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57B1 - 단자 커버 - Google Patents

단자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57B1
KR101300857B1 KR1020107025872A KR20107025872A KR101300857B1 KR 101300857 B1 KR101300857 B1 KR 101300857B1 KR 1020107025872 A KR1020107025872 A KR 1020107025872A KR 20107025872 A KR20107025872 A KR 20107025872A KR 101300857 B1 KR101300857 B1 KR 10130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body
hinge
lock
terminal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232A (ko
Inventor
준코 사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1002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Abstract

힌지가 파단한 경우에도 열리지 않고, 단자 커버를 열고자 하는 다양한 방향의 힘에 대해 구속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단자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에 의해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계합시킴으로써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닫은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한다.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의 합계 4 종류의 록을 이용함으로써, 계지철부(61), 계지조(72; 爪; 손톱), 계지철부(81), 계지조(91), 계지조(92)의 돌기 치수가 적어도 되며 계지 철부(61), 계지조(72), 계지철부(81), 계지조(91), 계지조(92)를 성형하는 때의 치수 안정성, 형상 안정성이 뛰어나 안정된 품질과 높은 내구성을 얻는다.

Description

단자 커버{TERMINAL COVER}
본 발명은 전선의 단부에 압착된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커버에 관한 것이다.
단자 금구(金具)의 보호, 단자 착탈의 용이성을 꾀하기 위해 단자에 수지제의 단자 커버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단자 커버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단자 커버는 힌지(hinge)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자 커버의 내부에 단자를 수용한 상태로 단자 커버를 닫고, 단자 커버에 있어서 힌지에 대향하는 주변에 설치된 록에 의해 단자 커버를 닫은 상태로 구속한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단자 커버는 힌지에 가까운 측과 힌지로부터 멀어진 측에 각각 록을 가지고 있다. 힌지에 가까운 측의 록과 힌지로부터 멀어진 측의 록과의 쌍방에 의해 단자 커버를 닫은 상태로 구속한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7-22716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3-15791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단자 커버는 힌지에 대향하는 측에만 록이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힌지가 파단(破斷)한 경우, 단자 커버가, 힌지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열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단자 커버는 힌지에 대향하는 측에 추가하여 록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가 파단한 경우에도 단자 커버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단자 커버는 힌지에 의해 단자 커버가 180°열린다. 힌지의 개방각이 크면 단자 커버를 닫은 때에 힌지에 의한 단자 커버를 여는 방향의 반력이 커지기 때문에, 록에 있어서의 구속력을 크게 해야 한다. 그 결과 록을 형성하는 철부 등이 대형화되고, 단자 커버의 대형화나 단자 커버를 닫을 때 큰 힘으로 닫을 필요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힌지에 가까운 측의 록에는 계지편이 계합하는 개구부를 가진 록편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록편은 띠모양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록편이 변형해 버린 경우 록이 해제되어 버린다. 또한 띠모양으로 뻗는 록편은 형상 안정성, 치수 안정성 등의 면으로부터 형성이 곤란하다.
또한 록 개소의 수가 적으면 개개의 록에 있어서의 감합이 힘들어지고, 록의 계합이나 해제 시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단자 커버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한 개폐 방향 이외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도 있어, 종래의 록에서는 단자 커버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구속력이 부족한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에 근거하여 창안된 것으로, 힌지가 파단한 경우에도 열리지 않고, 단자 커버를 열고자 하는 여러 방향의 힘에 대해 구속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단자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자 커버는 전선의 단부에 압착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커버이며, 단자를 보호 유지하는 제1반체와, 제1반체에 감합하는 제2반체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일단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타단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를 계합하는 제1 록부와, 제1반체와 제2반체를 힌지의 근방에서 계합하는 제2 록부와, 제1 록부와 제2 록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일단측과 타단측을 잇는 방향에 따른 제1반체와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는 제3 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록부에 더하여, 제2 록부를 설치함으로써 힌지가 파단한 경우에도 힌지측으로부터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3 록부에 의해 제1반체와 제2반체와의 힌지가 설치된 일단측과 타단측을 잇는 방향에 따른 상대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힌지가 설치된 일단측 혹은 타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열리는 때에는 제1반체와 제2반체에 일단측과 타단측을 잇는 방향으로 제1반체와 제2반체와의 상대 변위가 생긴다. 이 상대 변위를 제3 록부에서 규제함으로써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힌지가 파단한 경우에 힌지측으로부터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 커버는 단자가 제1반체에 보호 유지된 상태로 단자 커버로부터 전선이 외부로 도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구속하는 제4 록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제4 록부에 의해 전선을 통하여 단자 커버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서로 이간하는, 즉, 단자 커버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록부는 전선에 대해 단자의 삽발방향이 직교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단자와 전선이 서로 직교하는 대략 L자 모양의 경우, 전선에 의해 단자 커버가 비틀어지는 듯한 힘이 작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제2 록부는 제1반체와 제2반체의 일방에 형성된 블록상의 계지철부와, 제1반체와 제2반체의 타방에 형성되어 계지철부의 힌지로부터 먼 측의 측면에 계합하는 계지요부로 형성할 수 있다. 