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917B1 -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 Google Patents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917B1
KR101294917B1 KR1020120136934A KR20120136934A KR101294917B1 KR 101294917 B1 KR101294917 B1 KR 101294917B1 KR 1020120136934 A KR1020120136934 A KR 1020120136934A KR 20120136934 A KR20120136934 A KR 20120136934A KR 101294917 B1 KR101294917 B1 KR 10129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ant
trench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726A (ko
Inventor
김수구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3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8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characterised by the angle between the ion beam and the crystal planes or the main crystal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01L29/063Reduced surface field [RESURF] pn-junction structures
    • H01L29/0634Multiple reduced surface field (multi-RESURF) structures, e.g. double RESURF, charge compensation, cool, superjunction (SJ), 3D-RESURF, composite buffer (CB)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6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 e.g. thickness or uniformity
    • H01L29/42368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 e.g. thickness or uniformity the thickness being non-uni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27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sourc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3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gate electrode, e.g. to form a trench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66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with at least part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having contact below the semiconductor surfac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groove or with inclusions of conductor inside the semi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PN 초접합 구조로 된 모스펫(MOSFET) 구조를 결합시킨 반도체 장치들 및 이러한 장치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모스펫 구조는 게이트를 포함한 트렌치 구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트렌치의 상하 내부에 있는 두꺼운 유전층들 사이에 끼여있다. 상기 초접합 구조의 PN 접합은 상기 트렌치의 측벽 내부에서의 n-타입 도펀트(dopant) 영역들과 N 채널 모스펫에 대한 p-타입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 간에 형성된다. 상기 도펀트 타입들은 P 채널 모스펫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트렌치 모스펫의 게이트는 주입층들을 사용하여 상기 초접합 구조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들은 실드 기반(shield-based) 트렌치 모스펫 장치들과 비교하여 더 낮은 캐패시턴스와 더 높은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가질 수 있고, 중간 전압 범위의 장치들을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SEMICONDUCTOR DEVICES CONTAINING TRENCH MOSFET WITH SUPERJUNCTIONS}
본 출원은 보통 반도체 장치들 및 이러한 장치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PN 초접합 구조와 모스펫(MOSFET)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결합시킨 반도체 장치들 및 이러한 장치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집적 회로들(ICs) 또는 개별 소자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은 다양한 분야의 전자 기기에 이용된다. IC 장치들 또는 칩들 또는 개별 소자들은 반도체 물질의 기판의 표면에 제작된 소형화된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들은 상기 기판으로 확산될 수 있는 도펀트(dopants)를 함유하는 층들(확산층이라 불림) 또는 상기 기판에 주입된 이온들을 포함하는 층들(이온주입층)을 포함하는, 많은 오버래핑(overlapping) 층들로 구성된다. 다른 층들은 도체들(폴리실리콘층 또는 금속층들)이거나, (콘택층을 매개로 하는) 도전층들 사이의 연결부이다. IC 장치들 또는 개별 소자들은 층의 성장(growing), 이미징(imaging), 증착(deposition), 식각(etching), 도핑(doping)과 세정(cleaning)을 포함한 많은 단계들의 조합을 이용하는 층대층(layer-by-layer)의 과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실리콘 웨이퍼들(wafers)이 기판으로서 이용되고, 포토리소그래피법(photolithography)이 도핑될 기판의 여러 영역들을 마킹(mark)하거나, 폴리실리콘, 절연체 또는 금속층을 증착하고 한정(define)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반도체 장치의 한 유형인 모스펫(MOSFET, 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장치는 자동차용 전자기기, 디스크 구동장치와 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한 수많은 전자 기기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들은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부하에 전원 공급장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몇몇 모스펫 장치들은 기판에 생성된 트렌치(trench)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트렌치 구성이 이점을 갖도록 하는 하나의 특징은 전류가 상기 모스펫의 채널을 통하여 수직으로 흐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전류가 상기 채널을 통하여 수평으로 흐르고, 드레인을 통하여 수직으로 흐르는 다른 모스펫들보다 더 높은 셀 및/또는 전류 채널 밀도를 허용한다. 더 큰 셀 및/또는 전류 채널 밀도는, 일반적으로 더 큰 모스펫 및/또는 전류 채널이 상기 기판의 유닛 영역별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류 밀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N 초접합 구조를 가지는 모스펫(MOSFET) 아키텍쳐를 결합시킨 반도체 장치들 및 이러한 장치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모스펫 아키텍쳐는 트렌치의 상부 및 하부의 두꺼운 유전체층 사이에 끼여있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트렌치 구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초접합 구조의 PN 접합은 트렌치 측벽의 n-타입 도펀트 영역들과 N-채널 모스펫용 p-타입 에피택셜층 사이에 형성된다. 도펀트 타입들은 P-채널 모스펫의 경우 반대로 될 수 있다. 트렌치 모스펫의 게이트는 절연층을 사용하여 초접합 구조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들은 차폐 기반의(shield-based) 트렌치 모스펫 장치들에 비하여 높은 항복전압과 낮은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고 중간 전압영역에서 이러한 장치들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을 이용하면 차폐 기반의 트렌치 모스펫 장치들에 비하여 더 낮은 커패시턴스와 더 높은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를 가질 수 있으며, 중간(medium to high) 전압 영역에서 이러한 장치들을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윗면에 마스크(mask)를 가지는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과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트렌치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묘사한다.
