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883B1 -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883B1
KR101298883B1 KR1020127007774A KR20127007774A KR101298883B1 KR 101298883 B1 KR101298883 B1 KR 101298883B1 KR 1020127007774 A KR1020127007774 A KR 1020127007774A KR 20127007774 A KR20127007774 A KR 20127007774A KR 101298883 B1 KR101298883 B1 KR 10129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ode
mode
work
workload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497A (ko
Inventor
유우끼 고또오
가즈히로 시바모리
히데노부 쯔까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오퍼레이터에 의한 그 상한의 설정보다도 우선하여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압 셔블은 제어 수단(10)과, 3종류의 작업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령하는 지령 스위치(13)를 갖고, 제어 수단(10)은 각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기억한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11b1)과, 기억된 목표 회전수의 상한 중 1개를 지령 스위치(13)에 의한 지령에 따라 선택하고, 그 상한 이하의 범위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과, 통신 장치(11a)를 갖는다. 기지국(2)의 서버(3)는, 작업 모드 기억 수단(3f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 중에서 1개를 입력 장치(4)에 의한 지령에 따라 선택하여 통신 장치(3g)를 사용하여 제어 수단(10)에 지령한다.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은 서버(3)로부터 작업 모드가 지령된 경우, 그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FOR WORK MACHINERY}
본 발명은 작업 기계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작업 기계를 원격 관리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는, 유압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압 펌프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이 엔진은 전자 제어되는 것이다. 그 전자 제어를 행하는 엔진 컨트롤러는, 미리 복수 종류 설정된 엔진의 목표 회전수의 상한과, 각 상한에 대응지어진 작업 모드를 기억한 기억 수단과, 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목표 회전수의 상한 중 1개를 선택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작업 기계의 운전실 내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어 작업 모드를 지령하는 작업 모드 지령 수단으로서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는, 그 스위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선택한다. 즉, 작업 기계로 행하고자 하고 있는 작업에 필요한 엔진 출력에 따라 엔진의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복수 종류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엔진 출력의 낭비를 저감시켜, 경제적으로 작업 기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작업 모드를 변경하는 것은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번잡하다. 이로 인해, 오퍼레이터는 필요한 엔진 회전수보다도 높은 상한의 목표 회전수가 선택되는 작업 모드를 엔진 컨트롤러에 지령한 채 방치하는 경향이 있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의 변경이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 작업 기계의 소유자 등의 관리자가 오퍼레이터에 의한 작업 모드의 선택을 제한하는 수단이 고안되어 있다. 이 수단은, 전술한 작업 모드 지령 수단으로서의 스위치와 함께 운전실에 설치되어 비밀 번호를 입력 가능한 조작 패널과, 이 조작 패널에 의한 비밀 번호의 입력을 계기로 작업 모드의 변경을 허가하는 상태 및 작업 모드의 변경을 제한하는 상태 중 한쪽의 상태로 컨트롤러를 설정하는 변경 관리부를 갖는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는, 유압 셔블에 구비된 제어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통신 회선을 통해 기지국의 서버에서 관리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는, 유압 셔블의 프론트 작업 장치의 어태치먼트를 교환한 경우에, 즉 표준 사이즈의 버킷을 광폭 버킷 또는 브레이커로 교환하거나, 표준 사이즈의 아암을 롱 아암으로 교환한 경우에, 제어 장치에 기억된 표준 사이즈의 버킷을 갖는 프론트 작업 장치의 제어에 대응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광폭 버킷 또는 브레이커를 갖는 프론트 작업 장치의 제어에 대응한 내용으로 재기입하거나, 표준 사이즈의 아암을 갖는 프론트 작업 장치의 제어에 대응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롱 아암을 갖는 프론트 작업 장치의 제어에 대응한 내용으로 재기입하는 것이 있다.
그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유압 셔블의 제어 장치는 통신 장치(이하 「기계측 통신 장치」라고 함)를 갖고, 기지국은, 서버와, 유압 셔블의 호기, 각 호기의 기종, 기종마다의 표준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종마다의 각종 어태치먼트 대응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기억한 기억 장치를 갖는다. 서버에 구비된 통신 장치(이하 「기지국측 통신 장치」라고 함)에 대해, 유압 셔블의 제어 장치가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교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기억 장치에 의해 기억된 정보를 사용하여, 어태치먼트의 교환에 관한 정보의 송신원인 유압 셔블의 호기의 특정하고, 특정된 유압 셔블의 교환 후의 어태치먼트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들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지국측 통신 장치에 의해 송신원인 유압 셔블의 기계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그 유압 셔블의 제어 장치에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재기입시킨다(특허 문헌 2 참조).
국제 공개 제01/073218호 팜플릿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2625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작업 기계에 있어서는, 작업 기계의 운전실 내에 있어서 작업 모드를 제한하기 위한 입력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작업 기계가 다수 있는 경우, 작업 기계가 이격된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그 입력 작업은 번잡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통신에 의해 작업 모드를 관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오퍼레이터에 의한 그 상한의 설정보다도 우선하여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와 기지국을 구비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기계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의 구동원인 엔진과, 이 엔진의 회전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령하는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엔진의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미리 기억한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과, 상기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목표 회전수의 상한 중 1개를,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한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과, 기계측 통신 장치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모드의 종류를 미리 기억한 작업 모드 기억 수단과, 상기 작업 모드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작업 모드 중에서 원하는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측 통신 장치와,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선택된 작업 모드를,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 가능한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작업 기계의 상기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상기 기지국의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작업 모드가 지령된 경우에,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1〕」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 기계측에서는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설정할 때,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을 사용하여 원하는 작업 모드를 선택하여 제어 수단에 지령한다. 이에 의해, 제어 수단의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목표 회전수의 상한 중 1개를,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선택한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다. 한편, 기지국측에서는, 작업 기계의 소유자 등의 관리자의 의뢰에 따라,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을 사용하여, 원하는 작업 모드를 선택하고, 작업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 중 1개를 선택시킨다. 그리고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선택된 작업 모드를 기지국측 통신 장치에 의해 기계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이에 의해 제어 수단에 대해 작업 모드가 지령된다. 이 결과,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기지국측의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오퍼레이터에 의한 그 상한의 설정보다도 우선하여 원격 관리할 수 있다.
