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188B1 -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188B1
KR101283188B1 KR1020060126345A KR20060126345A KR101283188B1 KR 101283188 B1 KR101283188 B1 KR 101283188B1 KR 1020060126345 A KR1020060126345 A KR 1020060126345A KR 20060126345 A KR20060126345 A KR 20060126345A KR 101283188 B1 KR101283188 B1 KR 10128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inner race
spring
vehicle
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140A (ko
Inventor
심중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1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4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에 관한 것으로, X방향과 Y방향 및 Z방향의 3축 방향에 대해 동시에 스프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엔진이나 변속기 혹은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차체에 장착할 때에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측 파이프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어 고무로 일체로 가류된 부시와, 이 부시가 압입되는 내측 레이스, 이 내측 레이스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 레이스 및, 상기 내측 레이스를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Mounting bush structure in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마운팅 부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의 조립 설명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부시 2-베어링
2a-내측 레이스 2b-볼
2c-스프링 2d-외측 레이스
본 발명은 차량의 마운팅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X축과 Y축 및 Z축의 3축방향에 대한 스프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는 엔진이나 변속기 혹은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차체에 연결하여 지지시킬 때에 부시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부시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하고서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마운팅브라켓(11)에 부 시(12)가 압입되고, 상기 부시(12)는 외측 파이프(12a)에 내측 파이프(12b)가 삽입되어 고무(12c)로 일체로 가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 파이프(12b)에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볼트가 관통해서 삽입되어 엔진이나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차체에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시구조에서는 특정한 방향, 예컨대 차량의 높이방향인 Z방향에 대해서만 스프링 특성이 발휘되고 있으며, 차량의 전후 방향인 X방향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스프링 특성을 발휘하고 있지만, 차량의 폭방향인 Y방향에 대해서는 다른 2개의 방향에 비해 스프링 특성이 현저하게 낮게 되어 3축 방향에 대해 동시에 스프링 특성이 요구될 때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X방향과 Y방향 및 Z방향의 3축 방향에 대해 동시에 스프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엔진이나 변속기 혹은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차체에 장착할 때에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 파이프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어 고무로 일체로 가류된 부시와, 이 부시가 압입되는 내측 레이스, 이 내측 레이스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 레이스 및, 상기 내측 레이스를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부시가 X방향과 Z방향에 대해 상기 고무를 매개로 스프링 특성을 가질 경우에 상기 내측 레이스는 외측 레이스에 대해 다른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스프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레이스는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베어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홈에는 볼이 삽입되며, 상기 외측 레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이 안내이동되는 베어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레이스의 전단면과 후단면에는 각각 스톱퍼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 플랜지와 상기 내측 레이스의 전단면 후단면 사이에 각각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어 상기 내측 레이스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시의 조립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부시(1)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시(1)가 베어링(2)에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부시(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외측 파이프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어서 고무로 일체로 가류된 구조를 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2)은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한 내측 레이스(2a)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레이스(2a)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베어링홈(2aa)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홈(2aa)은 내측 레이스(2a)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홈(2aa)의 길이 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 부위에는 볼(2b)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내측 레이스(2a)의 전단면과 후단면에는 각각 스프링(2c)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2c)은 원형을 이루도록 감겨진 형상을 하고 있는 데, 상기 스프링이 이루는 직경은 상기 내측 레이스의 내경보다는 최소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레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내측 레이스의 전단면과 후단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내측 레이스(2a)가 삽입되어 축방향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외측 레이스(2d)는 양측면에 개구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내측 레이스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 레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2b)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내이동되게 