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161B1 -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161B1
KR101494161B1 KR20130010291A KR20130010291A KR101494161B1 KR 101494161 B1 KR101494161 B1 KR 101494161B1 KR 20130010291 A KR20130010291 A KR 20130010291A KR 20130010291 A KR20130010291 A KR 20130010291A KR 101494161 B1 KR101494161 B1 KR 10149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flame
flame tub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7788A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2013001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1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 실시예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관과, 상기 화염관을 내장하고 물이 통과하며 상기 화염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액상의 물이 과열증기로 변화하는 구간인 물관을 구비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염관은 요홈이 형성되는 열전달면을 구비하고, 상기 물관은 요홈이 형성되는 주름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염관의 상기 요홈 또는 상기 물관의 상기 요홈은, 상기 화염관 또는 상기 물관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염관 또는 상기 물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정렬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의 가열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음식물 조리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Heating Apparatus Using St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대기압에서 물을 가열하면 물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약 100℃가 되면 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물을 계속 가열하더라도 물의 전부가 증발할 때까지 물의 온도는 변하지 않고 액체와 증기가 공존한다.
이러한 상태를 포화상태라 하고, 포화상태에 있는 증기를 습윤포화증기라 하며, 전부 증기가 되어 버린 것을 건조포화증기라 한다. 이때, 전술한 습윤포화증기 또는 건조포화증기를 통상 포화증기라 통틀어 지칭하기도 한다. 건조포화증기에 열을 더욱 가하면 증기의 온도는 계속 상승하면서 열량이 높은 과열증기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음식물을 가열조리할 때, 화염을 음식물에 직접 가하면 음식물이 타버리거나 육류 음식물의 경우 육즙이 쉽게 말라서,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구이판 등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조리할 때에도, 음식물이 구이판 등에 눌러 붙거나 구이판이 지나치게 가열되어 음식물이 타버리는 등으로 인해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음식물을 물에 넣어 가열하거나 가열된 포화증기를 음식물에 가하는 방법으로 음식물을 가열조리하면,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음식물이 물이나 포화증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수분이 많이 포함됨으로써 특정한 종류의 음식물은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음식물 조리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포화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조리할 때 음식물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 등을 형성하여 가열된 포화증기가 직접 음식물에 닿는 것을 차단하고 포화증기의 열만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하여 간접적으로 음식물을 가열조리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음식물을 물에 넣어 가열하는 방식 또는 포화증기를 음식물에 직접 가하는 방식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음식물 조리시간이 길어지고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공간효율과 열전달 효율이 높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 실시예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관과, 상기 화염관을 내장하고 물이 통과하며 상기 화염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액상의 물이 과열증기로 변화하는 구간인 물관을 구비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염관은 요홈이 형성되는 열전달면을 구비하고, 상기 물관은 요홈이 형성되는 주름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염관의 상기 요홈 또는 상기 물관의 상기 요홈은, 상기 화염관 또는 상기 물관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염관 또는 상기 물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정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의 일 실시예는, 원형관을 금형에 안착하는 공정; 상기 원형관을 가압하여 상부 및 하부가 평면형상을 가지고 양 측부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화염관 및 물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1차 가압공정; 및 상기 화염관 또는 물관의 상부 및 하부에 요홈을 형성하는 2차 가압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가압공정은, 수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화염관 및 상기 물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에 의하면,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의 가열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음식물 조리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는 공간효율과 열전달 효율이 높은 구조를 가지므로 취급이 편리하고 에너지 소비량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중 원형관을 금형에 안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중 1차 가압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중 2차 가압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에 따른 2차성형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는 가열부(110) 및 열교환부(120)를 포함한다.
가열부(110)는 화염을 분사하여 열교환부(120)를 통과하는 물을 가열하여 액상에서 과열증기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제공한다. 가열부(110)는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휴대용 가열장치이든 고정된 가열장치이든 불문한다.
열교환부(120)는 가열부(110)로부터 분사되는 화염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 상호 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이고, 화염관(130)과 물관(140)을 포함한다.
화염관(130)은 물관(140) 내부에 물관(140)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되고, 화염관(130) 내부에는 화염이 통과하고 화염관(130) 외부에는 물이 통과한다. 물관(140)은 내부에 화염관(130)이 물관(140)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되고, 화염관(130)의 외부와 물관(140)의 내부 사이에 물이 통과한다.
