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722B1 -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722B1
KR101287722B1 KR1020137012665A KR20137012665A KR101287722B1 KR 101287722 B1 KR101287722 B1 KR 101287722B1 KR 1020137012665 A KR1020137012665 A KR 1020137012665A KR 20137012665 A KR20137012665 A KR 20137012665A KR 101287722 B1 KR101287722 B1 KR 10128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tact member
shaft
contact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861A (ko
Inventor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Original Assignee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filed Critical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Publication of KR2013006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9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side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끼움식 미끄럼 방지 장치의 미끄럼 방지체의 내부폭을 조정하기 위해 어떠한 작업도 요구되지 않는다. 미끄럼 방지 장치는 U형 단면을 갖는 미끄럼 방지체를 자동차 타이어 내에 끼우고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미끄럼 방지체를 배열하고 연결한다. 미끄럼 방지체는 그 외측부에 배치된 타이어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부재 및 그 내측부에 배치된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부재를 갖는다. 샤프트(7)가 타이어(T)의 축방향 중심 방향을 따라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에 부착된다. 샤프트는 타이어의 축방향 중심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접촉 부재(6)는 샤프트의 내측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전방 추진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9)가 접촉 부재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 상에 배치된다. 접촉 부재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압박된다.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접촉 부재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접촉 부재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접촉 부재측으로 이동할 때, 접촉 부재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TIRE ANTI-SKID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에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anti-skid)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에는 U형 단면을 갖는 미끄럼 방지체가 자동차의 타이어에 끼워져 있는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이는 소위 끼워맞춤(fit-in)식이라 한다. 2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체가 서로 연결되도록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2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체는 원형 방식으로 타이어에 부착된다. 미끄럼 방지 장치가 타이어로부터 탈착될 때, 미끄럼 방지체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이에 의해 타이어로부터 해제된다.
U형 단면을 갖는 각각의 미끄럼 방지체는 타이어의 접지면을 횡단하는 횡단부, 타이어의 외측면을 따른 외측부 및 타이어의 내측면을 따른 내측부를 갖는다.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는 타이어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한다. 미끄럼 방지체의 내측부는 타이어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한다. 접촉 부재들은 미끄럼 방지체의 폭방향 및 타이어의 축방향에서 이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미끄럼 방지체는 외측 접촉부재와 내측 접촉 부재 사이의 미끄럼 방지체의 폭방향에서의 거리, 즉 내부폭을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미끄럼 방지체의 내부폭은 타이어의 폭에 따라 조정된다.
일본 특허 제3557464호 일본 특허 제3718779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308149호
[과제]
이러한 끼워맞춤식의 미끄럼 방지 장치에서, 사용 전에 미끄럼 방지체는 자동차의 타이어의 폭에 따라 적절한 내부폭을 갖도록 조정된다. 미끄럼 방지체의 내부폭은 미끄럼 방지 장치의 사용 중 및 자동차의 주행 중에 유지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타이어는 충전 공기량 및 차체 내의 적재 중량의 증감 뿐만 아니라 차체가 주행 중에 받는 힘의 변동에 기인하여 변형되고, 따라서 축방향에서의 폭이 변동한다. 타이어의 폭은 또한 미끄럼 방지 장치가 타이어에 부착된 후에도 자동차가 주행하는 동안 증감한다.
미끄럼 방지체가 내부폭을 조정하기 위해 적은 시간 및 노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상]
끼워맞춤식의 미끄럼 방지 장치에서, 미끄럼 방지체는 접촉 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의 측면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이루어진다. 타이어의 폭이 감소하고 접촉 부재와 접촉된 타이어의 측면이 접촉 부재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접촉 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대조적으로, 타이어의 폭이 증가하고 접촉 부재와 접촉된 타이어의 측면이 접촉 부재측으로 이동할 때, 접촉 부재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접촉 부재는 타이어의 측면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접촉 부재와 타이어의 측면 사이의 접촉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는 미끄럼 방지체의 폭방향을 따라 샤프트가 그에 부착된다. 이들 샤프트는 미끄럼 방지체의 폭방향으로 그리고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접촉 부재는 미끄럼 방지체 내로 돌출하는 샤프트의 내측 단부에 제공된다. 탄성 부재는 접촉 부재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도록 제공된다.
1. 미끄럼 방지 장치는 U형 단면을 갖는 2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체가 자동차의 타이어에 끼워지고 서로 연결되도록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미끄럼 방지체는 외측부 및 내측부를 갖는다. 외측부는 타이어의 외측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를 구비한다. 내측부는 타이어의 내측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를 구비한다.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는 타이어의 축방향을 따라 샤프트가 그에 부착되어, 샤프트가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접촉 부재는 미끄럼 방지체 내로 돌출하는 샤프트의 내측 단부에 제공된다. 탄성 부재가 접촉 부재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도록 제공된다.
