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548B1 -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및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및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548B1
KR101289548B1 KR1020117000668A KR20117000668A KR101289548B1 KR 101289548 B1 KR101289548 B1 KR 101289548B1 KR 1020117000668 A KR1020117000668 A KR 1020117000668A KR 20117000668 A KR20117000668 A KR 20117000668A KR 101289548 B1 KR101289548 B1 KR 10128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evaporator
heating surface
steam generat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313A (ko
Inventor
얀 브뤽크너
프랑크 토마스
요아힘 프랑케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03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6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35/1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31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32
)이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33
)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제공되고 증발기 가열면(4)을 구비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예측 급수량 조정 또는 유동량 조정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어야 하며, 특히 부하 변동이 발생할 때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가 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34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35
)을 형성할 때 가열면들(2, 4) 중 하나 이상의 가열면의 입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 또는 밀도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특성 보정값(K)이 고려된다.

Description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및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METHOD FOR OPERATING A CONTINUOUS FLOW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1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2
)이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3
)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제공되고 복수의 가열면을 구비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에서, 함께 증발기 가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증기 발생기 튜브가 가열됨으로써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 유동 매체가 한 번에 완전히 증발한다. 유동 매체(통상적으로 물)는 일반적으로 증발 전에 유동 매체 측으로 증발기 가열면 상류에 접속된 예열기(통상적으로 이코노마이저로도 불림)에 제공되어 그곳에서 예열된다.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이와 연관해서 현재 증기 발생기 출력에 따라 증발기 가열면으로의 급수 유동량이 조정된다. 부하 변동 시 증발기 관류량은 증발기 가열면으로의 열 도입에 대해 가급적 동기식으로 변동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증발기 가열면의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비 엔탈피와 설정값과의 편차가 확실히 방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비 엔탈피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기 유형의 편차로 인해 증기 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생증기의 온도 조절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높은 재료 부하가 야기되므로 증기 발생기의 수명이 단축된다.
증기 발생기의 모든 작동 상태에서, 다시 말해 특히 과도 상태에서도 또는 부하가 변동할 때, 설정값과 비 엔탈피의 편차 및 이로 인해 야기된 바람직하지 못하게 큰 온도 변동을 가급적 낮게 유지하기 위해, 소위 예측된 또는 예견된 유형의 방식으로 급수 관류량 조정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부하가 변동할 때에도, 현재 작동 상태에 따라 또는 다음 번을 위해 예상되는 작동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급수량 설정값이 제공되어야 한다.
EP 0639 253 호에는 필요한 급수량이 사전에 계산됨으로써 급수 관류량이 조정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계산 방법을 위한 토대로서 증발기 가열면의 열 흐름 평형이 사용되며, 특히 증발기 가열면의 유입부에서의 급수 유동량이 상기 열 흐름 평형 내에 유입되어야 한다.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은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에서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현재 열 흐름과, 다른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에서 소정의 생증기 상태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 상승의 비율로부터 사전 설정된다.
그러나 증발기 가열면의 유입부에서 직접 급수 유동량을 측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복잡하며 모든 작동 상태에서 신뢰성 있게 실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실제로 입증되었다. 그 대신 대안적으로, 예열기의 유입부에서 급수 유동량이 측정되어 급수량의 계산에 참작되지만, 상기 급수 유동량이 증발기 가열면의 유입부에서의 급수 유동량과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특히 부하가 변동할 경우 특별히 해당 요구에 부합하게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을 사전 설정할 때 상기와 같은 부정확도에 대처하기 위해, 유동량 예측 조정의 대안적인 개념의 경우 WO 2006/005708 A1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수 관류량 조정을 위한 입력 변수들 중 하나로서 예열기의 유입부에서의 급수량 밀도가 고려된다.
유동량 예측 조정을 위한 언급한 2개의 개념들은 실질적인 입력 변수인, 증기 발생기 출력에 대한 설정값에 기초하며, 상기 설정값으로부터는 저장된 상관 관계에 기초해서 특히 앞서 획득한 교정(calibration) 또는 기준 측정을 수용하면서, 실제 설정값 결정 내에 산입되는 매개 변수가 계산된다. 그러나 이는 분명히 화력에 의존할 수 있고 충분히 안정적인 시스템 특성(이는 일반적으로 연소식 증기 발생기의 경우에 해당)을 전체적으로 전제로 한다. 그러나 예컨대 상류 접속된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 회수 보일러로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가 설계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다른 시스템들에서는 이와 같은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열 회수 보일러로서 접속된 상기 유형의 시스템에서는 직접 연소식 보일러에서와 동일한 정도의 화력을 자유 매개 변수로 사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열 회수 보일러가 접속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일차 기준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의 작동이 고려되고, 다른 부품들은 상기 가스 터빈의 시스템 상태에 맞게 조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을 고려하기 위해, 사전 공개되지 않은 EP 07 023 081호로부터는 열 회수-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를 위해 더욱 향상된 유동량 예측 조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에 기재된 개념은 증발기, 바람직하게는 배기 가스 측으로 상류 접속된 과열기 가열면을 포함하는 증발기의 열 흐름 평형에 의해 사전 제어식으로 급수량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로써 배기 가스 측에 존재하는 열 공급을 위한 유리한 조건 하에, 요구에 맞게 조정되는 증발기 관류량이 항상 조정될 수 있다. 급수 유동량이 적게 보정되도록, 천천히 작용하고 중첩되는 엔탈피 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측 급수량 조정 또는 유동량 조정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고 특히 부하 변동이 발생할 때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가 특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앞서 언급한 유형의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특히, 그 내용이 본원에 명확히 관련되어 있으며["참조 인용(incorporation by reference)"]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개념이 더욱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에 특히 적합한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과 관련해서, 상기 목적은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을 형성할 때 상기 가열면들 중 하나 이상의 가열면의 입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 또는 밀도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특성 보정값이 고려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급수 유동량에 대한 적합한 설정값을 검출할 때 연관되는 것으로 인식된 보정값이 일관되게 함께 고려됨으로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유동량 예측 조정을 위해 구성된 개념이 급수 유동량의 조정 시 제어 품질과 관련해서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사고로부터 시작된다.