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227B1 - Cwt리스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Cwt리스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227B1
KR101281227B1 KR1020117000109A KR20117000109A KR101281227B1 KR 101281227 B1 KR101281227 B1 KR 101281227B1 KR 1020117000109 A KR1020117000109 A KR 1020117000109A KR 20117000109 A KR20117000109 A KR 20117000109A KR 101281227 B1 KR101281227 B1 KR 10128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ll
wall side
hoistway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711A (ko
Inventor
히사오 구라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Abstract

승강로(1)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2)과,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엘리베이터칸(2)의 하부에 접속되며, 중간부에 엘리베이터칸(2)로 승강로(1)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3a)를 가진 엘리베이터칸(2)을 매단 로프(3)와, 벽 측 수하부(3a)의 주위에 설치되고, 벽 측 수하부(3a)와 접촉하며, 벽 측 수하부(3a)의 접촉한 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CWT리스 엘리베이터 {CWT-LESS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과,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서스펜션 수단을 구비한 CWT리스(균형추를 구비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과,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접속되며, 중간부에 엘리베이터칸과 승강로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垂下部)를 가진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로프를 구비한 CWT리스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16184호 공보
그렇지만, 이 경우,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 로프의 벽 측 수하부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려 버려, 벽 측 수하부의 일부가 승강로 내의 기기에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로프의 측벽 측 수하부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CWT리스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과,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접속되며, 중간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승강로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를 가진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서스펜션 수단과, 상기 벽 측 수하부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벽 측 수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로프의 측벽 측 수하부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동규제수단은 벽 측 수하부에 접촉하여,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므로,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과 로프의 벽 측 수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로프의 벽 측 수하부가 승강로 내의 기기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과 로프의 벽 측 수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규제수단과 로프의 벽 측 수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과 로프의 벽 측 수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동규제수단과 로프의 벽 측 수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로프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로프의 벽 측 수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CWT리스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내부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2)과, 이 엘리베이터칸(2)을 매단 서스펜션 수단인 3개의 로프(3)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1)의 대향한 한 쌍의 벽의 각각에는 벽면으로부터 틈새를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한 가이드레일(4)이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레일(4)의 상부에는 양(兩) 가이드레일(4)에 걸쳐 기계대(5)가 고정되어 있다.
기계대(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서 구동하는 권상기의 구동쉬브(6)와, 회전 가능한 리턴쉬브(7)가 장착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면에는 지지부재(8)를 통하여 제1 텐션쉬브(9) 및 제2 텐션쉬브(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리턴쉬브(7) 및 제2 텐션쉬브(10)는 엘리베이터칸(2)의 중심 부근을 통과한 동일 연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쉬브(6) 및 제1 텐션쉬브(9)는 엘리베이터칸(2)의 측벽 부근을 통과한 동일 연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로프(3)는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여, 리턴쉬브(7)와 구동쉬브(6)에 순서대로 감겨 있다.
또, 이 로프(3)는 타단부가 엘리베이터칸(2)의 하부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제2 텐션쉬브(10)와 제1 텐션쉬브(9)에 순서대로 감겨 있다.
또, 이 로프(3)는 중간부에 엘리베이터칸(2)과 승강로(1)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3a)를 가지고 있고, 이 벽 측 수하부(3a)는 구동쉬브(6)와 제1 텐션쉬브(9)와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이 CWT리스 엘리베이터는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의 주위에 설치된 이동규제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이동규제수단(11)에는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11a)에는 3개의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관통하고 있다.
이 이동규제수단(11)은 도시하지 않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규제수단(11)과 벽 측 수하부(3a)는 서로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
이 CWT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서,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이 벽 측 수하부(3a)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기 시작하여, 벽 측 수하부(3a)와 이동규제수단(11)이 접촉한다.
이동규제수단(11)과 접촉한 벽 측 수하부(3a)의 부위는 이동규제수단(11)에 의해서 수평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벽 측 수하부(3a)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벽 측 수하부(3a)와 이동규제수단(11)이 접촉하고, 벽 측 수하부(3a)는 이동규제수단(11)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벽 측 수하부(3a)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칸(2)에 장착된 이동규제수단(1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승강로(1)의 벽에 장착된 이동규제수단(11)이라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1a)이 형성된 이동규제수단(1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통과 가능한 홈이 형성된 이동규제수단(11)이라도 되며, 또,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이들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1a)이 형성되는 이동규제수단(11)이라도 된다.