접촉 부재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대해 가압된다. 접촉 부재는 접촉 부재와 접촉된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접촉 부재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접촉 부재는 접촉 부재와 접촉된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접촉 부재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2. 상기 1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에서, 탄성 부재는 샤프트의 내측 단부측 부분이 삽입되고 접촉 부재와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 사이에 끼워지는 나선형 스프링일 수도 있다.
3. 상기 2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에서, 나선형 스프링은 최대로 수축될 때 소용돌이 형상인 벌류트 스프링(volute spring)일 수도 있다.
4. 상기 2 또는 3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에서, 미끄럼 방지체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의 외측 단부는 리테이너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샤프트의 외측 단부측 부분은 외측 조정판 내에 삽입될 수도 있고, 외측 조정판은 리테이너와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다.
5. 상기 2, 3 또는 4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에서, 샤프트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내측 조정판 내에 삽입될 수도 있고, 내측 조정판 및 나선형 스프링은 접촉 부재와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체는 그 내부폭이 타이어의 폭에 따라 증감하게 된다. 내부폭의 조정은 적은 시간 및 노력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가 타이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미끄럼 방지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미끄럼 방지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라인 A-A를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미끄럼 방지체와 제2 미끄럼 방지체 사이의 연결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연결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라인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라인 C-C를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연결 부분의 연결구의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봉형 연결봉이 튜브형 연결구로부터 당겨 빠지게 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7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가 타이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라인 D-D를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3 예의 미끄럼 방지 장치의 접촉 부재 및 관련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접촉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4 예의 미끄럼 방지 장치의 접촉 부재 및 관련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조정판이 접촉 부재 및 관련 부분에 추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4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제1 예(도 1 내지 도 9 참조)]
도 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미끄럼 방지 장치가 자동차의 타이어(T)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자동차의 외측으로부터 보여진다. 자동차의 외측이 되는 부분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내측이 되는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장치는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도 1에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정회전 방향에서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제1 미끄럼 방지체(1a), 제2 미끄럼 방지체(1b) 및 제3 미끄럼 방지체(1c)[여기에 개별적으로 나타냄, 미끄럼 방지체 또는 미끄럼 방지체들(1)이라 총칭함]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타이어(T)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3개의 미끄럼 방지체(1a, 1b, 1c)는 동일한 구조로서 제조된다. 이에 따라, 제1 미끄럼 방지체(1a)가 대표로 설명될 것이다. 제1 미끄럼 방지체(1, 1a)는 전방측 U형 부재(2), 후방측 U형 부재(3) 및 내측 선형 부재(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및 후방측 U형 부재(2, 3)는 둥근봉이 타이어(T)의 외주측에 끼워지기 위해 U 형상으로 만곡되는 공간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U형 부재(2, 3)는 타이어(T)의 트레드 영역(접지 영역)을 횡단하는 횡단부(2a, 3a), 타이어(T)의 외측면을 따르는 외측부(2b, 3b) 및 타이어(T)의 내측면을 따르는 내측부(2c, 3c)를 갖는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 부재(2, 3)는 약 60도의 중심각을 형성하도록 타이어(T)에 끼워지게 된다.
전방측 U형 부재(2)는 외측부(2b)가 타이어(T)의 반경 방향을 따라 주로 배치되고 외측부(2b)의 단부가 절곡되어 전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외측부(2b)의 전방측 돌출 부분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전방측 U형 부재(2)는 내측부(2c)가 타이어(T)의 반경 방향을 따라 주로 배치되고 내측부(2c)의 단부는 절곡되어 후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내측부(2c)의 후방측 돌출 부분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후방측 U형 부재(3)는 외측부(3b)가 타이어(T)의 반경 방향을 따라 주로 배치되고 외측부(3b)의 단부는 절곡되어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외측부(3b)의 후방측 돌출 부분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후방측 U형 부재(3)는 내측부(3c)가 타이어(T)의 반경 방향을 따라 주로 배치되고 내측부(3c)의 단부는 절곡되어 전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내측부(3c)의 전방측 돌출 부분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내측 선형 부재(4)는 체인으로서 제공된다. 이 체인(4)은 서로에 대해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트링 형상으로 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판형 링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측 선형 부재(4)는 리프 체인(leaf chain)으로서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선형 부재(4)의 선단부는 샤프트(7)에 의해 전방측 U형 부재(2)의 내측부(2c)의 후단부에 부착된다. 샤프트(7)는 선형 부재(4)의 선단부 및 전방측 U형 부재(2)의 내측부(2c)의 후단부를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한다. 선단부와 같이, 내측 선형 부재(4)의 후단부는 또한 샤프트(7)에 의해 후방측 U형 부재(3)의 내측부(3c)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이 샤프트(7)는 선형 부재(4)의 후단부 및 후방측 U형 부재(3)의 내측부(3c)의 선단부를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한다.