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시 부하 변동 또는 그 외의 과도적 과정들이 발생할 때, 유동 매체의 비 체적(specific volume)이 상기와 같은 과정 중에 변동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온도 변동으로 인해 유동 매체의 비 체적이 변동함으로써 증기 발생기의 상응하는 가열면 내로 또는 상기 가열면으로부터 유체 또는 유동 매체 측 저장 작용 또는 방출 작용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차적으로 발생한다. 온도 변동으로 인한 유체 또는 유동 매체의 밀도 변동에 기인하는 상기 유형의 저장 작용은 해당 가열면의 출력부에서 유동량 변동을 야기하므로, 해당 가열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유동량이 유입되는 유동량과 동일하지 않으며 특히 급수 펌프에 의해 이송된 유동량과 동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각각의 가열면을 통과하는 관류량과 급수 펌프에 의해 이송된 유동량이 더 이상 서로 동기식으로 흐르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황의 경우 그 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하면서 다소 심한 정도의 엔탈피 변동이 증발기 배출부에서 예상된다. 더욱 향상된 유동량 예측 조정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작용에 적합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보상을 위한 적절한 보정항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특히 적합한 수단은 특히 각각의 가열면의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 또는 밀도와 같은 적합한 파라미터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예열기 가열면에서의 유체 측 저장 작용 또는 방출 작용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평가된다. 열 회수 증기 발생기의 예열기 가열면 또는 이코노마이저 가열면에서 물 또는 유동 매체의 함량이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다는 것과 관련하여 즉, 상기 가열면에 위치한 유동 매체의 밀도 변동이 증발기 관류량 뿐만 아니라 이로써 증발기 배출부 엔탈피에도 비교적 크게 영향을 주므로, 상기 작용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보상하는 것은 급수 유동량에 대한 적절한 설정값을 검출할 때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가열면의 입력부 뿐만 아니라 출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밀도의 시간 도함수가 고려됨으로써,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의 검출 시 고려되어야 하는 보정값이 형성된다. 이 경우 특히 각각의 예열기 가열면 또는 이코노마이저 가열면의 유입부 또는 배출부의 온도와 압력이 적합하게 측정됨으로써 예열기의 평균 유체 밀도 또는 매체 밀도가 규정되고 계산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선형 밀도 프로파일이 토대가 된다. 예열기에서 이와 같이 검출된 유동 매체의 평균 밀도의 변동으로부터는 유체 측 저장 작용 및 방출 작용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가 후속해서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부하가 변동할 경우 예열기 가열면으로의 열 공급이 감소해야 하면, 상기 가열면에는 유동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급수 펌프의 이송 흐름이 일정한 경우, 예열기 가열면의 배출부 또는 하류에 접속된 증발기 가열면의 유입부에서의 유동량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급수 유동량의 설정값을 위한 상응하는 보정 신호에 의해 급수량 펌프의 이송 흐름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므로,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급수 유동량과 이로 인해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엔탈피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증발기 자체에서의 유체 측 저장 작용 및 방출 작용으로 인한 증발기 관류량의 변동을 적합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증발기에서 2상 혼합물의 유형으로 물과 증기가 동시에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혼합물 밀도의 비선형성이 심해지므로 대표적으로 적합한 유동 매체의 평균 밀도가 일반적으로 규정될 수 없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증발기에서는 과도적 과정들의 경우에 증발 시작의 국부적 변위가 고려되어야 하므로, 유동 매체의 평균 밀도를 적합하게 규정하는 것이 추가로 어려워진다.
그럼에도, 과도적 과정들로 인한 매체 측 저장 과정 및 방출 과정에 대해 실제 증발기 가열면의 영역에서도 적합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증발기 유입부 엔탈피의 변동도 보정값의 제공 시에 적합하게 고려된다. 이 경우 유동 매체의 냉각으로 인해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엔탈피가 감소할 경우, 증발기 관류량을 감소시키고 증발기 배출부 엔탈피의 상승에 직접 연관되는 저장 작용이 예상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과도적 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 유동 매체의 엔탈피 또는 밀도의 시간 도함수 측정은 적합한 미분 부재에 의해 바람직하게 실행되며, 미분 부재의 입력부 측에는 예컨대 각각의 측정 지점에서의 유동 매체의 온도 및 압력과 같은 적합한 파라미터 또는 측정값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미분 부재는 "DT1 부재"로도 불리는 소위 "도함수 요소"로서 구현된다. 상기 유형의 "도함수 요소"는 그 특성에 따라 조정 기술적 기능성 "1 지연 부재"에 상응하며, 이때 지연 부재 자체는 "1-e-t/T"에 상응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도함수 요소"의 특성에 상응하는 감쇠 지수 함수가 주어진다.
예열기 가열면으로의 저장 작용 및 방출 작용을 고려할 경우, 상기 유형의 "DT1 부재"는 예열기 가열면의 유입부 또는 배출부에서의 밀도(상응하게 측정된 압력값과 온도값에 의해 계산)의 곡선을 평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급수 유동량을 위해 생성된 보정 신호는 특히 각각의 "DT1 부재"를 위해 적합한 증폭 및 적합한 시상수가 선택될 때 예열기 가열면으로의 유체 측 저장 작용을 특히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DT1 부재"의 증폭을 위해 예열기 가열면의 완전한 매체 용적, 즉 예열기 가열면에서의 전체 수분 함량에 상응하는 매체 용적이 선택되고 시상수를 위해서는 예열기 가열면을 통과하는 유동 매체의 절반의 연속 흐름 시간이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현재 부하 상태에 상응하게 시상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부하가 낮을 경우 예열기 가열면을 통하는 유동 매체의 연속 흐름 시간이 상응하게 길어지는 상황이 고려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은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에서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현재 열 흐름과, 다른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에서 소정의 생증기 상태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 상승의 비율로부터 사전 설정되고, 이때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열 흐름은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현재 온도에 대한 특성 온도 매개 변수와 가열 가스의 현재 유동량에 대한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를 고려하면서 검출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후속 과열기 가열면도 포함할 수 있는 증발기의 열 흐름 평형을 토대로, 시스템 실제 상태에 맞게 그리고 특별히 요구에 부합하도록, 요구된 급수량을 사전 제어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현재 온도에 대한 특성 온도 매개 변수는 특히 현재 유동량에 대한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를 기초로 그 자체가 계산될 수 있는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 엔탈피를 고려하면서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 엔탈피에 대해 특히 신뢰성을 갖고 이로써 요구에 부합하는 매개 변수가 검출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써 가열 가스로부터 급수로의 현재 열 공급 또는 열 전달이 특히 신뢰성 있고 요구에 부합하게 검출되도록 한다. 이로부터, 사전 설정된 설정 엔탈피 상승을 고려하면서 다시 말해, 특히 소정의 생증기 파라미터의 고려 하에 검출된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와, 예컨대 압력 및 온도와 같은 적합한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된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실제 엔탈피와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증발기 가열면에서의 유동 매체의 소정의 설정 엔탈피 상승이 검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의 목적에 적합한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은 상기 변수들의 비율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증발기 내로 유입되는 가열 가스를 적절하게 양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특성 온도 매개 변수 및/또는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로서는 현재 상황을 특히 대표하는 매개 변수가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상기 유형의 매개 변수는 현재 존재하는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적합하게 검출될 수 있으며 특히 저장된 저장 매개 변수를 수용하면서 적합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측정된 각각 하나의 측정값이 특성 온도 매개 변수로서 그리고/또는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로서 바람직하게 고려됨으로써 열 흐름 평형의 특히 신뢰성 있는 평가와, 이로써 사전에 계산된 특히 정확하게 급수량 설정값이 검출될 수 있다.