화염관입구(170)는 물관입구(180)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화염관출구(171)는 물관출구(181)와 근거리에 위치하므로, 열교환부(120)는 화염의 통과방향과 물의 통과방향이 일치하는 평행형으로 구성된다.
상온의 물은 물관입구(180)로 유입되어 물관(140)을 통과하면서 화염관(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액상의 상태와 포화상태를 거쳐 과열증기로 변화하여 물관출구(181)를 통해 방출된다.
화염관(130)에는 열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해 화염관요홈(150)이 형성된다. 화염관요홈(150)은 화염관(130)의 단위길이당 전열면적을 높이게 되고, 이로 인해 화염으로부터 물로 열전달이 화염관요홈(15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효과적으로 일어난다.
물관(140)에는 물관요홈(160)을 가진 주름관으로 형성된다. 물관요홈(160)은 열교환부(120)를 나선형으로 형성할 경우(도 2 참조) 벤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염관요홈(150)과 물관요홈(160)은 화염관(130) 또는 물관(14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화염관(130) 또는 물관(14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요철을 이루며 정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부(1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열교환부(120)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물관(140)의 전열면적을 높이며, 제작이 용이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열교환부(120)는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나선형으로 형성한다. 즉, 열교환부(120)는 화염관(130) 내부에 물관(140)이 내장된 2중관이고, 화염관(130)의 외부 측면이 서로 맞닿게 벤딩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열교환부(120)가 형성하는 나선의 중심부에는 화염관출구(171)와 물관출구(181)가 위치하고, 나선의 가장자리에는 화염관입구(170)와 물관입구(180)가 형셩된다. 따라서, 액상의 물은 열교환부(1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물관입구(180)로 유입되어 물관(140)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물관출구(181)로부터 방출될 때에는 과열증기상태가 된다. 이때, 물관출구(181)가 열교환부(120)가 형성하는 나선의 중심부에 다수개 형성되면 가열증기가 고르게 방출될 수 있다.
한편, 화염관(130)과 물관(140)은 모두 요홈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정렬되어 나선형으로 벤딩되는 경우, 나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화염관(130)과 물관(140)의 외측부는 쉽게 인장되고 내측부는 쉽게 수축되므로, 열교환부(120)를 나선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부(120)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열교환부(120)는 화염관(130)의 외부 측면이 맞닿게 벤딩되어 나선을 형성하므로, 열교환부(120)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물관(140)을 통과하는 물은 화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20)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화염관(130)과 물관(140)은 양 측부가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화염관(130)에는 화염관 라운딩부(350)가 형성되고, 물관(140)에는 물관 라운딩부(360)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음식물조리부(400)에는 조리하는 음식물(410)이 위치하고, 열교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과열증기 또는 화염이 유입되어 음식물(410)을 가열조리한다.
물관출구(181)는 음식물조리부(400)와 연결되고, 물관출구(181)로부터 음식물조리부(400)로 유입되는 과열증기는 조리판(430)에 놓인 음식물(410)을 가열한다.
이때, 용이한 이동을 고려하고, 음식물(410)을 가열조리할 경우 가열부(110)는 높은 온도가 유지되므로 안전을 위해,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는 가열부(110)에 케이싱(420)을 부가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가열부(110)에 케이싱(420) 구비되는 구조인 경우, 화염관출구(171, 도 2 참조)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케이싱(420)에 형성되는 연소가스배출구(4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과열증기는 물관출구(181)을 통해 음식물조리부(400)로 들어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과열증기와 연소가스는 혼합되지않고 과열증기만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므로 연소가스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이 음식물에 침투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가열장치는 위생적이고 건강에 좋은 웰빙푸드를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은 원형관을 금형에 안착하는 공정(S510), 원형관을 가압하여 장원형 즉, 양 측부가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화염관 및 물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1차 가압공정(S520) 및 화염관 또는 물관의 상부 및 하부에 요홈을 형성하는 2차 가압공정(S53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중 원형관(600)을 금형(610)에 안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원형관(600)을 금형(610)에 안착하는 공정에서는 금형(610)에 성형대상인 원형관(600)을 안착한다. 금형(610)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양편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금형(610)에는 안착되는 원형관(600)의 지름방향으로 금형요홈(620)이 형성되고 원형관(6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한다.
