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82B1 -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82B1
KR101392082B1 KR1020127022533A KR20127022533A KR101392082B1 KR 101392082 B1 KR101392082 B1 KR 101392082B1 KR 1020127022533 A KR1020127022533 A KR 1020127022533A KR 20127022533 A KR20127022533 A KR 20127022533A KR 101392082 B1 KR101392082 B1 KR 10139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transverse
members
transverse members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488A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characterised by specific locations of the govern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서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가로부재가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 사이에는 세로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승강체를 매다는 현가체 및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SUSPENSION BODY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체(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 등)를 매다는 현가체를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주상체(柱狀體)를 장착하고,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매달고 있는 로프를 지지하는 로프지지부재를 주상체에 고정한 엘리베이터의 로프지지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주상체는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가이드레일이 받는 굽힘모멘트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 조속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로프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를 가이드레일의 상부 배면에 장착하고,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조속기를 설치한 엘리베이터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114957호 공보 [특허문헌 2] WO03/01845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로프지지장치에서는, 주상체가 가이드레일의 배면에 겹쳐져 있으므로, 주상체가 겹쳐져 있는 가이드레일의 부분에는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레일브래킷이나, 승강로 내 기기(예를 들면 조속기나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 등)를 지지하는 기기장착부재를 장착할 수 없다. 따라서, 레일브래킷이나 기기장착부재의 장착위치의 자유도가 저하해 버린다. 또, 가이드레일이 받는 굽힘모멘트를 작게 하기 위해서, 주상체가 가이드레일에 겹쳐지는 범위가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넓게 설정되므로, 레일브래킷이나 기기장착부재의 장착위치의 자유도가 더욱 저하해 버린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조속기가 설치되므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조속기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의 설치부재를 새로 설계할 필요가 있어, 조속기의 설치비용이 증대해 버린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가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의 폭치수가 가이드레일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를 가이드레일에 접근하여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조속기의 장착위치의 자유도도 저하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이드레일이 받는 굽힘모멘트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기기의 장착위치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는,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가로부재 및 각 가로부재 사이에 장착된 세로부재를 구비하고, 각 가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승강체를 매다는 현가체 및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서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가로부재가 가이드레일에 각각 장착되고, 세로부재가 각 가로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현가체로부터의 하중의 부담을 각 가로부재의 각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가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의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레일에 직접 장착하는 기기를 각 가로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의 장착위치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로프고정장치 및 조속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승강체)(2) 및 균형추(승강체)(3)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피트부)에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구동장치)(4)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면서,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권상기(4)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5)와, 권상기 본체(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쉬브(6)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쉬브(6)에 감긴 복수 개의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현가체(7)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8), 균형추 측 리턴쉬브(9), 제1 로프고정장치(10) 및 제2 로프고정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풀리(12)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13)가 마련되어 있다.
현가체(7)의 일단부는 제1 로프고정장치(10)에 접속되고, 현가체(7)의 타단부는 제2 로프고정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는 제1 로프고정장치(10)로부터 각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풀리(12),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8), 구동쉬브(6), 균형추 측 리턴쉬브(9)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13)의 순서로 감겨, 제2 로프고정장치(11)에 이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쉬브(6)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칸(2)의 하부에는 비상멈춤장치(14)가 마련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14)에는 조작암(15)이 마련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14)는 조작암(15)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파지한다. 엘리베이터칸(2)의 낙하는 비상멈춤장치(14)에 의한 가이드레일의 파지에 의해 저지된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조속기(승강로 내 기기)(16)가 마련되고,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텐션쉬브(17)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16)의 쉬브 및 텐션쉬브(17) 사이에는 조속기로프(18)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로프(18)는 조작암(15)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승강로(1) 내에 루프 모양으로 걸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로프(18)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조속기(16)의 쉬브 및 텐션쉬브(17)는 조속기로프(18)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조속기(16)는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 조속기로프(18)를 파지한다. 조속기로프(18)의 이동은 조속기(16)에 의한 조속기로프(18)의 파지에 의해 정지한다.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2)은 조속기로프(18)의 이동의 정지에 의해, 조속기로프(18)에 대해서 변위된다. 조작암(15)은 엘리베이터칸(2)이 조속기로프(18)에 대해서 변위됨으로써 조작된다.
도 2는 도 1의 제1 로프고정장치(10) 및 조속기(16)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2)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9)의 상부에는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지지하는 현가체 지지장치(20)와, 조속기(16)를 지지하는 조속기 장착부재(승강로 내 기기장착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
현가체 지지장치(20)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가로부재(22, 23)와, 각 가로부재(22, 23) 사이에 장착된 한 쌍의 세로부재(24)를 가지고 있다.
