) 증기 취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202B1 (ko) 2015-04-07 2016-09-01 (주)금성주방 증기 취사장치 및 방법
KR101662447B1 (ko) 2015-05-19 2016-10-04 황기진 증기 취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35978U (zh) 一种过热蒸汽蒸箱
KR20110008211U (ko) 다층 에너지 절약 히터
KR200450498Y1 (ko) 증기취사기
KR200450499Y1 (ko) 증기취사기
KR200467947Y1 (ko) 증기 취사기
CN201641594U (zh) 高效节能安全蒸饭柜
CN104033928B (zh) 多功能炉灶
CN204071713U (zh) 箱式蒸汽炉的给排水装置
CN206659665U (zh) 节能环保蒸汽柜
KR20180081924A (ko) 중탕 방식 조리 전용 인덕션 레인지
CN105266568A (zh) 蒸箱装置及具有锅炉的蒸箱装置
CN204049232U (zh) 蒸箱装置及具有锅炉的蒸箱装置
KR100982908B1 (ko) 가스 튀김기
CN204363723U (zh) 高效燃气蒸烤一体机
KR20140072402A (ko) 벽난로가 결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후면이 개방된 보일러
CN210153755U (zh) 一种新型的蒸汽发生器
CN203914518U (zh) 一种无风机节能蒸柜
CN203436153U (zh) 一种节能环保蒸柜
CN201536987U (zh) 一种节能环保蒸柜
CN110477738A (zh) 一种烹饪装置及具有该烹饪装置的集成灶及其烘干方法
CN201245809Y (zh) 燃煤直热式沥青加热罐
JP5858555B1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CN204218630U (zh) 一种减少排放蒸汽的煮饭菜机
CN205079280U (zh) 一种热回收炒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