〔2〕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1〕」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지령되어 있는 작업 모드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이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높은 작업 모드인 경우에,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에 지령되어 있는 작업 모드를 부적당으로 판정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2〕」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이다, 즉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는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저하시킬 수 있고, 따라서 엔진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3〕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2〕」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단위 시간당의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와,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의 하한을 기억한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과,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의 적부를 판정하는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상기 제어 수단의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적은 경우에 연료 사용량을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3〕」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은 것, 즉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인 것이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고, 또한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제어 수단에 지령되어 있는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이다, 즉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는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4〕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2〕」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유압 펌프의 부하압을 검출하는 부하압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한 동작 지령을 검출하는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상기 부하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하압과, 상기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의 각각에 의해 검출된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 상기 부하압의 정보, 상기 동작 지령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작업 부하의 하한을 기억한 작업 부하 기억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하압의 정보와 상기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부하를 연산하는 작업 부하 연산 수단과, 이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작업 부하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상기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작은 경우에 작업 부하를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작업 부하가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4〕」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작업 부하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다, 즉 작업 부하가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고, 또한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제어 수단에 지령된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이다, 즉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는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고자 하고 있는 작업 모드에 대해 과대한 작업 부하가 작업 기계에 부여되는 경우에는,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내리는 작업 모드가 지령되는 일이 없어, 작업 기계의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5〕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2〕」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유압 펌프의 부하압을 검출하는 부하압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한 동작 지령을 검출하는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상기 부하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하압과, 상기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의 각각에 의해 검출된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단위 시간당의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 상기 부하압의 정보, 상기 동작 지령의 정보 및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의 하한을 기억한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과,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의 적부를 판정하는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과,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작업 부하의 하한을 기억한 작업 부하 기억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하압의 정보와 상기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부하를 연산하는 작업 부하 연산 수단과, 이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상기 제어 수단의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적은 경우에 연료 사용량을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작업 부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상기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작은 경우에 작업 부하를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작업 부하가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5〕」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다, 즉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이다, 라고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고, 또한 작업 부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다, 즉 작업 부하가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고, 또한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이다, 즉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는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6〕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1〕」내지「〔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작업 기계의 등록 정보를 미리 기억한 등록 정보 기억 수단과, 이 등록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등록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한 작업 기계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작업 기계에 대해서만 작업 모드를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6〕」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작업 기계에 대해서만 작업 모드를 지령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작업 기계에 대해 개별로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내리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7〕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1〕」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지국의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은, 상기 작업 기계의 정지 중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7〕」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작업 기계의 작업 중에 갑자기 엔진 회전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안전하게 내릴 수 있다.
〔8〕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7〕」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이 제어 수단의 셧다운 시에 기지국의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으로부터 지령되어 있었던 작업 모드를 기억하는 지령 모드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이 기동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8〕」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제어 수단이 기동하는 타이밍에서,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제어 수단의 기동 시는, 엔진의 시동 전, 또는 엔진의 시동 직후이므로, 작업 기계는 정지 중이다. 즉, 제어 수단을, 작업 기계의 정지 중에,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9〕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7〕」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해 설치되어, 대응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와, 이들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을 차단 가능한 게이트 로크 밸브와, 이 게이트 로크 밸브의 밸브 위치가 파일럿압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인지, 파일럿압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인지를 검지하는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하였을 때에 기지국의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으로부터 지령되어 있었던 작업 모드를 기억하는 지령 모드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상기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9〕」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은,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 직후일 때이고, 이때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의 밸브 위치는 유압 펌프의 토출유를 유압 액추에이터로 유도하는 밸브 위치가 아니므로, 작업 기계는 정지 중이다. 즉, 제어 수단을, 작업 기계의 정지 중에,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설정하는 작업 모드를 작업 기계측뿐만 아니라, 기지국측으로부터도 설정 가능으로 하고, 또한 조건에 따라 기지국측으로부터의 설정을 우선하도록 하였으므로 작업 기계가 기지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나 관리해야 하는 작업 기계가 다수 있는 경우이어도 엔진의 회전수를 적절한 작업 모드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해 원격 관리되는 작업 기계인 유압 셔블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압 셔블에 구비된 제어 수단의 구성 및 기지국의 구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1)은 기지국(2)을 갖는다. 이 기지국(2)에는 서버(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버(3)는 통신 회선망(7)을 통해 작업 기계인 유압 셔블(20-1 내지 20-N)과, 이들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을 소유하는 회사(5)(작업 기계의 렌탈 회사 및 리스 회사, 건설 회사 등)의 퍼스널 컴퓨터(6)에 접속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은, 크롤러를 구동하여 주행하는 주행체(21)와, 주행체(21)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선회체(22)와, 선회체(22)의 전방부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 프론트 작업 장치(23)를 갖는다. 선회체(22)는, 프론트 작업 장치(23)의 좌측에 설치된 운전실(22a)과, 선회체(22)의 후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카운터 웨이트(22b)와, 운전실(22a)의 후방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22b) 사이에 걸쳐 형성된 기계실(22c)을 갖는다. 프론트 작업 장치(23)는 백호 타입이고, 선회체(22)의 전방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붐(23a)과, 이 붐(2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아암(23b)과, 이 아암(2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버킷(23c)을 갖는다.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은, 주행체(21), 선회체(22), 프론트 작업 장치(23)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들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구체적으로는 주행체(21)의 좌우의 크롤러를 각각 구동하는 좌측 주행 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우측 주행 모터(도시하지 않음), 선회체(22)를 구동하는 선회 모터(도시하지 않음), 붐(23a)을 구동하는 붐 실린더(31), 아암(23b)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32), 버킷(23c)을 구동하는 버킷 실린더(33)이다. 이들 유압 액추에이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메인 펌프(40)(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의 토출유가 공급된다. 이 메인 펌프(40)는 엔진(50)에 의해 구동된다.