원형관(600)은 양편으로 분리된 금형(610) 사이에 안착되고, 다음 공정인 1차 가압공정이 진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중 1차 가압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금형(610)이 원형관(600, 도 6 참조)을 가압하면 장원형 즉, 양 측부가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1차성형관(700)이 형성된다.
1차성형관(700)은 전술한 화염관(130, 도 2 참조) 또는 물관(140, 도 2 참조)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전술한 화염관요홈(150, 도 3 참조) 또는 물관요홈(160, 도 3 참조)이 형성된 화염관(130) 또는 물관(14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2차 가압공정을 거치게 된다. 2차 가압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금형(610)은 1차 가압공정을 완료한 후 금형체결구(710)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금형체결구(710)는 금형(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금형(610)의 측부에 다수개가 체결되고 2차 가압공정에서 금형(610) 내부에 제공되는 유압 또는 수압에 의해 고정된 금형(610)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금형체결구(710)에는 도시된 볼트 및 너트 체결구 외에 클램프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중 2차 가압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2차 가압공정은 1차성형관(700)에 요홈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즉, 2차 가압공정은 1차성형관(700)을 금형(610)에 고정한 후 1차성형관(700) 내부로 고압을 가하여 금형(610)에 형성된 금형요홈(620)에 의하여 1차성형관(700)에 요홈을 형성하는 프레스가공 공정이다.
2차 가압공정은 유압 또는 수압을 이용한 가압장치(800)를 사용하여 요홈을 프레스 가공한다. 가압창치는 금형(610)에 고정된 1차성형관(700)의 입구와 출구에 밀착하고, 밀착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가압장치(800)의 가장자리는 가압장치체결구(830)에 의해 금형(610)에 고정된다.
가압장치(800)가 1차성형관(700)의 입구와 출구에 밀착고정된 후, 가압장치(800)의 입구밸브(810)가 개방되면 작동유체는 가압유 또는 가압수가 1차성형관(700) 내부로 유입되고, 작동유체는 1차성형관(700)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의해 1차성형관(700)에는 금형요홈(620)의 형상에 따른 요홈이 형성된다.
1차성형관(700)에 요홈이 형성된 후, 가압장치(800)의 입구밸브(810)는 폐쇄되고 출구밸브(820)는 개방되어 작동유체는 출구밸브(820)를 통해 1차성형관(700) 외부로 방출된다. 작동유체가 1차성형관(700)으로부터 방출되면 출구밸브(820)가 폐쇄되고, 가압장치체결구(830)를 풀고 가압장치(800)를 1차성형관(700)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금형(610)을 분리하면 2차 가압공정이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에 따른 2차성형관(900)을 나타낸 도면이다.
1차 가압공정과 2차 가압공정을 거치면서 원형관((600, 도 6 참조)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가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장원형의 관으로 변형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성형관요홈(9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2차성형관(900)이 제작된다.
원형관(600)의 지름이 작은 것을 사용하여 제작한 2차성형관(900)이 화염관(130)이고, 원형관(600)의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하여 제작한 2차성형관(900)이 물관(140)이다. 전술한 공정을 거쳐 화염관(130)과 물관(140)을 제작하고, 화염관(130)을 물관(140)에 내장하는 내장공정을 진행하여 열교환부(120, 도 1 참조)를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10: 가열부 120: 열교환부
130: 화염관 140: 물관
150: 화염관요홈 160: 물관요홈
170: 화염관입구 171: 화염관출구
180: 물관입구 181: 물관출구
350: 화염관 라운딩부 360: 물관 라운딩부
400: 음식물조리부 410: 음식물
420: 케이싱 430: 조리판
600: 원형관 610: 금형
620: 금형요홈 700: 1차성형관
710: 금형체결구 800: 가압장치
810: 입구밸브 820: 출구밸브
830: 가압장치체결구 900: 2차성형관
910: 2차성형관요홈

Claims (14)

  1.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관과, 상기 화염관을 내장하고 물이 통과하며 상기 화염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액상의 물이 과열증기로 변화하는 구간인 물관을 구비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의 상기 화염관과 상기 물관 각각은 측면에서 보아 양측부가 긴 형태로 인접하여 복수개가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평면상에서 보아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관은,
    상기 물관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관은,
    요홈이 형성되는 열전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요홈이 형성되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관의 상기 요홈 또는 상기 물관의 상기 요홈은,
    상기 화염관 또는 상기 물관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염관 또는 상기 물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관은,
    입구가 상기 나선형 열교환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출구가 상기 나선형 열교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입구가 상기 나선형 열교환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출구가 상기 나선형 열교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출구가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소인 음식물조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과열증기가 상기 음식물조리부에 위치한 음식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10. 원형관을 금형에 안착하는 공정;
    상기 원형관을 가압하여 양 측부가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화염관 및 물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1차 가압공정; 및
    상기 화염관 또는 물관의 상부 및 하부에 요홈을 형성하는 2차 가압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화염관과 상기 물관 각각은 측면에서 보아 양측부가 긴 형태로 인접하여 복수개가 나란히 배열되고, 평면상에서 보아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내측 표면에 폭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요홈이 다수개 정렬되도록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화염관을 형성하는 원형관은 물관을 형성하는 원형관보다 직경이 작도록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압공정은,
    수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화염관 및 상기 물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압공정 이후에, 상기 화염관을 상기 물관에 내장하는 내장공정
    을 더 포함하는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작방법.