그 결과,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칸(2)과 로프(3)가 설치된 후에 이동규제수단(11)을 엘리베이터칸(2) 또는 승강로의 벽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이동규제수단(11)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이동규제수단(11)을 구비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지만, 복수 개의 이동규제수단(11)을 구비한 CWT리스 엘리베이터라도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이동규제수단(11)이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벽 측 수하부(3a)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12)과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12)은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와 접촉하는 접촉체(12a)와, 이 접촉체(12a)의 양단부에 장착된 전기저항 측정기(12b)를 가지고 있다.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체(12a)와 벽 측 수하부(3a)는 서로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
접촉체(12a)는 전기저항 측정기(12b)에 지지되고,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엘리베이터칸(2)의 상면에 고정된 베이스(12c)에 지지되어 있다.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도시생략)를 가지고 있다.
또,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 제어부에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다.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이 벽 측 수하부(3a)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기 시작하여, 벽 측 수하부(3a)와 접촉체(12a)가 접촉한다.
접촉체(12a)와 접촉한 벽 측 수하부(3a)의 부위는 접촉체(12a)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접촉체(12a)는 3개의 로프(3)의 주위를 덮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접촉체(12a)의 양단부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이 양단부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값으로부터 양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한다.
접촉체(12a)의 양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은 벽 측 수하부(3a)가 접촉체(12a)에 비접촉인 경우에는, 접촉체(12a)만의 전기저항이 되고, 벽 측 수하부(3a)가 접촉체(12a)에 접촉인 경우에는, 접촉체(12a)와, 이 접촉체(12a)에 접촉한 벽 측 수하부(3a)의 부위를 조합한 전기저항이 된다.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접촉체(12a)의 양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의 변화로부터 벽 측 수하부(3a)가 접촉체(12a)에 접촉한 것을 검출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져,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CWT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벽 측 수하부(3a)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기 시작하여, 벽 측 수하부(3a)는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2)이 승강함으로써, 이동규제수단(12)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벽 측 수하부(3a)의 부위에 가까워진다.
이동규제수단(12)이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벽 측 수하부(3a)의 부위에 가까워짐으로써, 벽 측 수하부(3a)가 접촉체(12a)에 접촉하고,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벽 측 수하부(3a)와 접촉체(12a)와의 접촉을 검출한다.
전기저항 측정기(12b)는 벽 측 수하부(3a)와 접촉체(12a)가 계속해서 접촉한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렸다고 판단하여,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로 송신하며, 이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칸(2)의 승강을 정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이동규제수단(12)은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와 접촉하는 접촉체(12a)와, 이 접촉체(12a)의 양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전기저항 측정기(12b)를 가지고 있으므로,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경우에,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이동규제수단(12)은 엘리베이터칸(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승강하여, 벽 측 수하부(3a)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승강로(1) 내의 기기로의 걸림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자동적으로 엘리베이터칸(2)을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까지 이동시켜, 벽 측 수하부(3a)의 승강로(1) 내의 기기로의 걸림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지진 발생 후에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자동 복구를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6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13)과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이동규제수단(13)과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13)은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파지한 파지체(13a)와, 이 파지체(13a)의 파지위치가 소정의 거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이동검출기(13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벽 측 수하부(3a)와 파지체(13a)가 이간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벽 측 수하부(3a)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라도 벽 측 수하부(3a)와 파지체(13a)는 접촉하고 있다.
이동검출기(13b)는 파지체(13a)에 장착되어 있고, 이 파지체(13a)는 엘리베이터칸(2)의 상면에 고정된 베이스(13c)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이동검출기(13b)가 파지체(13a)의 엘리베이터칸(2) 측에만 장착되어 있지만, 파지체(13a)의 승강로(1)의 벽 측에도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검출기(13b)는 파지체(13a)의 파지위치가 엘리베이터칸(2) 측 및 승강로(1)의 벽 측의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한다.