각 가로부재(22, 23)는 레일클립(rail clip)(25)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22, 23)의 수평방향에 대한 치수는 각 가로부재(22, 23)의 상하방향(가이드레일(19)의 길이방향)에 대한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22, 23)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한쪽의 가로부재(22)는 가이드레일(19)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단용 가로부재로 되어 있다. 상단용 가로부재(22)는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맞닿게 되는 가로부재 본체(22a)와, 가로부재 본체(22a)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하고, 가이드레일(19)의 상면에 놓이는 판 모양의 맞물림부(22b)와, 가로부재 본체(22a) 및 맞물림부(22b) 사이에 접속되고, 상단용 가로부재(22)를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리브(22c)를 가지고 있다.
상단용 가로부재(22)는 가로부재 본체(22a)의 수평방향 중간부가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하고, 또한 맞물림부(22b)가 가이드레일(19)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레일클립(25)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레일클립(25)은 가로부재 본체(22a)에 마련되어 있다.
상단용 가로부재(2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쪽의 가로부재(23)는 가이드레일(19)의 상단부를 피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는 중간용 가로부재로 되어 있다. 중간용 가로부재(23)는 그 수평방향 중간부가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레일클립(25)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세로부재(24)는 상단용 가로부재(22) 및 중간용 가로부재(23)의 각각의 수평방향 일단부 사이에 장착되며, 다른 쪽의 세로부재(24)는 상단용 가로부재(22) 및 중간용 가로부재(23)의 각각의 수평방향 타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상단용 가로부재(22) 및 중간용 가로부재(23)의 각각에 대한 각 세로부재(24)의 설치는 복수의 볼트(26)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각 세로부재(24)는 가이드레일(19)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세로부재(24)는 가이드레일(19)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로프고정장치(10)는 중간용 가로부재(23)에 장착되어 있다. 즉, 현가체(7)는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통하여 중간용 가로부재(23)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현가체(7)의 일단부는 중간용 가로부재(23)에 지지된다.
조속기 장착부재(21)는 그 수평방향 단부가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레일클립(25)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또, 조속기 장착부재(21)는 상단용 가로부재(22) 및 중간용 가로부재(23)를 피해 상단용 가로부재(22)와 중간용 가로부재(23)와의 사이의 공간(각 가로부재(22, 2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장착부재(21)에 지지된 조속기(16)는 한쪽의 세로부재(24)보다도 가이드레일(19)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9)은 상하방향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레일브래킷(2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9)은 레일클립(25)에 의해 각 레일브래킷(27)에 장착되어 있다. 각 레일브래킷(27)은 상단용 가로부재(22) 및 중간용 가로부재(23)를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레일브래킷(27) 가운데, 일부의 레일브래킷(27)은 상단용 가로부재(22)와 중간용 가로부재(23)와의 사이의 공간(각 가로부재(22, 2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프고정장치(11)는 균형추(3)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장착된 현가체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2 로프고정장치(11)를 지지하는 현가체 지지장치는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지지하는 현가체 지지장치(2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서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가로부재(22, 23)가 가이드레일(19)에 각각 장착되고, 세로부재(24)가 각 가로부재(22, 23)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현가체(7)로부터의 하중의 부담을 각 가로부재(22, 23)의 각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가이드레일(19)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가로부재(22, 23)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19)의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레일(19)에 직접 장착하는 기기(예를 들면, 가이드레일(19)을 고정하는 레일브래킷(27)이나, 조속기(16)를 지지하는 조속기 장착부재(21) 등)를 각 가로부재(22, 23)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의 장착위치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승강로(1) 내에서의 기기의 실장(實裝)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각 가로부재(22, 23)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22)는 가이드레일(19)의 상면에 놓이는 맞물림부(22b)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이드레일(19)에 대한 맞물림부(22b)의 맞물림에 의해, 현가체 지지장치(20)가 가이드레일(19)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로프고정장치(10)가 중간용 가로부재(23)에 장착되어 있지만, 상단용 가로부재(22)에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장착해도 된다. 즉,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통하여 상단용 가로부재(22)에 현가체(7)을 접속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가이드레일(19)에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가로부재(31, 32, 33)가 레일클립(25)에 의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31, 32, 33)는 수평방향 중간부가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31, 32, 33)의 각각의 수평방향 일단부에는 한쪽의 세로부재(24)가 장착되며, 각 가로부재(31, 32, 33)의 각각의 수평방향 타단부에는 다른 쪽의 세로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31, 32, 33) 가운데, 가로부재(31)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가로부재(33)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가로부재(31)와 가로부재(33)와의 사이의 높이 위치(중간위치)에 가로부재(32)가 배치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31, 32, 33)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31)는 가이드레일(19)을 관통하는 한 쌍의 볼트(34)에 의해서도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볼트(34)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가이드레일(19)과 맞물리도록 가이드레일(19)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다. 