계지철부를 블록상으로 함으로써, 계지조(爪; 손톱) 등과 비교하여 소형화, 치수 안정성의 향상, 형상 안정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 제2 록부는 힌지가 파단한 때에 힌지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이간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3 록부는 제1반체와 제2반체의 일방에 형성된 철부와 제1반체와 제2반체의 타방에 형성된 슬릿으로 형성되고, 철부가 슬릿 내에 위치하여 철부의 슬릿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일단측과 타단측을 잇는 방향에 따른 제1반체와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은 전선의 단부에 압착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커버이며, 단자를 보호 유지하는 제1반체와, 제1반체에 감합하는 제2반체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일단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타단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를 계합하는 제1 록부와, 제1반체와 제2반체를 힌지의 근방에서 계합하는 제2 록부와, 단자가 제1반체에 보호 유지된 상태로 단자 커버로부터 전선이 외부에 도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구속하는 제4 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단부에 압착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커버이며, 단자를 보호 유지하는 제1반체와, 제1반체에 감합하는 제2반체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일단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타단 측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를 계합하는 제1 록부와, 제1반체 및 제2반체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사이에 있어서, 일단측과 타단측을 잇는 방향에 따른 제1반체와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는 제3 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단자가 제1반체에 보호 유지된 상태로 단자 커버로부터 전선이 외부에 도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반체와 제2반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구속하는 제4 록부를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가 파단한 경우에도 열리는 경우가 없고, 단자 커버를 열고자 하는 여러 가지 방향의 힘에 대해 구속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도 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자 커버의 외관도이며, (a)는 단자 커버의 좌측면도, (b)는 단자 커버의 제1반체측으로부터의 정면도, (c)는 단자 커버의 전선 도출측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2] 단자 커버를 연 상태의 외관도이며, (a)는 힌지의 반대측으로부터의 사시도, (b)는 힌지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단자 커버를 닫은 상태의 외관도이며, (a)는 제2반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b)는 제1반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 단자 커버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며, (a)는 도 1(a)와 같은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b)는 도 1(c)와 같은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5] (a)는 힌지가 파단한 때에 단자 커버가 힌지측으로부터 열고자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b)는 힌지가 파단한 때에 단자 커버가 힌지와 반대측으로부터 열고자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6] (a)는 배선으로부터의 힘이 배선 커버에 작용한 때에 전선 도출부 록에 의해 발휘하는 구속 방향을 나타내는 도이며, (b)는 힌지가 끊어진 때에 전선 도출부 록에 의해 제1반체에 대한 제2반체의 변위 구속 방향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커버(10)는 리셉터클단자(20)를 수용한다. 리셉터클 단자(20)는 구리합금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플러그 단자(미도시)와 계합한다. 리셉터클 단자(20)는 전선(100)의 선단에 압착되는 배럴부(21)와, 배럴부(21)로부터 전선(100)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플러그 단자가 삽발되는 리셉터클부(22)로 형성되어 있다. 배럴부(21)는 전선(100)의 심선에 압착되는 절연 배럴(21b)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커버(10)는 제1반체(30)와, 제2반체(40)와, 이들 제1반체(30) 및 제2반체(40)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50)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커버(10)는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닫은 때에 전체적으로 상자 모양을 이룬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반체(30)는 플레이트상의 본체부(31)의 일단 측에 리셉터클 단자(20)의 리셉터클부(22)를 보호 유지하는 통상의 단자 유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50)는 단자 유지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반체(40)는 한 변이 힌지(50)에 연결된 거의 구형인 플레이트상의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에 있어서 힌지에 인접하는 변에서 시작하는 벽부(42)와 힌지에 대향하는 변에서 시작하는 벽부(43)와, 나머지 한 변을 따라 형성된 벽부(44)로 형성되어 있다. 벽부(44)에는 리셉터클 단자(20)에 접속된 전선(100)을 통하게 하기 위한 대략 U자 모양의 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44)에는 전선(100)을 지지하기 위해 요부(45)에 연속하고, 단면이 대략 U자 모양으로 벽부(44)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전선지지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커버(10)는 이들 제1반체(30), 제2반체(40)를 닫은 상태에서 리셉터클 단자(20)에 계합하는 플러그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단자유지부(32)의 개구(32 a:도 2(b) 참조)와, 전선지지부(46)와 본체부(31)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선(100)이 삽입되는 개구(46a:도 1(c) 참조)만이 개구한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단자 커버(10)에는 힌지측 록(제2 록부:60)과 보조 록(제1 록부:70)와 사이드 록(제3 록부:80)와 전선 도출부 록(제4 록부:9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측 록(60)은 제1반체(30)의 일단 측에 설치된 힌지(5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힌지측 록(60)은 제1반체(30)에 있어서 단자 유지부(3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계지철부(61)와 제2반체(40)에 있어서 벽부(42, 44)에 형성된 계지요부(62)로 이루어진다.