도 3은 트렌치 내에 형성된 제1 산화물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와 도 4b는 트렌치 내에 형성된 게이트와 게이트 절연체를 가지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묘사한다.
도 5a와 도 5b는 트렌치 내에서 게이트 상에 형성된 절연캡과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접촉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접촉 영역과 절연캡 상에 형성된 소스를 가지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구조의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을 가지는 반도체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묘사된 반도체 구조의 운영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와 도 10은 반도체 구조들에서 나타나는 PN 초접합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은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세한 내용을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련된 기술자는 반도체 장치들과 상기 장치들을 제조하고 이용하는 관련 방법들이 이러한 구체적 설명 없이도 구현 및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사실상, 본 반도체 장치들과 관련 방법들은 예시된 장치들과 방법들을 수정함으로써 실제로 적용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종래에 이용된 어떠한 다른 장치 및 기술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설명에서 트렌치 모스펫(trench MOSFET) 장치들에 대하여 언급하더라도 정전 유도 트랜지스터(SIT, Static Induction Transistor), 정전 유도 사이리스터(SITh, Static Induction Thyristor), JFET와 사이리스터 장치들과 같이, 트렌치 내에 형성된 다른 반도체 장치들을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들이 특정 전도 타입(P 또는 N)과 관련하여 설명되더라도, 적절한 수정에 의해서, 상기 장치들은 같은 타입의 도펀트(dopant)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반대되는 전도 타입(N 또는 P 각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들과 이러한 장치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일실시예들이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반도체 기판(105)이 구비되면 상기 방법들이 일실시예들에서 개시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기판이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한 기판들은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s), 에피택셜 실리콘층(epitaxial Si layers),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OI, Silicon On Insulator) 기술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본딩 웨이퍼(bonded wafers) 및/또는 비정질 실리콘층을 포함하며, 상기 물질들은 모두 도프(doped)되거나 도프되지 않을(undoped)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들에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반도체 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재료들은 게르마늄(Ge), 실리콘게르마늄(SiGe), 실리콘카바이드(SiC), GaN(갈륨나이트라이드), GaAs(갈륨아세나이드), InxGayAsz(인듐갈륨아세나이드), AlxGayAsz(알루미늄갈륨아세나이드) 및/또는 III-V 또는 II-VI와 그 변형체와 같은 어떠한 순수 반도체 또는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판(105)은 소정의 n-타입 도펀트로 고농도로 도프(highly doped)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기판(105)은 기판의 윗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에피택셜 실리콘층(개별적 또는 전체적으로 에피택셜층(110)으로 기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농도로 도프된(lightly doped) N 에피택셜층은 기판(105)과 에피택셜층(11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에피택셜층(110)은 소정의 알려진 에피택셜 증착 공정을 포함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공정을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에피택셜층은 p-타입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될 수 있다.
몇몇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110) 내의 도펀트 농도는 균일하지 않다. 특히, 에피택셜층(110)은 상부에서 더 높은 도펀트 농도를 가지고, 하부에서 더 낮은 도펀트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에피택셜층은 상부 또는 상부에 가까울수록 더 높은 농도이고, 상기 기판(105)과의 접착계면 또는 접착계면에 가까울수록 더 낮은 농도가 되도록, 깊이에 따른 농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에피택셜층의 길이에 따른 상기 농도 기울기는 지속적인 감소, 계단식 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농도 기울기를 획득하기 위한 몇몇 구성에서는, 다중 에피택셜층들이 상기 기판(105)에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에피택셜층은 다른 도펀트 농도를 함유할 수 있다. 에픽택셜층들의 수는 2개 이상의 필요한 만큼 많은 범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에피택셜층의 성장을 위한 소정의 알려진 방법에 의해서 더 높은 농도로 in-situ 도프되는 동안, 각각의 연속되는 에피택셜층은 아래쪽에 있는 에픽택셜층 또는 기판에 성장된다. 에피택셜층들(110)의 한 예에서는 제1 농도를 가지는 제1 에피택셜 실리콘층과, 더 높은 농도를 가지는 제2 에피택셜 실리콘층과, 더욱더 높은 농도를 가지는 제3 에피택셜 실리콘층과, 가장 높은 농도를 가지는 제4 에피택셜 실리콘층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나듯이, 트렌치 구조(120)가 상기 에피택셜층(110) 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트렌치의 바닥부는 에피택셜층(110) 또는 기판(105)의 어디엔가 도달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구조(120)는 소정의 알려진 과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마스크(115)가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윗면에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원하는 마스크재(mask material)의 층을 적층하고, 다음으로 포토리소그래피법과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재의 층을 패터닝(patterning)함으로써 마스크(115)에 대하여 원하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마스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 에칭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인접한 트렌치들(120) 사이에 메사 구조(mesa structure, 112)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에피택셜층(110)은, 트렌치(120)가 에피택셜층(110) 내에서 원하는 깊이와 폭에 도달할 때까지 소정의 알려진 과정에 의해서 에칭될 수 있다. 