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열 흐름은, 증발기 유입부와 증발기 배출부 사이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 차이가 실질적인 입력 변수로서 토대가 되는 열 흐름 평형을 기초로 바람직하게 검출된다. 그러나, 이 경우 특히 신뢰성 있는 매개 변수 계산을 위해서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기 가스가 증발기 가열면을 통과할 때 상기 엔탈피 차이에 의해 재현된 에너지 함량의 감소가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 내부의 유동 매체에서 엔탈피 상승을 야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증발기의 부품 즉, 증기 발생기 튜브와 그 외의 금속 부품들로의 에너지 저장 작용 및/또는 방출 작용도 야기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증발기 가열면 내부의 유동 매체로 실제로 전달된 엔탈피 차이를 특히 신뢰성 있게 검출하기 위해, 금속 매스로의 열의 에너지 저장 및/또는 방출의 상기 개념이 특성 보정값으로서 고려되므로 가열 가스의 엔탈피 차이가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열 가스의 엔탈피 차이를 검출할 경우,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현재 엔탈피가 바람직하게 고려되는데, 이는 가열 가스의 현재 유동량에 대한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를 고려하면서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 압력에 기초해서 상기 엔탈피가 검출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바람직하게 측정값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저장된 상관 관계 또는 그 외의 매개 변수를 수용하면서, 대안적으로 또 다른 매개 변수에 의해 간접적으로도 계산될 수 있는 유동량 매개 변수는 바람직하게 우선적으로 소위 증기 발생기의 "핀치점"으로 즉, 배기 가스의 배출부 온도와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비등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로 변환되며, 이때 상기 온도 차이는 바람직하게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압력에 기초해서 검출된 유동 매체의 비등 온도에 가산되며 상기 총합으로부터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가 검출된다.
바람직하게, 증발기 가열면에서의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 상승의 검출은 한편으로 예컨대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압력 및 온도와 같은 적합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검출된 실제 엔탈피를 토대로 한다. 예컨대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특정 증기 파라미터 또는 증기 함량과 같은 소정의 증기 상태에 따라 또는 상기 증기 상태의 고려 하에,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에 대한 설정값은 증발기 가열면의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현재 압력을 고려하면서 추가로 사전 설정된다.
이때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는 소위 "벤슨 조정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벤슨 조정 모드"에서의 조정 시 증발기 가열면의 배출부에는 유동 매체의 과열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모드에서 증발기 가열면의 하류에 접속된 저수 장치의 과공급이 고려될 수 있으며, 후속 가열면에는 부분적으로 아직 증발되지 않은 유동 매체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후속 가열면에 이르러서야 유동 매체가 완전히 증발된다. 상기와 같은 모드에서는, 사전 설정된 온도 차이 만큼(예컨대 35℃) 유동 매체의 포화 온도보다 높은 설정 온도의 세팅이 증발기의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를 위해 소정의 증기 파라미터로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증기 발생기의 이와 같은 작동 방식의 경우 증발기 가열면의 하류에 접속된 과열기 가열면에 할당된 분사 냉각 장치의 현재 작동 상태를 적합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는 분사 냉각 장치의 냉각 요구가 시스템에 대한 수 회의 적절한 급수 공급으로 변위됨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증발기 가열면의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에 대한 설정값을 사전 설정할 경우 증발기 가열면의 하류에 접속된 분사 냉각기에서의 현재 냉각 요구가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이로써 설정 생증기 온도는 급수 흐름의 적합한 조정에 의해 특히 가급적 높게 이를 수 있으므로, 분사 냉각기에서의 추가의 냉각 요구는 특히 적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매우 낮은 생증기 온도가 확인되는 경우에도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 설정값이 적합하게 상승할 수 있으므로, 상응하게 낮게 책정된 급수량은 급수 유동량에 대해 상기와 같이 변동된 설정값에 의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증기 발생기는 증발기 가열면의 하류에 접속된 저수 장치의 수위가 변동하고 후속 조정되는 소위 "레벨 조정 모드"로도 작동할 수 있으며, 이때 저수 장치의 과공급이 가급적 방지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저수 장치 내부의 수위는 사전 설정된 설정 범위 내로 가급적 유지되며,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저수 장치의 충전 레벨의 실제 레벨과 해당 설정값과의 편차를 특성화하는 충전 레벨 보정값이 고려된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와 관련해서 언급한 목적은, 급수 유동량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할당된 급수 관류량 조정 장치가 언급한 방법에 기초해서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을 사전 설정하기 위해 설계됨으로써 달성된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는, 해당 가스 터빈 시스템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가열 가스 측에 공급되는 열 회수 증기 발생기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장점들은 특히,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가열면들 중 하나 이상의 가열면의 입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 또는 밀도의 시간 도함수가 고려됨으로써, 급수 유동량에 대해 유동량 예측 조정의 범위 내에서 검출된 설정값이 보정될 수 있다는 데 있으며, 이때 무엇보다도 가열면, 특히 예열기 내로 유체 측 또는 유동 매체 측 저장 과정 또는 방출 과정들도 적합하게 고려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와 같은 저장 과정 또는 방출 과정이 예상되어야 하는 부하 변동 또는 그 외의 과도적 과정들이 발생할 경우 급수 유동량에 대해 요구에 부합하는 설정값이 질적으로 특히 높은 품질로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기초해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급수 관류량 조정 장치가 할당된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른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는 유동 매체로서 제공되는 급수를 위해 이코노마이저로도 불리우는 예열기 가열면(2)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는 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가스 연도 내에 위치한다. 유동 매체 측으로 예열기 가열면(2)의 상류에는 급수 펌프(3)가 접속되며 하류에는 증발기 가열면(4)이 접속된다. 증발기 가열면(4)의 출력부 측은 특히 수분 분리기 또는 분리통으로서도 구성될 수 있는 저수 장치(6)에 의해, 유동 매체 측으로 하류 접속된 복수의 과열기 가열면(8, 10, 12)에 연결되며, 상기 과열기 가열면 자체에는 증기 온도 등을 조정하기 위해 분사 냉각 장치(14, 16)가 제공될 수 있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는 열 회수 보일러로서 또는 열 회수 증기 발생기로서 구성되며, 이때 가열면, 특히 예열기 가열면(2), 증발기 가열면(4) 및 과열기 가열면(8, 10, 12)은 가열 가스 측으로 해당 가스 터빈 시스템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공급받는 가열 가스 채널 내에 배치된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는 급수가 조정되어 공급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급수 펌프(3) 하류에는 서보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스로틀 밸브(22)가 접속되므로, 급수 펌프(3)로부터 예열기(2)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급수량 또는 급수 유동량은 스로틀 밸브(22)가 적절하게 구동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제공된 급수 유동량에 대한 현재 매개 변수를 검출하기 위해 스로틀 밸브(22)의 하류에는 급수 라인을 통과하는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4
)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 장치(24)가 접속된다. 서보 모터(20)는 조정 요소(28)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조정 요소의 입력부 측에는 데이터 라인(30)을 통해 제공된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5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6
)과, 측정 장치(24)에 의해 검출된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7
)의 현재 실제값이 공급된다. 상기 두 신호들 사이에 차이가 형성됨으로써 후속 조정에 대한 요구가 조정 장치(28)에 전달되므로, 설정값과 실제값 사이에 편차가 있을 경우 모터(20)가 구동됨으로써 스로틀 밸브(22)의 상응하는 후속 조정이 실행된다.