가로부재(31)에는 볼트(34)가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구멍(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구멍은, 각 가로부재(31, 32, 33)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가로부재(31)에만 마련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31, 32, 33)의 각각의 형상은 가로부재(31)에 볼트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의 중간용 가로부재(23)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로프고정장치(10) 및 조속기(16)는 중간위치에 배치된 공통의 가로부재(32)에 장착되어 있다. 즉, 가로부재(32)에는 현가체(7)가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조속기(16)가 지지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최상층으로의 엘리베이터칸(2)의 도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판(35)과, 승강로(1) 내의 상단부로의 엘리베이터칸(2)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종점스위치(36)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9)의 상부에는 검출판(35)을 지지하는 검출판 장착부재(37)와, 각 종점스위치(36)를 지지하는 스위치 장착부재(38)가 레일클립(25)에 의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검출판(35) 및 각 종점스위치(36)는 한쪽의 세로부재(24)보다도 가이드레일(1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에는 엘리베이터칸(2)이 최상층에 도착했을 때에 검출판(35)을 검출하는 착상(着床)센서(도시생략)와, 엘리베이터칸(2)이 승강로(1) 내의 상단부에 이르렀을 때에 종점스위치(36)를 조작하는 캠(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최상층으로의 엘리베이터칸(2)의 도착의 검출은 착상센서에 의한 검출판(35)의 검출에 의해 행해진다. 또, 승강로(1) 내의 상단부로의 엘리베이터칸(2)의 도달의 검출은 캠에 의한 종점스위치(36)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검출판 장착부재(37)은 가이드레일(19)의 가로부재(31)와 가로부재(3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 장착부재(38)는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된 한 쌍의 장착암(38a)을 가지고 있다. 한쪽의 장착암(38a)은 가이드레일(19)의 가로부재(32)와 가로부재(3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장착되며, 다른 쪽의 장착암(38a)은 가이드레일(19)의 가로부재(33)보다도 아래쪽의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서는, 각 가로부재(31, 32, 33)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31)가 가이드레일(19)을 관통하는 볼트(34)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19)에 대한 볼트(34)의 맞물림에 의해, 현가체 지지장치(20)가 가이드레일(19)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로부재(31)에 볼트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각 가로부재(31, 32, 33)의 형상을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가로부재(31, 32, 33)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1 로프고정장치(10)가 장착된 가로부재(32) 외에, 복수의 가로부재(31, 33)가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현가체(7)로부터의 하중의 부담을 가로부재(32)뿐만이 아니라 복수의 가로부재(31, 33)에도 분산시킬 수 있어, 가이드레일(19)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의 증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31, 32, 33)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31)만이 가이드레일(19)을 관통하는 볼트(34)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지만, 가로부재(32)만을 볼트(34)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해도 되고, 가로부재(33)만을 볼트(34)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해도 된다. 또, 각 가로부재(31, 32, 33) 가운데, 2개 이상의 가로부재를 볼트(34)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32)에 제1 로프고정장치(10)가 장착되어 있지만, 가로부재(32) 이외의 가로부재(31, 33) 중 어느 하나에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장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32)에 조속기(16)가 장착되어 있지만, 가로부재(32) 이외의 가로부재(31, 33) 및 각 세로부재(24) 중 어느 하나에 조속기(16)를 장착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가이드레일(19)에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가로부재(41, 42)가 레일클립(25)에 의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41, 42)는 수평방향 중간부가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41, 42)의 각각의 수평방향 일단부에는 한쪽의 세로부재(24)가 장착되고, 각 가로부재(41, 42)의 각각의 수평방향 타단부에는 다른 쪽의 세로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41, 42) 가운데, 가로부재(41)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가로부재(42)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41, 42) 가운데,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42)는 가로부재(42)의 하면을 받는 지지대(받이부재)(43)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43)는 가이드레일(19)을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44)에 의해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각 볼트(44)는 가이드레일(19)에 대해서 상하방향에 대해서 맞물리도록 가이드레일(19)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다. 지지대(43)에는 볼트(44)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볼트구멍(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또, 가로부재(42)는 볼트(45)에 의해 지지대(43)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로프고정장치(10)는, 각 가로부재(41, 42) 가운데,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42)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현가체(7)는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통하여 가로부재(42)에 접속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41, 42)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전기기기(예를 들면, 제어장치나 배터리, 회생저항(回生抵抗) 등)의 케이스(승강로 내 기기)(46)가 볼트(47)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46)는 한쪽의 세로부재(24)보다도 가이드레일(19)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46) 내의 전기기기 및 엘리베이터칸(2) 사이에는, 승강로(1) 내에 매다는 이동케이블(도시생략)이 현가체로서 접속되어 있다. 