상기 깊이와 폭에 따른 종횡비 뿐만 아니라 상기 트렌치(120)의 깊이와 폭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에 증착되는 산화층이 상기 트렌치를 적절하게 채우고, 빈 공간(void)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렌치의 깊이는 약 0.1㎛에서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렌치의 폭은 약 0.1㎛에서 약 50㎛의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깊이와 폭으로, 상기 트렌치의 종횡비는 약 1:1 내지 약 1:50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트렌치의 종횡비는 약 1:5에서 약 1:8.3의 범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트렌치의 측벽은 에피택셜층(110)의 윗면과 직각으로 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트렌치 측벽의 각도는 약 90도(수직형 측벽)에서 에피택셜층(110)의 윗면에 대하여 약 60도의 범위일 수 있다. 트렌치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에 증착되는 산화층 또는 소정의 다른 재료가 트렌치를 적절히 채워서 빈 공간(void)의 형성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나듯이, 트렌치 구조(120)의 측벽은 n-타입 도펀트로 도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측벽 도펀트 영역(125)은 트렌치 측벽 근처의 에피택셜층에 형성된다. 측벽 도핑(doping) 공정은 원하는 폭으로 n-타입 도펀트를 주입하는 소정의 도핑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핑 공정 후에, 도펀트는 소정의 알려진 확산(diffusion) 또는 드라이브-인(drive-in) 공정에 의해서 더 확산될 수 있다. 측벽 도펀트 영역(125)의 폭은 조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소정의 트렌치에 인접한 메사(112)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반도체 장치가 오프(off)되고 전류가 블록(blocked)될 때,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공핍(depleted)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벽 도핑 공정이 소정의 경사 주입 공정, 가스상 도핑 공정, 확산 공정, 도프된 재료들(폴리실리콘, BPSG 등)의 증착과 상기 측벽으로의 상기 도펀트의 유도(driv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경사 주입 공정은 화살표(113)에 나타나듯이, 약 0도(수직 주입 공정)에서 약 45도의 각도 범위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사(112)의 폭, 상기 트렌치(120)의 깊이, 상기 주입 각도, 상기 트렌치 측벽의 각도는 상기 측벽의 상기 n-타입 도프된 영역(125)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렌치의 깊이가 약 0.1㎛에서 약 100㎛의 범위이고, 상기 트렌치 측벽의 각도가 약 70도에서 약 90도의 범위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사의 폭은 약 0.1㎛에서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트렌치가 여기서 기재된 것과 같은 측벽 각도를 가지면,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다른 도펀트 농도는 잘 정의된(well-defined) PN 접합으로 된 PN 초접합 구조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측벽 각도로서, 상기 트렌치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상기 트렌치의 폭이 다소 감소한다. 상기 경사 주입 공정이 이러한 측벽에 수행되면, 상기 p-타입 에피택셜층(110)에서 생성된 상기 n-타입 측벽 도펀트 영역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각도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상기 PN 접합에서의 결과 구조는 상기 n-타입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큰 p-타입 영역을 포함하고, 이것은 전하 균형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상기 PN 초접합의 성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에피택셜층(110)에서의 도펀트 농도를 수정하고 상기 장치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상기 도펀트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경사 주입 공정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경사진 PN 접합보다는 실질적으로 더 똑바른 PN 접합을 생성한다. 도 9는 n-영역(225), 경사진 트렌치(205), 게이트(210), 절연층(215) 및 균일한 도펀트 농도를 함유하는 에피택셜층(200)을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를 나타낸다. 하나의 트렌치로부터 다른 트렌치까지의 상기 n-영역(225)은 상기 에피택셜층의 P 영역에서의 간격 A에 의하여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 간격 A는 적절한 전하 균형 및 공핍(depletion)을 위해 필요로 되는 간격보다 더 넓다. 다른 한편, 도 10에서 묘사되는 상기 반도체 구조는 유사한 구조를 포함하지만, 상기 에피택셜층(200')은 여기서 설명한 상기 경사진 도펀트 농도를 함유한다. 이러한 농도 기울기는 더 넓은 하부를 가지는 n-영역(225')의 형성 및 조절을 허용하며, A 보다 작은 상기 n-영역(225') 간의 간격 A'를 만든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는 도 9의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더 전하 균형을 이룬(charge-balanced) 반도체 구조를 허용한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산화층(130)(또는 다른 절연체나 반절연체)가 상기 트렌치(120)에 형성될 수 있다. 산화층(130)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산화층(130)은 상기 트렌치(120)를 넘칠 때까지 산화물을 증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층(130)의 두께는 상기 트렌치(120)를 채우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두께까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산화물의 증착은 상기 트렌치 내에 매우 균일한 스텝커버리지(step coverage)를 생성할 수 있는 SACVD와 같이 소정의 화학기상증착법(CVD) 공정을 포함한 어떠한 알려진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리플로우(reflow) 공정이 상기 산화물을 리플로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이것은 상기 산화층 내부의 빈공간이나 결손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상기 산화층(130)이 증착된 후에, 에치백(etchback) 공정이 과도한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에치백 공정 후에는, 도 4a와 도 4b에 나타나는 것처럼, 산화물 영역(140)이 상기 트렌치(1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연마와 같은 평탄화 공정이 상기 에치백 공정 대신에 또는 상기 에치백 공정의 전후에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임의로, 양질의 산화층이 상기 산화층(130)의 증착보다 먼저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양질의 산화층은, 이 양질의 산화층이 원하는 두께로 성장할 때까지 산화물을 함유한 대기 중에서 에피택셜층(110)을 산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양질의 산화층은 상기 산화물의 품질과 채움 인자(filling factor)를 향상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산화층(130)을 더욱 절연성 있도록 만든다.
