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311B1 -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 Google Patents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311B1
KR101280311B1 KR1020110137860A KR20110137860A KR101280311B1 KR 101280311 B1 KR101280311 B1 KR 101280311B1 KR 1020110137860 A KR1020110137860 A KR 1020110137860A KR 20110137860 A KR20110137860 A KR 20110137860A KR 101280311 B1 KR101280311 B1 KR 10128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cardboard
corrugated cardboard
corrugate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716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대원팩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팩키지(주) filed Critical 대원팩키지(주)
Priority to KR102011013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3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에 관한 것으로, 일정규격으로 재단된 골판지원단을 3등분으로 분할 형성하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분할골판지와, 상기 제 1 분할골판지를 기준하여 좌측으로 차례대로 위치하는 제2 분할골판지 및 제3 분할골판지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전방절곡부, 좌,우측 중간절곡부, 좌,우측 후방절곡부에 의하여 제3 및 제1 분할골판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전방절곡부와 좌,우측 중간절곡부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측 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후방절곡부와 좌,우측 중간절곡부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측 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우측단에는 제1 분할골판지를 제2 분할골판지 위에 포개어지도록 절첩한 다음 제3 분할골판지를 제1 분할골판지 위에 포개어 절첩할 때 상기 좌측 전방절곡부, 좌측 중간절곡부, 좌측 후방절곡부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수용홈, 중간 수용홈, 후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Corrugated cardboard as buffer pad using inside of box packing}
본 발명은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 및 기타 가전제품을 종이상자 및 골판지상자에 박스포장하고자 할 때 포장되는 제품을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개발된 골판지 완충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제품이나 선풍기, 전기세탁기, 전기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은 주로 골판지상자에 포장해서 운반하고 있으며, 골판지상자에 포장하고자 하는 피포장제품의 바닥 부분을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피포장제품의 바닥을 완충패드로 받쳐주며, 또한 피포장제품의 상단 부분도 완충패드로 덮어준 상태로 포장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냉·온수기 및 전기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을 골판지상자에 포장하고자 할 때에는 피포장제품의 바닥 부분을 받쳐주거나 또는 상단 부분을 덮어주는 완충패드는 주로 스티로폼재질로 성형된 스티로폼 완충패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스티로폼 완충패드는 가공이 용이하고 매우 가볍고 쿠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스티로폼 완충패드는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스티로폼은 그 재질 자체가 환경오염물질이란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때문에 스티로폼 완충패드를 사용하여 박스포장된 제품에 대해서는 수입을 규제하는 나라가 있을 정도이므로, 요즈음에 와서는 글로벌 기업들은 자국의 국내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물론이고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들에 대하여 골판지상자를 이용하여 박스포장함에 있어서는 피포장제품의 바닥이나 상단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패드를 스티로폼 이외의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골판지를 다중 겹으로 포개어 접어주는 작업이 용이하고, 일단 접혀진 부분은 그 절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피포장제품의 바닥 네모서리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받침돌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피포장제품의 바닥 부분을 수평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피포장제품을 안전하게 받쳐준 상태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규격으로 재단된 골판지원단을 3등분으로 분할 형성하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분할골판지와, 상기 제 1 분할골판지를 기준하여 좌측으로 차례대로 위치하는 제2 분할골판지 및 제3 분할골판지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전방절곡부, 좌,우측 중간절곡부, 좌,우측 후방절곡부에 의하여 제3 및 제1 분할골판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전방절곡부와 좌,우측 중간절곡부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측 