급수 유동량을 예측하고 예견하거나, 추후 또는 현재 요구에 부합하게 조정하는 방식으로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8
)에 대한, 특히 요구에 부합하는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09
)을 검출하기 위해, 데이터 라인(30)의 입력부 측은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0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1
)을 사전 설정하도록 설계된 급수 관류량 조정 장치(32)에 연결된다. 상기 조정 장치는 증발기 가열면(4)에서의 열 흐름 평형에 기초해서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2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3
)을 검출하도록 설계되며, 이때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4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5
)은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4)에서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현재 전달되는 열 흐름과, 다른 한편으로 소정의 생증기 상태와 관련해서 사전 설정된 증발기 가열면(4)에서의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 상승의 비율에 기초해서 사전 설정된다. 열 회수 보일러 방식의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 자체를 위한 열 흐름 평형에 기초해서 급수 유동량에 대한 설정값을 제공하는 이와 같은 개념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 특히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열 흐름이 증발기 유입부에서 가열 가스의 현재 온도에 대한 특성 온도 매개 변수와, 가열 가스의 현재 유동량에 대한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를 고려하면서 검출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수 관류량 조정 장치(32)는 나눗셈 부재(34)를 포함하며, 상기 나눗셈 부재에는 증발기 가열면(4)에서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현재 전달되는 열 흐름에 대한 적합한 매개 변수가 분자로서 제공되고, 증발기 가열면(4)에서 유동 매체의 소정의 설정 엔탈피 상승에 대해 소정의 생증기 상태와 관련해서 적합하게 사전 설정된 매개 변수가 분모로서 제공된다. 분자 측으로, 나눗셈 부재(34)의 입력부 측은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현재 온도에 대해 제공된 특성 온도 매개 변수에 기초해서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에 대한 값을 출력값으로서 출력하는 기능 모듈(36)에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현재 온도에 대한 특성 측정값이 온도 매개 변수로서 제공된다.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는 감산 부재(38)로 출력되며, 상기 부재에서는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스의 엔탈피에 대해 기능 모듈(40)에 의해 제공된 매개 변수가 상기의 특성 매개 변수로부터 감산된다.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를 검출하기 위해, 기능 부재(40)의 입력부 측에는 가산 부재(42)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온도값들의 총합이 제공된다. 이 경우 한편으로, 압력 센서(46)에 입력부 측이 연결된 기능 부재(44)에 의해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압력에 기초해서 검출된 유동 매체의 포화 온도가 고려된다. 다른 한편으로, 소위 "핀치점" 즉,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 온도에서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비등 온도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고, 가열 가스의 유동량으로부터 검출된 온도 차이는 기능 부재(48)에 의해 고려되고, 상기 기능 부재 자체의 입력부 측에는 또 다른 기능 부재(50)에 의해 가열 가스의 현재 유동량에 대한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가 제공된다. 이로써,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는 적합한 도표, 다이어그램 등이 경우에 따라 수용되면서 가산 부재(42)에 의해 가산된 상기 2개의 온도 기여수를 토대로 기능 모듈(40)에 의해 제공된다. 이로써 감산 부재(38)는 가열 가스의 엔탈피 차이 또는 엔탈피 형성 즉,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 엔탈피와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가열 가스 엔탈피의 차이를 출력부 측에서 제공한다.
상기 엔탈피 차이는 곱셈 부재(52)에 전달되며 상기 곱셈 부재에는 그 외의 경우에 현재 측정된 측정값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가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이로써 곱셈 부재(52)는 출력부 측으로, 배기 가스에 의해 증발기 가열면(4)에 출력된 열 출력에 대한 매개 변수를 제공한다.
가열 가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열 출력에 기초해서, 실제로 유동 매체에 전달되는 열 흐름을 검출할 수 있기 위해, 증발기 가열면(4)의 성분으로, 특히 금속 매스로의 열 저장 작용 및/또는 열 방출 작용만큼 우선적으로 보정값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가열 가스에 의해 출력된 열 출력에 대한 언급한 매개 변수가 우선적으로 감산 부재(54)에 제공되며, 상기 감산 부재에서는 증발기 부품으로의 열 저장 또는 열 방출에 대한 특성 보정값이 감산된다. 상기 보정값은 기능 부재(56)에 의해 제공된다. 기능 부재 자체의 입력부 측에는, 증발기 가열면(4)의 금속 매스에 대한 평균 온도값이 검출됨으로써, 또 다른 기능 부재(58)의 출력값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또 다른 기능 부재(58)의 입력부 측은 저수 장치(6)에 배치된 압력 센서(60)에 연결되므로, 또 다른 기능 부재(58)는 유동 매체 압력에 기초해서, 예컨대 상기 압력에 해당하는 비등 온도와의 동일시를 통해 저수 장치(6)에서 금속 매스의 평균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감산 부재(54)는 출력부 측으로, 증발기 가열면(4)의 금속에 저장된 열 출력만큼 감소되는 방식으로 가열 가스에 의해 출력된 열 출력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뿐만 아니라, 이로써 유동 매체에 출력될 열 출력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를 전달한다.