미끄럼 방지체(1)는 타이어(T)에 끼워지기 위한 U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U형 단면을 갖는 미끄럼 방지체(1), 특히 전방측 및 후방측 U형 부재(2, 3)의 횡단부(2a, 3a)는 타이어(T)의 접지면을 횡단하는 횡단부를 구성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체(1), 특히 전방측 및 후방측 U형 부재(2, 3)의 외측부(2b, 3b)는 타이어(T)의 외측면을 따르는 외측부를 구성한다. 더욱이, 전방측 및 후방측 U형 부재(2, 3)의 내측부(2c, 3c) 및 내측 선형 부재(4)는 타이어(T)의 내측면을 따르는 내측부를 구성한다.
미끄럼 방지체(1)의 내측부에서 전방측 및 후방측 샤프트(7) 각각은 미끄럼 방지체(1)의 폭방향에서, 즉 타이어(T)의 축방향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샤프트(7)의 내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 내로 돌출하고, 동심 방식으로 디스크형 접촉 부재(6)가 그에 고정된다. 접촉 부재(6)는 샤프트(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샤프트(7)의 외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로부터 돌출되고, 리테이너로서 분할핀(8)이 그를 통해 부착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 내에 삽입된다.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와 미끄럼 방지체(1)의 내측부 사이에 끼워진다. 이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가 그에 부착된 샤프트(7)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성한다. 내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T)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더 상세히, 내측 접촉 부재(6)는 타이어(T)의 내측면의 내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타이어(T)의 폭이 감소하고 내측 접촉 부재(6)와 접촉된 타이어(T)의 내측면이 내측 접촉 부재(6)로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내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대조적으로, 타이어(T)의 폭이 증가하고 내측 접촉 부재(6)와 접촉된 타이어(T)의 내측면이 내측 접촉 부재(6)의 측으로 이동할 때, 내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내측 접촉 부재(6)는 타이어(T)의 내측면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한다. 내측 접촉 부재(6)와 타이어(T)의 내측면 사이의 접촉이 따라서 유지된다.
전방측 U형 부재(2)의 외측부(2b)의 선단부는 샤프트(7)에 의해 전방측 연결 부재(11)가 그에 부착된다. 샤프트(7)는 전방측 U형 부재(2)의 외측부(2b)의 선단부 및 전방측 연결 부재(11)의 후단부를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한다. 후방측 U형 부재(3)의 외측부(3b)의 후단부는 샤프트(7)에 의해 후방측 연결 부재(12)가 그에 부착된다. 이 샤프트(7)는 후방측 U형 부재(3)의 외측부(3b)의 후단부 및 후방측 연결 부재(12)의 선단부를 타이어(T)의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연결 부재(11, 12)는 샤프트(7) 주위로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결 부재(11, 12)는 체인의 판형 링크로서 제공된다.
미끄럼 방지체(1)의 외측부에서 전방측 및 후방측 샤프트(7) 각각은 미끄럼 방지체(1)의 폭방향에서, 즉 타이어(T)의 축방향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샤프트(7)의 내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 내로 돌출하고, 동심 방식으로 디스크형 접촉 부재(6)가 그에 고정된다. 접촉 부재(6)는 샤프트(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샤프트(7)의 외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로부터 돌출되고, 리테이너로서 분할핀(8)이 그를 통해 부착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 내에 삽입된다.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와 미끄럼 방지체(1)의 외측부 사이에 끼워진다. 이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가 그에 부착된 샤프트(7)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성한다. 외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T)의 외측면과, 더 상세히, 외측면의 내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타이어(T)의 폭이 감소하고 외측 접촉 부재(6)와 접촉된 타이어(T)의 외측면이 외측 접촉 부재(6)로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외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대조적으로, 타이어(T)의 폭이 증가하고 외측 접촉 부재(6)와 접촉된 타이어(T)의 외측면이 외측 접촉 부재(6)의 측으로 이동할 때, 외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외측 접촉 부재(6)는 타이어(T)의 외측면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한다. 외측 접촉 부재(6)와 타이어(T)의 외측면 사이의 접촉이 따라서 유지된다.