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후방절곡부와 좌,우측 중간절곡부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측 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분할골판지와 제2 분할골판지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우측 전방절곡부, 우측 중간절곡부, 우측 후방절곡부 및 우측 전방절개부, 우측 후방절개부의 폭은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의 두께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분할골판지와 제3 분할골판지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좌측 전방절곡부, 좌측 중간절곡부, 좌측 후방절곡부 및 좌측 전방절개부, 좌측 후방절개부의 폭은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의 두께에 비하여 2배의 크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우측단에는 제1 분할골판지를 제2 분할골판지 위에 포개어지도록 절첩한 다음 제3 분할골판지를 제1 분할골판지 위에 포개어 절첩할 때 상기 좌측 전방절곡부, 좌측 중간절곡부, 좌측 후방절곡부를 수용하는 전방 수용홈, 중간 수용홈, 후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좌측단에는 좌측 전,후방 절개부에 개구된 상태로 우측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1 좌측 전,후방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우측단에는 상기한 제1 좌측 전,후방 요홈과 대칭을 이루는 제1 우측 전,후방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의 좌,우측단 각각에는 제1 분할골판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좌측 전,후방 요홈 및 제1 우측 전,후방 요홈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제2 좌측 전,후방 요홈 및 제2 우측 전,후방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판지 포장상자에 냉·온수기 제품을 비롯하여 선풍기, 전기세탁기 등의 가전제품 등을 포장하고자 할 때 상기한 각 피포장제품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피포장제품의 바닥에 밀착된 골판지 완충패드는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가 3중겹으로 포개진 상태로 절첩되어 있으므로 운반 도중에 골판지 포장상자의 저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피포장제품에 전달되지 않도록 흡수 완화하여 피포장제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골판지 완충패드는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가 3중겹으로 접어주는 작업이 용이하여 피포장제품의 포장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각 분할골판지들은 일단 접어주었을 때에는 그 접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써 피포장제품을 포장할 때 취급성을 좋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골판지 완충패드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판지 완충패드에서 제1 분할골판지를 접어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골판지 완충패드를 3중겹으로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판지 완충패드를 피포장제품의 바닥을 받쳐주는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골판지 완충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는 골판지원단을 일정규격으로 재단된 상태에서 포장박스(2)의 내부 단면적과 같은 크기를 갖도록 등분 분할된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3a,3b,3c)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의 제1 분할골판지(3a)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골판지원단(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3b)는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3 분할골판지(3c)는 좌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의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3a,3b,3c) 각각은 서로간에 절첩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 분할골판지(3b)를 기준하여 볼 때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의 좌측단과 제2 분할골판지(3b)의 우측단은 우측 전방절곡부(4a), 우측 중간절곡부(4b), 우측 후방절곡부(4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3b)의 좌측단과 제3 분할골판지(3c)의 우측단은 좌측 전방절곡부(5a), 좌측 중간절곡부(5b), 좌측 후방절곡부(5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는 제2 분할골판지(3b)를 기준하여 볼 때 상기 우측 전방절곡부(4a)와 우측 중간절곡부(4b) 및 상기 우측 중간절곡부(4b)와 우측 후방절곡부(4c) 각각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를 분리시키는 우측 전방절개부(6a) 및 우측 후방절개부(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전방절곡부(5a)와 좌측 중간절곡부(5b) 및 좌측 중간절곡부(5b)와 좌측 후방절곡부(5c) 각각의 사이에는 제2 및 제3 분할골판지(3b,3c)를 분리시키는 좌측 전방절개부(7a) 및 좌측 후방절개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를 연결시키는 우측 전방절곡부(4a), 우측 중간절곡부(4b), 우측 후방절곡부(4c) 및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를 