상기 하부 산화물 영역(140)의 형성 후에, 게이트 산화층(133)과 같은 게이트 절연층은, 도 4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산화물 영역(140)에 의하여 덮히지 않은 상기 트렌치(120)의 노출된 측벽에 성장된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133)은, 원하는 두께로 성장할 때까지, 상기 트렌치의 측벽에서 노출된 실리콘을 산화하는 소정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전도층은 상기 트렌치(120)의 아래, 중간, 또는 윗 부분에서 상기 하부 산화물 영역(140)에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은 특정 금속, 실리사이드, 반도체 재료, 도프된 폴리실리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전도체 및/또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은 화학기상증착(CVD, PECVD, LPCVD) 공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표적으로서 원하는 금속을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을 포함하는 소정의 알려진 증착 공정에 의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은 증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트렌치(120)의 상부를 채워 넘칠 수 있다. 이때, 게이트(15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150)는 소정의 에치백 공정을 포함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층의 상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 공정의 결과로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120) 내의 제1 산화물 영역(140) 위에 적층되고, 상기 게이트 산화층(133) 사이에 끼여있는 전도층, 즉 게이트(150)가 나타난다. 일실시예에서, 게이트(150)가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의 윗면은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윗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co-planar)이 된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나는 것처럼, p-영역(145)은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영역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p-영역(145)은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윗면에 p-타입 도펀트를 주입하고 소정의 알려진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도펀트를 드라이브-인(drive-in) 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촉영역(135)이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노출된 윗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영역(135)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촉영역(135)은 상기 에피택셜층(110)의 윗면에서 n-타입 도펀트를 주입하고 소정의 알려진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도펀트를 드라이브-인(drive-in) 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영역(135)을 형성한 후의 결과 구조는 도 5a와 도 5b에 나타나 있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의 윗면은 상부 절연층으로 피복된다. 이 상부 절연층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절연재료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절연층은 BPSG, PSG 또는 BSG 물질을 포함하는 B 및/또는 P를 함유한 소정의 유전체 재료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절연층은 원하는 두께가 얻어질 때까지 소정의 CVD 공정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 CVD 공정의 예들은, PECVD, APCVD, SACVD, LPCVD, HDPCV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BPSG, PSG 또는 BSG 물질이 상기 상부 절연층에 사용될 때, 이들은 리플로우(reflow) 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상부 절연층의 일부는 절연캡을 남기기 위하여 제거된다. 도 5b에서 묘사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절연층이 상기 게이트(150)와 다른 위치에서의 상기 물질을 제거하는 소정의 알려진 마스킹 및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연캡(165)은 상기 게이트(150) 위에 형성된다. 도 5a에서 묘사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층은 소정의 에치백 또는 평탄화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고, 그 결과 산화캡(160)이 상기 접촉영역(135)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윗면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접촉영역(135)와 상기 p-영역(145)이 삽입영역(167)을 형성하기 위하여 에칭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8은 게이트(150)와 절연캡(160)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유사한 공정이 게이트(155)와 절연캡(165)을 포함하는 유사한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영역(167)은 (상기 p-영역(145) 내로) 원하는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소정의 알려진 마스킹 및 에칭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원한다면,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처럼, PNP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p-타입 도펀트를 사용하여 헤비 바디 주입(heavy body implant)이 행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소스층(또는 영역)(170)이 상기 절연캡(160)과 상기 접촉영역(135)의 상부 위에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소스층(170)은 소정의 금속, 실리사이드, 폴리실리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전도체 및/또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층(170)은 화학기상증착(CVD, PECVD, LPCVD) 공정 또는 스퍼터링 표적으로서 원하는 금속을 사용한 스퍼터링 공정을 포함한 소정의 알려진 증착 공정에 의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소스층(170)은 상기 삽입영역(167)도 채울 것이다.