이동검출기(13b)에는 이동검출기(13b)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것을 검출하는 판정수단(13d)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판정수단(13d)은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도시생략)를 가지고 있다.
또, 이 판정수단(13d)은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제어부에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다.
파지체(13a)는, 한 쌍의 대향한 팬터그래프(pantograph)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있는 3개의 벽 측 수하부(3a)를 파지하고 있다.
이 CWT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서, 수평방향이며 엘리베이터칸(2)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의 힘이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가해진 경우에는, 파지체(13a)의 가압력에 의해서, 벽 측 수하부(3a)의 이동이 억제된다.
파지체(13a)의 파지위치가 소정의 거리, 수평방향이며 엘리베이터칸(2)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파지체(13a)의 파지부가 이동검출기(13b)에 접촉한다.
파지체(13a)의 파지부가 이동검출기(13b)에 접촉함으로써, 파지체(13a)의 파지위치는 그 이상 수평방향이며 엘리베이터칸(2)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파지체(13a)에 파지된 벽 측 수하부(3a)의 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동검출기(13b)는 파지체(13a)의 파지부에 접촉됨으로써, 판정수단(13d)에 신호를 보낸다.
판정수단(13d)은 파지체(13a)의 파지부가 이동검출기(13b)에 계속해서 접촉한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렸다고 판단하여,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에 송신하며, 이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칸(2)의 승강을 정지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이동규제수단(13)은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파지한 파지체(13a)와, 이 파지체(13a)의 파지위치가, 소정의 거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이동검출기(13b)를 가지고 있으므로,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경우에, 벽 측 수하부(3a)가 승강로(1) 내의 기기에 걸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로프(3) 및 파지체(13a)를 철강(鐵鋼)으로 구성하여, 로프(3)와 이동규제수단(13)과의 사이에 전력의 전달을 행해도 된다.
특히, 이동규제수단(13)을 승강로(1)의 벽에 장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칸(2)의 외부로부터 로프(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8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14)과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이동규제수단(14)과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이동규제수단(14)은 내측에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관통한 코일(14a)과, 이 코일(14a)에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기(14b)를 가지고 있다.
코일(14a) 및 전류측정기(14b)는 엘리베이터칸(2)의 상면에 고정된 베이스(14c)에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14c)에는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관통한 관통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전류측정기(14b)는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제어부에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다.
코일(14a) 및 베이스(14c)는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 접촉하여, 이 벽 측 수하부(3a)의 접촉한 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이다.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1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의 표면보다 내측의 층에 자석(16)을 장착하여도 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승강함으로써, 이동규제수단(14)가 연동하여 승강하고, 또한,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코일(14a)과 자석(16)과의 상대위치가 변화하므로, 코일(14a)에 전류가 발생한다.
전류측정기(14b)는 코일(14a)에 발생한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값을 CWT리스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에 송신하며, 이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속도를 산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이동규제수단(14)은 내측에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가 관통한 코일(14a)과, 이 코일(14a)에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기(14b)를 가지고, 로프(3)의 벽 측 수하부(3a)에는 자석(16)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코일(14a)과 전류측정기(14b)를 가진 이동규제수단(14)를 구비한 CWT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내지 3에 기재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CWT리스 엘리베이터가 이동규제수단(14)과는 별도로 코일(14a)과 전류측정기(14b)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서스펜션 수단으로서 로프(3)를 예로 설명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벨트라도 된다.

Claims (6)

  1.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과,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접속되며, 중간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승강로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垂下部)를 가진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서스펜션 수단과,
    상기 벽 측 수하부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벽 측 수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벽 측 수하부와 접촉하는 접촉체와, 이 접촉체의 양단부에 설치된 상기 양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전기저항 측정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WT리스 엘리베이터.
  2.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과,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접속되며, 중간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승강로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垂下部)를 가진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서스펜션 수단과,
    상기 벽 측 수하부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벽 측 수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벽 측 수하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파지한 파지체와, 상기 파지체의 파지위치가 소정의 거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이동검출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WT리스 엘리베이터.