계지철부(61)와 계지요부(62)는 힌지(50)로부터 먼 측에 계지면(61a ,62a)을 갖고 있다. 계지면(61a)의 일단에 위치하는 계지각부(61b)는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계지면(62a)의 일단에 위치하는 계지각부(62b)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50)를 중심으로 하여 제1반체(30)와 제2반체(40)을 닫아 가면 계지각부(61b)가 계지각부(62b)를 타넘어 계지면(61a)과 계지면(62a)이 대향한 상태가 되고, 계지철부(61)와 계지요부(62)가 계합한다.
이 힌지측 록(60)은 계지 철부(61)와 계지 요부(62)가 계합하는 것으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가 파단한 경우에도 제1반체(30)에 대해 제2반체(40)가 힌지(50)측에서 열리는(도 5(a)중 화살표 A방향)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록(70)은 제1반체(30), 제2반체(40)에 있어서 힌지(50)와 대향하는 측(타단측)에 2조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록(70)은 제1반체(30)의 본체부(31)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段部:71)와 제2반체(40)의 벽부(43)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계지조(72; 爪; 손톱)로 형성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조(72)가 단부(71)에 계지됨으로써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는 힌지(50)와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잠긴다. 이 보조 록(70)에 의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를 중심으로 하여 제1반체(30)와 제2반체(40)가 열리는(도 5(b) 중 화살표 B방향) 것을 구속한다.
도 1(a),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록(80)은 제1반체(30)의 본체부 (31)와 제2반체(40)의 베이스부(41)에 있어서, 힌지(50)에 인접하는 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사이드 록(80)은 제1반체(30)에 형성된 계지철부(철부:81)와 제2반체(40)의 벽부(42)에 형성된 계지슬릿(슬릿:82)으로 이루어진다.
계지슬릿(82)은 벽부(42)에 있어서, 힌지(50)측과 보조 록(70)이 설치된 측의 중간부에 있어서 베이스부(41)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에는 힌지(50)에 인접하는 변을 따라 제2반체(40) 측에 돌출하는 벽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철부(81)는 이 벽부(8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지철부(81)는 계지슬릿(82)의 폭방향, 즉, 본체부(31)의 표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선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축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록(80)은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닫아 가면, 계지철부(81)가 계지슬릿(82) 내에 감입된다. 계지철부 (81)가 계지슬릿(82) 내에 위치함으로써 계지철부(81)의 계지슬릿(82)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힌지(50)의 반력등에 의해 제1반체(30)으로 제2반체(40)가 열리는(도 5(b) 중 화살표 B방향) 것을 구속한다. 또 힌지(50)이 파단했을 경우에 제1반체(30)에 대해서 제2반체(40)가 힌지(50)측에서 열려 버리는(도 5(a) 중 화살표 A방향) 것을 방지한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도출부 록(90)은 제1반체(30)의 본체부(31)에 있어서, 힌지(50)로부터 먼 측의 변에 설치된 계지조(91; 爪; 손톱)와, 제2반체(40)의 전선지지부(46)의 단부에 형성된 계지조(92)로 이루어진다.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도출부 록(90)은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닫아 가면, 계지조(91)와 계지조(92)가 계합한다. 전선도출부록(90)에 의해 제1반체(30)와 제2반체(40)가 열리는(도 5(b) 중 화살표B방향) 것을 저지한다. 더욱이 전선도출부 록(90)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00)이 휘어지는 등으로 인해 전선(100)측으로부터 제1반체(30)의 본체부(31)와 제2반체(40)의 전선지지부(46)가 열리는 방향(도 6(a) 중 화살표C방향), 즉, 단자커버(10)를 휘어 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 때에 제1반체(30)의 본체부(31)와 제2반체(40)의 전선지지부(46)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도 6(b)에 나타내듯이, 전선도출부록(90)은 힌지(50)가 파단한 경우에 제1반체(30)에 대해 제2반체(40)가 본체부(31)의 면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도 6(b) 중 화살표D방향)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단자커버(10)에 의하면,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에 의해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계합시킴으로써 제1반체(30)와 제2반체(40)를 닫은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의 합계 4종류의 록을 이용함으로써,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의 각각에 있어서는 계지를 위한 계지철부(61), 계지조(72), 계지철부(81), 계지조(91), 계지조(92)의 돌기치수가 작아도 된다.