전방측 U형 부재(2)는 외측부(2b)를 구비한 외측 접촉 부재(6) 및 내측부(2c)를 구비한 내측 접촉 부재(6)가 이들이 미끄럼 방지체(1)의 폭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경사 대향 위치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외측 및 내측 접촉 부재(6) 사이의 거리(L)는 미끄럼 방지체(1)의 내부폭(W)보다 길다. 미끄럼 방지체(1)의 전방부는 타이어(T)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후방측 U형 부재(3)는 외측부(3b)를 구비한 외측 접촉 부재(6) 및 내측부(3c)를 구비한 내측 접촉 부재(6)가 이들이 미끄럼 방지체(1)의 폭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경사 대향 위치에 배열되도록 또한 구성된다. 외측 및 내측 접촉 부재(6) 사이의 거리(L)는 미끄럼 방지체(1)의 내부폭(W)보다 길다. 미끄럼 방지체(1)의 후방부는 또한 타이어(T)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전방측 연결 부재(11)의 선단부는 봉형 연결구(21)가 그에 부착된다. 후방측 연결 부재(12)의 후단부는 튜브형 연결구(22)가 그에 부착된다. 봉형 연결구(21) 및 튜브형 연결구(22)는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구조의 3개의 쌍의 연결구(21, 22)가 3개의 미끄럼 방지체(1a 내지 1c)를 연결하도록 채용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제1 미끄럼 방지체(1a)와 제2 미끄럼 방지체(1b) 사이의 연결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봉형 연결구(21)는 둥근봉 형상을 갖고, 그 부착 단부는 핀(26)을 사용하여 전방측 연결 부재(11)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봉형 연결구(21)는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르는 핀(26) 주위로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복수의 연결 구멍(27)이 직경 방향으로 그를 통해 통과하도록 둥근봉 형상 봉형 연결구(21) 내에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 구멍(27)은 봉형 연결구(21)의 종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튜브형 연결구(22)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부착 단부는 핀(31)을 사용하여 후방측 연결 부재(12)의 후단부에 부착된다. 튜브형 연결구(22)는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른 핀(31) 주위로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튜브형 연결구(22)는 봉형 연결구(21)가 중심 구멍의 단부의 개구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중심 구멍을 갖는다.
조작 부재가 튜브형 연결구(22)에 부착된다. 조작 부재는 서로 병렬로 배열된 부착봉(32) 및 연결봉(33)이 조작봉(34)에 의해 연결되어, 따라서 후크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부착봉(32)은 연결봉(33)보다 길다. 한 쌍의 부착 구멍(35) 및 한 쌍의 연결 구멍(36)이 횡단 방향으로 그를 통해 통과하도록 튜브형 연결구(22)에 형성된다. 부착 구멍(35)은 튜브형 연결구(22)의 부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연결 구멍(36)은 튜브형 연결구(22)의 자유 단부측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는 부착봉(32)이 튜브형 연결구(22)의 부착 구멍(35) 내에 삽입되고 연결봉(33)은 튜브형 연결구(22)의 연결 구멍(36) 내에 삽입되도록 설정된다. 조작봉(34)은 튜브형 연결구(22)에 평행하고 타이어(T)의 중심에 대해 반대측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32, 33, 34)는 튜브형 연결구(22)의 횡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조작봉(34)이 튜브형 연결구(22)로부터 이격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연결봉(33)은 부착봉(32)이 부착 구멍(35) 내에 삽입 유지되는 동안 연결 구멍(36)으로부터 당겨 빠지게 된다. 조작봉(34)이 튜브형 연결구(22)에 근접하게 되도록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연결봉(33)은 튜브형 연결구(22)의 중심 구멍을 횡단하도록 연결 구멍(36) 내에 삽입된다.
부착봉(32)은 그 단부측 부분이 튜브형 연결구(22)로부터 조작봉(34)에 대해 반대측을 향해 돌출하고 나선형 스프링(37) 내에 삽입되도록 설정되고, 스프링 리테이너(38)는 이어서 부착봉(32)의 단부에 부착된다. 나선형 스프링(37)은 튜브형 연결구(22)와 스프링 리테이너(38) 사이에 끼워진다. 나선형 스프링(37)은 조작 부재(32, 33, 34)에 후방 이동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성한다.
봉형 연결구(21) 및 튜브형 연결구(22)가 서로 연결될 때, 조작 부재(32, 33, 34)는 탄성 부재로서 나선형 스프링(37)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봉(3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연결구(22)의 중심 구멍으로부터 대피된다. 연결봉(33)의 대피 상태에서, 봉형 연결구(21)는 튜브형 연결구(22)의 중심 구멍 내에 삽입된다. 조작 부재는 이어서 탄성 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33)은 튜브형 연결구의 연결 구멍(36) 및 봉형 연결구의 연결 구멍(27) 중 하나 내에 삽입된다. 연결봉(33)이 그 내부에 삽입될 연결 구멍(27)은 연결봉(33)이 봉형 연결구의 연결 구멍(27) 중 하나 내에 삽입될 때 선택된다. 봉형 연결구(21) 및 튜브형 연결구(22)의 연결 길이는 타이어의 외경 또는 외주 길이(T)에 따라 조정된다.