메인 펌프(40)와 좌측 주행 모터 사이, 메인 펌프(40)와 우측 주행 모터 사이, 메인 펌프(40)와 선회 모터 사이, 메인 펌프(40)와 붐 실린더(23a) 사이, 메인 펌프(40)와 아암 실린더(23b) 사이, 메인 펌프(40)와 버킷 실린더(23c) 사이의 각각에는 그들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어 밸브는, 각각 좌측 주행 모터, 우측 주행 모터, 선회 모터, 붐 실린더(23a), 아암 실린더(23b) 및 버킷 실린더(23)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의 방향과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3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그들 제어 밸브 중 1개를 제어 밸브(41)로서 그린 것이다.
엔진(50)은 메인 펌프(40)와 함께 파일럿 펌프(42)(고정 용량형 유압 펌프)도 구동하고 있다. 운전실(22a) 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파일럿 펌프(4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로부터 전술한 복수의 제어 밸브의 각각의 조작압(파일럿압)을 생성하는 복수의 조작 레버 장치, 즉 좌측 주행 조작 레버 장치, 우측 주행 조작 레버 장치, 선회ㆍ아암 조작 레버 장치, 붐ㆍ버킷 조작 레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그들 조작 레버 장치 중, 제어 밸브(41)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 장치를 조작 레버 장치(43)로서 그리는 것으로 한다. 이 조작 레버 장치(43)로부터 제어 밸브(41)의 유압 파일럿부(41a, 41b)로 파일럿압을 유도하는 파일럿 관로(44, 45)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의 동작 지령으로서의 파일럿압을 검출하고, 그 파일럿압에 상응하는 파일럿압 신호(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지령 검출 수단으로서의 파일럿압 센서(61, 62)(압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1개의 유압 파일럿부에 대해 1개의 파일럿압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파일럿 펌프(42)로부터 조작 레버 장치(43)로 압유를 유도하는 관로(46)에는, 제어 밸브(41)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을 일괄하여 차단 가능한 게이트 로크 밸브(47)와, 이 게이트 로크 밸브(47)의 밸브 위치가 파일럿압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인지, 파일럿압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인지를 검지하는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으로서의 게이트 로크 스위치(63)(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로크 스위치(63)는 폐쇄 위치에서 오프하고 개방 위치에서 온하여 온 신호(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로크 밸브(47)의 밸브 위치는, 운전실(22a) 내에 설치된 게이트 로크 레버(48)의 자세에 연동하여,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메인 펌프(40)에는, 이 메인 펌프(40)의 부하압을 검출하여, 그 부하압에 상응하는 부하압 신호(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부하압 센서(60)(압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22a) 내에는 EC 다이얼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EC 다이얼 장치(14)는 다이얼의 회전 각도를, 미리 설정된 엔진의 목표 회전수의 범위 내의 값에 상응하는 회전수 지령 신호(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EC 다이얼 장치(14)에 의해 지령 가능한 목표 회전수의 상한은 예를 들어 1800rpm이다.
운전실(22a) 내에는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 예를 들어 3종류의 작업 모드(이코노미 모드, 통상 모드, 파워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령하는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으로서의 지령 스위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령 스위치(13)는, 셀프 리턴 타입의 푸시 스위치이고, 푸시 조작되어 온하면 작업 모드 지령 신호(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파일럿압 센서(61, 62)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압 신호, 게이트 로크 스위치(63)로부터 출력되는 온 신호, 부하압 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부하압 신호 및 EC 다이얼 장치(14)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 지령 신호, 지령 스위치(13)로부터 출력되는 작업 모드 지령 신호는 모두 메인 컨트롤러(11)에 입력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컨트롤러(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과는 별도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보조 기억 장치(11b) 등을 구비한 것으로, ROM 또는 보조 기억 장치(11b)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CPU가 판독하여, 엔진(50)의 목표 회전수의 연산 및 지령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엔진(50)에는, 엔진 회전수의 전자 제어를 행하는 엔진 컨트롤러(12)가 부설되어 있다. 메인 컨트롤러(11)는 목표 회전수를 산출하여, 엔진 컨트롤러(12)에 부여한다. 엔진 컨트롤러(12)는, CPU,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ROM,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 ROM과는 별도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보조 기억 장치 등을 구비한 것으로, ROM 또는 보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CPU가 판독하여, 메인 컨트롤러(11)로부터 지령되는 목표 회전수에 따라 엔진(50)의 회전수의 제어를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메인 컨트롤러(11)와 엔진 컨트롤러(12)는, 엔진(5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0)을 구성하고 있다.
기지국(2) 및 제어 수단(10)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전술한 3종류의 작업 모드, 즉 에코 모드, 통상 모드, 파워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엔진(50)의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미리 기억한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11b1)을 갖는다. 이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11b1)은 보조 기억 장치(11b)를 이용하여 설치된 것이다. 에코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은, 땅고르기 등의 경부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예를 들어 1650rpm이다. 통상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은, 덤프 적층 등으로 행하는 통상의 굴삭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에코 모드보다도 높은 회전수, 예를 들어 1800rpm이다. 파워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은, 땅일구기나 깊이 파기 등의 중부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통상 모드보다도 높은 회전수, 예를 들어 2000rmp이다.