이동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케이스(46) 내의 전기기기와 엘리베이터칸(2)과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나 전력을 전송하는 제어선이나 전력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동케이블은 케이스(46)를 통하여 각 가로부재(41, 42)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서는,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된 지지대(43)에 가로부재(42)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현가체 지지장치(20)가 가이드레일(19)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가로부재(41, 42)의 각각의 형상을 통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가로부재(41, 42)의 제조비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41, 42) 가운데,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42)만이 지지대(43)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만,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41)만을 지지대(43)에 의해 지지해도 된다. 또, 각 가로부재(41, 42)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43)를 가이드레일(19)에 장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41, 42) 가운데,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42)에 제1 로프고정장치(10)가 장착되어 있지만,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41)에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장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케이스(46)가 각 가로부재(41, 42) 사이에 장착되어 있지만, 세로부재(24)에 케이스(46)를 장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현가체로서의 이동케이블이 각 가로부재(41, 42)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를 매다는 현가체(7)가 가로부재(42)에 지지되어 있지만, 이동케이블만이 가로부재(41, 42)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가이드레일(19)은 가이드레일(19)의 길이방향으로 늘어놓인 복수의 단위레일(19a)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는 서로 인접하는 단위레일(19a)끼리를 접속하는 덧붙임판(butt strap)(51)이 장착되어 있다.
덧붙임판(51)은 서로 인접하는 단위레일(19a) 사이의 경계를 걸친 상태에서 각 단위레일(19a)의 배면에 겹쳐져 있다. 또, 덧붙임판(51)은 서로 인접하는 단위레일(19a)을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52)에 의해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각 볼트(52)는 가이드레일(19)에 대해서 상하방향에 대해서 맞물리도록 가이드레일(19)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다. 덧붙임판(51)에는 볼트(52)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볼트구멍(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9)에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가로부재(53, 54, 55)가 레일클립(25)에 의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53, 54, 55)는 수평방향 중간부가 가이드레일(19)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9)에 장착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53, 54, 55)의 각각의 수평방향 일단부에는 한쪽의 세로부재(24)가 장착되고, 각 가로부재(53, 54, 55)의 각각의 수평방향 타단부에는 다른 쪽의 세로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53, 54, 55) 가운데, 가로부재(53)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가로부재(55)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가로부재(53)와 가로부재(55)와의 사이의 높이 위치(중간위치)에 가로부재(54)가 배치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53, 54, 55)의 각각의 형상은 실시형태 1의 중간용 가로부재(23)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가로부재(53, 54, 55) 가운데,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54)만이 덧붙임판(51)에 지지되어 있다. 덧붙임판(51)은 가로부재(54)의 하면을 받은 상태에서 가로부재(54)를 지지하고 있다.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54)에는 제1 로프고정장치(10) 및 조속기(16)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현가체(7)는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통하여 가로부재(54)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단위레일(19a)끼리를 접속하는 덧붙임판(51)에 가로부재(54)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현가체 지지장치(20)가 가이드레일(19)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가로부재(41, 42)의 각각의 형상을 통일화할 수 있다. 또, 현가체 지지장치(20)의 아래쪽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덧붙임판(51)을 겸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가로부재(53, 54, 55) 가운데,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54)만이 덧붙임판(51)에 지지되어 있지만, 가로부재(53, 55) 중 한쪽이 덧붙임판(51)에 지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54)에 제1 로프고정장치(10)가 장착되어 있지만, 가로부재(54) 이외의 가로부재(53, 55) 중 어느 하나에 제1 로프고정장치(10)를 장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간위치에 배치된 가로부재(54)에 조속기(16)가 장착되어 있지만, 가로부재(54) 이외의 가로부재(53, 55) 중 어느 하나에 조속기(16)를 장착해도 된다.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권상기(4)가 승강로(1) 내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지만, 권상기(4)가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2 엘리베이터칸(승강체), 3 균형추(승강체),
7 현가체, 16 조속기(승강로 내 기기),
19 가이드레일, 20 현가체 지지장치,
22, 23, 31, 32, 33, 41, 42, 53, 54, 55 가로부재,
22b 맞물림부, 24 세로부재,
34 볼트, 43 지지대(받이부재),
46 케이스(승강로 내 기기), 51 덧붙임판.