상기 매개 변수는 나눗셈 부재(34)에서 분자로서 사용되며 그곳에서 상기 분자는, 상기 나눗셈으로부터 또는 상기 비율로부터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6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7
)이 형성될 수 있도록 증발기 가열면(4)에서 소정의 생증기 상태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 상승에 상응하는 분모로 나뉘어진다. 분모 즉, 수 측(water side), 증기 측 또는 유동 매체 측에서의 소정의 설정 엔탈피 상승에 대한 매개 변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나눗셈 부재(34)의 입력부 측은 감산 부재(70)에 연결된다. 감산 부재의 입력부 측에는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에 대한 소정의 설정값에 대해 기능 부재(72)에 의해 제공된 매개 변수가 공급된다. 더욱이 감산 부재(70)의 입력부 측에는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현재 엔탈피에 대해 기능 모듈(74)에 의해 제공된 매개 변수 또는 실제값이 공급되며, 상기 값은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엔탈피의 설정값에 대해 언급한 매개 변수로부터 감산 부재(70)에서 감산된다. 이때 기능 모듈(74)의 입력부 측은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실제 엔탈피에 대한 언급한 매개 변수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 센서(46) 및 온도 센서(76)에 연결된다. 이로써 감산 부재(70)에서 차이가 형성됨으로써, 소정의 생증기 상태에 따라 증발기 가열면(4)의 유동 매체 내로 도입될 엔탈피 상승이 검출되며, 이는 나눗셈 부재(34)에서 분모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는 저수 장치(6)의 수위가 조정되는 소위 "레벨 조정 모드"로의 작동을 위해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때 증발기 가열면(4)의 하류에 접속된 과열기 가열면(8, 10, 12)에는 증기만이 전달되고, 증발기 배출부 측으로 계속 함께 이송되는 물은 저수 장치(6)에서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는 수분 분리기로서도 제공되는 저수 장치(6)의 과공급 및 유동 매체의 완전한 증발이 후속 과열기 가열면(8, 10, 12)에서야 비로소 가능한 소위 "벤슨 조정 모드"로의 작동을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작동 변형예의 경우, 기능 부재(72)(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에 대한 설정값이 이 기능 부재를 통해 출력되어야 함)의 입력부 측에는 한편으로, 수분 분리기(6)의 압력에 대해 압력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실제값이 공급된다. 또한, 기능 모듈(72)의 입력부 측으로 상류에는 압력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저수 장치(6)의 실제 압력에 기초해서, 저장된 기능성 또는 소정의 생증기 상태를 이용하여 저수 장치(6)의 유동 매체의 온도에 대한 적합한 설정값을 검출하는 또 다른 기능 모듈(90)이 접속된다. 예컨대 "벤슨 조정 모드"로의 시스템 작동을 위해서는, 검출된 압력일 때 유동 매체의 포화 온도와 예컨대 35℃로 제공된 최저 과열 온도가 가산된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가 이 경우 온도에 대한 설정값으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기능 모듈(72)은 현재 압력값을 고려하면서 온도에 대한 상기 설정값을 토대로,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에 대한 언급한 설정값을 검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능 모듈(72)에 의해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유동 매체의 특성에 부합하는 값으로서 설정된 상기 설정값은 후속해서, 하류에 접속된 가산 부재(92)에서 또 다른 보정값만큼 변동한다. 기능 모듈(94)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상기 보정값은 현재 확인된 생증기 온도와 소정의 생증기 상태에 대해 실제로 바람직한 생증기 온도 사이의 편차를 실질적으로 트림(trim) 함수의 방식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편차는 특히 생증기 온도가 매우 높은 경우 분사 냉각 장치(14, 16)에 냉각 요구가 형성되고 이로써 분사 냉각 장치(14, 16)로의 냉각 매체 공급이 요구됨으로써 인식될 수 있다. 분사 냉각 장치(14, 16)로의 이와 같은 유동량이 확인되면, 기능 모듈(94)의 설계 목표는 상기 냉각 요구를 분사 냉각 장치(14, 16)로부터 분리시켜, 급수 공급 증가로 변위하는 것이다. 이에 상응하게 분사 냉각 장치(14, 16)에서의 냉각 요구가 확인된 경우, 이에 따라 상기 냉각 요구를 최소화하기 위해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소정의 엔탈피가 기능 모듈(94)에서 감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매우 낮은 생증기 온도가 확인되면, 기능 모듈(94)에 의해 제공된 보정값에 의해, 그리고 상기 보정값이 가산 모듈(92)에서 가산됨으로써 엔탈피 설정값이 상승한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의 급수 관류량 조정 장치(32)는 보호를 위해 하류의 직접 방식의 조정 루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조정 루프에서는 저수 장치(6)의 측정값에 기초해서 증발기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에 대한 실제값이 기능 모듈(100)에서 검출되어 소정의 엔탈피 즉, 설정 엔탈피값과 미분 모듈(102)에서 비교된다. 미분 모듈(102)에서 차이가 형성됨으로써 설정-실제 편차가 확인되며, 상기 편차는 가산 부재(106)에서 하류에 접속된 조정 장치(104)에 의해, 급수 유동량에 대해 나눗셈 부재(34)에 의해 제공된 설정값에 중첩된다. 이러한 중첩은 적합한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지연되고 완충되므로, 상기의 조정 작용은 요구될 때에만 즉, 조정 편차가 매우 클 때에만 실행된다.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의 유동량이 예측 조정되는 경우 조정 품질이 더욱 향상되도록,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8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19
)을 형성할 때 보정값(K)도 또한 고려되며, 상기 보정값은 적합한 측정 지점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값 및 밀도값의 시간 도함수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가산 부재(106)에 의해 출력된 중간값은 또 다른 가산 부재(108)에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중간값에 보정값(K)이 중첩된다.
이 경우 보정값(K)에 대한 기여수 또는 피갓수를 검출하기 위해, 한편으로 예열기 가열면(2)의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에 대한 밀도 매개 변수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 기능 모듈(110)의 입력부 측은 예열기 가열면(2)의 유입부 영역에 배치된 압력 센서(112)에, 마찬가지로 에열기 가열면(2)의 유입부 영역에 배치된 온도 센서(114)에 연결된다. 기능 모듈(110)은 상기 센서들에 의해 제공된 측정값에 기초해서, 예열기 가열면(2)의 유입부 영역에서의 유체 또는 유동 매체의 밀도에 대한 매개 변수를 검출하고 이는 하류에 접속된 가산 부재(116)에 출력된다. 또 다른 기능 모듈(118) 자체는 입력부 측으로 압력 센서(46) 및 온도 센서(76)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들에 의해 제공된 측정값들을 토대로 예열기 가열면(2)의 배출부 측으로 유체 또는 유동 매체에 대한 밀도 매개 변수를 검출한다. 상기의 또 다른 밀도 매개 변수는 기능 모듈(118)에 의해 마찬가지로 가산 부재(116)에 출력된다.