메인 컨트롤러(11)는,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을 더 갖는다. 이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은,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11b1)에 의해 기억된 목표 회전수의 상한 중 1개를, 지령 스위치(13)(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한 상한 이하의 범위에서, 부하압 센서(60)(부하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하압과, 파일럿 압력 센서(61, 62)(동작 지령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압(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를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은, EC 다이얼 장치(14)에 의해 지령된 목표 회전수에 관계없이,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목표 회전수의 상한으로 하여 목표 회전수의 연산을 행한다. 즉, 목표 회전수의 상한으로 서 1650rpm이 대응지어진 에코 모드로 메인 컨트롤러(11)가 설정된 경우, EC 다이얼 장치(14)가 목표 회전수로서 1800rpm을 지령하고 있어도,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에 의해 산출되는 목표 회전수의 상한은 1650rpm으로 된다. 또한, 목표 회전수의 상한으로서 2000rpm이 대응지어진 파워 모드로 메인 컨트롤러(11)가 설정된 경우, EC 다이얼 장치(14)가 목표 회전수로서 1800rpm을 지령하고 있어도,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에 의해 산출되는 목표 회전수의 상한은 2000rpm으로 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기본적으로는 기동 시에, 통상 모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지령 스위치(13)의 작업 모드 지령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11)에 입력되면, 메인 컨트롤러(11)는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다시 지령 스위치(13)의 작업 모드 지령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11)에 입력되면, 에코 모드로 이행하고, 또다시 지령 스위치(13)의 작업 모드 지령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11)에 입력되면,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즉, 지령 스위치(13)의 작업 모드 지령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11)에 입력되는 것을 계기로,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규정하는 작업 모드가, 통상 모드→파워 모드→에코 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11)의 기동 시에 통상 모드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통신 회선망(7)을 통해 외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계측 통신 장치(11a)를 더 갖는다. 이 기계측 통신 장치(11a)는, 무선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기지국(2)의 서버(3)는, CPU,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ROM,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 ROM과는 별도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보조 기억 장치 등을 구비한 것으로, ROM 또는 보조 기억 장치(3f)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CPU가 판독하여,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의 각각의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의 관리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서버(3)는,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의 각각의 등록 정보, 즉 호기(1호 내지 N호) 및 각 호기의 기종을 미리 기억한 등록 정보 기억 수단(3f1)과, 3종의 작업 모드(에코 모드, 통상 모드, 파워 모드)와, 각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미리 기억한 작업 모드 기억 수단(3f2)과, 3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의 하한을 기억한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3f3)과, 3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작업 부하의 하한을 기억한 작업 부하 기억 수단(3f4)을 더 갖는다. 이들 기억 수단(3f1 내지 3f4)은 모두, 보조 기억 장치(3f)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사용량의 하한 및 작업 부하의 하한은, 기종마다 그 기종의 스펙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서버(3)는, 기계측 통신 장치(11a)를 포함하는 외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측 통신 장치(3g)를 더 갖는다. 이 기지국측 통신 장치(3g)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회선망(7)을 통해 유압 셔블(20-1 내지 20-N) 및 이들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을 소유하는 회사(5)의 퍼스널 컴퓨터(6) 등에 접속 가능하다. 서버(3)는, 기지국측 통신 장치(3g)를 사용한 제어 수단(10)[메인 컨트롤러(11)]과의 사이의 통신에 의해, 작업 모드 기억 수단(3f2)에 기억된 작업 모드의 종류 중에서 선택한 작업 모드를,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지령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이다.
기지국(2)은, 작업 모드 기억 수단(3f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의 종류 중에서 선택시키는 작업 모드를, 서버(3)에 대해 지령하는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으로서의 입력 장치(4)(마우스, 키보드)를 더 갖는다. 기지국(2)에 대해 회사(5)로부터 작업 모드를 어느 작업 모드로 지정하도록 의뢰가 있었던 경우, 기지국(2)의 스탭이 입력 장치(4)를 조작하여, 지정된 작업 모드를 서버(3)가 선택하도록 설정한다. 서버(3)는 선택한 작업 모드를, 기지국측 통신 장치(3g)에 의해 기계측 통신 장치(11a)에 대해 소정 주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작업 모드가 지정되는 케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20-1 내지 20-N) 중 수기(數機)에 대해서는, 그날에 경부하 작업만을 행할 예정이므로, 회사(5)로부터 기지국(2)에 대해 에코 모드가 지정된다고 하는 케이스가 있다. 또한, 선택 가능한 작업 모드를 통상 모드와 에코 모드로 제한하여, 즉 중부하 작업을 행할 수 없도록 하여 유압 셔블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케이스도 있다.
메인 컨트롤러(11)의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은, 서버(3)(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작업 모드가 지령된 경우에, 서버(3)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메인 컨트롤러(11)는, 지령 스위치(13)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를, 기계측 통신 장치(11a)에 의해 기지국측 통신 장치(3g)로 소정 주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버(3)는, 기지국측 통신 장치(3g)에 의해 수신한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을 더 갖는다. 이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은, 입력 장치(4)(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높은 작업 모드인 경우에,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를 부적당으로 한다.