봉형 연결구(21) 및 튜브형 연결구(22)가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 조작 부재(32, 33, 34)는 탄성 부재(37)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봉(33)은 튜브형 연결구의 연결 구멍(36) 및 봉형 연결구의 연결 구멍(27)으로부터 당겨 빠지게 된다. 봉형 연결구(21)는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연결구(22)로부터 당겨 빠지게 된다.
[제2 예(도 10 및 도 11 참조)]
본 예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미끄럼 방지체(1), 즉 제1 미끄럼 방지체(1a) 및 제2 미끄럼 방지체(1b)를 포함한다. 2개의 미끄럼 방지체(1a, 1b)는 벨트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미끄럼 방지체(1a, 1b)는 전방측 U형 부재(2) 및 후방측 U형 부재(3)의 구성과 관련하여 변형되어 있다. 접촉 부재(6)용 부착 구성이 또한 변경되어 있다.
전방측 U형 부재(2) 및 후방측 U형 부재(3)는 벨트형 사각 바아(square bar)가 U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각각 구성된다. 각각의 전방측 U형 부재(2)의 외측부(2b)는 제1 예에서 전방측 돌출 부분을 갖고 형성되는 것 대신에 핀(15)에 의해 전방측 돌출 부재(16)가 그에 부착된다. 내측부(2c)는 제1 예에서 후방측 돌출 부분을 갖고 형성되는 것 대신에 핀(15)에 의해 후방측 돌출 부재(17)가 그에 부착된다. 전방측 돌출 부재(16) 및 후방측 돌출 부재(17)는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의 샤프트(15) 주위에서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후방측 U형 부재(3)의 외측부(3b)는 제1 예에서 후방측 돌출 부분을 갖고 형성되는 것 대신에 핀(15)에 의해 후방측 돌출 부재(18)가 그에 부착된다. 내측부(3c)는 제1 예에서 전방측 돌출 부분을 갖고 형성되는 것 대신에 핀(15)에 의해 전방측 돌출 부재(19)가 그에 부착된다. 후방측 돌출 부재(18) 및 전방측 돌출 부재(19)는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의 샤프트(15) 주위에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예에서와 같은 내측 선형 부재(4)가 후방측 돌출 부재(17)와 전방측 돌출 부재(19) 사이에 현수되어 그 선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의 핀(20)을 사용하여 부착되게 된다. 핀(20)은 내측 선형 부재(4)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 및 후방측 돌출 부재(17) 또는 전방측 돌출 부재(19)를 타이어(T)의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선형 연결 부재(5)는 제1 미끄럼 방지체(1a)의 후방측 돌출 부재(18)와 제2 미끄럼 방지체(1b)의 전방측 돌출 부재(16) 사이에 현수되어 그 선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의 핀(20)을 사용하여 부착되게 된다. 핀(20)은 연결 부재(5)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 및 제1 미끄럼 방지체(1a)의 후방측 돌출 부재(18) 또는 제2 미끄럼 방지체(1b)의 전방측 돌출 부재(16)를 타이어(T)의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연결 부재(5)는 리프 체인과 같은 선형 부재(4)와 같은 체인으로서 제공된다. 제1 미끄럼 방지체(1a) 및 제2 미끄럼 방지체(1b)는 벨트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전방측 연결 부재(11)는 핀(20)을 사용하여 제1 미끄럼 방지체(1a)의 전방측 돌출 부재(16)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핀(20)은 전방측 연결 부재(11) 및 제1 미끄럼 방지체(1a)의 전방측 돌출 부재(16)를 타이어(T)의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전방측 연결 부재(11)는 제1 예에서와 같은 튜브형 연결구(22)가 그에 부착된다. 후방측 연결 부재(12)는 핀(20)을 사용하여 제2 미끄럼 방지체(1b)의 후방측 돌출 부재(18)의 후방 단부에 부착된다. 핀(20)은 후방측 연결 부재(12) 및 제2 미끄럼 방지체(1b)의 후방측 돌출 부재(18)를 타이어(T)의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후방측 연결 부재(12)는 제1 예에서와 같이 봉형 연결구(21)가 그에 부착된다.
전방측 돌출 부재(16) 및 후방측 돌출 부재(18)는 타이어(T)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각각의 외측 접촉 부재(6)를 구비한다. 후방측 돌출 부재(17) 및 전방측 돌출 부재(19)는 타이어(T)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각각의 내측 접촉 부재(6)를 구비한다. 외측 및 내측 접촉 부재(6)는 동일한 부착 구조를 갖는다. 외측 접촉 부재(6)가 전방측 돌출 부재(16)에 부착되는 구조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내측 접촉 부재(6)가 후방측 돌출 부재(17)에 부착되는 구조가 또한 설명될 것이다.