분리시키는 우측 전방절개부(6a), 우측 후방절개부(6b) 각각은 동일한 폭(W1)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폭(W1)은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3a,3b,3c) 각각의 두께와 같은 크기(규격)이거나 또는 그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3a,3b,3c)들 각각의 두께가 5mm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한 폭(W1)의 간격은 각 분할골판지의 두께와 같은 5mm로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폭(W1)은 각 분할골판지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큰 규격(예 : 6mm)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제1 및 제 분할골판지(3a,3b)를 2중겹으로 포개어 접어주었을 때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는 접어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지만, 만약 상기한 폭(W1)이 각 분할골판지의 두께보다 작은 규격(예 : 3mm)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를 포개어진 상태가 되도록 접었을 때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가 서로 벌어지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폭(W1)은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2 분할골판지(3b)과 제3 분할골판지(3c)를 연결 및 분리시키는 좌측 전방절곡부(5a), 좌측 중간절곡부(5b), 좌측 후방절곡부(5a) 및 좌측 전발절개부(7a), 좌측 후방절개부(7b) 각각은 동일한 폭(W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폭(W2)는 제1 분할골판지(3a) 또는 제2 분할골판지(3b)의 두께보다 2배의 크기 즉, 제1 분할골판지(3a)과 제2 분할골판지(3b)를 포개어놓은 상태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조금 큰 크기(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폭(W1)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 각각에는 포장박스(2)에 포장하고자 하는 피포장제품(100) 바닥의 네모서리부분에 둘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받침돌기(110)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의 좌측단에는 우측 전방절개부(6a) 및 우측 후방절개부(6b) 각각에 연결되는 제1 좌측 전방요홈(8a)과 제1 좌측 후방요홈(8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의 우측단에는 외측(도면상 우측)을 향해 개구되는 상태로 제1 우측 전방요홈(8c)과 제1 우측 후방요홈(8d)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3b)의 좌측단에는 좌측 전방절개부(7a)및 좌측 후방절개부(7b) 각각에 연결되는 제2 좌측 전방요홈(9a)과 제2 좌측 후방요홈(9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분할골판지(3b)의 우측단에는 우측 전방절개부(6a) 및 우측 후방절개부(6b) 각각에 연결되는 제2 우측 전방요홈(9c)과 제2 우측 후방절개부(9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분할골판지(3a)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1 우측 전방요홈(8c) 및 제1 우측 후방용홈(8d)는 제2 분할골판지(3b)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2 좌측 전방용홈(9a) 및 제2 좌측 후방요홈(9b) 각각에 대칭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1 좌측 전방요홈(8a) 및 제1 좌측 후방용홈(8b)는 제2 분할골판지(3b)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2 우측 전방요홈(9c) 및 제2 좌측 후방요홈(9d) 각각에 대칭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할골판자(3a)의 우측단에는 제2 및 제3 분할골판지(3b,3c)를 연결하는 좌측 전방절곡부(5a), 좌측 중간절곡부(5b), 좌측 후방절곡부(5c)을 수용하기 위한 전방 수용홈(10a), 중간 수용홈(10b), 후방 수용홈(10c)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방 수용홈(10c)의 경우는 제1 우측 후방요홈(8d)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3a,3b,3c) 각각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는 대각선상으로 면취된 모따기면(31,32,33)이 형성되어 있어 골판지 완충패드(1)를 3중겹으로 절첩하여 포장박스(2)에 삽입시킬 때 상기 포장박스(2) 내측의 네모서리부분과의 접촉면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골판지 완충패드(1)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판지 완충패드(1)를 사용하여 포장박스(2)에 포장하고자 하는 피포장제품(100)의 바닥을 받쳐주도록 3중겹으로 절첩하여 피포장제품(100)을 받쳐주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재단된 상태로 제작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제작된 골판지 완충패드(1)는 도면상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분할골판지(3a)를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분할골판지(3b)에 포개어지도록 접어주게 되는데, 이때 제1 분할골판지(3a)와 제2 분할골판지(3b)를 연결하는 우측 전방절곡부(4a), 우측 중간절곡부(4b), 우측 후방절곡부(4c) 각각의 폭(W1)은 제1 분할골판지(3a) 내지 제2 분할골판지(3b) 각각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큰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우측 전방절개부(6a) 및 우측 후방절개부(6b) 각각의 폭 역시 동일한 