따라서 계지철부(61), 계지조(72), 계지철부(81), 계지조(91), 계지조(92)를 성형하는 때의 치수 안정성, 형상 안정성이 뛰어나고 안정된 품질과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의 합계 4종류의 록을 이용함으로써, 단자커버(10)를 닫은 경우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향에 대한 구속력이 높고, 또한 힌지(50)가 파단하더라도 단자커버(10)가 열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측 록(60)은 조(爪)의 계합에 의한 구속이 아니라 계지철부(61)와 계지요부(62)의 계지면(61a, 62a)에서의 구속이다. 조(爪)의 계합에 의한 경우, 조(爪)의 변형, 꺽임, 휨 등에 의해 무심코 구속이 해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으나 면에 의한 구속은 예기치 않은 구속해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단자커버(10)의 구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세부 형상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힌지측 록(60), 보조 록(70), 사이드 록(80), 전선도출부 록(90)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속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계지부분의 구체적인 형상 등은 상기한 이외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로 든 구성을 취사 선택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단자 커버
20…리셉터클 단자
21…배럴부
22…리셉터클부
30…제1반체
31…본체부
32…단자 보호 유지부
40…제2반체
41…베이스부
46…전선 지지부
50…힌지
60…힌지측 록(제2 록부)
61…계지철부
61a…계지면
62…계지철부
62a…계지면
70…보조 록(제1 록부)
71…단부
72…계지조
80…사이드 록(제3 록부)
81…계지철부(철부)
82…계지슬릿(슬릿)
90…전선 도출부 록(제4 록부)
91, 92…계지조
100…전선

Claims (7)

  1. 전선의 단부에 압착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보호 유지하는 제1반체와;
    상기 제1반체에 감합하는 제2반체와;
    상기 제1반체 및 상기 제2반체의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제1반체 및 상기 제2반체의 타단 측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를 계합하는 제1 록부와;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를 힌지 근방에서 계합하는 제2 록부와;
    상기 제1 록부와 상기 제2 록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에 대해 상기 제2반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열리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힌지가 파단된 경우에 상기 제1반체에 대해 상기 제2반체가 상기 힌지 측에서 열리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는 제3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상기 제1반체에 보호 유지된 상태로 상기 단자 커버로부터 상기 전선이 외부로 도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구속하는 제4록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전선에 대해 상기 단자의 삽발방향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부는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의 일방에 형성된 블록형상의 계지철부와;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의 타방에 형성되어 상기 계지철부의 상기 힌지로부터 먼 측의 측면에 계합하는 계지요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부는 상기 힌지가 파단한 때에 상기 일단 측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가 이간하는 것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록부는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의 일방에 형성된 철부와;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의 타방에 형성된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부가 상기 슬릿 내에 위치하여 상기 철부의 상기 슬릿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7. 전선의 단부에 압착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보호 유지하는 제1반체와;
    상기 제1반체에 감합하는 제2반체와;
    상기 제1반체 및 상기 제2반체의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제1반체 및 상기 제2반체의 타단 측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를 계합하는 제1 록부와;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를 상기 힌지의 근방에서 계합하는 제2 록부와;
    상기 단자가 상기 제1반체에 보호 유지된 상태로 상기 단자 커버로부터 상기 전선이 외부에 도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반체에 대해 상기 제2반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열리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와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제1반체와 상기 제2반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구속하는 제4 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KR1020107025872A 2008-05-19 2009-04-23 단자 커버 KR101300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1242 2008-05-19
JP2008131242A JP5336768B2 (ja) 2008-05-19 2008-05-19 端子カバー
PCT/JP2009/001868 WO2009141962A1 (ja) 2008-05-19 2009-04-23 端子カ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232A KR20110020232A (ko) 2011-03-02
KR101300857B1 true KR101300857B1 (ko) 2013-08-27

Family

ID=4133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872A KR101300857B1 (ko) 2008-05-19 2009-04-23 단자 커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36768B2 (ko)