하는 베어링홈(2da)이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홈(2da)의 길이는 내측 레이스에 형성된 베어링홈(2aa)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 레이스(2d)의 전단면과 후단면에는 각각 도 3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된 스톱퍼 플랜지(2db)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2c)이 상기 스톱퍼 플랜지와 상기 내측 레이스의 전단면과 후단면이 사이에 안착되어 내측 레이스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시(1)가 차량의 폭방향인 Y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베어링 속에 삽입되어 좌우 양측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Y방향에 대해서도 상기 스프링(2c)에 의해 스프링 특성을 가지게 되므로, 부시 그 자체가 갖고 있는 X방향 및 Z방향의 스프링 특성에 Y방향의 스프링 특성이 추가로 부가되어, 결국에는 부시가 3축방향에 대해 스프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Y방향의 스프링 특성은 상기 스프링(2c)의 감긴 횟수나 직경 등을 적절히 조절해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부시를 사용하여 엔진이나 변속기 혹은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차체에 장착하게 되면, 엔진이나 변속기 혹은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3축방향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켜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에 의하면, 특정 2축방향에 대해 스프링 특성을 가지는 부시를 다른 축방향에 대해서도 스프링 특성을 가지도록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결국에는 부시가 3축의 모든 방향에 대해서 스프링 특성을 가지게 되어, 엔진이나 변속기 혹은 현가장치의 부품들을 차체에 체결하여 지지시킬 때에 이들 부품들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3축의 모든 방향에서 적절히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므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측 파이프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어 고무로 일체로 가류된 부시와, 이 부시가 압입되는 내측 레이스(2a), 이 내측 레이스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 레이스(2d) 및 상기 내측 레이스를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c)이 구비되며,
    상기 부시가 X방향과 Z방향에 대해 상기 고무를 매개로 스프링 특성을 가질 경우에 상기 내측 레이스는 외측 레이스에 대해 다른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스프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이스는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베어링홈(2aa)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홈에는 볼(2b)이 삽입되며, 상기 외측 레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이 안내이동되는 베어링홈(2d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이스의 전단면과 후단면에는 각각 스톱퍼 플랜지(2db)가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 플랜지와 상기 내측 레이스의 전단면 후단면 사이에 각각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어 상기 내측 레이스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KR1020060126345A 2006-12-12 2006-12-12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KR10128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345A KR101283188B1 (ko) 2006-12-12 2006-12-12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345A KR101283188B1 (ko) 2006-12-12 2006-12-12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140A KR20080054140A (ko) 2008-06-17
KR101283188B1 true KR101283188B1 (ko) 2013-07-05

Family

ID=3980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345A KR101283188B1 (ko) 2006-12-12 2006-12-12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922A (zh) * 2019-06-24 2019-10-11 芜湖禾田汽车工业有限公司 橡胶悬置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81U (ja) * 1993-02-08 1994-10-1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ブッシュ固定構造
JP2004217048A (ja) * 2003-01-14 2004-08-05 Koyo Seiko Co Ltd ラックブッシュ
KR100507105B1 (ko) * 2002-12-03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81U (ja) * 1993-02-08 1994-10-1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ブッシュ固定構造
KR100507105B1 (ko) * 2002-12-03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JP2004217048A (ja) * 2003-01-14 2004-08-05 Koyo Seiko Co Ltd ラックブ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140A (ko)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710B1 (ko) 차량용 샤시 부품 연결용 단일축 댐핑 조인트
KR101646443B1 (ko) 고분자복합재 스트럿 인슐레이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현가시스템
KR101237929B1 (ko) 차량의 롤로드 구조
KR101738018B1 (ko)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KR101528783B1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JP4587249B2 (ja) ばね脚支承部
KR101283188B1 (ko) 차량의 마운팅 부시구조
KR100622505B1 (ko) 반경방향 고강성 부시 조립체
KR100580515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100456887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부시 어셈블리
KR102417331B1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CN218817578U (zh) 球头结构、推力杆、悬置装置和车辆
JP2009174675A (ja) 自動車用トルクロッド
JP2004068827A (ja) 緩衝ブッシュ
KR101263471B1 (ko) 쇽업소버의 러버부쉬
KR10256303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KR100705081B1 (ko) 리프 스프링의 차체 연결구조
KR20140032276A (ko) 차량용 롤로드
CN111417532B (zh) 上部带螺旋弹簧的减振器
KR200147369Y1 (ko) 부시
KR20190002804A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KR100542899B1 (ko) 볼조인트형 자동차용 부시
JP2006315435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1795239B1 (ko) 부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