폭(W1)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를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2 분할골판지(3b) 위로 접어주었을 때 상기한 우측 전방절개부(6a) 및 우측 후방절개부(6b)에서 서로 겹쳐지는 제1 분할골판지(3a)의 좌측단과 제2 분할골판지(3b)의 우측단이 서로 눌림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며, 다만 우측 전방절곡부(4a), 우측 중간절곡부(4b), 우측 후방절곡부(4c) 각각은 골판지의 특성상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에 연결된 부분은 얇게 압축되면서 외측 부분은 2중겹으로 절첩되는 우측 전방절개부(6a) 및 우측 후방절개부(6b)와 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접혀진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우측 전방절곡부(4a), 우측 중간절곡부(4b), 우측 후방절곡부(4c) 각각의 내측 부분은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 사이로 침투하는 상태로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1 분할골판지(3a)를 제2 분할골판지(3b) 위에 포개진 상태로 절첩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1 좌측 전방요홈(8a) 및 제1 좌측 후방요홈(8b) 각각은 제2 분할골판지(3b)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2 우측 전방요홈(9c) 및 제2 우측 후방요홈(9d)에 일치하는 상태이며, 또한 제1 분할골판지(3a)의 제1 우측 전방요홈(8c) 및 제1 우측 후방요홈(8d) 각각은 제2 분할골판지(3b)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좌측 전방요홈(9a) 및 제2 좌측 후방요홈(9b)에 일치하는 상태로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 분할골판지(3b) 위에 제1 분할골판지(3a)가 포개어진 상태가 되도록 절첩시킨 다음, 다시 절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분할골판지(3a,3b)를 동시에 제3 분할골판지(3c)쪽으로 180°각도로 넘겨주게 되면(도 3의 화살표 표시 참조)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3 분할골판지(3c) 위에 제1 분할골판지(3a)와 제2 분할골판지(3b)가 차례대로 포개어지는 상태로 3중겹으로 절첩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제1 분할골판지(3a)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수용홈(10a), 중간 수용홈(10b), 후방 수용홈(10c) 각각은 좌측 전방절곡부(5a), 좌측 중간절곡부(5b), 좌측 후방절곡부(5c)을 수용하게 되므로 상기한 좌측 전방절곡부(5a), 좌측 중간절곡부(5b), 좌측 후방절곡부(5c) 각각은 골판지의 특성상 두께가 얇아진 상태로 압축되면서 전방 수용홈(10a), 중간 수용홈(10b), 후방 수용홈(10c) 각각에 밀착되므로 상기한 좌측 전방절곡부(5a), 좌측 중간절곡부(5b), 좌측 후방절곡부(5c)가 절곡되는 절첩면은 반듯한 직선면으로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골판지 완충패드(1)는 포장박스(2)에 포장하고자 하는 피포장제품(100) 예를 들면, 냉·온수기 제품의 바닥을 받쳐주기 위하여 3중겹으로 절첩하였을 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2 분할골판지(3b)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3 분할골판지(3c)는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1 분할골판지(3a)는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피포장제품(100)의 바닥 네모서리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된 총 4개의 받침돌기(110)들은 3중겹으로 절첩된 골판지 완충패드(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일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요홈들 즉, 2중겹으로 절첩되는 제2 및 제1 분할골판지(3b,3a) 각각에 형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형성된 제2 우측 전방요홈(9c)과 제1 우측 전방요홈(8c), 제1 좌측 전방용홈(9a)과 제1 우측 전방요홈(8a), 제2 우측 후방요홈(9d)과 제1 우측 후방요홈(8b), 제2 좌측 후방요홈(9b)과 제1 우측 후방요홈(8d) 각각에 수용되는 것이며, 또한 3중겹으로 절첩된 골판지 완충패드(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 제2 분할골판지(3b)는 피포장제품(100)의 바닥을 수평상으로 안전하게 받쳐주게 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제3 분할골판지(3c)는 포장박스(2)의 내저부 바닥에 수평상으로 밀착되어 피포장제품(100)의 바닥 네모서리부분에서 돌출되어 있는 각 받침돌기(110)가 포장박스(2)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되므로 피포장제품(100)을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골판지 완충패드 2 : 포장박스
3a,3b,3c :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
4a : 우측 전방절곡부 4b : 우측 중간절곡부
4c : 우측 후방절곡부 5a : 좌측 전방절곡부
5b : 좌측 중간절곡부 5c : 좌측 후방절곡부
6a : 우측 전방절개부 6b : 우측 후방절개부
7a : 좌측 전방절개부 7b : 좌측 후방절개부
8a : 제1 좌측 전방요홈 8b : 제1 좌측 후방요홈
8c : 제1 우측 전방요홈 8d : 제1 우측 후방요홈
9a : 제2 좌측 전방요홈 9b : 제2 좌측 후방요홈
9c : 제2 우측 전방요홈 9d : 제2 우측 후방요홈
10a : 전방 수용홈 10b : 중간 수용홈
10c : 후방 수용홈 100 : 피포장제품

Claims (5)