KR20130010291A 2013-01-30 2013-01-30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149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291A KR101494161B1 (ko) 2013-01-30 2013-01-30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291A KR101494161B1 (ko) 2013-01-30 2013-01-30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88A KR20140097788A (ko) 2014-08-07
KR101494161B1 true KR101494161B1 (ko) 2015-02-17

Family

ID=5174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0291A KR101494161B1 (ko) 2013-01-30 2013-01-30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995A (zh) * 2019-05-24 2019-08-09 典发食品(苏州)有限公司 一种冷冻食品加热装置
CN114688515B (zh) * 2020-12-31 2024-03-2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结构、蒸汽发生器和烹饪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02A (ja) * 1996-07-10 1998-01-27 Tokyo Gas Co Ltd 蒸気発生装置
JPH11197758A (ja) * 1998-01-16 1999-07-27 Sumitomo Metal Ind Ltd 異形金属素管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異形曲がり金属管の製造方法
JP2008032296A (ja) 2006-07-27 2008-02-14 Teigu:Kk 熱交換器
KR20120129149A (ko) * 2011-05-19 2012-11-28 김남주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02A (ja) * 1996-07-10 1998-01-27 Tokyo Gas Co Ltd 蒸気発生装置
JPH11197758A (ja) * 1998-01-16 1999-07-27 Sumitomo Metal Ind Ltd 異形金属素管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異形曲がり金属管の製造方法
JP2008032296A (ja) 2006-07-27 2008-02-14 Teigu:Kk 熱交換器
KR20120129149A (ko) * 2011-05-19 2012-11-28 김남주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88A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161B1 (ko) 증기를 이용한 가열장치 및 그 제작방법
CN203898081U (zh) 一种加热结构
CN201299424Y (zh) 热泵式煮饭锅
NZ761762A (en) Hot water tank
CN203028939U (zh) 一种多功能蒸煮锅
CN201441286U (zh) 一种蒸汽回收装置
CN202408453U (zh) 一种快速降压的压力锅
KR101524731B1 (ko) 제면과 조리가 일관공정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제면 및 조리 방법과 제면 및 조리 장치
JP4985504B2 (ja) 給湯装置の貯湯タ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6566321B2 (ja) 給湯機
CN209826260U (zh) 一种二次加热的蒸汽发生装置及其烹饪电器
CN202066109U (zh) 一种高效速热取暖器
KR200400343Y1 (ko) 스팀 다단식 취사기
CN206861638U (zh) 一种灶具余热吸收器
CN201044714Y (zh) 一种防干涸回流高压两用锅
CN110736090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蒸汽发生系统及其蒸制烹饪装置
CN201149378Y (zh) 一种一体化机械能快速制热式热水器
CN215259940U (zh) 一种炉灶和蒸柜用的盘管式热水循环装置
CN202792115U (zh) 一种家用热水炉
CN202630005U (zh) 蒸饭箱无电源快速蒸汽装置
CN202561843U (zh) 液化气节能燃气炉
CN203478634U (zh) 一种集淋浴、取暖、煮饭一体的太阳能装置
CN201073236Y (zh) 节能型加热水箱装置
CN208822466U (zh) 排气阀、用于烹饪电器的蒸汽阀和这种烹饪电器
WO2009048225A3 (en) Evapo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