제어 수단(10)의 엔진 컨트롤러(12)는, 단위 시간당의 엔진의 연료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을 갖는다. 이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은, 산출한 연료 사용량의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1)에 부여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그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의 정보를, 기계측 통신 장치(11a)에 의해 기지국측 통신 장치(3g)로 소정 주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버(3)는, 엔진의 연료 사용량의 적부를 판정하는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을 더 갖는다. 이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은,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3f3)에 의해 기억된 연료 사용량의 하한 중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엔진 컨트롤러(12)의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적은 경우에 연료 사용량을 부적당으로 한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20-1)의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의 정보가 통상 모드이었던 경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은, 유압 셔블(20-1)의 기종에 대응하는 통상 모드에서의 연료 사용량의 하한을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3f3)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연료 사용량의 하한과,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을 대비한다. 대비의 결과,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판독한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낮은 경우, 그 산출된 연료 사용량은 통상 모드에서의 연료 사용량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통상 모드보다도 낮은 에코 모드에서의 연료 사용량의 범위이면 된다고 간주할 수 있고, 통상 모드에서의 연료 사용량은 아니므로, 부적당으로 판정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부하압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부하압의 정보, 파일럿압 센서(61, 62)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압, 즉 조작 레버 장치(43)에 의한 유압 셔블(20)에 대한 동작 지령의 정보를, 기계측 통신 장치(11a)에 의해 기지국측 통신 장치(3g)로 소정 주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버(3)는, 메인 컨트롤러(11)로부터의 부하압의 정보와 동작 지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부하를 연산하는 작업 부하 연산 수단(3c)과, 이 작업 부하 연산 수단(3c)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을 더 갖는다.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은, 작업 부하 기억 수단(3f4)에 의해 기억된 작업 부하의 하한 중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작업 부하 연산 수단(3c)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작은 경우에 작업 부하를 부적당으로 한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20-1)의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의 정보가 통상 모드이었던 경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은, 유압 셔블(20-1)의 기종에 대응하는 통상 모드에서의 작업 부하의 하한을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3f3)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작업 부하의 하한과, 작업 부하 연산 수단(3c)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를 대비한다. 대비의 결과, 산출된 작업 부하가, 판독한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낮은 경우, 그 산출된 작업 부하는 에코 모드에서의 작업 부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되고, 통상 모드에서의 작업 부하가 아니므로, 부적당으로 판정된다.
서버(3)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 즉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다고 판정되고,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에 의해 엔진(50)의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 즉 엔진(50)의 연료 사용량이 적다고 판정되고, 또한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에 의해 작업 부하가 부적당, 즉 작업 부하가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버(3)는, 등록 정보 기억 수단(3f1)에 의해 기억된 등록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한 작업 기계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3e)을 더 갖는다. 서버(3)는, 검색 수단(3e)에 의해 검색된 작업 기계에 대해서만 작업 모드를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검색 조건은, 스탭이 입력 장치(4)를 조작함으로써 서버(3)에 입력된다.
메인 컨트롤러(11)는, 서버(3)로부터 지령되는 작업 모드를 기억하는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을 더 갖는다. 이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은 보조 기억 장치(11b)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메인 컨트롤러(11)의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기억되는 작업 모드는, 서버(3)로부터 새롭게 작업 모드가 지령될 때마다, 순차 새로운 작업 모드로 재기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메인 컨트롤러(11)는, 게이트 로크 스위치(6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11)는, 운전실(22a) 내에 설치된 모니터(70)에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70)는, 메인 컨트롤러(1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11)가 3종류의 작업 모드 중 어느 작업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표시한다. 지령 스위치(13)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로 메인 컨트롤러(11)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니터(70)에는 그 작업 모드와, 그 작업 모드가 지령 스위치(13)의 지령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것인 취지를 표시한다. 또한, 서버(3)로부터 지령된 작업 모드로 메인 컨트롤러(11)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모니터(70)는 그 설정된 작업 모드와, 그 작업 모드가 서버(3)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것인 취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격 관리 시스템(1)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20-1 내지 20-N) 중, 유압 셔블(20-1, 20-2)을 가동시킨다고 하자.
유압 셔블(20-1)의 오퍼레이터는 키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엔진(50)을 시동시킨 후, 온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11) 및 엔진 컨트롤러(12)는 기동한다. 기동 시, 메인 컨트롤러(11)는 통상 모드로 설정된다. 유압 셔블(20-1)의 오퍼레이터는, 메인 컨트롤러(11)의 설정을 통상 모드로 방치하고, 유압 셔블(20-1)에 통상의 굴삭 작업을 행하게 한다.
유압 셔블(20-2)의 오퍼레이터도 유압 셔블(20-1)의 오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하여, 엔진(50)을 시동시키고, 또한 메인 컨트롤러(11) 및 엔진 컨트롤러(12)를 기동시킨다. 유압 셔블(20-2)의 오퍼레이터는, 메인 컨트롤러(11)의 설정을 통상 모드로 방치하고, 유압 셔블(20-2)에 경부하 작업을 행하게 한다.
유압 셔블(20-1, 20-2)의 작업 모드를 에코 모드로 설정하는 지시가, 회사(5)의 퍼스널 컴퓨터(6)로부터 기지국(2)의 서버(3)에 대해 통신 회선망(7)을 통해 송신된다. 그 지시를 받고, 기지국(2)의 스탭은, 입력 장치(4)를 조작하여 검색 조건을 입력하고, 서버(3)의 검색 수단(3e)을 작동시켜, 등록 정보 기억 수단(3f1)에 기억된 유압 셔블(20-1, 20-2)의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작업 모드 기억 수단(3f2)에 의해 기억된 3종류의 작업 모드 중 에코 모드를 서버(3)에 선택시키고, 유압 셔블(20-1, 20-2)에 대해 그 에코 모드를 지령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회사(5)의 퍼스널 컴퓨터(6)에서 서버(3)를 직접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지국측 통신 장치(3g)에 대해서는, 유압 셔블(20-1, 20-2)의 각각의 기계측 통신 장치(11a)로부터는, 메인 컨트롤러(11)가 설정하고 있는 작업 모드의 정보, 메인 펌프(40)의 부하압의 정보 및 조작 레버 장치(43)로부터 출력된 동작 지령(파일럿압)의 정보 및 엔진 컨트롤러(12)의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에서 연산된 연료 사용량의 정보가 소정 주기로 송신된다. 서버(3)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에 의해, 유압 셔블(20-1)의 작업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작업 모드의 적부를 판정한다. 또한, 서버(3)는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에 의해, 유압 셔블(20-1)의 연료 사용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연료 사용량의 적부를 판정한다. 이들과 마찬가지로, 서버(3)는 유압 셔블(20-2)의 작업 모드 및 연료 사용량의 각각의 적부도 판정한다.