가산 부재(116) 자체는 유입되는 밀도 매개 변수들로 형성된 총합을 하류에 접속된 나눗셈 부재(120)에 출력하며, 언급한 총합은 상기 나눗셈 부재에서 분모인 인자 2로 나누어진다. 이로써 나눗셈 부재(120)는 예열기 가열면(2)의 평균 유체 또는 급수 밀도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를 출력부 측으로 제공한다. 상기 특성 매개 변수는 하류에 접속된 미분 부재(122)에 제공된다.
미분 부재(122)는 소위 "도함수 요소" 또는 "DT1 부재"로서 구성되며 나눗셈 부재(120)에 의해 제공된 유체 또는 유동 매체의 밀도 매개 변수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를 출력값으로서 제공하고, 상기 값은 하류에 접속된 감산 부재(124)에 출력된다.
추가로, 또 다른 미분 부재(126)가 제공되며 상기 미분 부재의 입력부 측에는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실제 엔탈피에 대해 기능 모듈(74)에 의해 생성된 특성 매개 변수가 공급된다. 미분 부재(126) 자체는 마찬가지로 소위 "도함수 요소"로서 또는 "DT1 부재"로서 구현되므로, 증발기 가열면(4)의 입력부에서의 엔탈피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를 제공한다.
상기 매개 변수는 유동 매체의 밀도값의 시간 도함수에 대해 미분 부재(122)에 의해 제공된 특성 매개 변수로부터 감산 부재(124)에서 감산된다. 따라서 감산 부재(124)는 예열기 가열면(2)의 유입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밀도의 시간 도함수와, 예열기 가열면(2)의 배출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밀도의 시간 도함수와, 증발기 가열면(4)의 입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엔탈피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기여수들로 선형으로 조합되는 출력값을 제공한다. 이로써 언급한 부분들로 형성된 이러한 보정값에서, 예열기 가열면(2) 및/또는 증발기 가열면(4)에서의 유체 측 저장 작용 또는 방출 작용은 과도적 과정의 경우 또는 부하가 변동할 경우 언급한 시간 도함수에 의해 고려된다. 상기 보정값은 가산 부재(108)에서 급수 유동량 밀도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069531-pct00020
)에 중첩된다.

Claims (11)

  1. 복수의 증발기 가열면(4)과 유동 매체 측에서 상류에 접속된 예열기 가열면(2)을 구비하며,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2106368821-pct00037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2106368821-pct00038
    )이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2106368821-pct00039
    )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제공되는 연속 흐름식 열 회수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이며,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2106368821-pct00040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2106368821-pct00041
    )을 형성할 때 한편으로 예열기 가열면(2)의 하나 이상의 예열기 가열면의 입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밀도의 시간 도함수의 특성에 따른 보정값(K)과, 다른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4)의 하나 이상의 증발기 가열면의 입력부에서의 엔탈피의 시간 도함수의 특성에 따른 보정값이 고려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한편으로 가열면(2, 4)의 입력부에서의, 다른 한편으로는 가열면의 출력부에서의 유동 매체의 밀도의 시간 도함수에 대한 특성 매개 변수들의 총합에 기초해서 형성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예열기 가열면(2)에서의 유동 매체의 밀도의 시간 도함수가 분석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함수는 각각 미분 부재(122, 126)에 의해 검출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예열기 가열면(2)에 할당된 미분 부재(122)에는 예열기 가열면(2)에서의 유동 매체의 전체 용적에 상응하는 증폭 인자가 공급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예열기 가열면(2)에 할당된 미분 부재(122)에는 예열기 가열면(2)을 통과하는 유동 매체의 연속 흐름 시간의 절반에 상응하는 시상수가 공급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377128-pct00026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377128-pct00027
    )은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4)에서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현재 열 흐름과, 다른 한편으로 증발기 가열면(4)에서 목표한 생증기 상태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유동 매체의 설정 엔탈피 상승의 비율로부터 사전 설정되고, 이때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열 흐름은 증발기 유입부에서의 가열 가스의 현재 온도에 대한 특성 온도 매개 변수와 가열 가스의 현재 유동량에 대한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를 고려하면서 검출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특성 온도 매개 변수와 특성 유동량 매개 변수 중 어느 하나로서 또는 둘 모두로서 각각 하나의 현재 측정값이 고려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가열 가스로부터 유동 매체로 전달되는 열 흐름은, 증발기 유입부와 증발기 배출부 사이의 가열 가스의 엔탈피 차이에 기초해서 검출되는,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10. 증발기 가열면(4)과, 유동 매체 측으로 상기 증발기 가열면 상류에 접속된 예열기 가열면(2)과,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377128-pct00042
    )에 대한 설정값(
    Figure 112011002377128-pct00043
    )을 기초로 안내된 급수 유동량(
    Figure 112011002377128-pct00044
    )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이며, 이때 해당 급수 관류량 조정 장치(32)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기초해서 설정값(
    Figure 112011002377128-pct00045
    )을 사전 설정하기 위해 설계되는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
  11. 제10항에 있어서, 해당 가스 터빈 시스템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가열 가스 측에 공급되는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1).