  1. 일정규격으로 재단된 골판지원단을 3등분으로 분할 형성하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분할골판지와, 상기 제 1 분할골판지를 기준하여 좌측으로 차례대로 위치하는 제2 분할골판지 및 제3 분할골판지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전방절곡부, 좌,우측 중간절곡부, 좌,우측 후방절곡부에 의하여 제3 및 제1 분할골판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전방절곡부와 좌,우측 중간절곡부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측 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후방절곡부와 좌,우측 중간절곡부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측 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우측단에는 제1 분할골판지를 제2 분할골판지 위에 포개어지도록 절첩한 다음 제3 분할골판지를 제1 분할골판지 위에 포개어 절첩할 때 상기 좌측 전방절곡부, 좌측 중간절곡부, 좌측 후방절곡부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수용홈, 중간 수용홈, 후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골판지와 제2 분할골판지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우측 전방절곡부, 우측 중간절곡부, 우측 후방절곡부 및 우측 전방절개부, 우측 후방절개부 각각의 폭은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의 두께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골판지와 제3 분할골판지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좌측 전방절곡부, 좌측 중간절곡부, 좌측 후방절곡부 및 좌측 전방절개부, 좌측 후방절개부 각각의 폭은 제1 내지 제3 분할골판지의 두께에 비하여 2배의 크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좌측단에는 좌측 전,후방 절개부에 개구된 상태로 우측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1 좌측 전,후방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분할골판지의 우측단에는 상기한 제1 좌측 전,후방 요홈과 대칭을 이루는 제1 우측 전,후방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할골판지의 좌,우측단 각각에는 제1 분할골판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좌측 전,후방 요홈 및 제1 우측 전,후방 요홈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제2 좌측 전,후방 요홈 및 제2 우측 전,후방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KR1020110137860A 2011-12-20 2011-12-20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KR10128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60A KR101280311B1 (ko) 2011-12-20 2011-12-20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60A KR101280311B1 (ko) 2011-12-20 2011-12-20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16A KR20130070716A (ko) 2013-06-28
KR101280311B1 true KR101280311B1 (ko) 2013-07-11

Family

ID=4886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860A KR101280311B1 (ko) 2011-12-20 2011-12-20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58Y1 (ko) * 2020-06-22 2022-04-11 (주)시스픽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533A (ja) * 1998-02-26 1999-09-07 Icom Inc 段ボール製梱包用仕切材
JP2001315231A (ja) 2000-05-11 2001-11-13 Tarutani Hoso Sangyo Kk 段ボールの積層体
JP2002002817A (ja) 2000-06-27 2002-01-09 Digital Electronics Corp 表示器用緩衝材
JP3171358U (ja) * 2011-08-16 2011-10-27 大王製紙パッケージ株式会社 緩衝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533A (ja) * 1998-02-26 1999-09-07 Icom Inc 段ボール製梱包用仕切材
JP2001315231A (ja) 2000-05-11 2001-11-13 Tarutani Hoso Sangyo Kk 段ボールの積層体
JP2002002817A (ja) 2000-06-27 2002-01-09 Digital Electronics Corp 表示器用緩衝材
JP3171358U (ja) * 2011-08-16 2011-10-27 大王製紙パッケージ株式会社 緩衝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16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311B1 (ko) 박스포장용 골판지 완충패드
JP2009023713A (ja) 包装箱
JP6058838B1 (ja) 梱包箱用緩衝材及び梱包方法
KR20080004752A (ko) 완충구조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 및 그 제조방법
JP5595013B2 (ja) 段ボール箱
JP6597977B2 (ja) 被包装物の載置トレイ
CN103786995B (zh) 太阳能模块的包装结构
JP6946958B2 (ja) 包装箱
KR101623971B1 (ko) 접이식 대형포장박스
JP7365657B2 (ja) 二重側壁組立函
JP5358285B2 (ja) 緩衝包装材
JP4338531B2 (ja) 包装装置
KR200476650Y1 (ko) 포장상자용 베이스
JP7113981B2 (ja) 梱包体
JP5626131B2 (ja) コーナー保護材
JP6254340B2 (ja) トレー状容器
JP6918410B2 (ja) ダンボール梱包材
JP5174410B2 (ja) 緩衝包装材
JP2011098763A (ja) 包装箱
JP2023167193A (ja) 梱包ユニット
KR20130008789A (ko) 튼튼한 받침부가 마련되어 적층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시트 포장용 상자
TWM531445U (zh) 具固定物品結構之箱體
JP4337536B2 (ja) 梱包装置
JP3194118U (ja) 梱包材
JP3149586U (ja) 軟質プラスチックス製の折りたたみ自在な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