Claims (6)

  1.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에 각각 장착되고,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가로부재 및
    각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 장착된 세로부재를 구비하고,
    각 상기 가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승강체를 매다는 현가체 및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되며,
    각 상기 가로부재의 수평방향 중간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각 상기 가로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세로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우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한쪽의 상기 세로부재는 각 상기 가로부재의 수평방향 일단부 사이에 장착되고, 다른쪽의 상기 세로부재는 각 상기 가로부재의 수평방향 타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기 가로부재 가운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놓이는 맞물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배면에 장착되고, 각 상기 가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받이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늘어놓인 복수의 단위레일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레일끼리는 덧붙임판(butt strap)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각 상기 가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덧붙임판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기 가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로 내에 배치되는 승강로 내 기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KR1020127022533A 2010-03-12 2010-03-12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KR101392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4234 WO2011111225A1 (ja) 2010-03-12 2010-03-12 エレベータの懸架体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88A KR20120118488A (ko) 2012-10-26
KR101392082B1 true KR101392082B1 (ko) 2014-05-07

Family

ID=4456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533A KR101392082B1 (ko) 2010-03-12 2010-03-12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46182B1 (ko)
JP (1) JP5502187B2 (ko)
KR (1) KR101392082B1 (ko)
CN (1) CN102791605B (ko)
WO (1) WO2011111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9564B2 (ja) * 2012-01-06 2016-04-2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エレベータ昇降路におけるバッテリの取り付け
JP5900169B2 (ja) * 2012-06-06 2016-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支持装置
CN105800422B (zh) * 2016-05-09 2018-11-06 苏州江南嘉捷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绳头安装结构
JP6580274B2 (ja) 2016-12-08 2019-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6692461B2 (ja) * 2017-01-30 2020-05-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16710381A (zh) 2021-02-08 2023-09-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及其设备支承装置
JP7294475B1 (ja) 2022-02-28 2023-06-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ケーブル支持装置及びエレベータ
WO2024100827A1 (ja) * 2022-11-10 2024-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258A (ja) * 2000-05-26 2001-12-04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伸び調整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0516B (fi) * 1994-09-27 1997-12-31 Kone Oy Järjestelyt hissiköyden kiinnittämiseksi ja johteen käyttämiseksi hiss in kannatuselimenä
EP2145851B1 (en) * 1998-03-23 2015-09-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p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JP2000086114A (ja) * 1998-09-14 2000-03-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3397733B2 (ja) * 1999-12-07 2003-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DE60131026T2 (de) * 2001-08-23 2008-07-17 Mitsubishi Denki K.K. Regler und aufzug
JP2004352377A (ja) * 2003-05-27 2004-12-1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
JP2009220916A (ja) * 2008-03-13 2009-10-0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258A (ja) * 2000-05-26 2001-12-04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伸び調整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6182B1 (en) 2018-12-05
CN102791605B (zh) 2014-10-15
JP5502187B2 (ja) 2014-05-28
JPWO2011111225A1 (ja) 2013-06-27
EP2546182A1 (en) 2013-01-16
EP2546182A4 (en) 2015-12-23
WO2011111225A1 (ja) 2011-09-15
KR20120118488A (ko) 2012-10-26
CN102791605A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082B1 (ko) 엘리베이터의 현가체 지지장치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200354195A1 (e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CN109153539B (zh) 电梯的曳引机安装方法
US10252889B2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WO2003008318A1 (fr) Dispositif d'ascenseur
JP200414292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JP55165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62195B2 (ja) エレベーター
CN110088028B (zh) 电梯装置
JP2013129493A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CN110198907B (zh) 电梯装置
US11254540B2 (en) Machine-room-less elevator
CN110191856B (zh) 电梯装置
JP2009062177A (ja) エレベータ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14728757B (zh) 电梯的控制装置以及电梯系统
JP2012051702A (ja) 移動仮設作業装置
JP201300663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316869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36409B2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6294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58915B2 (ja) エレベータ機器の吊り上げ装置
KR20160134991A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