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540B1 - 스탠바이 불량(standby fail)을 감소시킨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바이 불량(standby fail)을 감소시킨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3540B1 KR101283540B1 KR1020070130981A KR20070130981A KR101283540B1 KR 101283540 B1 KR101283540 B1 KR 101283540B1 KR 1020070130981 A KR1020070130981 A KR 1020070130981A KR 20070130981 A KR20070130981 A KR 20070130981A KR 101283540 B1 KR101283540 B1 KR 101283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emory device
- state
- circuit
- semiconductor mem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0)
-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셀 코어;상기 셀 코어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주변회로들(Peripheral Circuit); 및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독출 및 소거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임을 감지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 감지 결과에 따라 리셋(Reset) 신호 및/또는 셋(Set)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주변회로의 신호 상태가 디폴트(default)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초기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회로는,상기 복수의 주변회로들 각각에 대해 활성화된 리셋 신호 또는 활성화된 셋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회로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리셋 신호 및/또는 셋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회로는,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인가되는 파워를 더 감지하고, 상기 파워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리셋 신호 및/또는 셋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회로는,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모드 감지부; 및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리셋 신호 및/또는 셋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셋/리셋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변회로는,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위회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상기 초기화 회로는, 상기 단위회로 각각에 활성화된 리셋 신호 또는 셋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변회로의 신호 상태가 디폴트(default)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삭제
- 삭제
-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셀 코어;상기 셀 코어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회로;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인가되는 파워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회로의 신호 상태가 제1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를 발생하는 파워 감지부; 및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회로의 신호 상태가 제2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시 설정되는 디폴트(default) 상태이며,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디폴트(default) 상태와 동일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장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배치되는 복수의 회로블록들; 및적어도 하나의 회로블록들에 리셋 신호 및/또는 셋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로블록들의 신호 상태를 제어하는 초기화 회로를 구비하며,상기 초기화 회로는, 장치로 인가되는 초기 파워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로블록들의 신호 상태를 디폴트(default)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또한 장치가 스탠바이(Standby) 모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로블록들의 신호 상태를 상기 디폴트(default)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0981A KR101283540B1 (ko) | 2007-12-14 | 2007-12-14 | 스탠바이 불량(standby fail)을 감소시킨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 |
US12/235,812 US7839717B2 (en) | 2007-12-14 | 2008-09-23 | Semiconductor device with reduced standby failur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0981A KR101283540B1 (ko) | 2007-12-14 | 2007-12-14 | 스탠바이 불량(standby fail)을 감소시킨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562A KR20090063562A (ko) | 2009-06-18 |
KR101283540B1 true KR101283540B1 (ko) | 2013-07-15 |
Family
ID=4075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0981A Active KR101283540B1 (ko) | 2007-12-14 | 2007-12-14 | 스탠바이 불량(standby fail)을 감소시킨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839717B2 (ko) |
KR (1) | KR1012835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6436B1 (ko) * | 2013-12-20 | 202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래치 관리 방법 |
US11606281B2 (en) | 2021-05-20 | 2023-03-14 |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 Real-time digital data degradation dete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3826B1 (ko) * | 2005-03-24 | 2006-04-2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기억 소자의 센스 앰프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
KR100618702B1 (ko) * | 2004-11-15 | 2006-09-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고속 메모리 장치용 데이타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85847B1 (en) * | 1994-05-31 | 2002-05-02 | STMicroelectronics S.r.l. | Low dissipation initialization circuit, particularly for memory registers |
JP2002133878A (ja) | 2000-10-23 | 2002-05-10 | Hitachi Ltd | 不揮発性記憶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
US7848718B2 (en) * | 2004-05-05 | 2010-12-07 | St-Ericsson Sa | Method apparatus comprising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powering down such circuit |
KR100634455B1 (ko) | 2005-06-13 | 2006-10-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그램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KR100648289B1 (ko) | 2005-07-25 | 2006-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그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
KR100706816B1 (ko) | 2006-03-10 | 2007-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그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
-
2007
- 2007-12-14 KR KR1020070130981A patent/KR101283540B1/ko active Active
-
2008
- 2008-09-23 US US12/235,812 patent/US783971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702B1 (ko) * | 2004-11-15 | 2006-09-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고속 메모리 장치용 데이타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0573826B1 (ko) * | 2005-03-24 | 2006-04-2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기억 소자의 센스 앰프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562A (ko) | 2009-06-18 |
US7839717B2 (en) | 2010-11-23 |
US20090154281A1 (en) | 2009-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66960A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at a programming voltage level is sufficient for reliably programming an eeprom | |
JP2008217147A (ja) | メモリシステム | |
JP6869315B2 (ja) | 電子ヒューズ回路及びその動作方法 | |
JP2010086523A (ja) | セキュア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 | |
JP2005243176A (ja) | 半導体装置及び電圧制御方法 | |
JP2007188633A (ja) | メモリアレイ試験回路 | |
CN109087681A (zh) | 存储器设备、存储器系统和存储器设备的操作方法 | |
JP5030336B2 (ja)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
JP2024107179A (ja) | 半導体メモリ装置 | |
KR101283540B1 (ko) | 스탠바이 불량(standby fail)을 감소시킨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 | |
KR100615406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7830741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banks | |
US11002790B2 (en) | Power gating system | |
US20050235118A1 (en) | Data storage circuit, data write method in the data storage circuit, and data storage device | |
KR20040014237A (ko) | 반도체 기억 장치 및 반도체 기억 장치의 시험 방법 | |
US7245554B2 (en) |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with clock-synchronous access control | |
JP2011248952A (ja) | テストモード付きフラッシュメモリ及びその接続試験方法 | |
TWI792864B (zh) | 測試系統以及測試方法 | |
CN113724767B (zh) | 半导体存储装置及快闪存储器运行方法 | |
JP2009053130A (ja) | 半導体装置 | |
JP2008234358A (ja) | 記憶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不正書込検出方法 | |
TWI418813B (zh) | 記憶體陣列之局部位元線缺陷之檢測方法 | |
KR100365562B1 (ko) | 반도체 기억소자의 테스트회로 | |
WO2006119017A1 (en) | Configuration finalization on first valid nand command | |
JP2007527091A (ja) | 遅延障害を検出するためのセルフタイミング型メモリを強化するdft技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