상기 소스층(170)이 형성된 후 또는 형성되기 전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공정을 이용하여 드레인(180)이 상기 기판(105)의 뒷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180)은, 그라인딩(grinding), 연마(polishing) 또는 에칭(etching) 공정을 포함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정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105)의 뒷면을 얇게 함으로써 상기 뒷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의 전도층의 두께가 원하는 두께로 형성될 때까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처럼, 상기 기판(105)의 뒷면에 전도층이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들은 몇몇 유용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면, 도 5a와 도 6에 묘사된 것처럼, 상기 접촉 삽입 영역(167)을 생성하기 위하여 자기정렬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또한, 초접합 구조는 긴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과 같은 종래 공정과 비교하여 더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에 의하여 나타나는 (게이트(150)와 절연캡(160)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100)의 한 예가 도 7과 도8에 묘사되고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반도체 장치(100)가 상기 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한 소스층(170)과 상기 장치의 하부에 위치한 드레인(180)을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 모스펫의 게이트(150)는 상기 하부 산화물 영역(140)과 상기 절연캡(160) 사이에 격리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게이트(150)는 또한 상기 p-타입 에피택셜층(100)과 함께 초접합 구조의 PN 접합을 형성하는 상기 n-타입 측벽 도펀트 영역(125)과 절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모스펫의 게이트(150)는 상기 반도체 장치(100)의 전류 경로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100)의 운영은 다른 모스펫 장치들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모스펫 장치처럼, 상기 반도체 장치는 통상 상기 게이트 전압이 0인 오프-스테이트(off-state)에서 동작한다. 게이트 전압이 문턱치 전압 아래인 상태에서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가 소스와 드레인에 인가되면, 상기 공핍영역(185)은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확장하고 핀치오프(pinch-off)한다.
반도체 장치들(100)은 몇몇 특징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첫째로, 상기 반도체 장치는 높은 비용을 갖는 긴 에피택셜 성장 공정 없이 약 200V 이상의 높은 항복 전압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로, 더 높은 항복 전압과 결합되면, 약 200V 정도의 중간 전압 범위 운영에 있어서 실드-기반 모스펫(shield-based MOSFET)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더 낮은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실드-기반 모스펫 장치들에 비하여, 여기서 설명된 상기 장치들은 감소된 공정 단계 때문에 덜 비싸게 제조될 수 있으며, 어떠한 실드 산화물이나 실드 폴리실리콘 구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더 적은 열 처리량을 가진다. 세번째로, 평면 아키텍쳐에 비하여, 여기서 설명된 상기 장치들은 더 적은 영역을 필요로 하고, 자기정렬 스킴(scheme)에 더 적합하다.
상기 반도체 장치들(100)은 또한 다른 장치들에 비하여 더 적은 결점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장치들에 있어서, 전기장의 방향은 일단 공핍영역(185)이 형성되면 두꺼운 하부 산화물(TBO) 영역 안에서 수직에 가깝다. 그리고, 몇몇 결손이 상기 두꺼운 하부 산화물 영역에서 형성될 때조차, 상기 장치들은 아직 상기 전압을 유지할 만큼 (수직길이를 따라서) 매우 높은 산화물 두께를 가진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된 상기 장치들은 또한 낮은 누설 전류 위험을 가진다.
그리고, 트렌치 내의 상기 모스펫 구조와 초접합 구조를 결합하는 것은 드리프트 도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류 전도도와 주파수(스위칭 속도)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더 작은 피치(pitch)를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N 트렌치 측벽과 상기 P 에피택셜 층의 접합에 의하여 생성된 초접합으로 인하여, 상기 드리프트 영역의 도핑 농도는 다른 모스펫 구조의 것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모든 재료의 타입은 오직 예시적인 목적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양한 유전층들은 low-k 또는 high-k 유전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펀트가 n-타입 또는 p-타입 도펀트로 이름지어져도, 다른 알려진 n-타입과 p-타입의 도펀트, 또는 이러한 도펀트들의 조합이 상기 반도체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한 도전 타입(P 또는 N)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장치들은 적절한 변형에 의하여, 같은 타입의 도펀트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반대의 도전 타입(N 또는 P 각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고농도로 도프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상에 농도 기울기를 가지며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된 에피택셜 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실드 전극(shield electrode) 없는 모스펫 구조를 포함하고 또한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된 측벽을 포함하는 트렌치를 상기 에피택셜층 내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피택셜층의 윗면 및 상기 모스펫 구조의 윗면과 접촉하는 소스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하부와 접촉하는 드레인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고농도로 도프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고 기판에 접근함에 따라 감소하는 도펀트 농도를 함유한 에피택셜층을 기판상에 적층하는 단계와, 약 90도(수직 측벽)에서 약 70도 범위의 측벽각도를 포함하는 트렌치를 상기 에피택셜층 내에 형성하는 단계와, 경사 이온주입공정을 사용하여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 도핑되는 도펀트 영역을 상기 트렌치 측벽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 제1 절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의 상부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사이의 상기 제1 절연영역 상에 전도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도체 게이트 상에 제2 절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고농도로 도프된 접촉영역을 상기 에피택셜층의 윗면상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층의 윗면과 상기 제2 절연영역의 윗면상에 소스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명시한 변형예에 더하여, 수많은 다른 변형 및 대체 방식이 본 명세서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하여 고안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항들은 이러한 수정들과 방식들을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설명은 현재 가장 현실적이고 선호되는 점으로 여겨지는 것이 무엇인지와 관련하여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위에서 기재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칙과 개념에서 벗어나는 것 없이, 형식, 기능, 운영방식과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 수많은 수정들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예시들은 오직 예를 들기 위한 목적일 뿐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Claims (18)

  1.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dopant)로 고농도로 도프된(highly doped) 반도체 기판;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고(lightly doped) 상기 기판 상에 있는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