  3.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과,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접속되며, 중간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승강로의 벽과의 사이를 통하여 늘어뜨려진 벽 측 수하부(垂下部)를 가진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서스펜션 수단과,
    상기 벽 측 수하부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벽 측 수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벽 측 수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내측에 상기 벽 측 수하부가 관통한 코일과, 이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기를 가지고,
    상기 벽 측 수하부에는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벽 측 수하부와 함께 상기 자석이 연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코일과의 상대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류가 발생하며, 상기 전류측정기로 측정된 전류의 값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WT리스 엘리베이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 측 수하부의 주위에 설치되고, 자계(磁界)의 변화에 의해서 전류가 발생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 측 수하부에는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벽 측 수하부와 함께 상기 자석이 연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코일과의 상대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류가 발생하며, 상기 전류측정기로 측정된 전류의 값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WT리스 엘리베이터.
  5. 삭제
  6. 삭제
KR1020117000109A 2008-09-17 2008-09-17 Cwt리스 엘리베이터 KR101281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6729 WO2010032288A1 (ja) 2008-09-17 2008-09-17 Cwtレス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711A KR20110014711A (ko) 2011-02-11
KR101281227B1 true KR101281227B1 (ko) 2013-07-02

Family

ID=4203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109A KR101281227B1 (ko) 2008-09-17 2008-09-17 Cwt리스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25127A4 (ko)
JP (1) JP5398721B2 (ko)
KR (1) KR101281227B1 (ko)
CN (1) CN102112385A (ko)
WO (1) WO2010032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3799A (ja) *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テールコードの制振装置
CN103640941A (zh) * 2013-12-06 2014-03-19 玉林市科邦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电梯防坠保护装置
WO2017103994A1 (ja) * 2015-12-15 2017-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
CN107879232B (zh) * 2016-09-30 2021-07-20 奥的斯电梯公司 补偿链稳定装置和方法,电梯井道以及电梯系统
CN106995176B (zh) * 2017-05-27 2022-09-13 浙江安家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同步带强驱家用梯
CN107720486A (zh) * 2017-10-12 2018-02-23 黄国华 一种电梯自动平衡驱动系统及电梯
CN110775793B (zh) * 2019-11-21 2021-06-25 中国矿业大学 立井提升机分体式扁尾绳摆动控制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8181A (en) * 1978-09-27 1980-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Abnormality detector of elevator
JP2003118949A (ja) * 2001-10-17 2003-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6016184A (ja) * 2004-07-05 2006-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Cwtレス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2518B2 (ja) * 2003-02-20 2009-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T2380838E (pt) * 2004-05-28 2013-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escorregamento de cabo de elevador e aparelho para elevad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8181A (en) * 1978-09-27 1980-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Abnormality detector of elevator
JP2003118949A (ja) * 2001-10-17 2003-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6016184A (ja) * 2004-07-05 2006-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Cwtレス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127A4 (en) 2014-06-18
CN102112385A (zh) 2011-06-29
JP5398721B2 (ja) 2014-01-29
JPWO2010032288A1 (ja) 2012-02-02
EP2325127A1 (en) 2011-05-25
KR20110014711A (ko) 2011-02-11
WO2010032288A1 (ja)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227B1 (ko) Cwt리스 엘리베이터
KR101392082B1 (ko)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WO2007032280A1 (ja)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装置
US9695012B2 (en) Elevator with compensation rope
CN104276481B (zh) 电梯缆索摆动抑制系统
JP6683184B2 (ja) エレベータ
JP49922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1619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80042314A (ko) 엘리베이터 조절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방법
JP51376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94793B2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CN109850714A (zh) 电梯
CN110446676B (zh) 电梯装置
JP56721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56979B2 (ja) エレベータ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580500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59901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567187B2 (ja) エレベータの乗客救出装置およびおもり引っ掛かり防止具
JPH06255945A (ja) 釣り合いロープ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
JP2022154393A (ja) エレベータ、調速機及び釣合錘
JP2003040550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2020019645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量検出システム
CN110191854A (zh) 电梯装置
JPS591670B2 (ja) エレベ−タ−制御装置用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