KR (1) KR101300857B1 (ko)
CN (1) CN102037613A (ko)
MY (1) MY152473A (ko)
WO (1) WO20091419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621A (ko) 2018-10-12 2020-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2105B2 (ja) * 2015-08-24 2019-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395A (ja) * 2006-07-07 2008-01-24 Tyco Electronics Amp Kk 防滴構造及び防滴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35B2 (ja) * 1986-03-11 1995-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極キヤツプ
JPH0724445B2 (ja) * 1989-06-23 1995-03-15 トヨクニ電線株式会社 屋内配線におけるケーブル接続方法およびケーブル接続ボックス
JP3362821B2 (ja) * 1995-09-20 2003-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3235484B2 (ja) * 1996-10-11 2001-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3389043B2 (ja) * 1997-03-26 2003-03-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端子、それを含む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6111201A (en) * 1997-05-22 2000-08-2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able splice closure
JPH11214079A (ja) * 1998-01-23 1999-08-06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及び端末処理方法
JPH11214080A (ja) * 1998-01-23 1999-08-06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JPH11219757A (ja) * 1998-01-30 1999-08-10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及び端末処理方法
JP2001076808A (ja) * 1999-09-09 2001-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143812A (ja) * 1999-11-17 2001-05-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2001257016A (ja) * 2000-03-09 2001-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ースタケーブルの誤接続防止構造
JP3906674B2 (ja) * 2001-11-16 2007-04-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保護カバー
JP2003157916A (ja) *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保護カバー
JP2003178820A (ja) *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保護カバー
JP3855833B2 (ja) * 2002-04-23 2006-12-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線接続コネクタ
KR200366946Y1 (ko) * 2003-09-18 2004-11-0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4304502B2 (ja) * 2004-12-09 2009-07-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18327B2 (ja) * 2005-05-17 2010-08-0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カバー
JP2007265908A (ja) * 2006-03-29 2007-10-11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4918410B2 (ja) * 2007-05-25 2012-04-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395A (ja) * 2006-07-07 2008-01-24 Tyco Electronics Amp Kk 防滴構造及び防滴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621A (ko) 2018-10-12 2020-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36768B2 (ja) 2013-11-06
MY152473A (en) 2014-10-15
JP2009283153A (ja) 2009-12-03
KR20110020232A (ko) 2011-03-02
WO2009141962A1 (ja) 2009-11-26
CN102037613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773B2 (en) Holding frame for a plug-type connector
US9178301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ire seal
US9118137B2 (en) Connector capable of restricting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female and male connectors
CN102751673B (zh) 电线穿过引导件的绑带单元
CN108141020B (zh) 附带保护器的线束
US9017109B2 (en) Protector-attached connector
US10461515B2 (en) Protector and wiring structure
US20180090873A1 (en) Connector
US20210016727A1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KR101300857B1 (ko) 단자 커버
JP4835512B2 (ja) 電線カバー
US11052838B2 (en) Engaging member
JP7189822B2 (ja) コネクタ構造
IL273975B1 (en) Multi-part housing for consumption meters and security device for multi-part housing
WO2017217208A9 (ja) コネクタ
JP491841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JP6831822B2 (ja) プロテクタ
EP2112715B1 (en) Lock structure and cover lock structure of terminal cap
JP2006100237A (ja) コネクタ
EP3628543B1 (en) Wire harness
TWI692156B (zh) 連接器用端子以及連接器
JP4476921B2 (ja)
EP3796477B1 (en) Electric wire cover
JP2021136807A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4254948B2 (ja) 電線の外径差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