    상기 에피택셜층 내에 형성되는 트렌치로서, 차폐전극(shield electrode)이 없는 모스펫(MOSFET) 구조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서 도펀트의 확산이 상기 트렌치의 상부에서 도펀트의 확산보다 크도록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며 90도에서 70도의 각도 범위를 갖는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타입의 측벽 도펀트 영역보다 크지 않은 트렌치들 사이의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프된 영역을 생성하는 트렌치;
    상기 에피택셜층의 윗면과 상기 모스펫 구조의 윗면에 접하는 소스층;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접하는 드레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타입 도펀트는 n-타입 도펀트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타입 도펀트는 p-타입 도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은 윗면에서 높은 농도를 가지고, 상기 기판 근처에서 낮은 농도를 가지는 농도 기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기울기는 상기 윗면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균일하게, 또는 계단식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펫 구조는, 적층된 절연재로 상기 트렌치 내에서 수직 절연(vertically insulated)되는 게이트(g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게이트 절연층에 의해서 상기 에피택셜층과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측벽 도펀트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한 0도보다 큰 각도부터 40도까지의 각도 범위에서 주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고농도로 도프된 반도체 기판;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고 상기 기판 상에 있는 에피택셜층;
    상기 에피택셜층 내에 형성되는 트렌치로서,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서 도펀트의 확산이 상기 트렌치의 상부에서 도펀트의 확산보다 크도록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며, 90도에서 70도의 각도 범위를 갖는 측벽과, 하부 산화막과 절연캡(insulating cap)에 의해서 트렌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연되고 게이트 절연층에 의해서 상기 에피택셜층과 절연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타입의 측벽 도펀트 영역보다 크지 않은 트렌치들 사이의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프된 영역을 생성하는 트렌치;
    상기 에피택셜층의 윗면과 상기 절연캡의 윗면에 접하는 소스층;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접하는 드레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타입 도펀트는 n-타입 도펀트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타입 도펀트는 p-타입 도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에피택셜층은 윗면에서 높은 농도를 가지고, 상기 기판 근처에서 낮은 농도를 가지는 농도 기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기울기는 상기 윗면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균일하게, 또는 계단식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측벽 도펀트는 0도보다 큰 각도부터 40도까지의 각도 범위에서 주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고농도로 도프된 반도체 기판;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고 상기 기판 상에 있는 에피택셜층;
    상기 에피택셜층 내에 형성되는 트렌치로서,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서 도펀트의 확산이 상기 트렌치의 상부에서 도펀트의 확산보다 크도록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저농도로 도프되며, 90도에서 70도의 각도 범위를 갖는 측벽과, 하부 산화막과 절연캡에 의해서 트렌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연되고 게이트 절연층에 의해서 상기 에피택셜층과 절연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타입의 측벽 도펀트 영역보다 크지 않은 트렌치들 사이의 제2 전도성 타입의 도프된 영역을 생성하는 트렌치;
    상기 에피택셜층의 윗면 및 상기 절연캡의 윗면과 접하는 소스 층;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접하는 드레인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타입 도펀트는 n-타입 도펀트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타입 도펀트는 p-타입 도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은 윗면에서 높은 농도를 가지고, 상기 기판 근처에서 낮은 농도를 가지는 농도 기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기울기는 상기 윗면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균일하게, 또는 계단식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측벽 도펀트는 0도보다 큰 각도부터 40도까지의 각도 범위에서 주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에피택셜층 사이에 위치한 제1 전도성 타입의 도펀트로 도프된 다른 에피택셜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20136934A 2010-02-17 2012-11-29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KR101294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07,323 US20110198689A1 (en) 2010-02-17 2010-02-17 Semiconductor devices containing trench mosfets with superjunctions
US12/707,323 2010-02-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85A Division KR20110095207A (ko) 2010-02-17 2011-02-17 초접합된 트랜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26A KR20120138726A (ko) 2012-12-26
KR101294917B1 true KR101294917B1 (ko) 2013-08-08

Family

ID=443690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85A KR20110095207A (ko) 2010-02-17 2011-02-17 초접합된 트랜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KR1020120136934A KR101294917B1 (ko) 2010-02-17 2012-11-29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85A KR20110095207A (ko) 2010-02-17 2011-02-17 초접합된 트랜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98689A1 (ko)
KR (2) KR20110095207A (ko)
CN (1) CN102163622B (ko)
TW (1) TWI442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9778B2 (en) * 2009-12-02 2012-03-0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2983060B (zh) * 2011-09-07 2017-06-1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能够改善等离子体诱导损伤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TWI470699B (zh) * 2011-12-16 2015-01-21 茂達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超級介面之溝槽型功率電晶體元件及其製作方法
US8941206B2 (en) * 2012-07-24 2015-01-27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9985094B2 (en) * 2013-12-27 2018-05-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uper junction with an angled trench, transistor having the super jun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50372132A1 (en) * 2014-06-23 2015-12-24 Vishay-Siliconix Semiconductor device with composite trench and implant columns
US9564515B2 (en) * 2014-07-28 2017-0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uper jun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298518A (zh) * 2015-05-14 2017-01-04 帅群微电子股份有限公司 超接面元件及其制造方法
CN108110042A (zh) * 2017-12-13 2018-06-01 深圳市晶特智造科技有限公司 半导体功率器件的超结结构及其制作方法
CN107919398A (zh) * 2017-12-13 2018-04-17 深圳市晶特智造科技有限公司 半超结器件及其制造方法
EP3762968A1 (en) * 2018-03-06 2021-01-13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self-aligned field plate and mesa termin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4376B1 (ko) * 2018-12-26 2020-04-27 (재)한국나노기술원 도펀트 확산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11697050B (zh) * 2019-03-13 2023-02-28 世界先进积体电路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及其形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0325A (ko) * 1998-10-26 2001-08-22 추후제출 개선된 고주파 스위칭 특성 및 항복 특성을 갖는 전력용반도체 장치들