KR1020117000668A 2008-06-12 2009-05-27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및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 KR101289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10726A EP2194320A1 (de) 2008-06-12 2008-06-12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Zwangdurchlaufdampferzeuger
EP08010726.1 2008-06-12
PCT/EP2009/056469 WO2009150055A2 (de) 2008-06-12 2009-05-27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zwangdurchlaufdampferzeu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313A KR20110031313A (ko) 2011-03-25
KR101289548B1 true KR101289548B1 (ko) 2013-07-24

Family

ID=4141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668A KR101289548B1 (ko) 2008-06-12 2009-05-27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및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291345B2 (ko)
EP (2) EP2194320A1 (ko)
JP (1) JP5202731B2 (ko)
KR (1) KR101289548B1 (ko)
CN (1) CN102057218B (ko)
AR (1) AR074150A1 (ko)
AU (1) AU2009256780A1 (ko)
BR (1) BRPI0915213A2 (ko)
CA (1) CA2727579C (ko)
ES (1) ES2611587T3 (ko)
MX (1) MX2010013574A (ko)
MY (1) MY179904A (ko)
PL (1) PL2297518T3 (ko)
RU (1) RU2011100156A (ko)
TW (1) TW201009260A (ko)
WO (1) WO2009150055A2 (ko)
ZA (1) ZA2010080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5641A3 (de) * 2007-11-28 2010-06-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Zwangdurchlaufdampferzeuger
DE102010040210A1 (de) * 2010-09-03 2012-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arbeheizten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solarthermischer Durchlaufdampferzeuger
DE102010041964A1 (de) * 2010-10-05 2012-04-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kurzfristigen Leistungserhöhung einer Dampfturbine
DE102010042458A1 (de) 2010-10-14 2012-04-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ombinierten Gas- und Dampfturbinenanlage sowi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hergerichtete Gas- und Dampfturbinenanlage und entsprechende Regelvorrichtung
DK2627876T3 (en) * 2010-10-14 2015-06-15 Energreen Heat Recovery As A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power source of relatively low temperature
KR101058430B1 (ko) * 2010-12-28 2011-08-24 임주혁 증기압력을 이용한 발전소용 급수 펌핑장치
DE102011004277A1 (de) * 2011-02-17 2012-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direkt beheizten, solarthermischen Dampferzeugers
DE102011004269A1 (de) * 2011-02-17 2012-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arthermischen Parabolrinnenkraftwerks
DE102011004263A1 (de) * 2011-02-17 2012-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arbeheizten Abhitzedampferzeugers sowie solarthermischer Abhitzedampferzeuger
WO2012113662A2 (de) * 2011-02-25 2012-08-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kurzfristigen leistungserhöhung einer dampfturbine
DE102011006390A1 (de) * 2011-03-30 2012-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und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usgelegter Dampferzeuger
DE102011076968A1 (de) * 2011-06-06 2012-1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Umlauf-Abhitzedampferzeugers
CN102840889B (zh) * 2012-09-25 2015-08-19 华北电力大学(保定) 单元制电站锅炉主蒸汽流量软测量方法
DE102012218542B4 (de) 2012-10-11 2016-07-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flexiblen Betrieb einer Kraftwerksanlage
WO2015028378A2 (de) * 2013-08-28 2015-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triebsverfahren insbesondere zum anfahren eines solarthermisch beheizten zwangdurchlaufdampferzeugers
CN103697958B (zh) * 2013-12-17 2016-06-01 上海交通大学 燃煤机组汽包出口饱和蒸汽质量流量的实时计量方法
CN103776502B (zh) * 2014-01-20 2016-08-17 上海交通大学 火电机组中低压缸入口热再热蒸汽质量流量实时计量方法
DE102014222682A1 (de) 2014-11-06 2016-05-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gelungs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CA3032784C (en) 2016-08-05 2020-08-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operating a waste heat steam generator
EP3495730B1 (en) * 2017-12-08 2024-01-24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nce-through evaporator systems
EP3495729B1 (en) 2017-12-08 2020-11-25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nce-through evaporator systems
EP3495732B1 (en) 2017-12-08 2024-02-14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nce-through evaporator systems
EP3495731B1 (en) 2017-12-08 2022-02-16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nce-through evaporator systems
EP3647657A1 (de) * 2018-10-29 2020-05-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isewasserregelung für zwangdurchlauf-abhitzedampferzeuger
CN112682770B (zh) * 2020-12-25 2022-12-27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直流式蒸汽发生器压力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803A (ja) * 1986-01-31 1987-08-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貫流ボイラの制御装置
KR100251011B1 (ko) 1992-05-04 2000-04-15 칼 하인쯔 호르닝어 관류 증기 발생기
JP2008506087A (ja) 2004-07-09 2008-02-28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貫流ボイラの運転の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75258A (fr) * 1928-05-18 1930-02-07 Industrikemiska Ab Procédé et dispositif d'évaporation
NL72241C (ko) * 1951-04-26
US2879750A (en) * 1955-01-19 1959-03-31 Sulzer Ag Method and means for desalting the operating fluid of a steam generator
DK103140C (da) * 1962-01-29 1965-11-22 Von Roll Ag Kedelfyringsanlæg med to indbyrdes adskilte fyr.
DE1401348A1 (de) * 1962-08-09 1969-10-02 Continental Elektro Ind Ag Brennstoff- bzw. Speisewassermengenregelungseinrichtung an Zwangdurchlaufkesseln
US3213831A (en) * 1963-12-23 1965-10-26 Combustion Eng Vapor generating apparatus
CH432555A (de) * 1965-02-15 1967-03-31 Sulzer Ag Dampfkraftanlage mit Dampferzeuger und mit Gasturbine
US3575002A (en) * 1965-06-15 1971-04-13 Combustion Eigineering Inc Combination fossil fuel and superheated steam nuclear power plant
US3834358A (en) * 1965-07-09 1974-09-10 Babcock & Wilcox Co Vapor generator
DE1526208A1 (de) * 1966-07-26 1970-01-29 Continental Elektro Ind Ag Einrichtung zur Speisewasser- oder Brennstoffmengenregelung an Bensonkesseln od.dgl.
US3401674A (en) * 1966-09-20 1968-09-17 Combustion Eng Steam generator recirculating pump operation
DK118565B (da) * 1967-01-25 1970-09-07 Siemens Ag Gennemlobsdampgenerator.