샤프트(7)는 미끄럼 방지체(1)의 폭방향, 즉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전방측 돌출 부재(16)를 관통한다. 샤프트(7)는 타이어(T)의 축방향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 내로 돌출되고 디스크형 접촉 부재(6)가 그에 고정된다. 샤프트(7)의 외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로부터 돌출되고, 리테이너로서 분할핀(8)이 그에 부착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 내로 삽입된다.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와 전방측 돌출 부재(16) 사이에 끼워진다. 이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7)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성한다. 외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T)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다른 샤프트(7)가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측 돌출 부재(17)를 관통한다. 샤프트(7)는 타이어(T)의 축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 내로 돌출하고, 디스크형 접촉 부재(6)가 그에 고정된다. 샤프트(7)의 외측 단부는 미끄럼 방지체(1)로부터 돌출하고, 리테이너로서 분할핀(8)이 그를 통해 부착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 내에 삽입된다.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와 후방측 돌출 부재(17) 사이에 끼워진다. 이 나선형 스프링(9)은 접촉 부재(6)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7)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성한다. 내측 접촉 부재(6)는 탄성 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T)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7)는 접촉 부재(6)에 전용된다. 전방측 돌출 부재(16) 및 후방측 돌출 부재(17)는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로서 기능한다.
본 예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가 타이어(T)에 부착될 때, 벨트형 제1 미끄럼 방지체(1a) 및 제2 미끄럼 방지체(1b)는 결합되어 타이어(T)의 상측부 상에 적재된다. 제1 미끄럼 방지체(1a)의 후방부는 타이어(T)의 좌하부 주위에 전방부를 현수하면서 타이어(T)의 좌상부에 끼워진다. 제2 미끄럼 방지체(1b)의 전방부는 타이어(T)의 우하부 주위에 후방부를 현수하면서 타이어(T)의 우상부에 끼워진다. 제1 미끄럼 방지체(1a)의 전방측 튜브형 연결구(22) 및 제2 미끄럼 방지체(1b)의 후방측 로드형 연결구(21)는 서로 연결된다. 타이어(T)로부터 탈착될 때, 봉형 연결구(21) 및 튜브형 연결구(22)는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특징은 제1 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은 제1 예의 것들과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기호로 나타낸다.
[제3 예(도 12 및 도 13 참조)]
본 예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예에서 접촉 부재(6)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7)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각각의 탄성 부재가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인 것 대신에, 벌류트 스프링(42)과 같은 원형 절두 원추 튜브형 나선형 스프링으로 대체되어 있다.
샤프트(7)는 미끄럼 방지체의 폭방향, 즉 타이어(T)의 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방지체의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41)를 관통한다. 샤프트(7)는 타이어(T)의 축방향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는 디스크형 접촉 부재(6)가 그에 고정된다. 샤프트(7)의 외측 단부는 리테이너로서 분할핀(8)이 그를 통해 부착된다. 샤프트(7)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벌류트 스프링(42) 내에 삽입된다. 벌류트 스프링(42)은 접촉 부재(6)와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41) 사이에 끼워진다.
최대로 수축될 때, 벌류트 스프링(4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이 되어, 최소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접촉 부재(6)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진다. 미끄럼 방지체의 내부폭에 대한 조정 범위가 또한 확장된다.
다른 특징은 제1 또는 제2 예의 것들과 유사하다.
[제4 예(도 14 및 도 15 참조)]
본 예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판(43, 44)이 제3 예의 접촉 부재(6)용 부착 구조에 추가되어 있게 되어 있다.
제3 예의 것과 유사한 접촉 부재(6)용 부착 구조는 리테이너로서 분할핀(8)이 샤프트(7)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7)의 외측 단부측 부분은 원형링판형 조정판(43) 내에 삽입된다. 조정판(43)은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41)와 분할핀(8) 사이에 끼워진다. 본 예에서, 조정판(43)은 와셔이다.
외측 조정판(43)은 접촉 부재(6)가 적은 돌출 길이를 갖고 미끄럼 방지체 내로 돌출되게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게다가, 탄성 부재(42)의 탄성력이 또한 향상된다. 대조적으로, 외측 조정판(43)이 탈착되면, 미끄럼 방지체 내로의 돌출 길이가 증가한다. 이 경우에, 탄성 부재(42)의 탄성력이 감소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샤프트(7)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원형링판형 조정판(44) 내에 삽입된다. 조정판(44)은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41)와 탄성 부재(42) 사이에 끼워진다. 본 예에서, 조정판(44)은 와셔이다.