JP2002531953A (ja) 1998-11-28 2002-09-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トレンチゲート半導体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
JP2009130002A (ja) 2007-11-20 2009-06-11 Nippon Inter Electronics Corp Jbsおよびmosfet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89119A (en) * 1980-12-10 1982-06-1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High voltage semiconductor devices
US5023196A (en) * 1990-01-29 1991-06-11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 MOSFET with substrate source contact
JP2950577B2 (ja) * 1990-04-27 1999-09-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iCMOS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3291957B2 (ja) * 1995-02-17 2002-06-17 富士電機株式会社 縦型トレンチmisfet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94443B2 (ja) * 1995-05-18 2007-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262453B1 (en) * 1998-04-24 2001-07-17 Magepower Semiconductor Corp. Double gate-oxide for reducing gate-drain capacitance in trenched DMOS with high-dopant concentration buried-region under trenched gate
DE19922187C2 (de) * 1999-05-12 2001-04-26 Siemens Ag Niederohmiges VDMOS-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6291298B1 (en) * 1999-05-25 2001-09-18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Process of manufacturing Trench gat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ate oxide layer with multiple thicknesses
JP2006210368A (ja) * 1999-07-02 2006-08-10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縦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85060B1 (en) * 1999-12-30 2001-09-04 Siliconix Incorporated Barrier accumulation-mode MOSFET
US7229872B2 (en) * 2000-04-04 2007-06-12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Low voltage power MOSFET devic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7745289B2 (en) * 2000-08-16 2010-06-2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FET having ultra-low on-resistance and low gate charge
US6437386B1 (en) * 2000-08-16 2002-08-2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ng thick oxide on the bottom surface of a trench structure in silicon
US7345342B2 (en) * 2001-01-30 2008-03-1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818513B2 (en) * 2001-01-30 2004-11-1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lateral depletion structure
US6803626B2 (en) * 2002-07-18 2004-10-1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Vertical charge control semiconductor device
US6569738B2 (en) * 2001-07-03 2003-05-27 Siliconix,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rench gated MOSFET having drain/drift region
US6486511B1 (en) * 2001-08-30 2002-11-26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olid state RF switch with high cutoff frequency
US6784505B2 (en) * 2002-05-03 2004-08-31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voltage high density trench-gated power device with uniformly doped channel and its edge termination technique
KR100426442B1 (ko) * 2002-05-13 2004-04-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6878993B2 (en) * 2002-12-20 2005-04-12 Hamza Yilmaz Self-aligned trench MOS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 for high-frequency applications
US6979862B2 (en) * 2003-01-23 2005-12-27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Trench MOSFET superjunction structure and method to manufacture
US8227860B2 (en) * 2003-02-28 2012-07-24 Micrel, Inc. System for vertical DMOS with slots
JP5008246B2 (ja) * 2003-03-19 2012-08-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縦形mosトランジスタ
US7015104B1 (en) * 2003-05-29 2006-03-21 Third Dimension Semiconductor, Inc. Technique for forming the deep doped columns in superjunction
JP3954541B2 (ja) * 2003-08-05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87052B2 (en) * 2003-10-30 2006-01-17 Agere Systems Inc. Method for making enhanced substrate contact for a semiconductor device
TWI348219B (en) * 2003-12-19 2011-09-01 Third Dimension 3D Sc Inc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perjunction device with wide mesas
KR100879588B1 (ko) * 2003-12-19 2009-01-21 써드 디멘존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슈퍼접합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평탄화 방법
WO2005065140A2 (en) * 2003-12-19 2005-07-21 Third Dimension (3D) Semiconducto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erjunction device with conventional terminations
US7023069B2 (en) * 2003-12-19 2006-04-04 Third Dimension (3D)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thick dielectric regions using etched trenches
US7217976B2 (en) * 2004-02-09 2007-05-1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Low temperature process and structures for polycide power MOSFET with ultra-shallow source
JP4974474B2 (ja) * 2004-06-22 2012-07-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52036B2 (en) * 2004-08-03 2008-04-01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power device having a top-side drain using a sinker trench
JP4851694B2 (ja) * 2004-08-24 2012-01-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401749B (zh) * 2004-12-27 2013-07-11 Third Dimension 3D Sc Inc 用於高電壓超接面終止之方法
WO2006108011A2 (en) * 2005-04-06 2006-10-1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Trenched-gate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7504303B2 (en) * 2005-05-26 2009-03-17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Trench-gate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2008546216A (ja) * 2005-06-10 2008-12-18 フェアチャイルド・セミコンダクタ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荷平衡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7589378B2 (en) * 2005-07-13 2009-09-15 Texas Instruments Lehigh Valley Incorporated Power LDMOS transistor