US3470853A (en) * 1967-09-08 1969-10-07 Steinmueller Gmbh L & C Steam producing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R1594251A (ko) * 1967-12-12 1970-06-01
US3576178A (en) * 1969-12-24 1971-04-27 Combustion Eng Shell-and-tube steam generator with economizer
DE2118028A1 (de) * 1971-04-14 1973-03-15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regelung an einem waermeaustauscher
NL7204745A (ko) * 1972-04-10 1973-10-12
US4211207A (en) * 1974-04-02 1980-07-08 Stephen Molivadas Heating and cooling systems
DE2758278C2 (de) * 1977-12-27 1986-05-28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zulässigen Laständerungsgeschwindigkeit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4930454A (en) * 1981-08-14 1990-06-05 Dresser Industries, Inc. Steam generating system
US4551796A (en) * 1983-06-03 1985-11-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Liquid level control system for vapor generator
US5020335A (en) * 1986-07-09 1991-06-04 Walter F. Albers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heat and mass transfer
EP0349834B1 (de) * 1988-07-04 1996-04-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US5031466A (en) * 1990-05-29 1991-07-16 Texa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eam quality and mass flow rate
JPH07158808A (ja) * 1993-12-03 1995-06-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ボイラ起動時のファジー制御方法
US5485754A (en) * 1994-04-21 1996-01-23 In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air flow component and water vapor component of air/water vapor streams flowing under vacuum
US6053725A (en) * 1995-03-03 2000-04-25 Selany Corporation N.V. Method of and device for producing energy
RU2152556C1 (ru) * 1995-03-16 2000-07-10 Сименс АГ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дачи питательной воды к парогенератору
US5968320A (en) * 1997-02-07 1999-10-19 Stelco, Inc. Non-recovery coke oven gas combustion system
DE19717158C2 (de) * 1997-04-23 1999-11-11 Siemens Ag Durchlaufdampferzeuger und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RU2193726C2 (ru) * 1997-06-30 2002-11-27 Сименс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Парогенератор, работающий на отходящем тепле
EP0894948B1 (de) * 1997-07-28 2003-01-15 ALSTOM (Switzerland) Ltd Kombinierte Gas-Dampf-Kraftwerksanlage mit Zwangsdurchlaufdampferzeuger
DE19736885A1 (de) * 1997-08-25 1999-03-04 Siemens Ag Dampferzeuger, insbesondere Abhitzedampferzeuger und Verfahren zum Betrieb dieses Dampferzeugers
DK1086339T3 (da) * 1998-06-10 2002-04-15 Siemens Ag Fossilt fyret gennemløbsdampgenerator
ATE267360T1 (de) * 1998-08-20 2004-06-15 Martin Umwelt & Energietech Dampferzeuger für überhitzten dampf für verbrennungsanlagen mit korrosiven rauchgasen
DE19846225C2 (de) * 1998-10-07 2002-05-29 Siemens Ag Gas- und Dampfturbinenanlage
DE19858780C2 (de) * 1998-12-18 2001-07-05 Siemens Ag Fossilbeheizter Durchlaufdampferzeuger
DE19901621A1 (de) * 1999-01-18 2000-07-27 Siemens Ag Fossilbeheizter Dampferzeuger
EP1285150B1 (de) * 2000-05-31 2006-07-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r dampfturbine mit mehreren stufen im leerlauf oder schwachlastbetrieb
DE10127830B4 (de) * 2001-06-08 2007-01-11 Siemens Ag Dampferzeuger
WO2003001046A2 (de) * 2001-06-21 2003-01-03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maschine
EP1277920A1 (de) * 2001-07-19 2003-0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renners einer Gasturbine sowie Kraftwerksanlage
EP1288567A1 (de) * 2001-08-31 2003-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ampferzeugers mit einem in einer annähernd horizontalen Heizgasrichtung durchströmbaren Heizgaskanal und Dampferzeuger
WO2003076769A1 (de) * 2002-03-14 2003-09-18 Alstom Technology Ltd Wärmekraftprozess
WO2004015253A1 (ja) * 2002-08-09 2004-02-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熱交換器における作動媒体の供給制御装置
EP1443268A1 (de) * 2003-01-31 2004-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mpferzeuger
EP1512906A1 (de) * 2003-09-03 2005-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in liegender Bauweis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urchlaufdampferzeugers
EP1512907A1 (de) * 2003-09-03 2005-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und Durchlaufdampferze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1512905A1 (de) * 2003-09-03 2005-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urchlaufdampferzeugers
EP1682750B1 (de) * 2003-10-30 2012-11-28 Alstom Technology Ltd Kraftwerksanlage
EP1701091A1 (de) * 2005-02-16 2006-09-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US20130075245A1 (en) * 2009-12-16 2013-03-28 F. Alan Frick Methods and systems for heating and manipulating fluids
US20130125842A1 (en) * 2009-12-16 2013-05-23 Franklin Alan Frick Methods and systems for heating and manipulating fluids
US20120048717A1 (en) * 2009-12-16 2012-03-01 Franklin Alan Frick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eating and manipulating fluid
EP2065641A3 (de) 2007-11-28 2010-06-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Zwangdurchlaufdampferzeuger
DE102011004277A1 (de) * 2011-02-17 2012-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direkt beheizten, solarthermischen Dampferzeugers
DE102011076968A1 (de) * 2011-06-06 2012-1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Umlauf-Abhitzedampferzeug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803A (ja) * 1986-01-31 1987-08-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貫流ボイラの制御装置
KR100251011B1 (ko) 1992-05-04 2000-04-15 칼 하인쯔 호르닝어 관류 증기 발생기
JP2008506087A (ja) 2004-07-09 2008-02-28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貫流ボイラの運転のための方法
US20080066695A1 (en) 2004-07-09 2008-03-20 Axel Butterlin Process for Operating a Continuous Steam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91345B2 (en) 2016-03-22
MX2010013574A (es) 2011-02-15
US20110139094A1 (en) 2011-06-16
KR20110031313A (ko) 2011-03-25
AR074150A1 (es) 2010-12-29
WO2009150055A2 (de) 2009-12-17
JP2011523019A (ja) 2011-08-04
MY179904A (en) 2020-11-19
EP2297518B1 (de) 2016-10-19
PL2297518T3 (pl) 2017-05-31
CN102057218B (zh) 2015-02-04
JP5202731B2 (ja) 2013-06-05
BRPI0915213A2 (pt) 2016-02-16
ZA201008086B (en) 2012-01-25
TW201009260A (en) 2010-03-01
CA2727579A1 (en) 2009-12-17
WO2009150055A3 (de) 2010-06-17
AU2009256780A1 (en) 2009-12-17
CA2727579C (en) 2016-09-20
EP2194320A1 (de) 2010-06-09
EP2297518A2 (de) 2011-03-23
RU2011100156A (ru) 2012-07-20
ES2611587T3 (es) 2017-05-09
CN102057218A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48B1 (ko)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및 강제 연속 흐름식 증기 발생기
US948242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once-through steam generator and forced-flow steam generator
CN1906441B (zh) 直流式锅炉的运行方法
KR101606293B1 (ko) 재순환식 폐열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KR20110094000A (ko) 폐열 증기 발생기의 작동 방법
KR20130115281A (ko) 가스 및 증기 터빈 복합 발전 설비의 작동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 가스 및 증기 터빈 복합 발전 설비와, 상응하는 조절 장치
CN103781997B (zh) 用于在内燃机中调节热能利用装置的方法
KR101972243B1 (ko) 관류 증기 발전기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 방법
US11530812B2 (en) Feedwater control for a forced-flow waste-heat steam generator
US2013031940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olar-thermal parabolic trough power plant
JP6623859B2 (ja) 蒸気過熱システム
JPH09145004A (ja) 加圧流動層ボイラの緊急停止時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