내측 조정판(44)은 미끄럼 방지체 내로 접촉 부재(6)의 일정한 돌출 길이를 갖는 것에 무관하게, 탄성 부재(42)의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대조적으로, 내측 조정판(44)이 탈착되면, 탄성 부재(42)의 탄성력은 미끄럼 방지체 내로의 일정한 돌출 길이를 갖는 것에 무관하게 감소된다.
탄성 부재(42)의 탄성력 및 접촉 부재(6)의 돌출 길이는 외측 조정판(43) 및/또는 내측 조정판(44)이 부착되는지 탈착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또는 그 각각이 하나 이상의 판을 포함할 수 있는 외측 조정판(43) 및 내측 조정판(44)의 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게다가, 하나 이상의 내측 조정판(44)이 탄성 부재(42)와 접촉 부재(6) 사이에 끼워질 수 있어 이에 의해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특징은 제3 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은 제3 예의 것들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변형예]
1. 상기 실시예들에서, 외측 및 내측 접촉 부재(6)의 모두는 타이어(T)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 가능하지만, 외측 또는 내측 접촉 부재(6) 중 어느 하나만이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들에서, 접촉 부재(6)용 부착 구조는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 또는 원형 절두 원추 튜브형 나선형 스프링(42)이 접촉 부재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7)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로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탄성 부재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들의 제4 예에서, 외측 및 내측 조정판(43, 44)은 원형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또한 말굽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예들에서, 접촉 부재(6)의 부착 구조는 분할핀(8)이 샤프트(7)를 보유하기 위한 리테이너로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지만, 잠금너트 및 보유링과 같은 다른 보유 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들에서,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는 제1 예에서 U형 부재(2 또는 3)이고, 제2 예에서 U형 부재(2 또는 3)에 부착된 부재(16 내지 19, 41) 중 하나이지만, 또한 내측 선형 부재(4), 전방측 연결 부재(11), 후방측 연결 부재(12) 또는 선형 연결 부재(5)일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들에서, 미끄럼 방지체(1)는 내측 선형 부재(4) 및 선형 연결 부재(5)가 각각 체인으로서 구성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들 각각은 또한 와이어 로프 또는 강철 와이어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7. 상기 실시예들에서, 미끄럼 방지체(1)는 3개 또는 2개의 본체를 포함하지만, 4개 이상의 본체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는 소형, 중형 또는 대형 승용차 또는 트럭과 같은 다양한 자동차를 위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T: 자동차용 타이어
1, 1a 내지 1c: 미끄럼 방지체
1a: 제1 미끄럼 방지체
1b: 제2 미끄럼 방지체
1c: 제3 미끄럼 방지체
2: 전방측 U형 부재
2a: 횡단부
2b: 외측부
2c: 내측부
3: 후방측 U형 부재
3a: 횡단부
3b: 외측부
3c: 내측부
4: 내측 선형 부재
2a, 3a: 미끄럼 방지체의 횡단부
2b, 3b: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2c, 3c, 4: 미끄럼 방지체의 내측부
5: 선형 연결 부재
6: 접촉 부재, 외측 접촉 부재 내측 접촉 부재
7: 샤프트
8: 분할핀, 리테이너
9: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 탄성 부재
W: 외측 및 내측 접촉 부재 사이의 미끄럼 방지체의 폭방향에서의 거리, 미끄럼 방지체의 내부폭
L: 외측 및 내측 접촉 부재 사이의 거리
11: 전방측 연결 부재
12: 후방측 연결 부재
15: 핀
16: 전방측 돌출 부재
17: 후방측 돌출 부재
18: 후방측 돌출 부재
19: 전방측 돌출 부재
20: 핀
21, 22: 연결구
21: 봉형 연결구
22: 튜브형 연결구
26: 핀
27: 연결 구멍
31: 핀
32, 33, 34: 조작 부재
32: 부착봉
33: 연결봉
34: 조작봉
35: 부착 구멍
36: 연결 구멍
37: 나선형 스프링, 탄성 부재
38: 스프링 리테이너
41: 접촉 부재용 부착 부재
42: 원형 절두 원추 튜브형 나선형 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탄성 부재
43: 외측 조정판
44: 내측 조정판

Claims (5)

  1. U형 단면을 갖는 2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체가 자동차의 타이어에 끼워지고 서로 연결되도록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체는 외측부 및 내측부를 갖고, 상기 외측부는 타이어의 외측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는 타이어의 내측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는 타이어의 축방향을 따라 샤프트가 그에 부착되어, 상기 샤프트가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접촉 부재는 미끄럼 방지체 내로 돌출하는 샤프트의 내측 단부에 제공되고, 탄성 부재가 접촉 부재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에 전방 이동력을 인가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접촉 부재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접촉 부재와 접촉된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접촉 부재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접촉 부재와 접촉된 타이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접촉 부재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샤프트의 내측 단부측 부분이 삽입되고 접촉 부재와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 사이에 끼워지는 나선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최대로 수축될 때 소용돌이 형상인 벌류트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체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의 외측 단부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의 외측 단부측 부분은 외측 조정판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 조정판은 리테이너와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내측 단부측 부분은 내측 조정판 내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조정판 및 나선형 스프링은 접촉 부재와 미끄럼 방지체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KR1020137012665A 2011-04-26 2011-09-27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KR101287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8295A JP5179625B2 (ja) 2011-04-26 2011-04-26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JP-P-2011-098295 2011-04-26