JP5017823B2 (ja) * 2005-09-12 2012-09-05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2007134441A (ja) * 2005-11-09 2007-05-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0483B1 (ko) * 2005-12-09 2007-05-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수직 칼라 필터 검출기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141B1 (ko) * 2005-12-29 2007-06-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9368614B2 (en) * 2008-08-20 2016-06-14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Flexibly scalable charge balanced vertical semiconductor power devices with a super-junction structure
US7492003B2 (en) * 2006-01-24 2009-02-17 Siliconix Technology C. V. Superjunc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7452777B2 (en) * 2006-01-25 2008-11-1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f-aligned trench MOSFE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279574B1 (ko) * 2006-11-15 2013-06-27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고전압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132977B2 (ja) * 2007-04-26 2013-01-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64514B2 (ja) * 2007-05-18 2010-10-2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5767430B2 (ja) * 2007-08-10 2015-08-19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868856B (zh) * 2007-09-21 2014-03-12 飞兆半导体公司 用于功率器件的超结结构及制造方法
US7994005B2 (en) * 2007-11-01 2011-08-09 Alpha & Omega Semiconductor, Ltd High-mobility trench MOSFETs
US7875951B2 (en) * 2007-12-12 2011-01-2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emiconductor with active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20100013009A1 (en) * 2007-12-14 2010-01-21 James Pan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rench Gate Transistors with Low Gate Resistance
US7932556B2 (en) * 2007-12-14 2011-04-2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power devices with high aspect ratio contact openings
US7795691B2 (en) * 2008-01-25 2010-09-14 Cree, Inc. Semiconductor transistor with P type re-grown channel layer
US8815744B2 (en) * 2008-04-24 2014-08-2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Technique for controlling trench profile in semiconductor structures
US7829947B2 (en) * 2009-03-17 2010-11-09 Alpha &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Bottom-drain LDMOS power MOSFET structure having a top drain strap
US7875918B2 (en) * 2009-04-24 2011-01-2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ultilayer image sensor pixel structure for reducing crosstalk
US8299494B2 (en) * 2009-06-12 2012-10-30 Alpha & Omega Semiconductor, Inc. Nanotube semiconductor devices
US8390058B2 (en) * 2009-06-12 2013-03-05 Apl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devices with trench-oxide-nano-tube super-junctions
US20110006362A1 (en) * 2009-07-10 2011-01-13 Force Mos Technology Co. Ltd. Trench MOSFET with on-resistance reduction
US8129778B2 (en) * 2009-12-02 2012-03-0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067800B2 (en) * 2009-12-28 2011-11-29 Force Mos Technology Co., Ltd. Super-junction trench MOSFET with resurf step oxide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US8698232B2 (en) * 2010-01-04 2014-04-1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voltage controlled termin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8264047B2 (en) * 2010-05-10 2012-09-1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emiconductor component with a trench edge termination
CN102110716B (zh) * 2010-12-29 2014-03-05 电子科技大学 槽型半导体功率器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0325A (ko) * 1998-10-26 2001-08-22 추후제출 개선된 고주파 스위칭 특성 및 항복 특성을 갖는 전력용반도체 장치들
JP2002531953A (ja) 1998-11-28 2002-09-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トレンチゲート半導体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
JP2009130002A (ja) 2007-11-20 2009-06-11 Nippon Inter Electronics Corp Jbsおよびmosf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8689A1 (en) 2011-08-18
TWI442569B (zh) 2014-06-21
KR20110095207A (ko) 2011-08-24
KR20120138726A (ko) 2012-12-26
CN102163622B (zh) 2015-06-17
TW201208066A (en) 2012-02-16
CN102163622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917B1 (ko) 초접합 트렌치 모스펫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들
US20190123210A1 (en) Semiconductor on Insulator Devices Containing Permanent Charge
US20120018800A1 (en) Trench Superjunction MOSFET with Thin EPI Process
KR101279574B1 (ko) 고전압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10911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erjunction device
US821231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30087852A1 (en) Edge termination structure for power semiconductor devices
US2013033459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5009723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9166005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harge compensation structure
US20140273374A1 (en) Vertical Doping and Capacitive Balancing for Power Semiconductor Devices
US20040016961A1 (en) Double diffused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7601568B2 (en)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S transistor structure
US2006009731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158705B2 (en) Method for forming a superjunction transistor device
US20130224922A1 (en) UMOS Semiconductor Devices Formed by Low Temperature Processing
KR20120106578A (ko) 두꺼운 트렌치 바텀 산화물을 구비하는 모스펫 장치
US8129778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816429B2 (en) Charge balance semiconductor devices with increased mobility structures
JP4088031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63567B1 (ko) Mos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