또한, 서버(3)는 작업 부하 연산 수단(3c)에 의해, 유압 셔블(20-1)에 있어서의 부하압의 정보와 동작 지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20-1)의 작업 부하를 산출하고, 유압 셔블(20-2)에 있어서의 부하압의 정보와 동작 지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20-2)의 작업 부하를 산출한다. 그리고 서버(3)는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에 의해, 유압 셔블(20-1, 20-2)의 각각의 작업 부하의 적부를 판정한다.
이번에, 서버(3)는 유압 셔블(20-1, 20-2) 중 어느 쪽에 대해서도 에코 모드로 설정하도록 지령되어 있지만, 유압 셔블(20-1, 20-2)은 모두 통상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20-1, 20-2)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에 의한 판정 결과는 부적당이다.
또한, 유압 셔블(20-1)은 통상 모드에서 통상의 굴삭 작업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 및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의 각각에 의한 판정 결과는 모두 적당으로 된다.
한편, 유압 셔블(20-2)은 통상 모드에서 경부하 작업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 및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의 각각의 판정 결과는 모두 부적당으로 된다.
서버(3)는, 유압 셔블(20-1)에 대해서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에 의한 판정 결과가 부적당이지만,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 및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의 각각의 판정 결과는 모두 적당이므로, 유압 셔블(20-1)의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에코 모드로의 전환을 지령하지 않는다.
한편, 서버(3)는, 유압 셔블(20-2)에 대해서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 및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의 각각의 판정 결과는 모두 부적당이므로, 유압 셔블(20-2)의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기지국측 통신 장치(3g)에 의해 에코 모드로의 전환을 지령한다.
유압 셔블(20-2)의 메인 컨트롤러(11)는, 유압 셔블(20-2)의 동작 중, 기계측 통신 장치(11a)에 의해 에코 모드로의 전환의 지령을 수신하면, 그 지령을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한다. 오퍼레이터가 휴식을 위해 유압 셔블(20-2)을 정지시키고, 게이트 로크 레버(48)를 조작하여 게이트 로크 밸브(47)의 밸브 위치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한다. 이 밸브 위치의 변화에 수반하여 게이트 로크 스위치(63)는 오프한다.
휴식의 종료 후,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20-2)의 게이트 로크 레버(48)를 조작하여 게이트 로크 밸브(47)의 밸브 위치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한다. 이 밸브 위치의 변화에 수반하여, 게이트 로크 스위치(63)는 온한다. 메인 컨트롤러(11)의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11c)은, 게이트 로크 스위치(63)로부터의 온 신호를 입력한 타이밍에서, 휴식 전의 유압 셔블(20-2)의 동작 중에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 즉 에코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20-2)의 엔진 회전수는,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통상 모드의 경우보다도 내려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원격 관리 시스템(1)에 의하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격 관리 시스템(1)에 따르면, 기지국(2)의 서버(3)로부터 메인 컨트롤러(11)로 통신에 의해 작업 모드를 지령할 수 있으므로, 유압 셔블(20-1 내지 20-N)의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오퍼레이터에 의한 그 상한의 설정보다도 우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2)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압 셔블이 다수 있는 경우나 관리자가 있는 장소가 작업 기계로부터 이격된 장소인 경우이어도 엔진 회전수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기지국(2)의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이다, 즉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는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3a)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서버(3)는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저하시킬 수 있고,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원격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3f3)에 의해 기억된 연료 사용량의 하한 중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12b)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다, 즉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이다, 라고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3b)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서버(3)는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원격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작업 부하 기억 수단(3f4)에 의해 기억된 작업 부하의 하한 중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작업 부하 연산 수단(3c)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다, 즉 작업 부하가 부적당이다, 라고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3c)에 의해 판정되고, 또한 기지국(2)의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메인 컨트롤러(11)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경우에, 입력 장치(4)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지령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2)에서 메인 컨트롤러(11)에 대해 지령하고자 하고 있는 작업 모드에 대해 과대한 작업 부하가 유압 셔블에 부여되는 경우에는,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내리는 작업 모드가 지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내렸기 때문에 유압 셔블의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서버(3)는 검색 수단(3e)에 의해 검색된 특정한 유압 셔블에 대해서만 작업 모드를 지령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유압 셔블(20-1 내지 20-N)에 대해 개별로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내릴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검색 수단(3e)에 의한 검색은 지령 스위치(13)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작업 모드, 연료 사용량, 부하압 등의 조건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원격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10)[메인 컨트롤러(11)]은, 게이트 로크 스위치(63)(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한다. 게이트 로크 스위치(6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를 검지한 타이밍은, 제어 밸브(41)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 직후이고, 제어 밸브(41)의 밸브 위치는 메인 펌프의 토출유를 유압 액추에이터로 유도하는 밸브 위치는 아니므로, 유압 셔블은 정지 중이다. 즉, 제어 수단(10)은 유압 셔블의 정지 중에,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의 작업 중에 갑자기 엔진 회전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안전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작업 모드, 연료 사용량, 작업 부하의 모두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작업 모드 관리 수단[서버(3)]으로부터 제어 수단[메인 컨트롤러(11)]으로 작업 모드를 지령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 모드, 연료 사용량 및 작업 부하 중 어느 1개 또는 2개가 부적당인 경우에, 작업 모드 관리 수단으로부터 제어 수단으로 작업 모드를 지령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게이트 로크 스위치(6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하였을 때에, 서버(3)로부터 지령되어 있었던 작업 모드를 기억하는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을 갖고, 제어 수단(10)은, 게이트 로크 스위치(6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령 모드 기억 수단 및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그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은 제어 수단(10)[메인 컨트롤러(11)]의 셧다운 시에 서버(3)로부터 지령되어 있었던 작업 모드를 기억하고, 제어 수단(10)은 기동의 타이밍에서,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메인 컨트롤러(11)의 기동 시는, 엔진(50)의 시동 전, 또는 엔진(50)의 시동 직후이므로, 유압 셔블은 정지 중이다. 즉, 제어 수단(10)은, 유압 셔블의 정지 중에, 지령 모드 기억 수단(11b2)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압 셔블의 작업 중에 갑자기 엔진 회전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엔진 회전수의 상한을 안전하게 내릴 수 있다.