PCT/JP2011/071973 WO2012147220A1 (ja) 2011-04-26 2011-09-27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861A KR20130069861A (ko) 2013-06-26
KR101287722B1 true KR101287722B1 (ko) 2013-07-19

Family

ID=4707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665A KR101287722B1 (ko) 2011-04-26 2011-09-27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57230B2 (ko)
EP (1) EP2703195A4 (ko)
JP (1) JP5179625B2 (ko)
KR (1) KR101287722B1 (ko)
CN (1) CN103209843A (ko)
AU (1) AU2011366379B2 (ko)
CA (1) CA2812141C (ko)
RU (1) RU2531784C1 (ko)
WO (1) WO2012147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773B2 (ja) * 2011-04-21 2013-07-17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9981511B2 (en) 2014-04-23 2018-05-29 David Martin Tire traction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2606U (ko) * 1976-01-31 1977-08-04
JP3557464B2 (ja) * 2001-11-05 2004-08-25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3718779B2 (ja) * 2004-05-24 2005-11-24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2011011671A (ja) 2009-07-03 2011-01-20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13944A (en) * 1909-06-14 1909-09-16 George Albert Lyon Improvements in Non-skidding Attachments for Vehicle Wheels.
US1020489A (en) * 1911-10-17 1912-03-19 Leonard B Gaylor Antiskid-grip.
US2453611A (en) * 1946-11-08 1948-11-09 Eric H Zimmer Antiskid device
US2448730A (en) * 1947-10-29 1948-09-07 Paraskevas Louis Skidless steel grip for auto tires
JPS48104205A (ko) * 1972-04-12 1973-12-27
US4960159A (en) * 1988-05-28 1990-10-02 Yutaka Oda Anti-skid device for tired vehicle wheels
JP2000289419A (ja) 1999-02-01 2000-10-17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2004087779A (ja)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貫通孔形成方法
US7096905B2 (en) 2002-10-09 2006-08-29 Kouichi Sakakibara Slip-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tire
JP3546418B2 (ja) 2003-03-17 2004-07-28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2007290627A (ja) 2006-04-26 2007-11-08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137394A (ja) * 2006-05-15 2008-06-19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013051A (ja) 2006-07-06 2008-01-24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120226A (ja) 2006-11-10 2008-05-29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273455A (ja) * 2007-05-02 2008-11-13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308149A (ja) * 2007-05-17 2008-12-25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9045973A (ja) 2007-08-16 2009-03-05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9120050A (ja) 2007-11-15 2009-06-04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11063164A (ja) 2009-09-18 2011-03-31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673B2 (ja) 2010-02-22 2013-07-17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95153B2 (ja) 2010-03-12 2013-09-18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69005B2 (ja) 2010-07-06 2013-08-21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12040884A (ja) 2010-07-23 2012-03-01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764B2 (ja) 2011-03-17 2013-07-17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390556B2 (ja) 2011-04-08 2014-01-15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773B2 (ja) 2011-04-21 2013-07-17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2606U (ko) * 1976-01-31 1977-08-04
JP3557464B2 (ja) * 2001-11-05 2004-08-25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3718779B2 (ja) * 2004-05-24 2005-11-24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2011011671A (ja) 2009-07-03 2011-01-20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12141A1 (en) 2012-11-01
JP5179625B2 (ja) 2013-04-10
EP2703195A1 (en) 2014-03-05
US8757230B2 (en) 2014-06-24
AU2011366379B2 (en) 2014-08-28
EP2703195A4 (en) 2014-11-05
RU2531784C1 (ru) 2014-10-27
CA2812141C (en) 2013-11-26
US20130180640A1 (en) 2013-07-18
WO2012147220A1 (ja) 2012-11-01
KR20130069861A (ko) 2013-06-26
AU2011366379A1 (en) 2013-05-02
JP2012228951A (ja) 2012-11-22
CN103209843A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722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KR101323012B1 (ko)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CA2800197C (en) Anti-skid device for tires
JP5236773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74394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673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390556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11063164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1569687A (en) Nonski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