1 : 원격 관리 시스템
2 : 기지국
3 : 서버(작업 모드 관리 수단)
3a :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
3b :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
3c : 작업 부하 연산 수단
3d :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
3e : 검색 수단
3f : 보조 기억 장치
3f1 : 등록 정보 기억 수단
3f2 : 작업 모드 기억 수단
3f3 :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
3f4 : 작업 부하 기억 수단
3g : 기지국측 통신 장치
4 : 입력 장치(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
10 : 제어 수단
11 : 메인 컨트롤러
11a : 기계측 통신 장치
11b : 보조 기억 장치
11d1 :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
11b2 : 지령 모드 기억 수단
11c :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
12 : 엔진 컨트롤러
12b :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
13 : 지령 스위치(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
14 : EC 다이얼 장치
40 : 메인 펌프(유압 펌프)
50 : 엔진
47 : 게이트 로크 밸브
60 : 부하압 센서(부하압 검출 수단)
61, 62 : 파일럿압 센서(동작 지령 검출 수단)
63 : 게이트 로크 스위치(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

Claims (9)

  1. 작업 기계와 기지국을 구비한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의 구동원인 엔진과, 이 엔진의 회전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령하는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엔진의 목표 회전수의 상한을 미리 기억한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과, 상기 목표 회전수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목표 회전수의 상한 중 1개를,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한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과, 기계측 통신 장치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모드의 종류를 미리 기억한 작업 모드 기억 수단과, 상기 작업 모드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작업 모드 중에서 원하는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측 통신 장치와,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선택된 작업 모드를,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 가능한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작업 기계의 상기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상기 기지국의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작업 모드가 지령된 경우에,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에 기초하여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지령되어 있는 작업 모드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이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보다도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 쪽이 목표 회전수의 상한이 높은 작업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높은 작업 모드인 경우에,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에 지령되어 있는 작업 모드를 부적당으로 판정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단위 시간당의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와,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의 하한을 기억한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과,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의 적부를 판정하는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상기 제어 수단의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적은 경우에 연료 사용량을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유압 펌프의 부하압을 검출하는 부하압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한 동작 지령을 검출하는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상기 부하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하압과, 상기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의 각각에 의해 검출된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 상기 부하압의 정보, 상기 동작 지령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작업 부하의 하한을 기억한 작업 부하 기억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하압의 정보와 상기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부하를 연산하는 작업 부하 연산 수단과, 이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작업 부하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상기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작은 경우에 작업 부하를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작업 부하가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유압 펌프의 부하압을 검출하는 부하압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한 동작 지령을 검출하는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목표 회전수 연산 수단은, 상기 부하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부하압과, 상기 복수의 동작 지령 검출 수단의 각각에 의해 검출된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모드에 대응지어진 목표 회전수의 상한 이하의 목표 회전수를 산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단위 시간당의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계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의 정보, 상기 부하압의 정보, 상기 동작 지령의 정보 및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의 정보를 상기 기계측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지국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당의 연료 사용량의 하한을 기억한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과,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의 적부를 판정하는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과, 복수 종류의 작업 모드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미리 설정된 작업 부하의 하한을 기억한 작업 부하 기억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부하압의 정보와 상기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작업 부하를 연산하는 작업 부하 연산 수단과, 이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의 적부를 판정하는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연료 사용량의 하한보다도, 상기 제어 수단의 상기 연료 사용량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연료 사용량이 적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적은 경우에 연료 사용량을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은, 상기 작업 부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에 대응하는 작업 부하의 하한보다도, 상기 작업 부하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작업 부하가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작은 경우에 작업 부하를 부적당으로 하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연료 사용량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의 연료 사용량이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부하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작업 부하가 부적당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작업 모드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작업 모드가 부적당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측 작업 모드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를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작업 기계의 등록 정보를 미리 기억한 등록 정보 기억 수단과, 이 등록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등록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한 작업 기계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작업 기계에 대해서만 작업 모드를 지령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에 의해 지령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은, 상기 작업 기계의 정지 중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이 제어 수단의 셧다운 시에 상기 기지국의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으로부터 지령되어 있었던 작업 모드를 기억하는 지령 모드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이 기동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는,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해 설치되어, 대응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와, 이들 유압 파일럿식 제어 밸브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을 차단 가능한 게이트 로크 밸브와, 이 게이트 로크 밸브의 밸브 위치가 파일럿압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인지, 파일럿압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인지를 검지하는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하였을 때에 상기 작업 모드 관리 수단으로부터 지령되어 있었던 작업 모드를 기억하는 지령 모드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게이트 로크 검지 수단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밸브 위치의 변화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상기 지령 모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작업 모드로 이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127007774A 2009-08-27 2010-08-26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298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7197 2009-08-27
JP2009197197A JP5208074B2 (ja) 2009-08-27 2009-08-27 作業機械の遠隔管理システム
PCT/JP2010/064485 WO2011024897A1 (ja) 2009-08-27 2010-08-26 作業機械の遠隔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497A KR20120063497A (ko) 2012-06-15
KR101298883B1 true KR101298883B1 (ko) 2013-08-21

Family

ID=4362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774A KR101298883B1 (ko) 2009-08-27 2010-08-26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09347B2 (ko)
EP (1) EP2472010A4 (ko)
JP (1) JP5208074B2 (ko)
KR (1) KR101298883B1 (ko)
CN (1) CN102575454B (ko)
WO (1) WO2011024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4872B1 (de) * 2011-04-18 2015-07-22 Joseph Vögele AG Strassenfertiger zum Einbauen eines Strassenbelags
JP2013186740A (ja) * 2012-03-08 2013-09-19 Fanuc Ltd 機械の管理システム
US9286264B2 (en) * 2012-04-30 2016-03-15 Arctic Cat Inc. Vehicle speed limiter via gauge interface
US8818570B2 (en) * 2012-04-30 2014-08-26 Arctic Cat Inc. Electronic control unit limiter with coded release
EP2672008B1 (de) * 2012-06-05 2018-01-10 Joseph Vögele AG Straßenfertiger und Verfahren zum Einbauen von Mischgut mit einem Straßenfertiger
CN102817393B (zh) * 2012-09-07 2015-06-17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挖掘机参数修调装置及修调方法
CN103294026A (zh) * 2012-10-24 2013-09-11 山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计数的土方机械施工现场监控系统及方法
JP6059027B2 (ja) * 2013-01-21 2017-01-11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と農作業管理プログラム
US9110468B2 (en) * 2013-01-31 2015-08-18 Caterpillar Inc. Universal remote operator station
WO2014159117A2 (en) * 2013-03-14 2014-10-02 Arctic Cat Inc. Vehicle speed limiter via gauge interface
CN103217948B (zh) * 2013-03-15 2015-01-28 中汽商用汽车有限公司(杭州) 电缆敷设远程控制系统
JP6073170B2 (ja) * 2013-03-27 2017-02-01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KR102650521B1 (ko) * 2015-03-16 2024-03-25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곡립 관리 시스템 및 콤바인
JP6495729B2 (ja) * 2015-04-28 2019-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装置
CN108138459B (zh) 2015-09-16 2021-05-11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
KR101953051B1 (ko) * 2016-03-31 2019-02-27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의 출력 특성 변경 시스템
KR102494968B1 (ko) * 2017-01-17 2023-02-06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 기계
KR101994132B1 (ko) * 2017-03-29 2019-06-2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CN111247026A (zh) * 2018-09-28 2020-06-05 株式会社日立建机Tierra 电动式工程机械
JP7247769B2 (ja) * 2019-06-10 2023-03-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
CN110397108A (zh) * 2019-06-28 2019-11-01 三一重机有限公司 挖掘机控制方法、装置、服务器、车载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218A1 (en)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ystem for changing function of work machine and base station
JP2005083457A (ja) 2003-09-08 2005-03-31 Komatsu Ltd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の駆動制御装置
JP2006226255A (ja) 2005-02-21 2006-08-3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2904A3 (en) * 1998-08-31 2006-04-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US6493616B1 (en) * 1999-08-13 2002-12-10 Clark Equipment Company Diagnostic and control unit for power machine
EP1304417A4 (en) * 2000-07-21 2009-09-0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US7092803B2 (en) * 2000-08-18 2006-08-15 Idsc Holdings, Llc Remote monitoring, configuring, programming and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and vehicle components
US6427107B1 (en) * 2001-06-28 2002-07-30 Caterpillar Inc.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062368B2 (en) * 2002-06-11 2006-06-13 Cnh America Llc Combine having a system estimator to automatically estimate and dynamically change a target control parameter in a control algorithm
CN100393949C (zh) * 2002-08-26 2008-06-11 日立建机株式会社 施工机械的信号处理装置
JP4026495B2 (ja) * 2002-12-19 2007-12-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サーバの切り換え制御装置
US7246001B2 (en) * 2003-12-16 2007-07-17 Caterpillar Inc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ound speed of a work machine
US7113839B2 (en) * 2004-05-27 2006-09-26 Caterpillar Inc. System for providing indexed machine utilization metrics
US7454273B2 (en) * 2004-08-20 2008-11-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Informed memory access for vehicle electronic modules
WO2008145157A1 (en) * 2007-05-30 2008-12-04 Trimble Ab Radio network list for vehicle control and real time position data
CN201198575Y (zh) * 2007-11-16 2009-02-25 中冶宝钢技术服务有限公司 遥控装载机
US8326954B2 (en) * 2008-07-23 2012-12-04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nfigurations in a controller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218A1 (en)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ystem for changing function of work machine and base station
JP2005083457A (ja) 2003-09-08 2005-03-31 Komatsu Ltd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の駆動制御装置
JP2006226255A (ja) 2005-02-21 2006-08-3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010A1 (en) 2012-07-04
EP2472010A4 (en) 2017-01-04
WO2011024897A1 (ja) 2011-03-03
US20120197465A1 (en) 2012-08-02
US9109347B2 (en) 2015-08-18
CN102575454A (zh) 2012-07-11
KR20120063497A (ko) 2012-06-15
CN102575454B (zh) 2014-10-15
JP2011047214A (ja) 2011-03-10
JP5208074B2 (ja)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883B1 (ko)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EP3604689A1 (en) Shovel, and management device and support device for shovels
CN107614801B (zh) 工程机械的输出特性变更系统
KR102496324B1 (ko) 배터리식 작업 기계
KR20200130331A (ko) 쇼벨
EP3556945B1 (en) Construction machine
CN113167057A (zh) 挖土机、挖土机的控制装置
KR101994132B1 (ko)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CN104781476A (zh) 用于控制施工机械的回转的设备和方法
JP6781749B2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のシステム
JP6418081B2 (ja) 建設機械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グラム書き換えシステム
WO2021241727A1 (ja) ショベル
JP4298674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018135704A (ja) 油圧ショベル
JP2001248187A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JP2021195733A (ja) 旋回式建設機械
WO2022210989A1 (ja) ショベル
JPH09268603A (ja) 建設機械の遠隔操作装置
JP2020122270A (ja) 建設機械
WO2023190031A1 (ja) ショベル、ショベルの制御システム、及び、ショベルの遠隔操作システム
CN211774103U (zh) 自定义动作优先控制液压系统和挖掘机液压控制系统
JP2022157410A (ja) 作業機械
JP2021073401A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システム
JP2014015762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